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932A - 부착기구의 상태에 기반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착기구의 상태에 기반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932A
KR20160023932A KR1020167004169A KR20167004169A KR20160023932A KR 20160023932 A KR20160023932 A KR 20160023932A KR 1020167004169 A KR1020167004169 A KR 1020167004169A KR 20167004169 A KR20167004169 A KR 20167004169A KR 20160023932 A KR20160023932 A KR 2016002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access mode
indication
attachment mechanism
wearable comp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289B1 (ko
Inventor
알렉산더 파보르그
아담 윌리엄 파웰
Original Assignee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1Location-sensitive, e.g. geographical location,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컴퓨팅 디바이스는, 부착기구의 제1구조와 부착기구의 제2구조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는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와 부착기구 모두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부착기구로부터 물리적으로 독립된 디바이스 자체 또는 그것의 일부가 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착기구의 상태에 기반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CONTROLLING A CURRENT ACCESS MODE OF A COMPUTING DEVICE BASED ON A STATE OF AN ATTACHMENT MECHANISM}
본 발명은 부착기구의 상태에 기반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컴퓨팅 디바이스는 다수의 액세스 모드들로 동작하도록 이루어졌다. 그러한 액세스 모드들로는, 예를 들어, 축소 액세스 모드(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기능 중 축소된 세트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함), 표준 액세스 모드(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기능 중 상대적으로 더 많은 세트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함), 및/또는 풀 액세스 모드(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기능의 온전한 세트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함)가 있다. 몇몇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s)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요청은, 동작중인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표준 또는 풀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디바이스에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user interface elements)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user interface screen)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예를 들어 패스워드, 개인식별번호(PIN), 패턴 또는 생체 데이터(예, 지문 인증, 음성, 이미지, 또는 그와 유사한 것)와 같은 보안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보안 정보의 표시들이 수신되면,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는 입력된 보안 정보를 저장된 보안 정보의 사본과 비교하고, 매칭이 확인되면, 축소 액세스 모드를 표준 또는 풀 액세스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부착기구의 제1구조와 부착기구의 제2구조 간의 근접 상태를 변경하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표시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구조 및 제2구조를 포함하는 부착기구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가능한 액세스 모드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구조 및 상기 제2구조 사이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non-proximate state)에서 근접 상태(proximate state)로 변경된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한다는 표시와 상기 보안 요청에 응답하는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실행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부착기구의 제1구조와 부착기구의 제2구조 간의 근접 상태가 변경된 표시를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이 실시 예에서, 명령들은 또한, 실행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부착기구의 지리적 위치, 부착기구의 움직임, 부착기구의 제1구조와 부착기구의 제2구조 간의 근접 상태가 변경된 표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device context information)를 수신하게끔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명령들은, 실행 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와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게끔 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양상들, 실시예들,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고려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고려하에 명백해질 것이고, 상기 첨부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문자들은 전체에서 동일한 부분들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부착기구의 상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원격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컨텐츠를 출력하고 원격 부착기구로부터 원격 부착기구의 상태에 관한 표시들을 수신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부착기구의 상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부착기구의 움직임 또는 정지가 인식되는 것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기술들은, 부착기구의 현재 상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smart watch), 팔찌(bracelet), 손목 또는 발목 밴드 등의 부착기구(attachment mechanism)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부착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부착기구가 물리적으로 별개로 분리되고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구현 예들에서, 상기 부착 기구는, 클래스프(clasp), 클립(clip), 스냅, 버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시 부착기구를 물리적으로 고정시키도록(secure) 동작가능한 다른 기구 중 제1 및 제2구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1구조와 제2구조 간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구조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예, 부착기구가 착용되는 구성으로서 물리적으로 고정되는 경우, 예를 들어 밴드, 클래스프, 클립, 스냅, 버클 또는 다른 기구의 닫힘 또는 고정과 같은 표시)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예, 표준 또는 풀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구조의 근접 상태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예, 부착기구가 착용되는 구성으로서 더 이상 물리적으로 고정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밴드, 클래스프, 클립, 스냅, 버클 또는 다른 기구의 열림과 같은 표시)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근접 상태는 제1 및 제2구조가 서로 근접하는지 또는 (예, 서로 접촉 없이) 근접하지 않는지 여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구조는 자석(magnet)과 자기 스위치(magnetic switch)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자기 스위치는 제1 및 제2구조가 근접 상태인지 또는 비근접 상태인지에 의존하여 열리고 닫힌다. 또 다른 예로, 제1 및 제2구조는 서로의 거리가 임계거리 이내로 좁혀지는 경우, 유도 결합 또는 용량 결합하는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구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구조는 근접 상태가 되고, 제1 및 제2 구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및 제2구조는 비근접 상태가 된다. 다른 예들에서, 상기 근접 상태는 접촉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구조는 접촉 상태에서는 물리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비접촉 상태에서는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구조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패스워드, PIN, 패턴, 생체 데이터(예, 지문 인증, 음성, 이미지, 또는 그와 유사한 것) 등의 보안 요청 응답을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요청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및/또는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보안 요청 응답과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을 비교할 수 있다.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을 참조하여,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이 검증되거나 또는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이 검증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컴퓨팅 디바이스와 인터렉션한 이후의 비활성화 기간(period of inactivity) 또는 임계 시간 이후에 축소 액세스 모드로 다시 복귀하지 않고, 제1 및 제2 구조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가 수신될 때까지, 확장 액세스 모드를 유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및 제2구조의 근접 상태란, 부착기구가 닫히거나 잠겨지고, 부착기구의 닫힘 후 사용자가 보안 요청을 통과한 것을 의미하므로, 제1 및 제2구조의 근접 상태가 변경될 때까지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확장 액세스 모드로 유지하더라도 컴퓨팅 디바이스의 보안을 감소시키지는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제1 및 제2구조가 근접 상태인 동안에는, 심지어 비활성화 기간 이후라도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복귀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더 많은 세트 또는 온전한 세트과 보다 쉽게 인터렉션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인터렉션하길 원하는 각 시점에 다시 보안 요청에 응답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라, 부착기구의 상태의 일부에 기초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블럭도이다. 도 1의 예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컴퓨팅 디바이스(20)와 부착기구, 즉 도 1의 예에서 밴드(28)를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는, 컴퓨팅 다비이스(20)와 밴드(28)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 대신에, 두 개 이상 물리적으로 분리된 디바이스들(예,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밴드(28)(즉, 부착기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몇몇 예들에서, 밴드(20)는 부착기구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별개의 디바이스 또는 별개의 디바이스의 일부(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별개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별개의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자체 혹은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UI 디바이스(22), UI 모듈(24), 및 액세스 모드 모듈(26)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20)의 UI 디바이스(22)와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은 하우징(3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질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물리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28)나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스트랩(strap) 또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밴드(28)는 하우징(34)과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예들에서는, 별개의 구조로 이루어진 밴드(28)와 하우징(34)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대신에, 밴드(28)와 하우징(34)이 하나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현하는 기술들인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8)의 제1부분과 밴드(28)의 제2부분은 클래스프(clasp)(32)에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밴드(28)는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 예를 들어 클래스프, 클립, 스냅, 버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물리적으로 고정되게끔 동작가능한 다른 기구, 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예들에서, 제1구조(30a)는 밴드(28)의 제1부분을 포함하고, 제2구조(30b)는 밴드(28)의 제2부분을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 착용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물리적으로 고정되게끔 동작가능한 기구의 다른 구조 예들로, 핀(pin)과 핀 접촉(pin contact),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물리적으로 고정되게끔 동작가능한 기구의 한 부분에 포함되는 압력센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물리적으로 고정되게끔 동작가능한 기구의 한 부분에 포함되는 근접 구조(proximity structure),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물리적으로 고정되게끔 동작가능한 기구의 한 부분에 포함되는 자기 리드 스위치(magnetic reed switch)와 그것과 상호보완 구성인 자석(magnetic)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는, 클래스프, 클립, 스냅, 버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물리적으로 고정되도록 동작가능한 다른 기구의 일부가 아니라, 밴드(28)에 내장되거나 부착된 구조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는 밴드(28)내에 있거나 밴드(28)에 부착된, 전기회로의 제1 및 제2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예들은 스마트 워치, 팔찌, 손목 밴드, 발목 밴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UI 디바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와 관련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UI 디바이스(22)를 사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을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제공함으로써, 컴퓨팅 디바이스(20)와 인터렉션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UI 디바이스(22)는 촉각, 청각, 또는 시각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되면, UI 디바이스(22)는,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와 같은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I 디바이스(22)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프레즌스-감응(presence-sensitive)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및 프레즌스-감응 입력 디바이스는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presence-sensitive display)에 통합될 수 있다.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는,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에 또는 그 가까이에서 정전용량, 정전유도, 및/또는 광(optical)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다른 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와 관련된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UI 모듈(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I 모듈(24)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과 같은 입력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입력의 표시들을 컴퓨팅 디바이스(20)와 연관된 다른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모듈(24)은 UI 디바이스(22)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스처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UI 모듈(24)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20)와 연관된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UI 모듈(24)은 컴퓨팅 디바이스(20)와 연관된 다른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UI 디바이스(22)로 하여금 상기 정보에 기반한 출력을 제공하게 한다. 예를 들어, UI 모듈(24)은 액세스 모들 모듈(26)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UI 디바이스(22)로 하여금 컴퓨팅 디바이스(20)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예,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일부이거나 컴퓨팅 디바이스(20)와 연결되어 동작함)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UI 모듈(24)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모듈(24)은 다운로드가능한 또는 미리설치된 애플리케이션(또는, 'ap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UI 모듈(24)은 컴퓨팅 디바이스(20)의 하드웨어 유닛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UI 모듈(24)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되는 운영 시스템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액세스 모드 모듈(26)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다운로드가능한 또는 미리설치된 애플리케이션(또는, 'ap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컴퓨팅 디바이스(20)의 하드웨어 유닛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되는 운영 시스템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밴드(28)는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는 각각 밴드(28)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는 클래스프, 클립, 스냅, 버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시 컴퓨팅 디바이스가 물리적으로 고정되게끔 동작가능한 다른 기구에 필수적인 전도성 구조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는 예를 들어, 밴드(28)내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된 전기회로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제1부분(30a) 및/또는 제2부분(30b)에 연결된 핀(pin)과 밴드(28)의 반대 부분에 놓인 대응되는 핀 접점(pin contac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조들은, 밴드(28)가 착용되는 구성으로 서로 접촉되면 닫힌 연결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제1구조(30a)는 자석(magnet)을 포함할 수 있고 제2구조(30b)는 자기 리드 스위치(magnetic reed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리드 스위치(magnetic reed switch)는 제1구조(30a)가 제2구조(30b)에 근접하게 될 때 상태를 변경한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컴퓨팅 디바이스(20) 및/또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와 연관된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UI 모듈(24) 및/또는 밴드(2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미리정해진 동작(action)을 수행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 간의 근접 상태에 관한 표시를 수신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 간의 근접 상태는, 클래스프(clasp)(32)가 닫혔는지 또는 열렸는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20)가 착용되는 구성으로서 물리적으로 고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가 근접 상태인 경우, 클래스프(32)가 닫혀서, 밴드(28)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근접하거나 접촉된다. 이와 반대로,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가 비근접 상태인 경우, 클래스프(32)가 열려서, 밴드(28)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근접하거나 접촉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의 수신된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되는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되는 가능한 액세스 모드들은 축소 액세스 모드와 확장 액세스 모드(예, 표준 액세스 모드 또는 풀 액세스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축소 액세스 모드(reduced access mode)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20)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가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기능에 비하여, 기능의 축소된 세트에 액세스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확장 액세스 모드(increased access mode)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20)가 더 많은 또는 온전한 세트의 기능에 액세스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proximity state)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된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에서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예를 들어 전기회로를 통해서 액세스 모드 모듈(26)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예를 들어 근접 상태가 변경된 경우 또는 제1구조(30a)가 제2구조(30b)에 근접하거나 접촉된 경우에, 액세스 모드 모듈(26)로 송신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서,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된 표시는,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제1구조(30a) 및/또는 제2구조(30b)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중단(cessation)하게끔 할 수 있다. 이는, 제1구조(30a)가 더 이상 제2구조(30b)에 근접하거나 접촉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1구조(30a)가 제2구조(30b)에 근접하거나 접촉되지 않는 경우, 이는 밴드(28)가 닫히지 않은, 즉 클래스프(320가 닫히지 않거나 연결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착용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된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된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된 표시는,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제1구조(30a) 및/또는 제2구조(30b)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개시(beginning)하게끔 할 수 있다. 이는, 제1구조(30a)가 제2구조(30b)에 근접하거나 접촉됨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구조(30a)가 제2구조(30b)에 근접되거나 접촉하는 것은, 클래스프(32)가 닫혔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착용되는 구성으로서 밴드(28)가 물리적으로 고정되었다는 표시를 제공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착용하였다는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 및 제2구조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은 예를 들어, UI 디바이스(22)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들)(46)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user interface screen)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가 보안 요청 응답, 예를 들어 패스워드, PIN, 패턴, 생체 데이터(예, 지문 인증, 음성, 이미지, 또는 그와 유사한 것), 등을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보안 요청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을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과 비교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을 고려하여 상기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이 인증된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는, 일단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가 근접 상태에 있다는 표시가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컴퓨팅 디바이스(20)로 하여금 미리정해진 비활성화 구간(predetermined length of inactivity) 후에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복귀하게 하는 대신,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할 때까지 컴퓨팅 디바이스(20)로 하여금 확장 액세스 모드를 유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근접 상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착용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20)와 인터렉션하고 싶어하는 각 시점에 보안 요청을 통과할 필요 없이, 사용자로 하여금 완전히 또는 전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20)와 인터렉션(예, UI 디바이스(22)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그리고/또는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출력들을 관찰함으로써)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반면 상기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사용자로부터 탈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므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보안은 유지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한 특정 예로만 도시되었으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수 많은 다른 예들이 다른 예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42),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44),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46),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48),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바이스(22)를 포함한다. 도 2의 예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UI 모듈(24), 액세스 모드 모듈(26), 및 운영 시스템(50)을 더 포함한다. 컴포넌트들(22, 40, 42, 44, 46, 및 48) 각각은, 내부-컴포넌트들간의 통신을 위해 통신 채널들(52)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통신적으로, 및/또는 가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예들에서, 통신 채널들(52)은 시스템 버스, 네트워크 연결, 프로세스 간(inter-process) 통신 데이터 구조, 또는 통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어떠한 다른 방법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I 모듈(24), 액세스 모드 모듈(26), 및 운영 시스템(50)은 서로 정보를 통신할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다른 컴포넌트들과도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40)은 한 예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에서의 실행을 위한 기능 및/또는 프로세스 명령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들(40)은 저장 디바이스(48)에 저장된 명령들을 처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의 예들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ASIC), 논리 회로형 반도체(FPGA), 또는 그와 균등한 이산 논리 회로 또는 집적 논리 회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48)는 동작하는 동안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48)는, 일부 예들에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저장 디바이스(48)는 임시 메모리일 수 있는데, 이는 저장 디바이스(48)의 주 목적이 오랜-기간의 저장이 아님을 의미한다. 저장 디바이스(48)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는데, 이는 저장 디바이스(48)에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저장된 컨텐츠가 남게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휘발성 메모리들의 예들로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고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및 잘 알려진 휘발성 메모리들의 다른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저장 디바이스(48)는 프로세서들(40)을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저장 디바이스(48)는, 일부 예들에서, 프로그램 실행 동안 임시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상에서 실행되는 소트프웨어나 응용 프로그램들(예,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의하여 사용된다.
일부 예들에서, 저장 디바이스(48)는, 정보를 더 오랜 기간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저장 디바이스(48)는 비휘발성 저장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비휘발성 저장 요소들의 예들로, 자기적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메모리(EPROM)나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메모리(EEPROM)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또한,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44)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한 예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통신 유닛(44)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유닛(44)은 예를 들어 이더넷 카드, 광트랜시버, RF트랜시버, 또는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될 수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들로는, USB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3G, WiFi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예를 들어 서버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44)을 사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42)는, 일부 예들에서, 촉각, 청각, 또는 시각 소스들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42)의 예들로, 프레즌스-감응(presence-sensitive) 디스플레이와 같은 프레즌스-감응(presence-sensitive) 디바이스, 마우스, 키보드, 음성 응답 시스템, 비디오 카메라, 마이크로폰 또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인식하기 위한 어떠한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라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presence-sensitive) 디스플레이는 터치-감응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46) 또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에 포함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46)는, 일부 예들에서, 촉각, 청각, 또는 시각 자극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디바이스(46)는, 한 예로, 프레즌스-감응(presence-sensitive) 디스플레이, 사운드 카드, 비디오 그래픽 어댑터 카드, 또는 어떤 신호를 사람이나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어떠한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46)의 추가적인 예들로는, 스피커, 음극선관(CRT) 모니터,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또는 사용자에게 이해할 수 있는(intelligible)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UI 디바이스(22)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42) 및 또는 출력 디바이스(46)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또한 UI 디바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I 디바이스(22)는 촉각, 청각, 또는 시각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더하여, UI 디바이스(22)는 예를 들어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를 위한 GUI와 같은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I 디바이스(22)는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데,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는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에서 또는 그 가까이에서 정전용량, 정전유도, 및/또는 광(optical)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일부 예들에서, UI 디바이스(22)는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44)와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46)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UI 디바이스(22)는 입력 디바이스(42)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46)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는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에서 그리고/또는 그 가까이에서 오브젝트(object)를 검출할 수 있다. 한 예시적 범위로서,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는,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로부터 2인치 이내에 있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는, 오브젝트가 검출된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의 위치(예, (x, y)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범위에서,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는 이로부터 6인치 이내에 있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범위들 또한 가능하다.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는 정전용량, 정전유도, 및/또는 광(optical) 인식 기술들을 사용하여 오브젝트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 디바이스는, 출력 디바이스(46)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촉각, 청각, 또는 시각 자극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물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운영 시스템(50)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시스템(50)은, 예를 들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운영 시스템(50)은, 한 예에서, UI 모듈(24) 및 액세스 모드 모듈(26)과 프로세서(40)를 갖는 통신 유닛(44), 저장 디바이스(48), 입력 디바이스(42), 및 출력 디바이스(46)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UI 모듈(24)과 액세스 모드 모듈(26) 각각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에 의해 (예,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한 예로, UI 모듈(24)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동작들과 액션들(actions)을 수행하게끔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명료성을 위해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컴포넌트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컴포넌트들은 모든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예에서 필수적인 것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들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통신 유닛(44)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컴포넌트들은 컴퓨팅 디바이스(20)와 부착기구(attachment mechanism) 사이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42), UI 디바이스(22), 센서(54),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들),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4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기구(attachment mechanism)는 제1구조(30a)와 제2구조(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부착기구는 추가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42), UI 디바이스(22), 센서(54),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들),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4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가 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다른 컴포넌트들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등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동작되며,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 중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된다.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가능한 근접 상태로는, 예를 들어, 근접 상태(proximate state)와 비근접 상태(non-proximate 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근접 상태(proximity state)는,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가 근접 또는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로 나타내질 수 있고, 그러한 전기신호가 없으면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가 근접 또는 접촉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구조(30a)는 전압 소스(voltage source)로부터 밴드(28)의 제1부분의 일단에 있는 제1전기접점까지 밴드를 통과하는 제1 연장선(wire extending)(예, 클래스프(32)에 근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구조(30b)는 전압 소스(voltage source)로부터 밴드(28)의 제2부분의 일단에 있는 제2전기접점까지 밴드를 통과하는 제2연장선(wire extending)(예, 클래스프(32)에 근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전기접점과 제2전기접점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클래스프(32)가 닫히면, 제1 및 제2 연장선들과 제1 및 제2 전기접점들은 닫힌 회로의 형태로 접촉하여, 전기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클래스프(32)가 열리면, 제1 및 제2 연장선들과 제1 및 제2 전기접점들로 형성된 전기회로는 열리게 되고, 그에 따라 전기 전류가 회로를 통과하여 흐르지 않을 것이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한 컴포넌트는, 전기 전류가 회로를 통과하여 흐르는 것의 시작이나 종료를 인식하여,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그러한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의 변경은, 근접 상태의 변경 시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생성되는 과도 전기 신호(transient electrical signal)로 나타내질 수 있다. 그 밖에,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가 근접 상태인지 아니면 비근접 상태인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예를 들어 압력 작동 스위치, 스프링이 달린 핀(spring-loaded pin), 자기 스위치(magnetic switch)와 자석(magnet) 등의 유사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액세스 모드들은 축소 액세스 모드 및 확장 액세스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축소 액세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에 의해 제공된 기능 중 축소된 세트의 기능, 예를 들어 알림 보기, 시계, 제한된 개수의 위젯 등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확장 액세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에 의해 제공된 기능 중 더 많은 또는 온전한 세트의 기능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 간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된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감축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된 것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사용자로부터 탈착되는 것(예, 사용자가 클래스트(32)를 열고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벗거나, 또는 밴드(28)가 고장인 경우)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로 하여금 축소 액세스 모드를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제1구조(30a)가 제2구조(30b)에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기능에 액세스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 다른 예로,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 간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가 근접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예, 근접 상태라는 주기적인 표시들에 의해 또는 근접에서 비근접으로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가 없음에 의해 알 수 있음),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모드로 하여금 확장 액세스 모드로 유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 및 제2 구조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보안 요청은, 예를 들어 UI 디바이스(22)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들)(46)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가 보안 요청 응답, 예를 들어 패스워드, PIN, 패턴, 생체 데이터(예, 지문 인증, 음성, 이미지, 또는 그와 유사한 것) 등을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을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과 비교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이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을 고려하여 검증된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되는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표시를 수신하고,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표시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었는지 여부 그리고/또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또는 상대적으로 덜 안전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는 추가적인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예를 들어 GPS 시스템이나,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44)을 사용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와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로 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동작되는 상황들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와 연관된 사용자(들)은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집할지 그리고/또는 사용할지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와 같은 특정 정보는 저장되거나 사용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방식들로 가공(treat)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개인 식별 정보(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가 제거된다. 예를 들어, 어떤 개인 식별 정보도 사용자에 대해 결정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아이덴티티(identity)가 처리될 수 있다. 또는, 위치 정보가 획득된 장소에 관한 것(예, 도시, ZIP 코드, 또는 주(state) 레벨)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일반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특정 위치가 결정되지 않게끔 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들)은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어떻게 수집되고 사용되는지를 제어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할지 여부의 결정이,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된 표시와 상기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안정된 위치,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이나 사무소와 같이 지정된 장소에 배치되었음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일부 예들에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즉시 변경하지는 않을 수 있다. 대신,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기 전에,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1, 2, 5, 또는 10분 동안 대기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지연은, 사용자로 하여금 예를 들어 손을 씻기 위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을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착용되는 구성으로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교체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보안 요청을 다시 통과할 필요가 없도록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확장 액세스 모드로 유지하게 한다.
그러나, 일부 예들에서, 상기 위치 정보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덜 안전한 장소,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 및 제2구조의 근접 상태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로 실질적으로 즉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착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구성인 동안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가 확장 액세스 모드를 제공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보안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일부 예들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 자이로스코프,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센서(54)의 출력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인다는 표시를 수신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표시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의 출력값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상기 표시는 서로 다른 시점(예, 일초, 수초 또는 수분의 일부(fraction)만큼 분리된 시점)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상(capture)된 두 개의 이미지들의 비교(예,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를 통해)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들이 서로 다른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고 있거나 움직였다는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실질적으로 고정되거나 움직이지 않았다는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 간의 근접 상태가 근접하는 경우(예,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착용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냄), 센서(54)에 의해 검출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움직임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착용된다는 추가적인 지표(indicator)일 수 있다. 반면, 센서(54)로부터 수신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지 않고 있다는 표시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근접하고 있다는 표시를 결합하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잠기거나 닫혀졌지만 착용되지는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고 있다는 표시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추가적인 정보는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분석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가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수신된 하루 중 시간(time of day)을 수신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하루 중 시간은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장소에 있을지 또는 덜 안전한 장소에 있을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루 중 시간이 한밤 중이면, 이는 사용자가(그리고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더 안전한 장소(예, 사용자가 잠드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하루 중 시간이 한낮이면, 이는 사용자가(그리고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덜 안전한 장소(예, 사용자의 집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서는, 하루 중 특정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예, 한 낮(the middle of the day)),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기 전에 더 짧은 시간 동안 대기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반대로, 일부 예들에서는, 하루 중 특정,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예, 한밤 중(the middle of the night)),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기 전에 더 긴 시간 동안 대기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게 하는 것에 기반한 정보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UI 디바이스(22) 및/또는 입력 디바이스(들)(42)을 사용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의 동작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되도록, UI 모듈(24)에 의해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터렉션할 수 있다. 여러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사용자로 하여금, 참조된 정보(예, 위치, 하루 중 시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54) 등), 근접 상태가 근접에서 비근접으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과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할 때 그 사이의 시간 지연(time delay), 근접 상태가 근접에서 비근접으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보안 요청을 출력할지 여부 등을 변경할 수 있게끔 동작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는, 액세스 모드 모듈(26)의 이러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일부는 미리 정의되어 사용자가 구성하지 못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라, 원격 디바이스에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그래픽 컨텐츠를 출력하고 원격 부착기구의 상태에 관한 표시들을 수신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예,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200) 및/또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래픽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들의 그룹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위해 출력될 수 있는 어떠한 시각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는, 컴퓨팅 디바이스(60), 프레즌스-감응(presence-sensitive) 디스플레이(64), 통신 유닛(70), 프로젝터(80), 프로젝터 스크린(82), 모바일 디바이스(86), 시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 및 부착 기구(94)를 포함한다. 비록 예시의 목적으로 도 1 및 2의 예는 단독의(stand-alone) 컴퓨팅 디바이스(20)로 도시되었지만, 컴퓨팅 디바이스(60)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나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컴퓨팅 환경, 예를 들어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필요가 없는 어떠한 컴포넌트나 시스템이라도 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도 2의 프로세서(40)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시스템 버스나 다른 적절한 연결부가 될 수 있는 통신 채널(62A)을 통해서,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또한, 시스템 버스나 다른 적절한 연결부가 될 수 있는 통신 채널(62B)을 통해서, 이하에서 자세히 기술되는 통신 유닛(70)과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비록 도 3의 예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컴퓨팅 디바이스(60)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 중 몇 개를 통해,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 및 통신 유닛(70)과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6)와 프레즌스-감응 입력 디바이스(6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6)는,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6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래픽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 입력 디바이스(68)는 정전용량, 정전유도, 및/또는 광(optical) 인식 기법들을 이용하여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에서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들(예, 연속 제스처, 멀티-터치 제스처, 싱글-터치 제스처 등)을 결정하고, 그러한 사용자 입력의 표시들을 통신 채널(62A)을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 입력 디바이스(68)는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6) 위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6)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요소 위에 입력 유닛을 놓을 경우, 프레즌스-감응 입력 디바이스(68)에서의 그 위치는 그래픽 요소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6)의 위치에 대응된다. 다른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 입력 디바이스(68)는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6)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프레즌스-감응 입력 디바이스(68)의 위치들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6)의 위치들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6)의 대응하는 위치들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요소들과 인터렉션(interaction)하기 위하여 프레즌스-감응 입력 디바이스(68)에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또한 통신 유닛(70)을 포함하거나 그리고/또는 이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유닛(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유닛(44)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70)의 예들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이더넷 카드, 광트랜시버, RF트랜시버, 또는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라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의 다른 예들로 블루투스, 3G, 무선 WiFi, USB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또한, 간략화 및 설명을 위해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하거나 그리고/또는 이들과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또한 프로젝터(80)와 프로젝터 스크린(82)을 도시한다. 프로젝션 디바이스들의 다른 예들로 전자 화이트보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그리고 그래픽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어떠한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80)와 프로젝터 스크린(82)은 각 디바이스들이 컴퓨팅 디바이스(6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은 프로젝터(80)와 프로젝터 스크린(82) 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프로젝터(80)는 그래픽 컨텐츠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6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젝터(80)는, 데이터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컨텐츠를 프로젝터 스크린(82) 위에 프로젝션(projection)시킬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로젝터(80)는 광 인식 기법 또는 다른 적절한 기법들을 사용하여, 프로젝터 스크린에서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들(예, 연속 제스처, 멀티-터치 제스처, 싱글-터치 제스처, 더블-베젤(double-bezel) 제스처, 등)을 결정하고 그러한 사용자 입력의 표시들을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을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프로젝터 스크린(82)은 불필요할 수 있고, 프로젝터(80)는 그래픽 컨텐츠를 어떤 적절한 매체 위에 투영시키고 광(optical) 인식 기법이나 다른 적절한 기법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젝터 스크린(82)은, 일부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presence-sensitive) 디스플레이(8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84)는 이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UI 디바이스(22)의 기능 모두 또는 기능 중 서브세트(subset)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84)는 추가적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스크린(82)(예, 전자 화이트보드)은, 컴퓨팅 디바이스(6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래픽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84)는 정전용량, 정전유도, 및/또는 광(optical) 인식 기법들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스크린(82)에서의 하나 이상의 입력들(연속 제스처, 멀티-터치 제스처, 싱글-터치 제스처, 더블-베젤 제스처, 등)을 결정하고 그러한 입력의 표시들을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86)와 시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를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86)와 시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는 각각 컴퓨팅 및 연결 기능들(connectivity capabilities)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6)의 예들은, e-리더 디바이스들, 컨버터블 노트북 디바이스들, 하이브리드 슬레이트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의 예들로, 예를 들어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기타의 반-고정(semi-stationary)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86)는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9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92)는,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6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래픽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92)는 정전용량, 정전유도, 및/또는 광(optical) 인식 기법들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스크린에서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들(연속 제스처, 멀티-터치 제스처, 싱글-터치 제스처, 더블-베젤 제스처, 등)을 결정하고 그러한 사용자 입력의 표시들을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시스템 버스나 다른 적절한 통신 채널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60)와 연결되어,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원격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프로젝터(80), 프로젝터 스크린(82), 모바일 디바이스(86), 및 시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들에 따라, 그래픽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그리고/또는 변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60)는, 그래픽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컴퓨팅 디바이스(60)의 통신 유닛, 예를 들어 통신 유닛(70)에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유닛(70)은 그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원격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프로젝터(80), 프로젝터 스크린(82), 모바일 디바이스(86), 및/또는 시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하나 이상의 원격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원격 디바이스는, 각 원격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그리고/또는 그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예를 들어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에 그래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컴퓨팅 디바이스(60)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에 그래픽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통신 채널(62A)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60)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와 하나 이상의 원격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모두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그래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상기 그래픽 컨텐츠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원격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지연(communication latency)에 의해 일부 지연(delay)이 발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컨텐츠와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은 하나 이상의 원격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과 그래픽 컨텐츠와는 다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어떠한 적절한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네트워크 링크(72A)를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74)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원격 디바이스들 각각은, 각각의 네트워크 링크들(72B, 72C, 72D, 및 72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74)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74)는 동작가능하게 상호-연결된(inter-coupled) 네트워크 허브들, 네트워크 스위치들, 네트워크 라우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도 3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60)와 원격 디바이스들 간에 정보 교환을 위해 제공된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 링크들(72A-72E)은 이더넷, ATM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연결들이 될 수 있다. 그러한 연결들은 무선 및/또는 유선 연결들이 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다이렉트 디바이스 통신(78)을 사용하여 도 3에 도시된 원격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과 동작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이렉트 디바이스 통신(78)은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가 원격 디바이스에 다이렉트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게끔 한다. 즉, 다이렉트 디바이스 통신(78)의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는 원격 디바이스에 수신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포워딩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다이렉트 디바이스 통신(78)의 예들은, 블루투스, NFC, USB, 적외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원격 디바이스들은 통신 링크들(76A-76E)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60)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통신 링크들(76A-76E)은 블루투스, NFC, USB, 적외선, 등을 사용한 연결들일 수 있다. 그러한 연결들은 무선 및/또는 유선 연결들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들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부착기구(94)의 제1구조(96)와 제2구조(98)의 근접 상태에 관하여 수신된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이거나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부착기구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부착기구는 제1 및 제2구조를 포함하거나 그 구조들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소 액세스 모드와 확장 액세스 모드로 동작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부착기구(94)로부터 독립된, 또 다른 디바이스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나 별개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부가 되거나, 또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나 별개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자체가 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부착기구(94)의 제1구조(96)와 제2구조(98)의 근접 상태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현재 액세스 모드의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원격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60)는 부착기구(94)의 제1구조(96)와 제2구조(98)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는 것은, 일부 예들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 84, 88, 및 92)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컴퓨팅 디바이스(60)의 사용자가 보안 요청 응답, 예를 들어 패스워드, PIN, 패턴, 생체 데이터(예, 지문 인증, 음성, 이미지, 또는 그와 유사한 것), 등을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과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을 비교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이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을 고려하여 인증된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일단 부착기구(94)의 제1 및 제2구조(96, 98)가 근접 상태에 있다는 표시가 수신되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60)는 컴퓨팅 디바이스(60)로 하여금 미리정해진 비활성화 구간(predetermined length of inactivity) 후에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복귀하게 하는 대신, 컴퓨팅 디바이스(60)로 하여금 제1 및 제2구조(96, 98)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할 때까지 확장 액세스 모드를 유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근접 상태는, 사용자가 부착기구(94)를 착용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컴퓨팅 디바이스(60)와 인터렉션하고 싶어하는 각 시점에 보안 요청을 통과할 필요 없이, 컴퓨팅 디바이스(60)와 보다 충분히 또는 완전히 인터렉션하게끔(예,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레즌스-감응 디스플레이(64, 84, 88, 92)를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60)의 출력들을 관찰함으로써) 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컴퓨팅 디바이스(60)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한편, 상기 제1구조 및 제2구조(96, 98)의 근접 상태는 부착기구(94)가 사용자로부터 탈착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므로, 컴퓨팅 디바이스(60)의 보안은 유지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라, 부착기구의 상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 기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기술은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 도 3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60), 및/또는 도 2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의 기술은,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1과 도 2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컨텍스트 범위내에서 이하에 기술되었으나, 도 4의 기술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구성과는 다른 구성을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의 기술은,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의해,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10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접 상태가 변경된 표시는, 예를 들어 전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는 밴드(28)와 클래스프(32)를 통과하는 전기회로의 부분들일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가 근접하였을 때 완전한 전기 회로가 형성되고, 전기회로를 통해 상기 전기신호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에 포함된 또는 그와 연관된 전압 소소로부터 통과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의 일부에서, 전압 소스는 지속적으로,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기신호를 출력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제1구조(30a)가 제2구조(30b)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면, 전기신호는 전기회로를 통과하여 검출기(detector)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한편,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는 전기회로가 열렸는지 닫혔는지 여부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는 밴드(28)가 닫혔는지 또는 열렸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는 다른 기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조(30a)는 자석(magnet)이 될 수 있고, 제2구조(30b)는 자기 스위치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들로, 제1구조(30a)는 근접 센서가 될 수 있고, 제2구조(30b)는 밴드(28)가 닫혔을 때 제1구조(30a)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제1구조(30a)는 스프링-달린 핀(spring-loaded pin)이 될 수 있고 제2구조(30b)는 상기 핀을 위한 접점(contact point)이나 리셉터클(receptacle) 등이 될 수 있다.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본성(nature)과 무관하게, 제1및 제2구조(30a, 30b)는 제1및 제2구조(30a, 30b) 간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생성하거나 생성을 지원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근접 상태의 변경은, 예를 들어 비근접 상태와 근접 상태의 사이, 또는 근접 상태와 비근접 상태의 사이가 될 수 있다. 도 4의 기술은 또한,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의해,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104)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현재 액세스 모드의 변경이, 예를 들어 도 5와 6과 관련하여 이하에 기술되는 다른 추가 정보에 기반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또한,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근접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된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라, 부착기구의 상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 기법을 설명하는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5의 기술은,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 도 3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60), 도 2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5의 기법은,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1 및 도 2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컨텍스트 범위내에서 이하에 기술되었으나, 도 5의 기술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와는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의 기법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에서 근접으로 변경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112)를 포함한다.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보안 요청을 출력하거나 또는 UI모듈(24)로 하여금 보안 요청을 출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114).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UI모듈(24)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를 위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가 보안 요청 응답을 입력하도록 프롬프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하는 정보를 출력하게끔 동작될 수 있다. 보안 요청은, 예를 들어 패스워드, PIN, 패턴, 생체 데이터(예, 지문 인증, 음성, 이미지, 망막, 또는 그와 유시한 것) 등과 같은 다양한 본인 확인 정보를 위한 프롬프트(prompt)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예, UI 디바이스(22)를 사용하여)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UI 모듈(24)은 보안 요청 응답의 표시를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안 요청에 응답한 표시를 수신한다(116).
보안 요청 응답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을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예, 사용자에 입력에 의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것)과 대조하여 인증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118). 입력된 보안 요청 응답이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을 참조하여 인증된 것(예, 입력된 보안 요청이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과 정확하게 매칭되거나 또는 임계 범위의 오류를 갖는 것으로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컴퓨팅 디바이스(6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120). 그러나, 상기 보안 요청 응답이 저장된 보안 요청 응답과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거나 임계 범위의 오류를 갖는 경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112). 이는, 심지어 제1구조(30a)가 제2구조(30b)에 근접하거나 접촉하였음을 나타내는 근접 상태 표시가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보안 요청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확장 액세스 모드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락된 사용자임을 보장하는 추가적인 보안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라, 부착기구의 상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 기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기술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 도 3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60), 및 또는 도 2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기술은,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1 및 도 2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컨텍스트 범위내에서 이하에 기술되었으나, 도6의 기술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와는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기술은,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의해,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근접에서 비근접으로 변경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132)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도 6의 기술은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의해,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contextua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134)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는, 예를 들어 위치 정보, 하루 중 시간 정보(time of day information), 디바이스 이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도록 동작하는 상황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와 연관된 사용자(들)은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할지 그리고/또는 사용할지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기회를 (예,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위치와 같은 특정 정보는 저장되거나 사용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방식들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개인 확인 정보가 제거된다. 예를 들어, 개인 확인 정보가 사용자 자신으로 결정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아이덴티티(identity)가 처리될 수 있다. 또는, 위치 정보가 획득된 장소에 관한 것(예, 도시, ZIP 코드, 또는 주(state) 레벨)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일반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특정 위치가 결정되지 않게끔 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들)은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어떻게 수집되고 사용되는지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상황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136). 예를 들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지리적 위치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상황 또는 상대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상황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의 집이나 사무소와 같은 위치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안전한 위치와 다른 위치는 상대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게, 학교, 경기장, 또는 다른 공공 장소와 연관된 지정된 장소는 상대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할지 여부의 결정이 시간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이루어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액세스 모드 모듈(26)에서 수신한 하루 중 시간(the time of day)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하루 중 시간은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상황에 있을지 또는 상대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상황에 있을지 여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루 중 시간이 한밤 중이면, 이는 사용자가(및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더 안전한 장소(예, 사용자가 잠드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하루 중 시간이 한낮이면, 이는 사용자가(그리고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덜 안전한 장소(예, 사용자의 집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지 않는다 표시와 근접 상태가 근접에서 비근접으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조합하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착용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위치에 놓여 있음을 의미한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근접에서 비근접으로 변경되었다는 표시와 함께, 하나 이상의 타입의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조합하여 분석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의 타입들 중 2개 또는 3개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이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근접 상태가 변경의 표시와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138). 또 다른 예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의 타입들 중 오로지 1개만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 전체가 상기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지 않도록 동작될 수 있다(140). 다른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면(138), 이러한 상황들에서는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 중 어떤 것이라도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상황에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할지 또는 변경하지 않을지 여부의 결정에 기반하는 대신,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함과 액세스 모드 모듈(260이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것 사이의 시간 지연(temporal delay)을 결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된 표시가 수신되고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예, 수초 또는 수분)내에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138) 동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비교적 안전한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가 수신되고 상대적으로 긴 시간(예, 수분 또는 그 이상) 이후에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라, 부착기구의 상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기술은, 예를 들어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20), 도 3의 컴퓨팅 디바이스(60), 및/또는 도 2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의 기술은,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컨텍스트내에서 기술되었지만, 도 7의 기술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 와는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의 기술은,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의해,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의 근접 상태가 근접 상태에서 비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142)를 포함한다. 그러한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임계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144). 일부 예들에서, 임계 시간은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내에서 또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임계 시간을 결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덜 안전한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임계 시간을 더 낮게(예, 초 또는 수분) 결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상대적으로 더 안전한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이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임계 시간을 더 길게 (예, 수 분 또는 그 이상) 결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임계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것에 응답하여(판단 블록(144)에서 '아니오' 로 분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대기하고(148)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지 않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근접 상태가 비근접에서 근접으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지 않고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된 경우(판단 블록(144)에서 '예'로 분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146).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기 전에 소정 시간 동안 대기함에 따라,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씻는 것과 같은 짧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제거하고,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를 다시 착용하고,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의 완전한 세트에 액세스하기 위해 보안 요청을 통과할 필요 없도록, 사용자에게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라,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이나 움직임이 없음이 검출되는 것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 기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의 기술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 도 3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60), 및/또는 도 2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의 기술은,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1 및 도 2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컨텍스트내에서 이하에 기술되었지만, 도 8의 기술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와는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도 8의 기술은 밴드(30)의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근접하는 동안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의 기술은, 액세스 모드 모듈(26)에 의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움직임과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152)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로부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요청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54)를 포함한다. 그러한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152) 그리고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임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154).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는지 움직이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스코프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서로 다른 시점들 (예, 일초, 수초 또는 수분의 일로 나눈 시점)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두 개의 이미지들의 비교(예,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에 기반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들이 서로 다른 경우,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고 있거나 움직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들이 실질적으로 같은 경우, 모듈(26)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는지 여부의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임계시간 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실질적으로 고정되었다고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판단 블록(154)에서 '예'로 분기),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156). 또 다른 예로,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임계시간 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움직이거나 실질적으로 고정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판단 블록(154)에서 '아니오'로 분기),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지 않도록 동작될 수 있다(158). 한편, 일부 예들에서는, 밴드(30)의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가 근접한 경우라도,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36)가 실질적으로 고정되는 동안 임계 시간을 경과한 후에는 액세스 모드 모듈(26)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비록 서로 다른 도면들과 관련하여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예들의 특징과 예시 자체는 다양한 조합들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모듈(26)은 제1구조(30a) 및 제2구조(30b)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된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요청을 출력하고, 한 예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모두 수행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특징들의 다른 조합들의 예들은 본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절 1.
방법으로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부착기구(attachment mechanism)의 제1구조 및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 사이의 근접 상태가 변경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2.
제1절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제1구조가 더 이상 상기 제2 구조에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 3.
제2절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부착기구가 더 이상 물리적으로 불변(intact) 상태가 아니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4.
제1절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한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 5.
제4절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한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에 응답하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여기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하는 표시와 상기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에 응답하는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 6.
제1절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는 제1 전기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조는 제1전기회로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 7.
제1절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는 핀(pin)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조는 핀 접점(pin contac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 8.
제1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부착기구의 지리적 위치, 상기 부착기구의 움직임, 및 상기 제1구조 및 상기 제2구조 간의 근접 상태가 변경된 표시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수신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하는 표시, 상기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에 응답하는 표시, 및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 9.
제1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과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 10.
제1절에 있어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부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절 11.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제1구조 및 제2구조를 포함하는 부착기구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가능한 액세스 모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상기 제1구조 및 상기 제2구조 사이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non-proximate state)에서 근접 상태(proximate state)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고,
상기 보안 요청에 대한 응답의 표시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하는 표시와 상기 보안 요청에 응답하는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절 12.
제11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1구조가 상기 제2구조에 더 이상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절 13.
제12절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더 이상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부착기구가 더 이상 물리적으로 불변 상태가 아니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절 14.
제11절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는 제1전기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조는 제2전기회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절 15.
제11절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는 핀(pin)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조는 핀 접점(pin contac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절 16.
제11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및 상기 제1구조와 상기 제2구조 간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된 표시가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에 수신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하는 표시, 상기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에 응답하는 표시, 및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절 17.
제16절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움직인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절 18.
제11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과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절 19.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로서,
실행 시 컴퓨팅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부착기구의 제1구조 및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 간의 근접 상태를 변경하는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부착기구의 지리적 위치, 상기 부착기구의 움직임, 및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 간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수신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와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게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절 20.
제19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는 제1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실행 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부착기구의 움직임과 관련된 제2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게끔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절21.
제19절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제1구조가 더 이상 상기 제2구조에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의 실행 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표시와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변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절 22.
제21절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부착기구가 더 이상 물리적으로 불변 상태가 아니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절 23.
제19절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한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 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표시 및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게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절 24.
제23절에 있어서,
명령들의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한다는 표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고,
상기 보안 요청에 응답하는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한다는 표시, 상기 보안 요청에 응답하는 표시, 및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절 25.
제19절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는 제1전기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조는 제2전기회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절 26.
제19절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는 핀(pin)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조는 핀 접점(pin contac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절 27.
제19절에 있어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부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예들에서, 설명된 상기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만일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그 기능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송신되고, 하드웨어-기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매체는 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 매체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transfer)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일반적으로 (1) 비-일시적인 유형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2) 신호 또는 반송파(carrier wave)와 같은 통신 매체에 대응할 수있다. 데이터 저장 매체는 본 발명에 설명된 기법들의 구현을 위한 명령들,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을 검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일 수 있다.
예로서 한정되지 않지만,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디스크 저장소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명령들의 형태로 희망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매체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로 적절하게 불려진다. 예를 들어, 만일 명령들이 동축 케이블, 광 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를 사용하는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하지만,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데이터 저장 매체는 연결들(connections), 반송파들, 신호들 또는 다른 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하지 않지만, 그 대신에 비-일시적이고, 유형의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디스크들(disks)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되는 반면에, 디스크들(discs)은 레이저로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된다. 상기의 조합들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되어야 한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들(general purpose microprocessors),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s(field programmable logic arrays) 또는 다른 동등한 IC 또는 개별 논리회로(discrete logic circuitry)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용어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설명된 기법들의 구현을 위해 상술한 임의의 구조 또는 적합한 임의의 다른 구조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상들에서 본 발명에 설명된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회로들 또는 로직 요소들로 충분히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법들은 무선 핸드셋, IC 또는 한 세트의 IC들(예를 들어, 칩셋)을 비롯한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들과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은 본 발명의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의 기능적인 양상들을 강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설명되지만, 서로 다른 하드웨어 유닛들에 의해 반드시 실현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대신,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여러 유닛들은 상기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비롯하여 적합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하드웨어 유닛에 의해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상호 운영적(interoperative) 하드웨어 유닛들의 세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었다. 이 예들과 다른 예들은 하기의 청구항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5)

  1. 방법으로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부착기구(attachment mechanism)의 제1구조 및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 사이의 근접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indic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제1구조가 상기 제2 구조에 더 이상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increased access mode)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reduced access mode)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부착기구가 더 이상 물리적으로 불변(intact) 상태가 아니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더 이상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더 이상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에 대한 응답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여기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와 상기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에 대한 응답의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부착기구의 지리적 위치, 상기 부착기구의 움직임, 및 상기 제1구조와 상기 제2구조 간의 근접 상태가 변경된 표시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수신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device context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여기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하여 있다는 표시와, 상기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에 응답하는 표시와,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부착기구의 움직임과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여기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부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실행 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10.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제1구조 및 제2구조를 포함하는 부착기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동작가능한 액세스 모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
    상기 제1구조 및 상기 제2구조 사이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non-proximate state)에서 근접 상태(proximate state)로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을 출력하고,
    상기 보안 요청에 대한 응답의 표시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한다는 표시와 상기 보안 요청에 대한 응답의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축소 액세스 모드에서 확장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통해,
    상기 제1구조가 상기 제2구조에 더 이상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구의 제1 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더 이상 근접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부착기구가 더 이상 물리적으로 불변 상태가 아니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및 상기 제1구조와 상기 제2구조간의 근접 상태가 비근접 상태에서 근접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표시가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에 수신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부착기구의 제1구조가 상기 부착기구의 제2구조에 근접한다는 표시, 상기 보안 요청(security challenge)에 응답하는 표시,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움직이고 있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15.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모드 모듈은: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과 관련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현재 액세스 모드를 확장 액세스 모드에서 축소 액세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167004169A 2013-07-30 2014-07-23 부착기구의 상태에 기반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680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59866P 2013-07-30 2013-07-30
US61/859,866 2013-07-30
US14/095,573 US8972722B2 (en) 2013-07-30 2013-12-03 Controlling a current access mode of a computing device based on a state of an attachment mechanism
US14/095,573 2013-12-03
PCT/US2014/047868 WO2015017217A1 (en) 2013-07-30 2014-07-23 Controlling a current access mode of a computing device based on a state of an attachment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932A true KR20160023932A (ko) 2016-03-03
KR101680289B1 KR101680289B1 (ko) 2016-12-12

Family

ID=5242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169A KR101680289B1 (ko) 2013-07-30 2014-07-23 부착기구의 상태에 기반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72722B2 (ko)
EP (1) EP3028208A1 (ko)
KR (1) KR101680289B1 (ko)
CN (1) CN105453100B (ko)
AU (1) AU2014296535B2 (ko)
BR (1) BR112016002181A2 (ko)
WO (1) WO20150172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4349B2 (en) 2010-11-01 2015-03-10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9011292B2 (en) 2010-11-01 2015-04-21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8976965B2 (en) 2013-07-30 2015-03-10 Google Inc. Mobile computing device and wear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utomatic access mode control
KR20150047309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20150241912A1 (en) * 2014-02-21 2015-08-27 Farshad Farjami Wristband Accessories For A Wearable Computer
US9386042B1 (en) * 2014-10-08 2016-07-05 Vce Company,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s for utiliz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to manage applications in a computer network system
KR20160075079A (ko) * 2014-12-19 201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9743219B2 (en) * 2014-12-29 2017-08-22 Google Inc. Low-power wireless conten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20160187995A1 (en) * 2014-12-30 2016-06-30 Tyco Fire & Security Gmbh Contextual Based Gesture Recognition And Control
CN106161368B (zh) * 2015-04-07 2020-04-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用于对云应用进行远程访问的方法、装置及系统
US11269698B2 (en) * 2018-10-04 2022-03-08 Google Llc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a wearable computing device
US11151542B2 (en) * 2019-05-07 2021-10-19 Paypal, Inc. Wearable payment device
US11803626B2 (en) * 2021-06-08 2023-10-31 Mewt LLC Wireless kill swit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9992A2 (en) * 1996-09-12 1998-03-18 Nokia Mobile Phones Ltd. Telephone handset
US20030025603A1 (en) * 2001-08-01 2003-02-06 Smith Edwin Derek Master authenticator
US20050071647A1 (en) * 2003-08-27 2005-03-31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authentica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8340A (ja) * 1982-04-28 1983-11-02 Sony Corp 光学式再生装置
US4536754A (en) * 1983-05-13 1985-08-20 Sentrol, Inc. Magnetically retained connecting cable incorporating magnetically operated switch
JPS63181881U (ko) 1987-05-13 1988-11-24
US20020084904A1 (en) * 1996-12-20 2002-07-04 Carlos De La Huerga Electronic identification apparatus
US6354947B1 (en) * 1997-03-12 2002-03-12 U.S. Philips Corporation Multimedia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on between a screen-based host and various distributed and free-styled information containing items, and an information containing item for use with such system
US6825752B2 (en) * 2000-06-13 2004-11-3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Effortless entry system and method
US7016707B2 (en) 2000-06-21 2006-03-21 Seiko Epson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operatively processing incoming call
US20020135615A1 (en) 2001-01-31 2002-09-26 Microsoft Corporation Overlaid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s
AU2002255568B8 (en) 2001-02-20 2014-01-09 Adidas Ag Modular personal network systems and methods
US20030204526A1 (en) * 2002-04-24 2003-10-30 Saeid Salehi-Had Interlocking smart fob enabling secure access and tracking for electronic devices
US7134015B2 (en) 2003-01-16 2006-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ity enhancements for pervasive devices
US20040236752A1 (en) * 2003-05-19 2004-11-25 Keli Han Document sharing in a distributed server system
WO2005083546A1 (en) 2004-02-27 2005-09-09 Simon Richard Daniel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CN1998032A (zh) 2004-04-08 2007-07-11 拍奇私人有限公司 用于识别、授权和/或通知的装置
FI116809B (fi) * 2004-07-06 2006-02-28 Ist Oy Turvalaitejärjestelmä
WO2006039364A2 (en) * 2004-10-01 2006-04-13 Solidus Networks, Inc. D/B/A/ Pay By Touch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heck verification over a network
US7646300B2 (en) * 2004-10-27 2010-01-12 Intelleflex Corporation Master tags
US7751285B1 (en) 2005-03-28 2010-07-06 Nano Time, LLC Customizable and wearable device with electronic images
US8628019B2 (en) * 2007-01-03 2014-01-14 Actividentity, Inc. Configurable digital badge holder
GB2449510A (en) * 2007-05-24 2008-11-26 Asim Bucuk A method and system for the creation, management and authentication of links between people, entities, objects and devices
KR101529921B1 (ko) 2008-11-04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US8503932B2 (en) 2008-11-14 2013-08-06 Sony Mobile Commi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remote motion input device
US8717164B2 (en) * 2009-10-09 2014-05-06 Wind Willie, Llc Integrated security system for warning of dangerous substances that are dispersed by winds
EP2407948B1 (en) 2010-07-15 2013-08-28 Boomslang Instruments AB Sensor system for a personal alarm security device
US20120050532A1 (en) 2010-08-30 2012-03-01 Paragon Gps, Inc. Electronic Latch and Locking Device for a Personal Locating and Tracking Device
US8242868B2 (en) * 2010-09-17 2012-08-1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magnetic attachment system
US8390412B2 (en) * 2010-09-17 2013-03-05 Apple Inc. Protective cover
US8831677B2 (en) * 2010-11-17 2014-09-09 Antony-Euclid C. Villa-Real Customer-controlled instant-response anti-fraud/anti-identity theft devices (with true-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s for secured global applications in personal/business e-banking, e-commerce, e-medical/health insurance checker, e-education/research/invention, e-disaster advisor, e-immigration, e-airport/aircraft security, e-military/e-law enforcement, with or without NFC component and system, with cellular/satellite phone/internet/multi-media functions
US20120206296A1 (en) 2011-02-16 2012-08-16 Wan Lawrence A Self-charging power controlled system for locating animals by gps
US8952678B2 (en) * 2011-03-22 2015-02-10 Kirk S. Giboney Gap-mode waveguide
US8223024B1 (en) * 2011-09-21 2012-07-17 Google Inc. Locking mechanism based on unnatural movement of head-mounted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9992A2 (en) * 1996-09-12 1998-03-18 Nokia Mobile Phones Ltd. Telephone handset
US20030025603A1 (en) * 2001-08-01 2003-02-06 Smith Edwin Derek Master authenticator
US20050071647A1 (en) * 2003-08-27 2005-03-31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authentic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0210A1 (en) 2015-02-05
KR101680289B1 (ko) 2016-12-12
EP3028208A1 (en) 2016-06-08
US8972722B2 (en) 2015-03-03
WO2015017217A1 (en) 2015-02-05
CN105453100A (zh) 2016-03-30
AU2014296535A1 (en) 2016-02-04
CN105453100B (zh) 2018-04-20
BR112016002181A2 (pt) 2017-08-01
AU2014296535B2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289B1 (ko) 부착기구의 상태에 기반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액세스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435292B1 (ko)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599862B2 (en) Wearable device multi-mode system
EP3117284B1 (en) Selectively redirecting notifications to a wearable computing device
KR102229699B1 (ko) 정보 운용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166781B1 (ko) 요청 정보에 따른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7111342B (zh) 包括旋转体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432620B1 (ko) 외부 객체의 근접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204247B1 (ko) 전자 장치의 생체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AU20172937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39090B1 (ko)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361351A1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frictional sound
KR20170019127A (ko) 전자 장치 상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38632A (ko)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23493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460261B (zh) 用于管理内容的方法及其电子设备
CN105528540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579895B1 (ko) 전자장치, 이를 활용한 적외선 센서 기반의 심장 박동 수 측정 방법
KR102256683B1 (ko) 재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922510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582923B1 (ko) 컨텐츠 보호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7292A (ko) 음성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59880A (ko) 손가락 인식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것의 손가락 인식 방법
KR20160025410A (ko)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