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386B1 -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386B1
KR101540386B1 KR1020140102534A KR20140102534A KR101540386B1 KR 101540386 B1 KR101540386 B1 KR 101540386B1 KR 1020140102534 A KR1020140102534 A KR 1020140102534A KR 20140102534 A KR20140102534 A KR 20140102534A KR 101540386 B1 KR101540386 B1 KR 10154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omposite material
resin
metal material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섭
이홍열
Original Assignee
전병섭
이홍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섭, 이홍열 filed Critical 전병섭
Priority to KR102014010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소재의 실에 도포된 레진이 금속재의 단부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탄소융합복합소재의 외주면에 도포된 후 점차 홀 내부를 채운 다음 열에 의해 경화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METHOD FOR JOINING CARBON FIBER AND METALLIC PLATES}
본 발명은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금속재의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끼움홈에 탄소융합복합소재를 삽입하는 단계; 및 고온의 열을 가하면서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가 삽입된 금속재의 단부를 레진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로 필라멘트 와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라멘트 와인딩 시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부위에 탄소 소재의 실이 규칙적으로 감겨지면서 결속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실에 도포된 레진이 탄소융합복합소재의 외주면과 결속부의 내주면을 연결하면서 홀 내부에 채워지고, 열에 의해 레진이 경화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융합복합소재를 금속재와 결합하는 이유는 구조물이나 제품의 경량화와 함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와 금속재 간의 결합은 그 형태에 따라 단면 조인트(single-lap joint), 양면 조인트 (double-lap joint), 보강물 부착 조인트(joint with attachments)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이러한 조인트 방법에는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adhesively bonded)과 접착제 및 볼트를 함께 이용한 결합(hybridjoint)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단면 조인트 방법은 탄소섬유 복합재의 단부와 금속재의 단부를 적층하여 접착제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하는 방법이고, 상기 양면 조인트 방법은 탄소섬유 복합재의 단부와 금속재의 단부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다음, 그 위쪽 및 아래쪽에 탄소섬유 복합재를 덧대어 접착제로 결합하는 방법이며, 상기 보강물 부착 조인트 방법은 탄소섬유 복합재의 단부와 금속재의 단부를 적층하여 접착제로 결합하는 동시에 그 위쪽 및 아래쪽에 보강플레이트를 더 적층하여 접착제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결합 방법은 공통적으로 탄소섬유 복합재와 금속재의 형상이 평판형이고, 서로 결합된 지점에 응력이 집중됨에 따라, 결합 강도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즉, 단면과 양면 조인트 방법 모두 탄소섬유 복합재의 단부와 금속재의 단부가 서로 결합된 지점에 박리응력의 집중이 존재하며, 이러한 응력집중으로 인하여 이종 재료의 결합 강도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6493호(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와 금속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강도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금속재의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끼움홈에 탄소융합복합소재를 삽입하는 단계; 및 고온의 열을 가하면서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가 삽입된 금속재의 단부를 레진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로 필라멘트 와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라멘트 와인딩 시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부위에 탄소 소재의 실이 규칙적으로 감겨지면서 결속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실에 도포된 레진이 탄소융합복합소재의 외주면과 결속부의 내주면을 연결하면서 홀 내부에 채워지고, 열에 의해 레진이 경화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홀은 기 금속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진이 탄소융합복합소재 외주면에 도포되는 면적을 증대시키고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에 탄소융합복합소재를 삽입한 다음 상기 홀 내부에 레진을 투입한 후 필라멘트 와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탄소 소재의 실에 도포된 레진이 금속재의 단부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탄소융합복합소재의 외주면에 도포된 후 점차 홀 내부를 채운 다음 열에 의해 경화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필라멘트 와인딩 방법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도 2의 c)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강도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 및 금속재를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탄소융합복합소재 및 금속재는 사각, 원형 또는 이형관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탄소융합복합소재 및 금속재의 형상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금속재(10)의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1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재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11)과 연통되도록 홀(1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끼움홈(11)에 탄소융합복합소재(20)를 삽입하는 단계; 및 고온의 열을 가하면서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20)가 삽입된 금속재(10)의 단부를 레진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30)로 필라멘트 와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재(10)는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끼움홈(1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1)은 상기 금속재(10) 내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라멘트 와인딩 단계에서는 금속재(10)와 탄소융합복합소재(20)의 결합부위에 탄소 소재의 실이 규칙적으로 감겨지면서 결속부(40)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실에 도포된 레진(r)이 탄소융합복합소재(20)의 외주면과 결속부(40)의 내주면을 연결하면서 홀(12) 내부에 채워지게 되고, 고온의 열이 가해져 결속부(40) 및 홀(12) 내부의 레진(r)이 경화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20)와 금속재(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에서, 레진(r)은 에폭시(epoxy),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페놀릭(phenolic) 또는 폴리머(polymer) 중 어느 하나의 것을 사용하며, 상기 실(30)에 레진(r)을 도포시킨 후 필라멘트 와인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20)가 삽입된 금속재(10)를 맨드릴(1)에 장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 다음, 로빙(3)으로부터 공급된 탄소 소재의 실이 레진 함침조(2)를 통과한 후 금속재(10)와 탄소융합복합소재(20)의 결합부위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을 갖는 금속재질의 브라켓(b)과 탄소융합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원형 파이프(20)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상기 원형 파이프(20)는 상기 브라켓(b)과 재질이 상이하므로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없으므로, 상기 금속재(10)의 일측 단부에 끼움홈(11) 및 홀(12)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재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홈이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팅결합할 수 있고, 동일한 금속 재질이므로 용접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b)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재의 끼움홈(11)에 상기 원형 파이프(20)의 일측 단부를 삽입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면서 그 부위를 레진(r)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30)로 필라멘트 와인딩한다.
이와 같이 결합부위를 필라멘트 와인딩을 하게 되면 탄소 소재의 실(30)이 규칙적으로 감겨지면서 결속부(40)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실에 도포된 레진(r)이 원형 파이프(20)의 외주면과 결속부(40)의 내주면을 연결하면서 홀(12) 내부에 채워지게 되고, 고온의 열이 가해져 결속부(40) 및 홀(12) 내부의 레진(r)이 경화되면서 상기 원형 파이프(20)와 금속재(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후, 상기 금속재(10)의 타측 단부를 상기 브라켓(b)과 결합하면 금속재질의 브라켓(b)과 탄소융합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원형 파이프(20)를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홀(12)은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20)와 금속재(10)의 형상이나 직경에 따라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금속재(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2)을 복수개로 형성하게 되면 필라멘트 와인딩 시 상기 실(30)에 도포된 레진(r)이 홀(12) 내부로 유입되는 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결속부의 결속면적을 증대시켜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진(r)이 탄소융합복합소재(20) 외주면에 도포되는 면적을 증대시키고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 및 결속부의 상호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11)에 탄소융합복합소재(20)를 삽입한 다음 상기 홀(12) 내부에 레진(r)을 투입한 후 필라멘트 와인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 이전에 금속재의 홀에 레진을 삽입하게 되면 레진이 홀 내부로 유입되어 탄소융합복합소재의 외주면에 골고루 도포되며, 이후 상기 실에 도포된 레진이 홀 내부로 유입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의 외주면에 도포된 레진과 합쳐지므로 경화속도를 촉진시키고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금속재 11 : 끼움홈
12 : 홀
20 : 탄소융합복합소재 30 : 실
40 : 결속부
b : 브라켓 r : 레진

Claims (3)

  1.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금속재(10)의 단부에 탄소융합복합소재(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1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재(10)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11)과 연통되도록 홀(1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끼움홈(11)에 탄소융합복합소재(20)를 삽입하는 단계; 및
    고온의 열을 가하면서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20)가 삽입된 금속재(10)의 단부를 레진(r)이 도포된 탄소 소재의 실(30)로 필라멘트 와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라멘트 와인딩 시 상기 탄소융합복합소재(20)와 금속재(10)의 결합부위에 탄소 소재의 실(30)이 규칙적으로 감겨지면서 결속부(40)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실(30)에 도포된 레진(r)이 탄소융합복합소재(20)의 외주면과 결속부(40)의 내주면을 연결하면서 홀(12) 내부에 채워지고, 열에 의해 레진이 경화되면서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금속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이 탄소융합복합소재 외주면에 도포되는 면적을 증대시키고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에 탄소융합복합소재를 삽입한 다음 상기 홀 내부에 레진을 투입한 후 필라멘트 와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KR1020140102534A 2014-08-08 2014-08-08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KR10154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34A KR101540386B1 (ko) 2014-08-08 2014-08-08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34A KR101540386B1 (ko) 2014-08-08 2014-08-08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386B1 true KR101540386B1 (ko) 2015-07-29

Family

ID=5387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534A KR101540386B1 (ko) 2014-08-08 2014-08-08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3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40A (ja) * 1992-06-19 1994-01-21 Toyota Motor Corp 複合材料製駆動軸
JPH0745198B2 (ja) * 1987-10-15 1995-05-17 東燃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樹脂管及びその製造法
JPH1061622A (ja) * 1996-08-23 1998-03-06 Tokyo Tungsten Co Ltd 気密継手
KR20130057008A (ko) * 2011-11-23 2013-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와 금속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198B2 (ja) * 1987-10-15 1995-05-17 東燃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樹脂管及びその製造法
JPH0610940A (ja) * 1992-06-19 1994-01-21 Toyota Motor Corp 複合材料製駆動軸
JPH1061622A (ja) * 1996-08-23 1998-03-06 Tokyo Tungsten Co Ltd 気密継手
KR20130057008A (ko) * 2011-11-23 2013-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와 금속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3672B (zh) Composite pipe for supporting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5462879B2 (ja) 複合タイロッド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3989280A (en) Pipe joint
US20080064511A1 (en) Flange design for filament wound composite shaft
JP2012505091A (ja) 一軸性複合材料の中に端部連結構造を形成するためのインサート及び方法
US9732889B2 (en) Flang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nge
JP5547819B2 (ja) 航空機の着陸装置構造のロッカアームなどの蝶着された構造のアームを作成する方法
US10543651B2 (en) Polymer pressure vessel end-cap and liner-less pressure vessel design
US20180209139A1 (en) Combined anchor and reba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9682527B2 (en) Laminated composit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
KR101646050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1540386B1 (ko) 탄소융합복합소재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US20160075093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site tube
KR20160024612A (ko)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WO2016117384A1 (ja) 構造物の製造方法、継手、継手付き棒材及び建設部材
JP2005194768A (ja) コンクリート柱補修および/又は補強工法及び補修および/又は補強部材
US8266788B2 (en) System for joining tubular members
JP2012229732A (ja) フランジ付管体構造、及びフランジ付管体構造の構築方法
WO2016008914A1 (de) Schlauchliner mit einer zu einem folienschlauch verbundenen, vlieskaschierten folienbahn
JP5715232B2 (ja) 固定シャフトまたは回転シャフトを受容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横方向ベアリングを備える複合材料でアームを製造する方法
CN105216378A (zh) 一种高刚度碳纤维辊轴及其制备方法
WO2013146692A1 (ja) パイプおよびパイプの製造方法
KR101525388B1 (ko) 스테빌라이저바 및 이를 만드는 방법
CN210509926U (zh) 一种带有花键的碳纤维空心传动轴
CN203771012U (zh) 设置有耳板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