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244B1 -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244B1
KR102071244B1 KR1020190015380A KR20190015380A KR102071244B1 KR 102071244 B1 KR102071244 B1 KR 102071244B1 KR 1020190015380 A KR1020190015380 A KR 1020190015380A KR 20190015380 A KR20190015380 A KR 20190015380A KR 102071244 B1 KR102071244 B1 KR 10207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ecognition
sticker
iot button
io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남세우
이수영
윤지나
정해란
Original Assignee
(주)리즘인터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즘인터랙티브 filed Critical (주)리즘인터랙티브
Priority to KR102019001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센서(110)가 부착된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이용한 것으로,
(1) 대상 투표지에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부착되는 IoT버튼부착단계;
(2)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상기 대상 투표지에 부착한 후 부착된 위치를 기반으로 적합한 선택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선택지판단단계;
(3) 상기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과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서버를 통하여 연동되는 기기연동단계;
(4) 상기 지문인식센서(110)에 미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되고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로 스캔되는 스캔단계;
(5)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통해 집계된 투표 진행 및 결과 확인이 가능한 집계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the voting method using the sticker type fingerprint recognition IoT button}
본 발명은 기존의 전자 기기에 스티커형으로 제작된 IoT버튼을 부착하고,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키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상기 전자 기기를 간단히 제어하되, 증강현실 등으로 기 설정된 정보나 입력된 데이터 값을 확인 할 수 있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과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사물인터넷의 영향으로 IoT 기기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IoT 버튼 제품들은 비즈니스 분야에서 상품 구매를 위한 단축 버튼이나, 스마트 홈 분야에서 기기 원격 제어를 위한 단축 버튼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버튼 동작을 설정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공용 공간 및 기기에 대한 동작에 대해 사용자 별로 구분할 수 없고, 의도하지 않은 제 3자에 의한 조작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상기 IoT 기기들은 해킹이 취약하고 사용자의 이력을 반영한 구동을 할 수 없어 이용에 제약이 따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IoT 버튼에 지문인식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자에 따른 버튼 동작을 구분하고 사용자 별 사용 내역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커피메이커, 정수기 등의 전자 기기에 IoT버튼을 간단히 탈착식으로 부착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키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상기 전자 기기를 간단히 제어하되, 증강현실 등으로 기 설정된 정보나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과
IoT 버튼에 지문인식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투표권이 있는 사용자인지를 구분하고 사용자에 따른 버튼 동작을 구분할 수 있도록 IoT버튼을 투표용지에 간단히 탈착식으로 부착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키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증강현실 등으로 시각적으로 간편히 투표 결과 혹은 저장된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7309호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2015년05월04일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6444호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2017년07월04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기존의 전자 기기에 스티커형으로 제작된 IoT버튼을 부착하고,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키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상기 전자 기기를 간단히 제어하되, 증강현실 등으로 기 설정된 정보나 입력된 데이터 값을 확인 할 수 있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과
대상 투표용지에 사용자의 투표권 여부와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버튼 동작을 구분할 수 있도록 IoT버튼을 간단히 탈착식으로 부착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키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투표권여부 확인절차 없이 투표에 참여하고, 증강현실 등으로 시각적으로 간편히 투표 결과 혹은 저장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문인식센서(110)가 부착된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이용한 것으로,
(1) 대상 투표지에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부착되는 IoT버튼부착단계;
(2)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상기 대상 투표지에 부착한 후 부착된 위치를 기반으로 적합한 선택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선택지판단단계;
(3) 상기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과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서버를 통하여 연동되는 기기연동단계;
(4) 상기 지문인식센서(110)에 미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되고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로 스캔되는 스캔단계;
(5)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통해 집계된 투표 진행 및 결과 확인이 가능한 집계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자 기기에 스티커형으로 제작된 IoT버튼을 부착하고,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키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상기 전자 기기를 간단히 제어하되, 증강현실 등으로 기 설정된 정보나 입력된 데이터 값을 확인 할 수 있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과
대상 투표용지에 사용자의 투표권 여부와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버튼 동작을 구분할 수 있도록 IoT버튼을 간단히 탈착식으로 부착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키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투표권여부 확인절차 없이 투표에 참여하고, 증강현실 등으로 시각적으로 간편히 투표 결과 혹은 저장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대상 기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 이동식단말기, 서버 상호간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대상 기기를 커피메이커로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을 여러 대상 기기를 예로써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대상 기기가 커피메이커일 경우에 본 발명이 진행되는 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증강현실이 추가되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IoT 투표용지,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 이동식단말기, 서버 상호간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투표지에 적용하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대상 기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 이동식단말기, 서버 상호간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와 IoT 스티커 연동 및 AR을 통한 정보 확인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은,
지문인식센서(110)가 부착된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이용한 것으로,
(1) 대상 기기에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부착되는 IoT버튼부착단계;
(2) 상기 지문인식센서(110)에 미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되고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로 스캔되는 스캔단계;
(3) 상기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대상 기기와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서버를 통하여 연동되는 기기연동단계;
(4)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대상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정보 확인 단계;
(5) 상기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대상 기기 동작부에 부착하고 정당한 사용자가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눌러 대상 기기를 동작시킬 경우 사전에 설정한 설정값으로 대상 기기가 동작하는 기기동작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4) 정보 확인 단계; 는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사용이력을 반영하여 설정된 정보나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4) 정보 확인 단계; 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비추면 기 설정값이나 축적된 데이터 값이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 주변에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 스캔단계에서 스캔방법은 상기 지문인식센서(110) 표면이나 주변에 QR 코드 등을 스캔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과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연동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지문 인식 없이 이동식단말기가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에 일정 거리내로 접근하면 상기 (3) 기기연동단계가 동시에 작동하여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과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연동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대상 기기를 커피메이커로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뒷면은 여러번 탈부착이 가능한 스티커 타입의 접착수단이 부착된다.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본체는 유연성(flexible)이 확보된 재질로서, 얇은 지문인식센서가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착수단은 흡착기능이 있는 Nano micro suction foam으로서, 부착되는 제품의 재질에 상관없이 탈부착이 용이하고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지문인식센서(110)가 부착되고 내부에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과 전원공급장치 등을 탑재한 제어부가 설치된다.
도 2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 구성
- 특정시간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장치 및 제어를 위한 메모리 부
- 생체 정보 인증 여부를 (특정)전자기기로 보내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부
- 생체 정보 판단부 및 생체정보의 수집 및 유출을 막기 위한 생체 보안 코드를 포함한 지문인식센서
- 지문인식센서의 훼손을 막기 위한 제품 중간의 몸체 및 부착을 위한 하단의 접착수단
2. 지문인식 센서의 작동
-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은 사용자 휴대폰의 생체인증 데이터 부에 입력되어 있는 지문 정보와 IoT버튼에 입력된 지문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 시 통신부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됨.
- 생체인증을 통하여 외부기기와 연결되면, 외부 제품이 사전에 설정된 값을 실행한다. 또한 실행 기록을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AR애플리케이션 서버에 기록한다.
- 위에서 수행된 모든 기록은 쌍방으로 송수신된다. 단, 지문인식 정보는 보안상 센서에서 일치 여부만 확인되며, 기기 내에 저장되지 않는다. 또한 보안코드가 잠길 시 외부의 정보는 유효하지 않게 된다.
3.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부착 후 작동 원리
-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있다. (특정) 전자제품의 구동부에 해당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부착 시 전자제품의 무선 송신부와 연결이 되며 쌍방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 지문인식 보안정보는 (특정) 전자제품의 메모리에 기록되지 않는다.
- 증강현실(AR)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시에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과 연결 및 사용될 수 있으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특정한 매개체와 연결 및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직접적으로 사용 할 수 없다.
4, 증강현실(AR) 관리 어플리케이션 작동
-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인식을 위한 촬영 부
- 촬영한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정보생성 부
- 촬영시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얼라인 처리 부
-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를 인식 후, 증강현실로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증강현실처리 부
- 인식한 전자기기의 항목별로 적합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기기항목별 분류 표시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을 여러 대상 기기를 예로써 표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 정보 확인 단계; 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비추면 기 설정값이나 축적된 데이터 값이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 주변에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대상 기기가 커피메이커일 경우에 본 발명이 진행되는 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누르면 지문인식센서(110)에 지문이 인식되어 사용자를 구별하고 그 사용자의 사용이력이나 미리 설정한 메뉴에 따른 커피가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별도의 조작버튼을 통한 설정과정이 불필요하다.
도 6은 도 5에서 증강현실이 추가되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비추면 기 설정값이나 축적된 데이터 값이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 주변에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Ⅱ.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IoT 투표용지,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 이동식단말기, 서버 상호간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투표지에 적용하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은,
지문인식센서(110)가 부착된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이용한 것으로,
(1) 대상 투표지에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부착되는 IoT버튼부착단계;
(2)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상기 대상 투표지에 부착한 후 부착된 위치를 기반으로 적합한 선택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선택지판단단계;
(3) 상기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과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서버를 통하여 연동되는 기기연동단계;
(4) 상기 지문인식센서(110)에 미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되고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로 스캔되는 스캔단계;
(5)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통해 집계된 투표 진행 및 결과 확인이 가능한 집계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5) 집계확인단계;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비추면 기 설정값이나 축적된 데이터 값이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 주변에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 선택지판단단계에서 판단방법은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일정한 선택지의 위치에 부착 시, 해당 위치 값을 통하여 그에 적합한 선택지로서 판단되며, 지문 입력 시 해당 선택지의 입력 값을 서버로 전달한다.
그리고 추가로 (6) 투표결과 및 집계는 관리자의 이동식단말기로 전송되는 결과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4) 스캔단계; 이후에,
(4-1) 상기 사용자가 투표권을 가진 투표권자인지 자동으로 구분되어 인식되고 미리 설정된 매핑값에 따라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사용할 수 있는 투표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투표지에 적용하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뒷면은 여러번 탈부착이 가능한 스티커 타입의 접착수단이 부착된다.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본체는 유연성(flexible)이 확보된 재질로서, 얇은 지문인식센서가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착수단은 흡착기능이 있는 Nano micro suction foam으로서, 부착되는 제품의 재질에 상관없이 탈부착이 용이하고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지문인식센서(110)가 부착되고 내부에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과 전원 공급 장치 등을 탑재한 제어부가 설치된다.
1)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 구성
- 특정시간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장치 및 제어를 위한 메모리 부
- 생체 정보 인증 여부를 (특정)전자기기로 보내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부
- 생체 정보 판단부 및 생체정보의 수집 및 유출을 막기 위한 생체 보안 코드를 포함한 지문인식센서
- 투표용지에 부착 시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선택지 값을 판단하기 위한 위치 값 판단부
- 지문 인증을 통하여 입력된 결과 값을 집계하고 서버에 전달하기 위한 집계 값 판단부
- 지문인식센서의 훼손을 막기 위한 제품 중간의 몸체 및 부착을 위한 하단의 접착수단
2) 지문인식 센서의 작동
-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은 사용자 휴대폰의 생체인증 데이터 부에 입력되어 있는 지문 정보와 IoT버튼에 입력된 지문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 시 통신부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된다.
- 생체인증을 통하여 투표를 진행 할 시, 해당 집계 결과를 AR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다. 또한 실행 기록을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AR애플리케이션 서버에 기록한다.
- 위에서 수행된 모든 기록은 쌍방으로 송수신된다. 단, 지문인식 정보는 센서는 보안상 일치 여부만 확인되며, 기기 내에 저장되지 않는다. 또한 보안코드가 잠길 시 외부의 정보는 유효하지 않게 된다.
3)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투표용지 부착 후 작동 원리
-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있다. 투표용지에 해당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부착 시 증강현실(AR)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무선 송신부와 연결이 되며 쌍방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 증강현실(AR)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시에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과 연결 및 사용될 수 있으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특정한 매개체와 연결 및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직접적으로 사용 할 수 없다.
4) 증강현실(AR) 관리 어플리케이션 작동
- 투표용지에 부착된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인식을 위한 투표용지 촬영 부
- 촬영한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정보생성 부
- 촬영시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얼라인 처리 부
-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를 인식 후, 증강현실로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증강현실처리 부
- 인식한 투표 선택 값의 항목별로 적합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집계 결과 표시 처리 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투표의 사용 예로써 표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 정보 확인 단계;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비추면 집계된 투표 결과가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 주변에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및 8의 실시예는 SNS 상에서의 통상적인 투표기능을 본 발명에서 다소 아날로그적인 요소를 부가하여 실현한 것으로,
(1) IoT 버튼 또는 스티커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맵핑키트(Mapping kit)를 프린트기로 출력한다.
(2) 출력한 투표지에 의제가 될 내용을 글로 작성한다. 물론 상기 출력전에 입력하여 출력할 수 있다.
(3) 원하는 위치에 투표지를 붙인다.
(4) 투표지에 표시된 찬반 등의 설정된 위치에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각각 붙인다.
(5) 사용자들이 와서 각 버튼을 선택하면 기능을 처음에 Mapping했던 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로 투표 결과가 누적되어 표시된다. 물론 증강현실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투표지의 템플릿은 본 발명의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 IoT Sticker)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해당 투표지의 템플릿은 PC로 투표 내용을 기입하고 선택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 허용 및 투표 가능 회수 등의 세부설정을 할 수 있다.
투표지를 인쇄 후, IoT Sticker를 선택지의 위치에 부착시 자동으로 해당 선택지로 Mapping 된다.
특정인이 투표를 위하여 스티커를 누를 경우 지문이 인식되며 투표 참여자의 여부가 확인된다.
이후 AR 카메라로 확인 시 투표의 집계상황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App으로 집계 결과가 자동 전달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1) PC를 통하여 투표 안건을 기입하고 선택지를 생성한다.
(2) IoT Sticker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Mapping kit 투표용지를 프린트기로 출력한다.
(3) 원하는 위치에 투표지를 붙인다.
(4) 투표지에 표시된 찬반 등의 설정된 위치에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각각 붙인다. 그와 동시에 자동으로 선택지가 Mapping 된다.
(5) 사용자가 투표를 할 경우, 결과 값이 집계되며 서버 및 관리자의 app으로 투표 결과가 누적된다.
(6)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증강현실을 통하여 집계 상황 및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
110: 지문인식센서

Claims (3)

  1. 지문인식센서(110)가 부착된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이용한 것으로,
    (1) 대상 투표지에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부착되는 IoT버튼부착단계;
    (2)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상기 대상 투표지에 부착한 후 부착된 위치를 기반으로 적합한 선택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선택지판단단계;
    (3)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과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서버를 통하여 연동되는 기기연동단계;
    (4) 상기 지문인식센서(110)에 미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되고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이 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로 스캔되는 스캔단계;
    (5)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통해 집계된 투표 진행 및 결과 확인이 가능한 집계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5) 집계확인단계;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가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비추면 기 설정된 정보나 투표결과 등을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 주변에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4) 스캔단계; 이후에,
    (4-1) 상기 사용자가 투표권을 가진 투표권자인지 자동으로 구분되어 인식되고 미리 설정된 매핑값에 따라 상기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100)을 사용할 수 있는 투표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KR1020190015380A 2019-02-11 2019-02-11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KR10207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80A KR102071244B1 (ko) 2019-02-11 2019-02-11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80A KR102071244B1 (ko) 2019-02-11 2019-02-11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244B1 true KR102071244B1 (ko) 2020-03-11

Family

ID=6980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380A KR102071244B1 (ko) 2019-02-11 2019-02-11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2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309A (ko)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6444A (ko)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309A (ko)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식 전자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6444A (ko)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3300B2 (en) Method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through a wearable device
US7450012B2 (en) RFID reader/writer device
US20180047014A1 (en) Multi-Function Data Key
US20070145121A1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the authorization of a transaction using a credit card, ATM card, or secured personal ID card
CN101213559A (zh) 通信装置和通信系统
US201001831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US20050211784A1 (en) Information card
US20070242887A1 (en) Portable Terminal, Image Information Match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Image Information Match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MXPA05013288A (es) Metodo y sistema para crear y operar aparatos de manejo de credenciales permitidos biometricamente de multiple proposito.
CN105447691A (zh) 基于地理位置的电子卡交易授权
CN105447694A (zh) 通过ce设备的触摸屏接收指纹
CN102713920A (zh) 以个体化形式认证和控制数据交换的个人化多功能接入装置
US9626673B2 (en) Financial transaction based o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112106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of account information
US7648073B2 (en) Data acquisition device
CN106296171B (zh) 移动终端的刷卡方法及装置
CN106447941A (zh) 办证自助设备
US20220351201A1 (en) Multi-Function Data Key
US20070234066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providing format conversion functionality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id functionality
KR20150093044A (ko) Nfc를 이용한 근태관리시스템
US20070234065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providing format conversion functionality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id functionality
EP1398737A2 (en) Identification system
CN106407780A (zh) 应用运行的方法及装置
KR102071244B1 (ko) 스티커형 지문인식 IoT버튼을 이용한 투표방법
US20070006298A1 (en) Controlling access to a workstation system via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