KR20130049860A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860A
KR20130049860A KR1020110114873A KR20110114873A KR20130049860A KR 20130049860 A KR20130049860 A KR 20130049860A KR 1020110114873 A KR1020110114873 A KR 1020110114873A KR 20110114873 A KR20110114873 A KR 20110114873A KR 20130049860 A KR20130049860 A KR 2013004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radle
mobile terminal
present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1011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860A/ko
Publication of KR2013004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폰(Mobile Phone)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거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시, 휴대 단말기가 내부 또는 외부 발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저하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를 집중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실드 또는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흡착부(10)와, 일측 종단부가 흡착부(10)에 연결되는 지지부(20)와, 후면(32) 일측에 지지부(20)의 타측 종단부가 결합되고 전면(31)에 휴대 단말기(P)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30)와, 이 거치부(30)의 전면(31)과 후면(32) 사이에 결합되고 후면(32)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면(31)의 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키는 하나 이상의 냉각팬(40)과, 이 냉각팬(4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부(5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내부 또는 외부 발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저하되거나 오작동 및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Cradl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폰(Mobile Phone)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거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시, 휴대 단말기가 내부 또는 외부 발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저하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를 집중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Navigation),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폰(Mobile Phone), 전자사전(Electronic Dictionary)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실내에서 사용할 시에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 또는 윈드실드(Windshield)에 설치되는 거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차량의 실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의 종래기술에는 대한민국특허청(KR) 등록특허공보(B1) 등록번호 제10-0785319호(2007.12.06)의 '휴대용 단말기 차량 거치대', 대한민국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제10-2009-0034637호(2009.04.08)의 '차량용 거치대', 대한민국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제10-2009-0060057호(2009.06.11)의 '하이패스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의 동시 거치가 가능한 하이패스 거치대' 등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보인 도면으로서, 통상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윈드실드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흡착부(1)와, 흡착부(1)와 연결되는 지지부(2) 및, 지지부(2)와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P)가 장착되는 거치부(3)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거치대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는 근래에 고성능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중앙처리장치(CPU)나 칩셋(Chip Set) 등의 고기능화 또는 고속화가 계속 진행 중에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소형화나 박형화 등의 요구도 강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또는 모바일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3D 랜더링(3D rendering) 등 소프트웨어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고성능의 그래픽 칩셋이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 그리고 고성능의 중앙처리장치와 칩셋의 장착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서 과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는 열에 취약한 편으로, 부품에 따라 한계온도의 차이가 있긴 하나, 일반적으로 적정 온도를 넘어서게 되면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저하되거나 오작동 및 고장을 일으키게 되고, 과열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에는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
특히,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거치대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는 차량의 전면유리 즉, 윈드실드를 통해 내려 쬐는 햇볕에 장시간 노출되어 과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차량이 여름철 태양열과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최대 70℃ 이상 상승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휴대 단말기의 과열 발생 가능성은 더욱 증가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내부 발열원과 여름철 태양열과 직사광선 등의 외부 발열원에 노출되어 휴대 단말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제10-2007-0073221호(2007.07.10)의 '휴대전자기기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자기기 세트'(이하 '인용발명 1' 이라 한다.)가 있다.
도 4 및 도 5는 인용발명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인용발명 1은 휴대전자기기(105)가 안착되는 안착부(112)를 구비한 프레임(111); 상기 휴대전자기기 (105)주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40); 상기 휴대전자기기(105)를 냉각하기 위한 팬(135); 상기 팬(13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 및, 상기 온도센서(140)에서 측정된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135)을 구동시키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공급부는 외부로부터 DC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DC 포트(121)와, 상기 DC 포트(121)를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없을 때 상기 안착부(112)에 안착된 휴대전자기기(10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휴대전자기기(105)와 연결되는 커넥터(123)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인용발명 1은 휴대전자기기(105) 주위의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이면 동작하여 휴대전자기기(105)를 냉각하는 팬(135)을 구비하여 과열로 인한 휴대전자기기(105)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인용발명 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1)의 안착부(112) 아래의 내부공간에 팬(135)을 설치하고, 휴대전자기기(105)의 후면과 그에 대면하는 제2 프레임(115)의 일면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마련하며, 팬(135)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하여 휴대전자기기(105)를 냉각시키는 방식이어서 냉각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즉, 휴대전자기기(105)는 중앙처리장치 또는 칩셋 등의 내부 발열원에서 발생하는 열이 대부분 후면부로 집중되어 가장 많은 열을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인용발명 1에서는 팬(135)에서 발생된 공기가 열이 집중되는 휴대전자기기(105)의 후면부에 직접 분사되지 못하고, 단순히 유로에 체류하는 열을 상부로 불어내는 역할만 하게 되어 휴대전자기기(105)의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인용발명 1에서 안착부(112) 아래의 내부 공간은 개구된 상부를 제외하고 밀폐된 구조이어서, 팬(135)은 외부의 찬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에서 구동하게 되고, 팬(135)이 구동할 시 구동모터(136)에서 발생하는 열이 내부 공간에 체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 공간에 체류하는 더운 공기가 팬(135)의 로터(137)에 의해 유로측으로 분사됨으로써 휴대전자기기(105)의 냉각효율을 더욱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KR) 등록특허공보(B1) 등록번호 제10-0785319호(2007.12.06) 휴대용 단말기 차량 거치대. 대한민국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제10-2009-0034637호(2009.04.08) 차량용 거치대. 대한민국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제10-2009-0060057호(2009.06.11) 하이패스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의 동시 거치가 가능한 하이패스 거치대. 대한민국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제10-2007-0073221호(2007.07.10) 휴대전자기기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자기기 세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내부 또는 외부 발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저하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실드 또는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흡착부와, 일측 종단부가 흡착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후면 일측에 지지부의 타측 종단부가 결합되고 전면 일측에 휴대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와, 이 거치부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결합되고 후면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면의 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키는 하나 이상의 냉각팬과, 이 냉각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부는 전면과 후면이 상면과 하면 및 양쪽 측면에 의해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에는 냉각팬이 위치한 부분과 일치되는 위치에 전면 통기공과 후면 통기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면에는 내부공간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상면 통기공이 형성되고, 전면 하측에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가 돌출형성되며, 후면 하측에는 지지부의 타측 종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냉각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팬은 거치부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거치부 후면의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전원부는 거치부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USB 단자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거치부의 내부공간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냉각팬이 거치부의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거치부의 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내부 또는 외부 발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저하되거나 오작동 및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냉각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팬은 거치부의 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거치부의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여,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와 거치부의 전면 사이에 체류하는 더운 공기를 거치부의 후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서, 휴대 단말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다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부(30)에 대한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부(30)에 대한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30)에서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30)에서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것인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참고로, 제1, 제2, A, B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으며,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이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또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로부터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간의 크기 비율이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간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상에 나타나는 표현의 차이는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가능한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 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가 내부 또는 외부 발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저하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를 집중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실드 또는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흡착부(10)와,
일측 종단부가 흡착부(10)에 결합되는 지지부(20)와,
후면(32) 일측에 지지부(20)의 타측 종단부가 결합되고 전면(31) 일측에 휴대 단말기(P)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30)와,
이 거치부(30)의 전면(31)과 후면(32) 사이에 결합되고 후면(32)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면(31)의 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키는 하나 이상의 냉각팬(40)과,
이 냉각팬(4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부(5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흡착부(10)는 차량의 윈드실드(전면유리) 또는 대시보드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흡착 본체(11) 일측에 결합된 흡착판(12)을 차량의 부착면에 밀착시키고 압축레버(13)를 눌러 흡착판(12)과 차량의 부착면이 서로 흡착되도록 하여 흡착 본체(11)를 고정하게 된다.
흡착부(10)의 구성과 작용에 있어서, 압축레버(13)를 눌러 흡착판(12)과 차량의 부착면이 서로 흡착되도록 하는 것은 널리 사용되는 기술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일측 종단부가 흡착부(10)에 결합되는 지지부(20)는 흡착부(10)의 흡착 본체(1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의 타측 종단부는 후술될 거치부(30)의 후면(32) 하측에 형성되는 걸이구(38)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거치부(30)를 지지하게 된다.
지지부(20)의 타측 종단부에는 삽입판(21)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거치부(30)의 걸이구(38)는 삽입판(21)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부(30)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부(30)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부(30)는 전면(31)과 후면(32)이 상면(33)과 하면(34) 및 좌우 양쪽 측면(35)에 의해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내부공간(36)이 형성된다.
거치부(30)는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면(33)과 하면(34) 및 좌우 양쪽 측면(35)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31)과 후면(32)은 분리구성되어 상면(33)과 하면(34) 및 좌우 양쪽 측면(35)의 둘레에 나사(도시생략) 등의 조립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치부(30)의 내부공간(3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팬(40)이 장착되고, 냉각팬(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50)가 장착된다.
그리고, 거치부(30)의 전면(31)과 후면(32)에는 냉각팬(40)이 위치한 부분과 일치되는 위치에 전면 통기공(31a)과 후면 통기공(32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냉각팬(40)은 축류팬(axial-flow fan) 형태이고, 전후면이 개구된 원형 또는 사각의 프레임 내측에 모터와 날개가 장착되는 케이스팬(case fan)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냉각팬(40)은 거치부(30) 전면(31)의 내측면 또는 후면(32)의 내측면에 나사(도시생략) 등의 조립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냉각팬(40)은 프레임 앞쪽 둘레면이 거치부(30)의 전면(31)과 맞닿고, 프레임 뒤쪽 둘레면이 거치부(30)의 후면(32)과 각각 맞닿도록 내부공간(36)에 장착하여, 냉각팬(4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내부공간(36)에 체류하지 않고 거치부(3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거치부(30)의 상면(33)에는 내부공간(36)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상면 통기공(33a)이 형성된다.
상면 통기공(33a)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내부공간(36)에 장착된 냉각팬(40) 또는 전원부(5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을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발생한 열이 내부공간(36)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거치부(30)의 하면(34)에도 내부공간(36)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내부공간(36)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거치부(30)의 전면(31) 하측에는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37)가 돌출형성된다.
홀더(37)는 전면(3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와 거치부(30)의 전면(31)이 이격되게 함으로써 냉각팬(40)에서 배출된 공기가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에 부딪혀 냉각팬(4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거치부(30)의 전면(31)에 돌출형성되는 홀더(37)는 거치부(30)의 전면(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전면(31)과 분리 구성되어 나사 등의 조립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홀더(37)의 형태는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도시생략)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도시생략)에 홀더(37)를 슬라이딩시켜 끼워넣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한편, 거치부(30)의 후면(32)에는 하측이 개구된 걸이구(38)가 돌출형성되고, 지지부(20)의 타측 종단부에는 걸이구(38)의 개구된 하측으로 끼워지는 삽입판(21)이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걸이구(38)는 거치부(30)의 후면 하측에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이구(38)의 형태와 삽입판(21)의 형태는 거치부(30)가 지지부(20)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30)에서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30)에서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부(30)의 내부공간(36)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팬(40) 중 어느 하나의 냉각팬(40)은 거치부(30) 전면(31)의 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거치부(30) 후면(32)의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도 11 참조)
거치부(30)의 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냉각팬(40)의 장착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와 거치부(30)의 전면(31) 사이에 체류하는 더운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거치부(30)의 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장착된 냉각팬(40)에 의해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 전체가 집중 냉각되고, 이와 동시에 거치부(30)의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장착된 냉각팬(40)에 의해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와 거치부(30)의 전면(31) 사이에 체류하는 더운 공기가 신속하게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P)의 냉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전원부(50)는 거치부(30)의 내부공간(36)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원부(50)는 휴대 단말기(P)의 USB 단자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흡착부(10)를 차량의 윈드실드 또는 대시보드에 설치한 후, 거치부(30)의 전면(31)에 휴대 단말기(P)를 장착하고, 거치부(30)의 내부공간(36)에 장착된 전원부(5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냉각팬(40)이 거치부(30)의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거치부(30)의 전방으로 배출하여 휴대 단말기(P)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흡착부, 11:흡착 본체, 12:흡착판, 13압축레버
20:지지부, 21:삽입판
30:거치부, 31:전면, 31a:전면 통기공, 32:후면, 32a:후면 통기공
33:상면, 33a:상면 통기공, 34:하면, 35:측면, 36:내부공간
37:홀더, 38:걸이구
40:냉각팬
50:전원부
P:휴대 단말기

Claims (4)

  1. 차량의 윈드실드 또는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흡착부와;
    일측 종단부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후면 일측에 상기 지지부의 타측 종단부가 결합되고 전면 일측에 휴대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후면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면의 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 전체를 집중 냉각시키는 하나 이상의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이 상면과 하면 및 양쪽 측면에 의해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에는 상기 냉각팬이 위치한 부분과 일치되는 위치에 전면 통기공과 후면 통기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상면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하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후면 하측에는 상기 지지부의 타측 종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팬은 상기 거치부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거치부 후면의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거치부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USB 단자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0110114873A 2011-11-07 2011-11-0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049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73A KR20130049860A (ko) 2011-11-07 2011-11-0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73A KR20130049860A (ko) 2011-11-07 2011-11-0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860A true KR20130049860A (ko) 2013-05-15

Family

ID=4866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873A KR20130049860A (ko) 2011-11-07 2011-11-0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86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56A1 (ko) * 2014-08-29 2016-03-03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단말기 거치대
CN106585516A (zh) * 2016-12-27 2017-04-26 重庆长野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功能的导航仪支架
GB2545219A (en) * 2015-12-09 2017-06-14 Panasonic Mfg Uk Ltd Computer cradle
CN108399663A (zh) * 2018-04-25 2018-08-14 江苏君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行车记录仪的防晒散热装置
CN108973877A (zh) * 2018-07-16 2018-12-11 重庆新派工业设计有限公司 调节式车载支架
JP2020192923A (ja) * 2019-05-29 2020-1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温度調節装置
WO2022161165A1 (zh) * 2021-01-29 2022-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散热背夹和电子设备组件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56A1 (ko) * 2014-08-29 2016-03-03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단말기 거치대
GB2545219A (en) * 2015-12-09 2017-06-14 Panasonic Mfg Uk Ltd Computer cradle
CN109070810A (zh) * 2015-12-09 2018-12-21 英国松下制造股份有限公司 电脑支架
US10821908B2 (en) 2015-12-09 2020-11-03 Panasonic Manufacturing Uk Limited Computer cradle
GB2545219B (en) * 2015-12-09 2021-06-16 Panasonic Mfg Uk Limited Computer cradle
CN106585516A (zh) * 2016-12-27 2017-04-26 重庆长野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功能的导航仪支架
CN108399663A (zh) * 2018-04-25 2018-08-14 江苏君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行车记录仪的防晒散热装置
CN108973877A (zh) * 2018-07-16 2018-12-11 重庆新派工业设计有限公司 调节式车载支架
CN108973877B (zh) * 2018-07-16 2021-08-03 重庆新派工业设计有限公司 调节式车载支架
JP2020192923A (ja) * 2019-05-29 2020-1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温度調節装置
WO2022161165A1 (zh) * 2021-01-29 2022-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散热背夹和电子设备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9860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15890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7107399B2 (ja) 充電装置
CN103062646B (zh) 灯具
CN110402619B (zh) 用于智能装置的太阳能供电冷却器
KR20150014939A (ko) 공랭식 케이스
CN102231085A (zh) 笔记本电脑外置散热装置
CN215127903U (zh) 干手器
JP201213722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6331230A (zh) 一种多功能分体式模块化手机外壳
KR20130053470A (ko) 콘트롤러 일체형 통풍모듈
DE502005010421D1 (de) Lüfteranordnung
CN202111977U (zh) 通风散热机柜
TW201409212A (zh) 機架式伺服器
CN104811097B (zh) 马达驱动装置
CN202041892U (zh) 一种电脑机箱
CN205726837U (zh) 汽车电子元器件散热器
CN210667442U (zh) 隔热材料演示仪
CN110099158B (zh) 保护壳及移动终端
TWM583894U (zh) 風扇轉向設計改良結構
CN105960139A (zh) 拉手条及具有其的通信设备
CN104883310A (zh) 一种可散热路由器
JP2004014957A (ja) 電子部品の冷却構造、該冷却構造を備えた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CN218302001U (zh) 一种pcb磨板机烘干部用降温结构
CN220235240U (zh) 散热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