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612A -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612A
KR20160024612A KR1020140111637A KR20140111637A KR20160024612A KR 20160024612 A KR20160024612 A KR 20160024612A KR 1020140111637 A KR1020140111637 A KR 1020140111637A KR 20140111637 A KR20140111637 A KR 20140111637A KR 20160024612 A KR20160024612 A KR 2016002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synthetic resin
metal material
hole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섭
Original Assignee
전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섭 filed Critical 전병섭
Priority to KR102014011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4612A/ko
Publication of KR2016002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재의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상기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끼움홈에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홀에 레진을 투입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홀에 투입된 레진이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외주면에 도포된 후 홀 내부를 채우게 되고, 열에 의해 경화되어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한 몸을 이루면서 홀 내부에서 굳어져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METHOD FOR JOINING CARBON FIBER AND METALLIC PLATES}
본 발명은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를 금속재와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상기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끼움홈에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홀에 레진을 투입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홀에 투입된 레진이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외주면에 도포된 후 홀 내부를 채우게 되고, 열에 의해 경화되어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한 몸을 이루면서 홀 내부에서 굳어져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융합복합소재(또는 합성수지)를 금속재와 결합하는 이유는 구조물이나 제품의 경량화와 함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와 금속재 간의 결합은 그 형태에 따라 단면 조인트(single-lap joint), 양면 조인트 (double-lap joint), 보강물 부착 조인트(joint with attachments)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이러한 조인트 방법에는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adhesively bonded)과 접착제 및 볼트를 함께 이용한 결합(hybridjoint)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단면 조인트 방법은 탄소섬유 복합재의 단부와 금속재의 단부를 적층하여 접착제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하는 방법이고, 상기 양면 조인트 방법은 탄소섬유 복합재의 단부와 금속재의 단부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다음, 그 위쪽 및 아래쪽에 탄소섬유 복합재를 덧대어 접착제로 결합하는 방법이며, 상기 보강물 부착 조인트 방법은 탄소섬유 복합재의 단부와 금속재의 단부를 적층하여 접착제로 결합하는 동시에 그 위쪽 및 아래쪽에 보강플레이트를 더 적층하여 접착제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결합 방법은 공통적으로 탄소섬유 복합재와 금속재의 형상이 평판형이고, 서로 결합된 지점에 응력이 집중됨에 따라, 결합 강도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즉, 단면과 양면 조인트 방법 모두 탄소섬유 복합재의 단부와 금속재의 단부가 서로 결합된 지점에 박리응력의 집중이 존재하며, 이러한 응력집중으로 인하여 이종 재료의 결합 강도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6493호(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와 금속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강도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를 금속재와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상기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끼움홈에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홀에 레진을 투입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홀에 투입된 레진이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외주면에 도포된 후 홀 내부를 채우게 되고, 열에 의해 경화되어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한 몸을 이루면서 홀 내부에서 굳어져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홀은 상기 금속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홀 내부에 레진을 투입한 다음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가 삽입된 금속재의 단부를 레진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로 필라멘트 와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상기 홀 내부에 채워진 레진이 열에 의해 경화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홀 내부에 레진을 투입한 다음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가 삽입된 금속재의 단부를 레진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로 필라멘트 와인딩하여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필라멘트 와인딩 방법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은 도 3의 c)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이나 제품의 경량화와 함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를 금속재와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10), 합성수지(10') 및 금속재(20)를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탄소융합복합소재, 합성수지 및 금속재는 사각, 원형 또는 이형관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탄소융합복합소재, 합성수지 및 금속재의 형상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합성수지(10')라 함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루폭스(Lupox) 또는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것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금속재(20)의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2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상기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홀(2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끼움홈(21)에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홀(22)에 레진(r)을 투입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재(20)는 소정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며,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끼움홈(2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홈(21)은 상기 금속재(20) 내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재(20)가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야만 하는 이유는 이후 설명할 레진(r)이 금속재(20)에 형성된 홀(22)에 삽입된 후 경화될 때 홀(22)의 높이 즉, 금속재의 두께에 따라 레진의 두께(높이)가 정해지게 되는데, 홀 내부에서 경화된 레진(r)이 소정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여 금속재(2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홀(22)은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와 금속재(20)를 결합하기 위한 레진(r)이 투입되는 통로이다.
상기 홀(22)에 레진(r)을 투입한 후에는 고온의 열을 가하여 주는데, 이는 홀 내부로 투입된 레진(r)이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의 외주면에 도포되면서 홀 내부를 채운 뒤 열에 의해 경화되도록 하여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한 몸을 이루면서 굳어져 홀 내부를 채우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레진(r)은 에폭시(epoxy),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페놀릭(phenolic) 또는 폴리머(polymer) 중 어느 하나의 것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홀(22)은 상기 금속재(10)와 탄소융합복합소재(20) 또는 합성수지(20')의 형상이나 직경에 따라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금속재(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2)을 복수개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의 외주면에 도포되는 레진의 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홀(2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의 형상이나 십자형 또는 장공(슬롯)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의 크기나 형상을 다르게 하여 투입되는 레진의 양을 다르게 함으로써 소재간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와 금속재(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21)에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를 삽입한 다음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가 삽입된 금속재(20)의 단부를 레진(r)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30)로 필라멘트 와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라멘트 와인딩은 일측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20)가 삽입된 금속재(10)를 맨드릴(1)에 장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 다음 로빙(3)으로부터 공급된 탄소 소재의 실이 레진 함침조(2)를 통과한 후 금속재(10)와 탄소융합복합소재(20)의 결합부위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실(30)이 함침조(2)를 통과하여 레진(r)이 도포되도록 하며, 필라멘트 와인딩이 이루어지면,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와 금속재(20)의 결합부위에 탄소 소재의 실(30)이 규칙적으로 감겨지면서 보강결속부(40)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실(30)에 도포된 레진(r)이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의 외주면과 보강결속부(40)의 내주면을 연결하면서 홀(22) 내부로 유입되고, 고온의 열이 가해져 보강결속부(40) 및 홀 내부의 레진(r)이 경화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와, 금속재 및 보강결속부(4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을 갖는 금속재질의 브라켓(b)과, 금속재(10) 및 탄소융합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원형 파이프(1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원형 파이프(10˝)는 탄소융합복합소재로서 상기 브라켓(b)과 재질이 상이하므로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없다.
이에 상기 원형 파이프(10˝)와 브라켓(b)을 금속재(20)를 매개로 하여 결합하게 되며, 이를 위해 먼저 상기 금속재(20)의 일측 단부에 끼움홈(21) 및 홀(22)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재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홈이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재의 끼움홈(21)에 상기 원형 파이프(10˝)의 일측 단부를 삽입한 다음, 상기 홀 내부에 레진을 투입한 후 고온의 열을 가하여 준다.
이와 같이 홀 내부에 레진을 투입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레진(r)이 경화되면서 상기 원형 파이프(10˝)와 금속재(2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후, 상기 금속재(20)의 타측 단부를 상기 브라켓(b)과 결합하면 금속재질의 브라켓(b)과 탄소융합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원형 파이프(1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상기 홀 내부에 채워진 레진이 열에 의해 경화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홀 내부에 레진을 투입한 다음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가 삽입된 금속재의 단부를 레진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로 필라멘트 와인딩하여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10 : 탄소융합복합소재 10' : 합성수지
20 : 금속재 21 : 끼움홈
22 : 홀
r : 레진
30 : 실 40 : 보강결속부

Claims (3)

  1.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를 금속재(20)와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20)의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10) 또는 합성수지(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2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상기 끼움홈(21)과 연통되도록 홀(2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끼움홈(21)에 탄소융합복합소재(20) 또는 합성수지(20')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홀(22)에 레진(r)을 투입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홀(22)에 투입된 레진(r)이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20) 또는 합성수지(20')와 외주면에 도포된 후 홀(22) 내부를 채우게 되고, 열에 의해 경화되어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한 몸을 이루면서 홀 내부에서 굳어져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금속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홀 내부에 레진을 투입한 다음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가 삽입된 금속재의 단부를 레진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로 필라멘트 와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KR1020140111637A 2014-08-26 2014-08-26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KR20160024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637A KR20160024612A (ko) 2014-08-26 2014-08-26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637A KR20160024612A (ko) 2014-08-26 2014-08-26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612A true KR20160024612A (ko) 2016-03-07

Family

ID=5554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637A KR20160024612A (ko) 2014-08-26 2014-08-26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46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56B1 (ko) * 2022-11-30 2024-01-02 한국세라믹기술원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493B1 (ko) 2011-11-23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와 금속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493B1 (ko) 2011-11-23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와 금속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56B1 (ko) * 2022-11-30 2024-01-02 한국세라믹기술원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4494B2 (ja) 一軸性複合材料の中に端部連結構造を形成するためのインサート及び方法
TWI623672B (zh) Composite pipe for supporting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3989280A (en) Pipe joint
US11536306B2 (en) Attachment of composite lug to composite structural tube
EP344156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 turbine blade root prefab, and a wind turbine blade root prefab
JP5585069B2 (ja) 連結部材の製造方法
US9732889B2 (en) Flang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nge
CN110446863B (zh) 用于由塑料、泡沫或复合材料制成的部件的紧固插入件
US10543651B2 (en) Polymer pressure vessel end-cap and liner-less pressure vessel design
JP2011213312A (ja) シャシーフレーム
US10927883B2 (en) Composite joint assembly
JP5497909B2 (ja) 補強ヨークを備える複合材料製の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の製造方法
KR20150137238A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4612A (ko)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US20130105079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echanical member from composite material, having an improved mechanical performance under traction-compression and bending
US8266788B2 (en) System for joining tubular members
CN110869624B (zh) 用于由塑料、泡沫或复合材料制成的部件的紧固插入件
KR101540386B1 (ko)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US4942904A (en) Hollow section, in particular a tube, of long fibre reinforced plastic
JP2015080944A (ja) 繊維強化樹脂
JP2013523480A (ja) 固定シャフトまたは回転シャフトを受容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横方向ベアリングを備える複合材料でアームを製造する方法
CN103791225B (zh) 设置有耳板的结构
CN203771012U (zh) 设置有耳板的结构
US9631452B2 (en) Multi-piece molded composite mandre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KR20110052908A (ko) 섬유강화플라스틱 관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