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309A -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309A
KR20150047309A KR1020130127235A KR20130127235A KR20150047309A KR 20150047309 A KR20150047309 A KR 20150047309A KR 1020130127235 A KR1020130127235 A KR 1020130127235A KR 20130127235 A KR20130127235 A KR 20130127235A KR 20150047309 A KR20150047309 A KR 20150047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docking
rot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철
윤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309A/ko
Priority to US14/523,187 priority patent/US9524699B2/en
Publication of KR2015004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기기 제어 방법은 착용식 전자장치가 도킹장치에 장착됨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가 상기 도킹장치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연결이 확인된 경우, 제어 기능 선택 모드 실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를 실행한 경우, 제어 기능 메뉴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가 실행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더욱 다양한 실시 예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Wearable device and peripherals control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들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관심 증가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을 기반으로 착용식 전자장치(Wearable device)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착용되는 디바이스로서 예컨대, 손목 착용식 및 안경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는 휴대용 전자장치(비착용식)를 주머니나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는 신체 착용상의 이점을 위해 기존의 비착용식 전자장치에 비하여 경량화, 소형화되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에는 기존의 비착용식 전자장치에 비하여 빠른 배터리 소모, 작은 사이즈의 화면 등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는 보다 잦은 배터리 충전과,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주변기기와의 연동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를 주변기기에 거치한 경우,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가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주변기기에 장착된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은 표시부의 베젤 회전으로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착용식 전자장치,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제어 명령에 반응하여 기능이 제어되는 주변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기기 제어 방법은 착용식 전자장치가 도킹장치에 장착됨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가 도킹장치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연결이 확인된 경우, 제어 기능 선택 모드 실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를 실행한 경우, 제어 기능 메뉴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가 실행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가 주변기기에 거치된 경우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가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주변기기를 통해 착용식 전자장치가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의 주변기기 제어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 및 도킹 장치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가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가 제어 기능 선택 모드에서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의 주변기기 제어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도킹 장치(200), 착용식 전자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양한 기기가 해당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는 모니터, 태블릿, 휴대 전화기, 게임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킹 장치(200)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와 연동되어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에서 실행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 장치(200)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에서 발생된 명령을 연동된 기타 주변기기(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기 위한 경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기타 주변기기(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무선 연결되어 직접 명령을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킹 장치(200)의 외관은 컨트롤을 담당하는 메인 기기(예컨대, 착용식 전자장치) 및 기타 주변장치(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킹 장치(200)는 주변장치(예컨대,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장치(200)는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안착되는 안착부(20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착부(205)는 도킹장치(200)의 무선 연결장치 및 무선충전 안테나가 존재하는 본체의 커버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킹 장치(200)는 안착부(205)에 안착되는 기기와 근접한 위치에서 무선 연결이 체결되므로 보다 원활한 도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 장치(200)는 스피커(210)를 본체의 양 옆에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외관이 손목 시계와 흡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도킹 장치(200)에 형성된 거치대에 거치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함께 상기 도킹 장치(200)에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킹 장치(200)는 착용식 전자장치(3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도킹 장치(200)는 메인 기기에서 발생되는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명령에 대한 기능을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 장치(200)는 내부에 설치된 무선충전 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거치될 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2의 205과정에서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도킹 장치(200)에 장착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도킹 장치(200)에 형성된 안착부(20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05)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도킹 장치(200)와 보다 원활히 무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위치된 본체상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도킹 장치(200)의 안착부(205)에 안착될 경우,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210단계에서 기기간 무선 연결 혹은 유선 연결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도킹 장치(200)와 유/무선 연결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킹 장치(200)는 기기 장착을 감지하는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기기간 무선 연결이 확인되면, 215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215과정에서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화면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연동 완료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15 과정에서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도킹 장치(200)를 통해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 이후,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220과정에서 제어 기능 선택 모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는 예컨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일 측면에 형성된 버튼을 누르는 경우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에서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수행할 수 있는 주변기기 제어방법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수행할 수 있는 주변기기 제어방법은 줌 기능, 페이지 이동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제어 기능 선택 모드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225과정에서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특정 프로그램(예컨대, 음악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이 수행될 경우에 사용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을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면,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제어 기능 선택 모드가 수행되면, 230과정에서 제어 기능 메뉴를 표시하고,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능 메뉴는 예컨대,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 이후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235과정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어 기능 선택 모드에서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서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 3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 및 도킹 장치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3a를 참조하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는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표시부(305)에 수평하고 상기 도킹장치(200)의 양 옆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따라 길게 뻗어지는 모양의 y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y축은 안착부(205)를 측면에서 볼 경우, 안착부(205)의 중심을 축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달리 말해 측면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a는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표시부(305)에 수직한 축을 z축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3b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표시부(305)와 밴드(310)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b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상기 표시부(305)의 둘레를 둘러싼 베젤 영역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도 3c와 같이 도킹 장치(200)에 안착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그 뿐 아니라 상기 도킹 장치(20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안착된 채로Y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킹 장치(200)의 회전은 예컨대, 회전에 따른 도킹 장치(200) 내부의 가변저항의 저항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킹 장치가 회전될 때 착용식 전자장치(300)도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 내부에 실장된 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 등을 이용하여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d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에서 베젤이 회전함을 인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d는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표시부를 둘러싸고 있는 외관의 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베젤의 회전을 인식하기 위해 패턴이 형성된 베젤 회전부(325)와, 베젤의 외관을 지지하고 있는 베젤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예컨대, 빛의 반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 하우징(320)에는 포토 센서(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토 센서(330)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베젤 회전부(325)의 내부의 일 지점에 빛을 투사할 수 있다. 베젤 회전부(325)의 일 지점에 투사된 빛은 다시 반사되어 상기 포토 센서(330)의 수광부로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토 센서(330)는 수광부로 수집된 빛에 해당되는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집된 빛은 베젤 회전부(325) 내부의 패턴 중 어느 지점에서 반사되었느냐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갖는 지점에서 반사된 경우, 상기 빛에 해당되는 신호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낮은 반사율을 갖는 지점에서 빛이 반사되는 경우, 수광부에 입사된 빛의 신호는 낮은 값을 갖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포토 센서(330)는 수집되는 빛의 신호 값이 변화한 횟수를 감지하여 베젤 회전부(325)의 회전 정도 및 회전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회전을 감지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방법이 적용가능하다.
이하, 도 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상기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에서 기 설정된 제어 방법으로 제어되는 특정 프로그램이 수행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a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예컨대, 음악 재생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제어 기능 선택 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선택 메뉴가 표시되지 않은 채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라디오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상기 프로그램상에서 맵핑된 제어 방법을 갖고 있으며,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를 y축 및 z축 회전을 수행할 경우, 기 설정된 제어 방법이 동작하게 된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재생 기능이 수행되는 중,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표시부(30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빨리 감기 기능이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표시부(30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음악 재생기능은 되감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각 기능에 맵핑된 제어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표시부(305)회전에 따른 기능은, 화면의 밝기 조정, 재생 모드 변경, 재생 파일 변경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는 착용식 전자장치의 홀딩부(310)를 회전(착용식 전자장치를 y축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동작에 맵핑된 제어 기능이 수행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재생 기능이 수행되는 중에,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홀딩부(310)가 회전되면, 상기 동작에 맵핑된 제어 기능인 볼륨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상기 홀딩부(31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볼륨이 감소되고, 상기 홀딩부(31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볼륨이 증가되도록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방법에 의해 변경된 볼륨은 도킹 장치(200)에 부속된 스피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5d를 참조하여,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제어 기능 선택 모드인 경우에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가 제어 기능 선택 모드에서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제어 기능 선택 모드인 경우 표시부(305)에 표시되는 메뉴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일 측면에 제어 기능 선택 모드를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5)에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제공할 수 있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가 제어 기능 선택 모드를 실행한 경우, 표시부(305)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기능(Zoom), 이동 기능(Move), 페이지 제어 기능(Page), 터치 패드 기능(Touch pad)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열거된 기능 중 제어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는 특정 제어 기능이 맵핑되지 않은 동작(예컨대, 인터넷 페이지 실행)을 수행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표시부(305) 및 홀딩부(310)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맵핑된 별도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 기능 선택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b는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에서 줌 기능을 선택한 경우의 주변기기 제어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5b의 510은 주변기기 제어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줌 인(Zoom In) 기능이 수행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도 5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킹 장치(200)의 안착부(205)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도킹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홀딩부(310)는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도킹장치(200)의 안착부(205)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도킹장치(200)의 안착부(205)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줌 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b의 520은 주변기기 제어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줌 아웃(Zoom Out) 기능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는 5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살표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도킹장치(200)의 안착부(205)도 함께 아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안착부(205)가 아래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줌 아웃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는 축소된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c는 제어 기능 선택 모드에서 이동 기능(Move)이 선택된 경우에 주변기기가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제어 기능 선택 모드에서 이동 기능을 선택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는 포인터(531)가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착용식 전자장치(300)를 조작하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포인터의 이동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c의 530을 참조하면,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홀딩부(310) 화살표 방향(상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포인터(531)가 상기 안착부의 회전에 상응하는 위치(532)로 이동될 수 있다. 실제 Y축 회전 동작은 홀딩부(310)가 안착된 도킹장치(200)의 안착부(205)가 회전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홀딩부(310)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530에 도시된 바로는 안착부의 상향 회전에 대응되는 포인터의 상향 이동이 도시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향 회전에 따른 포인터의 하향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c의 540은 포인터의 대각선 이동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 기능 선택 모드에서 이동 기능이 선택된 경우, 54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 지점에는 포인터(541)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표시부(305)의 회전은 상기 포인터(541)의 가로측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홀딩부(310)의 회전은 상기 포인터(541)의 세로측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305)의 회전 방향이 우측이면, 상기 포인터도 우측으로 이동되고, 회전 방향이 좌측이면, 상기 포인터도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홀딩부(310)의 회전 방향이 상측이면, 상기 포인터도 상측으로 이동되고, 회전 방향이 하측이면, 상기 포인터도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c의 540은 착용식 전자장치의 표시부(305)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홀딩부(310)가 상측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초기 생성된 포인터(541)를 상기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우측 및 상측으로 이동된 특정 지점(542)에서 표시할 수 있다.
도 5d는 제어 기능 선택 모드에서 터치 패드 기능(Touch Pad)이 선택된 경우의 주변기기 제어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터치 패드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는 화면에 포인터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d의 550은 착용식 전자장치(300)의 표시부(305)의 일 지점을 터치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화면상에 기 표시된 포인터는 상기 터치에 반응하여 화면의 일 지점(551)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d의 560은 터치 패드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표시부(305)에 멀티 터치가 이루어진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기 멀티 터치에 반응하여 화면에 기 존재하던 포인터가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상태와 같이 메뉴를 표시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표시부(305)가 터치 패드의 기능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0: 도킹 장치
205: 안착부
210: 스피커
300: 착용식 전자장치
305: 표시부
310: 홀딩부

Claims (14)

  1. 표시부의 베젤 회전으로 제어 명령하는 착용식 전자장치;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제어 명령에 반응하여 기능이 제어되는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와 결합되는 도킹 장치;
    상기 도킹 장치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와의 결합 시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홀딩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연결 장치;
    상기 거치 시 착용식 전자장치의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충전 안테나;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제어 명령에 반응하여 오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도킹장치의 측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의 방향 및 정도에 근거하여 주변기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도킹장치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제어 명령에 반응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도킹장치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홀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는
    상기 표시부의 베젤을 회전하는 방법으로 주변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8. 착용식 전자장치가 도킹장치에 장착됨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가 상기 도킹장치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연결이 확인된 경우, 제어 기능 선택 모드 실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를 실행한 경우, 제어 기능 메뉴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
    상기 제어 기능 선택 모드가 실행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도킹장치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연결이 확인된 경우, 기기간 연동 완료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무선 충전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은
    제어 기능 메뉴 중 줌 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표시부 베젤 회전 또는 도킹장치의 안착부 회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화면의 줌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은
    제어 기능 메뉴 중 이동 기능이 선택된 경우,
    화면에 포인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표시부 베젤 회전 또는 상기 도킹장치의 안착부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은
    제어 기능 메뉴 중 터치 패드 기능이 선택된 경우,
    화면에 포인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표시부를 단일 터치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표시부를 멀티 터치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의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착용식 전자장치의 표시부 베젤 회전 및 도킹장치의 안착부 회전에 따라 제어되는 기능이 각각 기 설정된 특정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과정;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표시부 베젤 회전 또는 상기 안착부 회전이 수행되는 경우 음량 조절, 재생 위치 조절, 화면 밝기 조절, 재생 모드 변경, 재생 파일 변경 중 맵핑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KR1020130127235A 2013-10-24 2013-10-24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50047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235A KR20150047309A (ko) 2013-10-24 2013-10-24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4/523,187 US9524699B2 (en) 2013-10-24 2014-10-24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ipheral device control method f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235A KR20150047309A (ko) 2013-10-24 2013-10-24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09A true KR20150047309A (ko) 2015-05-04

Family

ID=5299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235A KR20150047309A (ko) 2013-10-24 2013-10-24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24699B2 (ko)
KR (1) KR201500473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768A (ko) * 2017-10-11 2019-04-19 김동욱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71244B1 (ko) 2019-02-11 2020-03-11 (주)리즘인터랙티브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US10636398B2 (en) 2015-10-07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electronic device
KR102143420B1 (ko) 2019-02-11 2020-08-11 (주)리즘인터랙티브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552A (ko) * 2015-12-22 2017-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KR102539052B1 (ko) 2018-11-13 202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2343B2 (en) * 2002-06-11 2005-10-04 Fujitsu Limited Functional expan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electronic apparatus to the functional expansion apparatus
US20110210931A1 (en) * 2007-08-19 2011-09-01 Ringbow Ltd. Finger-worn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s
JP2012503838A (ja) 2008-09-25 2012-02-09 コビ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回転機構を備えた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US8972722B2 (en) * 2013-07-30 2015-03-03 Google Inc. Controlling a current access mode of a computing device based on a state of an attachment mechanis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6398B2 (en) 2015-10-07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electronic device
KR20190040768A (ko) * 2017-10-11 2019-04-19 김동욱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71244B1 (ko) 2019-02-11 2020-03-11 (주)리즘인터랙티브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KR102143420B1 (ko) 2019-02-11 2020-08-11 (주)리즘인터랙티브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16217A1 (en) 2015-04-30
US9524699B2 (en)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438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CN105759422B (zh) 显示系统和显示装置的控制方法
US9524699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ipheral device control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9426478B (zh) 用于使用多个控制器控制电子设备的显示器的方法和设备
CN106168848B (zh)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US20130328770A1 (en) System for projecting content to a display surface having user-controlled size, shape and location/direction and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US20150035781A1 (en) Electronic device
JP6301613B2 (ja) 携帯通信端末、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201701382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722933B1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130142824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740584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39985B1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743168A (zh) 虚拟场景中的虚拟对象控制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853128A (zh) 虚拟物体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220011887A1 (en)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operation based on user input via electronic pe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439448B2 (ja) 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11158575B (zh) 终端执行处理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JP6932917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WO2016149873A1 (zh) 智能交互方法、设备及系统
JP201820041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8003751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605474B1 (ko)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JP6459516B2 (ja) 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サーバー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13242466B (zh) 视频剪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