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135A -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135A
KR20160024135A KR1020140110583A KR20140110583A KR20160024135A KR 20160024135 A KR20160024135 A KR 20160024135A KR 1020140110583 A KR1020140110583 A KR 1020140110583A KR 20140110583 A KR20140110583 A KR 20140110583A KR 20160024135 A KR20160024135 A KR 2016002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est
region
display
target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124B1 (ko
Inventor
유준상
이광희
조수인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124B1/ko
Priority to EP15174049.5A priority patent/EP2989984A1/en
Priority to US14/792,410 priority patent/US11083434B2/en
Publication of KR2016002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3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33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61B8/085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for locating body or organic structures, e.g. tumours, calculi, blood vessels, n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6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3D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61B8/469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for sele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3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acquisition of a 3D volume of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8/52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8/5238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combining image data of patient, e.g. merging several images from different acquisition modes into one image
    • A61B8/5246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combining image data of patient, e.g. merging several images from different acquisition modes into one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maging techniques, e.g. color Doppler and B-mode
    • A61B8/525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combining image data of patient, e.g. merging several images from different acquisition modes into one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maging techniques, e.g. color Doppler and B-mode combining overlapping images, e.g. spatial compou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93Three dimensional imag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53Display arrangements
    • G01S7/52057Cathode ray tube displays
    • G01S7/5206Two-dimensional coordinated display of distance and direction; B-scan display
    • G01S7/52063Sector scan displ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53Display arrangements
    • G01S7/52057Cathode ray tube displays
    • G01S7/52073Production of cursor lines, markers or indicia by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53Display arrangements
    • G01S7/52057Cathode ray tube displays
    • G01S7/52074Composite displays, e.g. split-screen displays; Combination of multiple images or of images and alphanumeric tabular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79Constructional features
    • G01S7/52084Constructional features related to particular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05Device being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7Device being portable or laptop-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72Wireless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61B8/468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allowing annotation or message recor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8/5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generating planar views from image data in a user selectable plane not corresponding to the acquisition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타겟(Target)을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추출된 타겟을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대상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진단장치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타겟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무침습으로 얻는 장치이다.
초음파 진단장치는 X선 진단장치, X선 CT스캐너(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MRI(Magnetic Resonance Image), 핵의학 진단장치 등의 다른 영상진단장치와 비교할 때, 소형이고 저렴하며, 실시간으로 표시 가능하고, 방사선 등의 피폭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므로, 심장, 복부, 비뇨기 및 산부인과 진단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산부인과에서는 불임의 원인 중 하나인 다낭성난소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자궁 내 난포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타겟(Target)을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추출된 타겟을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에서 추출된 타겟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관심영역을 복수의 단면영상에 구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볼륨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고, 표시되는 단면영상에 관심영역이 포함되면, 전체구간에 대한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체구간에 대한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한 후, 관심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관심구간에 대한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추출된 타겟의 크기를 기초로 관심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대상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관심영역을 타겟으로 결정하는 명령, 및 추출된 타겟에 대한 취소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제 1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되, 제 1 단면은, 미리 정해진 제 1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표시되는 제 1 단면영상의 위치를 대상체의 제 2 단면영상에 표시하되, 제 2 단면은,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표시되는 제 1 단면영상의 위치를 대상체의 제 3 단면영상에 표시하되, 제 3 단면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표시되는 단면영상의 위치를 대상체의 3D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타겟을 추출하고, 추출된 타겟을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하고,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단면영상에서 추출된 타겟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관심영역을 단면영상에 구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볼륨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고, 표시되는 단면영상에 관심영역이 포함되면, 전체구간에 대한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전체구간에 대한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한 후, 관심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관심구간에 대한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추출된 타겟의 크기를 기초로 관심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대상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관심영역을 타겟으로 결정하거나, 추출된 타겟에 대한 취소 결정을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제 1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되, 제 1 단면은, 미리 정해진 제 1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표시되는 제 1 단면영상의 위치를 대상체의 제 2 단면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제 2 단면은,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표시되는 제 1 단면영상의 위치를 대상체의 제 3 단면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제 3 단면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표시되는 단면영상의 위치를 대상체의 3D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대상체의 서로 다른 위치의 단면을 표시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현재 표시되는 단면의 위치를 다른 방향의 단면 영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타겟의 위치, 형태 및 크기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은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표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9f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추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초음파 영상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초음파 영상'이란 초음파를 이용하여 획득된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대상체'는 사람, 동물, 금속, 비금속,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가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또는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부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타겟(Target)'은 대상체의 일부 중 사용자가 초음파 영상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영상장치는 본체(100), 초음파 프로브(110), 입력부(150), 디스플레이(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 145)가 구비될 수 있다. 암 커넥터(145)에는 케이블(130)과 연결된 수 커넥터(male connector; 140)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하부에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이동성을 위한 복수개의 캐스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캐스터는 초음파 영상장치를 특정 장소에 고정시키거나,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초음파 영상장치를 카트형 초음파 영상장치라고 한다.
또는, 도 1 과 달리, 초음파 영상장치는 원거리 이동 시에 휴대할 수 있는 휴대형 초음파 영상장치일 수도 있다. 이 때, 휴대형 초음파 영상장치는 캐스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휴대형 초음파 영상장치의 예로는 팩스 뷰어(PACS Viewer),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초음파 프로브(110)는 대상체의 체표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초음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초음파 프로브(110)는 본체(10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 신호에 따라, 초음파를 대상체의 내부로 송신하고, 대상체 내부의 특정 부위로부터 반사된 에코 초음파를 수신하여 본체(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초음파 프로브(110)에는 케이블(130)의 일단이 연결되며, 케이블(130)의 타단에는 수 커넥터(140)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30)의 타단에 연결된 수 커넥터(140)는 본체(100)의 암 커넥터(145)와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도 1 과 달리, 초음파 프로브는 본체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 프로브는 대상체로부터 수신한 에코 초음파를 본체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본체에 복수 개의 초음파 프로브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의 내부에는 초음파 프로브가 수신한 에코 초음파를 초음파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같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하드웨어 상에서 수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는 에코 초음파에 대한 주사 변환(Scan conversion) 과정을 통해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영상은 A 모드(amplitude mode), B 모드(brightness mode) 및 M 모드(motion mode)에서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의 영상뿐만 아니라,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대상체를 표현하는 도플러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플러 영상은, 혈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혈류 도플러 영상 (또는, 컬러 도플러 영상으로도 불림), 조직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티슈 도플러 영상, 및 대상체의 이동 속도를 파형으로 표시하는 스펙트럴 도플러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B 모드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초음파 프로브가 수신한 에코 초음파로부터 B 모드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B 모드 성분에 기초하여 에코 초음파의 강도가 휘도록 표현되는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 처리부는 에코 초음파로부터 도플러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도플러 성분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움직임을 컬러 또는 파형으로 표현하는 도플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부는 에코 초음파를 통해 획득한 볼륨 데이터를 볼륨 렌더링하여 3차원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고, 압력에 따른 대상체의 변형 정도를 영상화한 탄성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영상 처리부는 초음파 영상 상에 여러 가지 부가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초음파 영상은 본체 내부 또는 외부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초음파 영상은 웹 상에서 저장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입력부(150)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A 모드, B 모드, M 모드, 또는 도플러 영상 등의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나아가, 초음파 진단 시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명령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본체(100)로 전송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풋 스위치(foot switch) 및 풋 페달(foot ped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어,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키보드는 스위치, 키, 조이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키보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키보드는 서브 디스프레이(161)나 메인 디스플레이(162)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풋 스위치나 풋 페달은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풋 페달을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메인 디스플레이(161)와 서브 디스플레이(16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162)는 본체(10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서브 디스플레이(162)가 입력부(150)의 상부에 마련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162)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디스플레이(162)는 초음파 진단에 필요한 메뉴나 안내 사항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디스플레이(162)는 예를 들어, 브라운관(Cathod Ray Tube: CRT),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61)는 본체(10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메인 디스플레이(161)가 서브 디스플레이(162)의 상부에 마련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61)는 초음파 진단 과정에서 얻어진 초음파 영상을 입력부에 인가된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디스플레이(161)는 서브 디스플레이(162)와 마찬가지로 브라운관 또는 액정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메인 디스플레이(161)가 본체(10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메인 디스플레이(161)는 본체(100)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초음파 장치에 메인 디스플레이(161)와 서브 디스플레이(162)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16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16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메뉴 등은 메인 디스플레이(161)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초음파 영상장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와 통신한다. 통신부는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나 병원 내의 다른 의료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 에코 초음파, 도플러 데이터 등 대상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CT, MRI, X-ray 등 다른 의료 장치에서 촬영한 의료 영상 또한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는 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단 이력이나 치료 일정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체의 진단에 활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통신부는 병원 내의 서버나 의료 장치뿐만 아니라, 의사나 환자의 휴대용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서버, 의료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로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선 통신 기술에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를 송수신하여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부(300); 초음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60);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인력받는 입력부(150); 및 초음파 영상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는 대상체로 초음파를 조사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에코 초음파를 수집할 수 있다. 초음파는 매질에 따라 반사되는 정도가 다르므로, 초음파 프로브는 에코 초음파를 수집함으로써 대상체 내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는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프로브의 엘리먼트가 1차원 배열을 가지는 경우, 초음파 프로브는 프리핸드(Freehand) 방식에 따라 볼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초음파 프로브는 기계적(Mechanicla) 방식에 따라 볼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초음파 프로브의 엘리먼트가 2차원 배열을 가지는 경우, 초음파 프로브는 엘리먼트를 제어함으로써 볼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300)는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영상처리부(300)는 대상체의 단면에 대한 2D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D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3D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영상처리부(300)는 볼륨 데이터를 이용하여 볼륨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300)는 기존에 공지된 볼륨 렌더링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볼륨 데이터를 볼륨 렌더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륨 렌더링은 표면 렌더링(Surface Rendering)과 직접 볼륨 렌더링(Direct Volume Rendering)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면 렌더링은 볼륨 데이터로부터 일정한 스칼라 값과 공간적인 변화량을 기반으로 표면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다각형이나 곡면 패치(Patch) 등의 기하학적 요소로 변환하여 기존의 렌더링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표면 렌더링의 예로는 Marching Cubes 알고리즘, Dividing Cubes 알고리즘을 들 수 있다.
직접 볼륨 렌더링은 볼륨 데이터를 기하학적 요소로 바꾸는 중간 단계 없이 볼륨 데이터를 직접 렌더링하는 방법을 말한다. 직접 볼륨 렌더링은 물체의 내부 정보를 그대로 가시화할 수 있고, 반투명한 대상체를 표현하는데 유용하다. 직접 볼륨 렌더링은 볼륨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 객체 순서 방식(Object-Order Method)과 영상 순서 방식(Image-Order Method)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영상 순서 방식은 영상의 픽셀 값을 차례로 결정해 나가는 방식이다. 영상 순서 방식의 예로는 볼륨 광선 투사법(volume ray casting)을 들 수 있다. 객체 순서 방식은 볼륨 데이터를 직접 영상에 투영하는 방식이다. 객체 순서 방식의 예로는 스플래팅 방법(splatting)이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300)는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타겟(Target)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가 사람의 자궁이고 타겟이 자궁 내부의 난포인 경우, 영상처리부(300)는 볼륨 데이터를 이용하여 난포를 추출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300)는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타겟을 추출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부(300)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밝기 값을 가지는 볼륨 데이터 영역을 타겟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밝기 값을 가지는 볼륨 데이터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타겟을 추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한 초음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60)는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한 대상체 단면 영상 또는 대상체의 3D 영상을 각각 표시할 수도 있고, 또는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60)는 표시중인 단면 영상에서 추출된 타겟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60)는 타겟이 표시되는 영역의 색 또는 음영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타겟이 표시되는 영역의 경계 선의 색 또는 음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60)는 타겟이 표시되는 영역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마커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60)가 초음파 영상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할 제어부(400)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볼륨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60)는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구간이란, 획득한 볼륨데이터에 의해 단면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대상체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 간의 거리 및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초음파 영상장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구간에 속하는 대상체 내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대상체 내부를 스캔하여 후술할 관심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체구간에 속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내지 3c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초음파가 대상체로 조사되는 방향을 Z축방향, Z축방향에 수직임과 동시에 상호 수직관계인 방향을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한다. 특히, 1D 어레이 프로브는 엘리먼트가 배열되는 방향을 X축방향으로 하고, 2D 어레이 프로브는 엘리먼트가 배열되는 일 방향을 X축방향, 엘리먼트가 배열되는 다른 방향을 Y축방향으로 한다.
또한, Z축방향을 제 1 방향, X축방향을 제 2 방향, Z축방향을 제 3 방향으로 가정한다.
제어부(400)는 전체구간 내에서 미리 정해진 제 1 방향에 수직인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 1 방향에 수직인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제 1 단면)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내지 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60)는 제 1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타겟이 표시되는 영역의 경계가 각각의 제 1 단면마다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타겟의 형상 및 크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제 1 단면 각각의 위치를 제 2 방향에 수직인 대상체의 단면(제 2 단면)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60)는 제 1 단면의 우측에 YZ평면과 평행한 제 2 단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60)는 제 2 단면에서 현재 표시 중인 제 1 단면의 위치를 안내하는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도 3a에서 3c로 변화하면,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제 1 단면이 변화하면서 연속적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제 2 단면 상에서 마커의 위치도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160)는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 1 단면과 함께 제 2 단면상에서 제 1 단면의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타겟의 위치 및 형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400)는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제 1 단면 각각의 위치를 제 3 방향에 수직인 대상체의 단면(제 3 단면)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60)는 제 1 단면의 아래측에 ZX평면과 평행한 제 3 단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60)는 제 3 단면에서 현재 표시 중인 제 1 단면의 위치를 안내하는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도 3a에서 3c로 변화하면,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제 1 단면이 변화하면서 연속적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제 3 단면 상에서 마커의 위치도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와는 달리, 제어부(400)는 전체구간 내에서 제 2 방향에 수직인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X축에 수직인 YZ평면과 평행한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제 2 단면)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400)는 제 1 단면 또는 제 3 단면 상에서 현재 표시 중인 제 2 단면의 위치를 안내하는 마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60)는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제 2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160)는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 2 단면의 위치를 제 1 단면 및 제 3 단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160)는 다양한 방향의 타겟 단면을 연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위치를 다른 단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타겟의 형상 및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5a 내지 5c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400)는 전체구간 내에서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 각각의 위치를 대상체의 3D 영상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복수의 제 1 단면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대상체의 3D 영상 상에 현재 표시되는 제 1 단면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되는 제 1 단면의 위치를 대상체 3D 영상 상에 안내하는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60)는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제 1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160)는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 1 단면의 위치를 대상체 3D 영상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에서는 제 1 단면이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제 2 단면 또는 제 3 단면과 함께 대상체 3D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 1 단면, 제 2 단면, 및 제 3 단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대상체 3D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160)는 표시되는 타겟 단면의 위치를 대상체의 3D 영상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타겟의 형상 및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디스플레이(160)가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던 중, 표시되는 단면영상에 관심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전체구간에 대한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술한 영상처리부(300)에서 추출한 타겟을 기초로 관심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영역이란 추출된 타겟 또는 그 이외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추가적인 확인이 요구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추출된 타겟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을 관심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타겟이 난포인 경우 사용자가 추출된 난포 중 가장 큰 난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부(400)는 크기가 가장 큰 타겟을 관심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400)는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대상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타겟이 난포일 경우, 볼륨 데이터를 통해 추출되지 않는 난포가 발생할 수 있다. 단면영상에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영역이 난포인지 여부를 확인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관심영역으로 결정되기 위한 조건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장치 내부의 연산에 의해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에서는 관심영역이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인 경우를 전제로 한다.
상술한 도 3a 내지 3c와 같이, 디스플레이(160)는 전체 구간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제 1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제 1 단면에 관심영역이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60)는 연속적으로 복수의 제 1 단면을 표시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160)는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제 1 단면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60)는 연속적으로 복수의 제 1 단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도 6b와 같이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되는 제 1 단면이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60)는 연속적으로 복수의 제 1 단면을 표시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160)는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제 1 단면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b에서는 관심영역이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인 경우를 전제로 한다.
디스플레이(160)가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계속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영상처리부(300)에 의해 추출되지 않은 타겟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60)가 전체구간에 대한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한 후, 제어부(400)는 관심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관심구간에 대한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 간의 거리 및 프레임 레이트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초음파 영상장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표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되는 단면이 관심영역을 포함하면,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160)는 확인필요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a는 디스플레이(160)가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계속하여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관심영역은 사용자의 확인이 요구되는 영역인 바, 디스플레이(160)는 관심영역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관심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관심구간(S)에 대한 복수의 단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구간(S)이란 관심영역의 단면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결정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관심영역을 결정한 후, 관심영역의 경계 사이를 관심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60)는 관심구간(S) 내의 대상체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160)는 사용자에게 관심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관심영역이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영역에서 결정된 경우, 디스플레이(160)가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관심영역이 타겟을 의미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디스플레이(160)가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면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과 같이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면을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위치의 단면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관심영상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대상체 단면을 제공한 후, 입력부(150)는 관심영역을 타겟으로 결정하는 명령 및 추출된 타겟에 대한 취소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9a 내지 9f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추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9f에서 관심영역은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9a와 같이, 디스플레이(160)는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심영역이 타겟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관심영역이 타겟이라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는 타겟 의심영역을 타겟으로 결정하는 명령을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입력부(150)는 타겟 의심영역을 선택하는 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처리부(300)는 타겟 의심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필터링(Filtering)하고 레이블링(Labeling)하여 타겟으로 결정된 타겟 의심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도 9c는 타겟 의심영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필터링한 화면을 예시하고 있고, 도 9d는 필터링한 단면에 대하여 레이블링을 수행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9e는 레이블링 된 영역 중 종래에 타겟으로 추출된 영역이 삭제된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160)는 타겟으로 결정된 타겟 의심영역을 강조하여 단면 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f와 같이, 디스플레이(160)는 타겟으로 결정된 타겟 의심영역의 경계 표시를 할 수 있다.
이처럼, 영상처리부(300)가 자동으로 추출한 타겟 이외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관심영역을 타겟으로 추가할 수 있어, 초음파 영상장치는 보다 정확한 진단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영상처리부(300)는 추출한 타겟 중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겟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추출된 타겟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취소 명령을 입력하면, 그 결과로서 디스플레이(160)는 취소 명령의 대상이 되는 타겟의 강조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도 3을 참조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통해 실시간으로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영상처리부에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가 제공되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영상장치의 내부에 미리 저장된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가 영상처리부에 제공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초음파 영상장치 외부의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미리 저장된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가 영상처리부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0는 초음파 영상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초음파를 송수신하여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500) 이를 위해 볼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초음파 프로브가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획득한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타겟을 추출할 수 있다.(510) 여기서, 타겟은 대상체의 일부 중 사용자가 초음파 영상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가 사람의 자궁인 경우, 타겟은 자궁 내의 난포일 수 있다.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타겟을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밝기 값을 가지는 볼륨 데이터 영역을 타겟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미리 정해진 밝기 값을 가지는 볼륨 데이터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타겟을 추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추출된 타겟을 기초로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520) 여기서, 관심영역이란 추출된 타겟 또는 그 이외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추가적인 확인이 요구되는 영역일 수 있다.
관심영역의 일 실시예로, 추출된 타겟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의 다른 실시예로,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530) 이 때, 복수의 단면영상은 미리 정해진 방향에 수직인 대상체 단면에 대한 영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관심영역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서, 초음파 영상장치는 사용자가 관심영역에 대하여 용이하게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150: 입력부
160: 디스플레이
200: 초음파 프로브
300: 영상처리부
400: 제어부

Claims (26)

  1.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대상체 내부의 타겟(Target)을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추출된 타겟을 기초로, 상기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타겟을 강조하여 표시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관심영역을 상기 복수의 단면영상에 구간으로 표시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볼륨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단면영상에 상기 관심영역이 포함되면, 상기 전체구간에 대한 상기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체구간에 대한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한 후, 상기 관심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관심구간에 대한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타겟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관심영역을 결정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대상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상기 관심영역으로 결정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을 상기 타겟으로 결정하는 명령, 및 상기 추출된 타겟에 대한 취소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제 1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되,
    상기 제 1 단면은, 미리 정해진 제 1 방향에 수직인 초음파 영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표시되는 제 1 단면영상의 위치를 상기 대상체의 제 2 단면영상에 표시하되,
    상기 제 2 단면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초음파 영상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표시되는 제 1 단면영상의 위치를 상기 대상체의 제 3 단면영상에 표시하되,
    상기 제 3 단면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에 수직인 초음파 영상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표시되는 단면영상의 위치를 상기 대상체의 3D 영상에 표시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14. 대상체의 볼륨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대상체 내부의 타겟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타겟을 기초로, 상기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단면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타겟을 강조하여 표시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관심영역을 상기 단면영상에 구간으로 표시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전체구간 내에 속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단면영상에 상기 관심영역이 포함되면, 상기 전체구간에 대한 상기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전체구간에 대한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중단한 후, 상기 관심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관심구간에 대한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추출된 타겟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관심영역을 결정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 내부의 관심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타겟으로 추출되지 않은 대상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상기 관심영역으로 결정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관심영역을 상기 타겟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추출된 타겟에 대한 취소 결정을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제 1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되,
    상기 제 1 단면은, 미리 정해진 제 1 방향에 수직인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표시되는 제 1 단면영상의 위치를 상기 대상체의 제 2 단면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단면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표시되는 제 1 단면영상의 위치를 상기 대상체의 제 3 단면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 3 단면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에 수직인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의 복수의 단면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표시되는 단면영상의 위치를 상기 대상체의 3D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10583A 2014-08-25 2014-08-25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6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583A KR101665124B1 (ko) 2014-08-25 2014-08-25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5174049.5A EP2989984A1 (en) 2014-08-25 2015-06-26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792,410 US11083434B2 (en) 2014-08-25 2015-07-06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583A KR101665124B1 (ko) 2014-08-25 2014-08-25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135A true KR20160024135A (ko) 2016-03-04
KR101665124B1 KR101665124B1 (ko) 2016-10-12

Family

ID=5349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583A KR101665124B1 (ko) 2014-08-25 2014-08-25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3434B2 (ko)
EP (1) EP2989984A1 (ko)
KR (1) KR101665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16191A (ja) * 2016-05-03 2019-06-13 レオニ カーベル ゲーエムベーハー 操作者の強調された視認のための色の区分けを備える映像システム
KR20210093049A (ko) * 2020-01-17 2021-07-27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810294B2 (en) * 2021-03-26 2023-11-07 GE Precision Healthcare LLC Ultrasound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coustic shadow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825A (ko) * 2005-10-17 2007-04-20 주식회사 메디슨 다중 단면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6547A (ko) * 2009-09-08 2011-03-16 주식회사 메디슨 타원체의 관심영역에 기초하여 3차원 초음파 영상을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88172A1 (en) * 2011-05-10 2012-11-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und imaging with cross-plane images
JP2013123582A (ja) * 2011-12-15 2013-06-24 Hitachi Aloka Medical Ltd 超音波診断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8055B2 (en) * 1998-08-25 2004-03-16 University Of Florida Method for automated analysis of apical four-chamber images of the heart
JP4626493B2 (ja) * 2005-11-14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2047433A2 (en) * 2006-07-25 2009-04-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curved multi-slice display
EP1923839B1 (en) * 2006-11-14 2016-07-27 Hitachi Aloka Medical, Ltd.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volume data processing method
JP5283877B2 (ja) * 2007-09-21 2013-09-04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WO2009044316A1 (en) * 2007-10-03 2009-04-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ulti-slice acquisition and display of medical ultrasound images
EP2238913A1 (en) * 2009-04-01 2010-10-13 Medison Co., Ltd. 3-dimensional ultrasound image provision using volume slices in an ultrasound system
KR101100457B1 (ko) 2009-10-13 2011-12-2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영상 밝기 기반 영역추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초음파 시스템
JP5672241B2 (ja) * 2009-12-18 2015-02-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235497B2 (en) * 2010-03-23 2019-03-19 Koninklijke Philips, N.V. Volumetric ultrasound image data reformatted as an image plane sequence
JP6034297B2 (ja) * 2010-11-19 2016-11-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手術器具の三次元超音波ガイダンス
US8754888B2 (en) * 2011-05-16 2014-06-1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egmenting three dimensional image volumes
KR20140128940A (ko) 2011-10-10 2014-11-06 트랙터스 코포레이션 핸드헬드 이미징 디바이스들로 조직의 완전한 검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305347B2 (en) * 2013-02-13 2016-04-05 Dental Imaging Technologies Corporation Automatic volumetric image insp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825A (ko) * 2005-10-17 2007-04-20 주식회사 메디슨 다중 단면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6547A (ko) * 2009-09-08 2011-03-16 주식회사 메디슨 타원체의 관심영역에 기초하여 3차원 초음파 영상을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88172A1 (en) * 2011-05-10 2012-11-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und imaging with cross-plane images
JP2013123582A (ja) * 2011-12-15 2013-06-24 Hitachi Aloka Medical Ltd 超音波診断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124B1 (ko) 2016-10-12
US11083434B2 (en) 2021-08-10
EP2989984A1 (en) 2016-03-02
US20160051230A1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8500B1 (ko) 초음파 진단장치 및 그에 따른 초음파 진단 방법
US10278674B2 (en) Ultrasound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ultrasound images
KR102297346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US10299763B2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10976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그에 따른 초음파 진단 방법 및 그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CN106562803B (zh) 用于显示示出对象的图像的方法和设备
KR102267060B1 (ko) 초음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0763B1 (ko) 초음파 영상 표시 장치 및 초음파 영상의 표시 방법
KR20170006946A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49385A (ko) 초음파 장치 및 초음파 장치의 정보 입력 방법
KR101665124B1 (ko)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56703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040031B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60014933A (ko) 초음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025650B1 (en) Volume rendering apparatus and volume rendering method
KR102569444B1 (ko) 초음파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96442A (ko) 초음파 진단장치 및 그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43166B1 (ko) 초음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64490B1 (ko) 초음파 진단장치, 그에 따른 초음파 진단 방법 및 그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2270718B1 (ko) 초음파 진단장치, 그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2270721B1 (ko) 초음파 영상 장치 및 초음파 영상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