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837A -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투영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투영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837A
KR20160023837A KR1020167001862A KR20167001862A KR20160023837A KR 20160023837 A KR20160023837 A KR 20160023837A KR 1020167001862 A KR1020167001862 A KR 1020167001862A KR 20167001862 A KR20167001862 A KR 20167001862A KR 20160023837 A KR20160023837 A KR 2016002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ion
light
light spot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853B1 (ko
Inventor
신이치 수미요시
후미히로 나카시게
오토이치 나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6002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6Projecting separately subsidiary matter simultaneously with main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04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by four or more separation recor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08Sequential recording or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2Driv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0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kil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2Function characteristic spatial light modula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5Field-sequential colou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화상 투영 시스템은 화상 데이터를 투영면에 투영하는 화상 투영 장치와, 상기 화상 투영 장치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 투영 장치는 구동 제어부, 설정부 및 동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부, 촬영 제어부, 광점 화상 검출부 및 화상 신호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촬상부가 상기 장면을 촬영케 한다. 상기 광점 화상 검출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상기 장면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점 장치가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에 생성한 상기 광점의 화상을 검출한다. 상기 화상 신호 전송부는 투영용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 송신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투영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PROJEC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투영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문자나 그래프 등의 화상을 확대 투영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에 대해 프리젠테이션 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프리젠테이션 시에 발표자는 설명을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스크린에 투영된 화상을 레이저 포인터 등을 이용하여 지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발표자가 레이저 포인터로 투영 화상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것은 손 흔들림에 의해 원하는 장소를 정확히 가리킬 수 없다고 한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이저 포인터로 조사한 지점을 프로젝터에 내장된 전하 결합 소자(CCD) 카메라가 감지하여 이 조사 지점과 동일한 지점에 포인터 화상을 표시하는 기술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처럼 레이저 포인터로 조사된 지점을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감지하는 경우,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빔과 투영된 화상 사이의 색상 또는 밝기 감도가 유사하다면 무엇이 투영되는지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로 조사진 지점을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11-27167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이저 포인터 등의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점을 높은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투영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상 투영 시스템은 화상 데이터를 투영면에 투영하는 화상 투영 장치와; 상기 화상 투영 장치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 투영 장치는 구동 제어부, 설정부 및 동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구동 제어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투영하기 위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 색상의 필터에 시간 단위로 광을 투과시켜 원하는 색조를 가지면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설정부는 상기 투영면 또는 그 근처에 광점을 발생시키는 광점 장치의 광점의 색상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복수 색상의 필터 중 상기 설정된 광점의 색상에 가장 가까운 색상의 광이 투영되지 않은 기간을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장면(scene)을 촬상부로 촬영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한 동기 신호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부, 촬영 제어부, 광점 화상 검출부 및 화상 신호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촬상부가 상기 장면을 촬영케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점 화상 검출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상기 장면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점 장치가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에 생성한 상기 광점의 화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상 신호 전송부는 투영용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투영 장치의 사용 양태를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투영 장치의 하드웨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투영 장치 및 외부 개인용 컴퓨터(PC)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투영 패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색상환(color wheel) Cy-W-R-M-Y-G-B의 7개 세그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색상환의 7개 필터와 해당 필터를 통해 화상 신호가 투영면에 투영될 때의 RGB 데이터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투영광이 색상환의 일 주기로 통과되는 7개 세그먼트와 투영광 색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레이저 포인터가 투영 화상에 대해 적색, 녹색, 청색의 레이저 빔을 조사한 경우의 여러 화상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투영 화상에 대하여 투영된 레이저 포인터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타이밍 A, B, C로 촬영한 경우에 검출된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포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단색의 레이저 포인터를 검출하기 위한 색상환의 회전 주기와 촬영 카메라의 촬영 주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복수 색의 레이저 포인터를 검출하기 위한 색상환의 회전 주기와 촬영 카메라의 촬영 주기와 셔터 타이밍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사영 변환 계수(projective transformation coefficient)의 산출과 레이저 포인터로부터의 레이저 빔의 검출을 위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투영 장치에 있어서 포인터로부터 레이저 빔의 투사 양태의 일례를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투영 장치에 있어서 포인터로부터 레이저 빔의 투사 양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의 투영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투영 장치의 하드웨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레이저 포인터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검출하기 위한 화상 신호의 투사 타이밍과 촬영 카메라의 셔터 타이밍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응력 발광체로 구성된 스크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스크린 중에 사용자에 의해 압박된 부위가 발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투영 장치 및 외부 PC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은 스크린의 소정 부위를 누르면 그 소정 부위에 특정 화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상 투영 장치를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투영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투영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도이다. 화상 투영 장치(10)는 외부 PC(20)와 접속되어 외부 PC(20)로부터 입력된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 등의 화상 데이터를 투영면인 스크린(30)에 투영한다. 도 1은 사용자가 조사 장치로서 레이저 포인터(40)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외부 PC(20)에는 카메라부(22)가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부(22)는 외부 하드웨어로서 제공되거나 외부 PC(20)에 내장될 수 있다.
도 2는 화상 투영 장치의 하드웨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상 투영 장치(10)는 광학계(3a)와 투사계(3b)를 포함한다. 광학계(3a)는 색상환(color wheel)(5), 광 터널(6), 릴레이 렌즈(7), 평면 미러(8) 및 오목 미러(9)를 포함한다. 이들 부재는 각각 화상 투영 장치(10)의 본체 내에 설치된다. 또한, 화상 투영 장치(10)에는 화상 형성부(2)가 설치된다. 화상 형성부(2)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소자인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소자(DMD)를 포함한다.
원반 형상의 색상환(5)은 광원(4)으로부터의 백색광을 단위 시간 간격마다 그 색상이 RGB 중에서 반복적으로 변하는 광으로 변환시키고 해당 광을 광 터널(6)로 출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색상환(5)을 포함하는 화상 투영 장치(10)에서 레이저 포인터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검출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이 예에서, 레이저 포인터는 청구범위의 "광점 장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색상환(5)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광 터널(6)은 판유리를 서로 접합시켜 형성한 관 형상을 가지며, 색상환(5)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릴레이 렌즈(7)로 안내한다. 릴레이 렌즈(7)는 두 장의 렌즈를 조합하여 포함하고, 광 터널(6)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축방향 색수차를 보정하면서 집광한다. 평면 미러(8) 및 오목 미러(9)는 릴레이 렌즈(7)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고 해당 광을 화상 형성부(2)로 안내함으로써 집광을 행한다. 화상 형성부(2)는 비디오나 정지 화상의 데이터를 기초로 시분할 방식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마이크로미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경면을 가지는 DMD를 포함한다. DMD는 투사광을 처리 및 반사하여 특정 화상 데이터를 형성한다.
광원(4)은 예컨대 고압 수은 램프이다. 광원(4)은 백색광을 광학계(3a)로 조사한다. 광학계(3a) 내에서는 광원(4)으로부터 조사된 백색광이 RGB의 광 성분으로 분광되어 화상 형성부(2)로 안내된다. 화상 형성부(2)는 변조 신호에 따라 화상을 형성한다. 투사계(3b)는 형성된 화상을 확대 투사한다.
도 2에 예시된 화상 형성부(2)의 수직 방향 상부에, 즉 도 2의 외측에 오프광 판(OFF light plate)이 제공된다. 오프광 판은 화상 형성부(2)로 입사되는 광 중에서 투사광으로서는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광을 수광한다. 화상 형성부(2)로 광이 입사하면, DMD의 동작에 의해 시분할 방식으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마이크로미러가 작동된다. 마이크로미러는 사용될 광을 투사 렌즈로 반사하고, 버리는 광을 오프광 판으로 반사한다. 화상 형성부(2)에서는 투사 화상에 사용하는 광이 투사계(3b)로 반사되어 복수의 투사 렌즈를 통해 확대된 후, 확대된 화상 광이 투사된다.
도 3은 화상 투영 장치(10) 및 외부 PC(2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화상 투영 장치(10)는 투사계(3b) 및 광학계(3a)의 구동과 동기화하도록 화상 신호의 입력을 제어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상 투영 장치(10)는 동기 신호 출력부(11), 화상 처리부(12), 화상 신호 입력부(13) 및 구동 제어부(14)를 포함한다. 외부 PC(20)는 촬영 제어부(21), 카메라부(22), 화상 신호 입력부(23),조사점 검출부(24)(광점 화상 검출부), 변환 처리부(25), 변환 계수 연산부(26), 포인터 생성부(27) 및 화상 신호 전송부(28)를 포함한다.
우선, 화상 투영 장치(10)의 화상 신호 입력부(13)에는 HDMI(등록 상표) 등의 디지털 신호와, VGA(video graphics array)와 성분 신호 등의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된다. 화상 신호 입력부(13)는 입력 신호에 따라 RGB나 YPbPr 신호로 화상을 처리한다. 화상 신호 입력부(13)는 입력된 화상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 입력 신호의 비트 수에 따라 화상 처리부(12)가 규정하는 비트 포맷으로 변환한다. 화상 신호 입력부(13)는 입력된 화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해당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링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등의 처리를 행하고, RGB 또는 YPbPr의 포맷 신호를 화상 처리부로 입력한다.
화상 처리부(12)는 입력 신호에 따라 디지털 화상 처리 등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처리부(12)는 콘트라스트, 밝기, 강도, 색상, RGB 이득, 선명도 및 확대 축소 등의 스칼라 함수, 또는 구동 제어부(14)의 특성을 기초로 적절한 화상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화상 처리 후의 입력 신호는 구동 제어부(14)로 송신된다. 또한, 화상 처리부(12)는 임의로 특정되거나 등록된 레이아웃의 화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4)는 입력 신호에 따라 백색광에 복수의 색상을 주는 색상환(5); 광의 출사를 선택하는 화상 형성부(2); 및 램프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램프 전원(17);의 구동 조건을 결정한다. 구동 제어부(14)는 색상환(5), 화상 형성부(2) 및 램프 전원(17)에 구동 지시를 내린다.
다음에, 외부 PC(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외부 PC(20)는 화상 투영 장치(10)에 의해 투영된 투영 패턴을 촬영하고 투영 패턴의 좌표와 화상 데이터의 좌표 간의 편차를 기초로 사영 변환 계수를 결정하는 처리의 흐름과, 포인터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빔을 검출하는 처리의 흐름을 실행한다. 먼저, 투영된 패턴을 촬영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외부 PC(20)의 촬영 제어부(21)는 동기 신호 출력부(11)로부터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카메라부(22)에 촬영 지시를 내린다. 카메라부(22)가 촬영한 화상이 화상 투영 장치(10)로 입력되는 경우, 화상 신호 입력부(23)는 촬영한 카메라 화상에 대해 셰이딩 보정, Bayer 변환, 색 보정 등을 행하여 RGB 신호를 생성한다. 외부 PC(2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투영 패턴을 생성하고, 해당 생성된 패턴은 화상 투영 장치(10)에 의해 투영된다.
카메라부(22)는 투영 패턴을 투영한 스크린(30)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장면을 촬영한다. 카메라부(22)에 의한 촬영 방식의 예로는 글로벌 셔터 방식과 롤링셔터 방식이 있다. 글로벌 셔터 방식은 모든 화소가 동시에 감광되도록 하므로 각각의 화소에 대해 롤링 셔터 방식에서보다도 복잡한 회로를 필요로 하지만, 모든 화소를 한 번에 감광시켜 촬상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롤링 셔터 방식은 화소들이 순차 주사 방식으로 감광되도록 하는 것으로, 간단한 회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주사를 통해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롤링 셔터 방식의 경우, 화소마다 촬상 타이밍이 다르기 때문에 고속 이동하는 물체를 촬영시 왜곡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카메라부(22)의 셔터 속도는 촬영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 제어부(21)는 예컨대 색상환의 회전 속도를 기초로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타이밍의 시간 길이의 촬영에 필요한 셔터 속도를 결정함으로써 셔터 속도를 제어한다. 촬영된 화상을 바탕으로 조사점 검출부(24)는 현재 투영되고 있는 투영면 상의 각 격자점의 좌표를 취득한다. 변환 계수 연산부(26)는 투영 패턴의 화상 신호에 대한 좌표(x, y)와 촬영 화상에 대한 좌표(x', y') 사이를 상관시키는 사영 변환 계수(H)를 산출하고; 해당 파라미터(H)를 변환 처리부(25)에 설정한다. 조사점 검출부(24)는 투영면 상의 조사점의 좌표를 추출한다. 변환 처리부(25)는 검출된 조사점의 좌표(x', y')를 대응하는 격자점의 파라미터(H)를 이용하여 사영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검출된 조사점의 좌표(x', y')가 화상 신호에 대한 조사점의 좌표(x, y)로 변환된다. 해당 예에서, "조사점"은 청구범위의 "광점"에 대응한다. 또한, 해당 예에서, "조사점 화상"은 청구범위의 "광점 화상"에 대응한다. 이어서, 포인터 생성부(27)(광점 화상 생성부)는 좌표(x, y)에 조사점 화상 데이터(투영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조사점 화상 데이터는 임의의 원하는 방법으로 생성된, 좌표(x, y)를 중심으로 한 z 화소분의 반경의 원형, 미리 등록된 포인터 화상 등일 수 있다. 이들의 계산을 외부 PC(20) 내에서 행하고 투영용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화상 신호 전송부(28)로 전송한다. 화상 투영 장치(10)의 화상 처리부(12)는 포인터 생성부(27)에 의해 생성된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와 중첩하여 임의의 원하는 화상 처리를 행한다. 이후, 화상 투영 장치(10)의 화상 처리부(12)는 구동 제어부(14)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포인터 화상이 중첩된 투화상이 화상 투영 장치(10)로부터 투영된다.
이어지는 처리 흐름에서, 포인터에 의해 투영면 또는 그 근처에 조사된 지점의 좌표가 조사점 검출부(24)에 의해 수행된다. 도 5는 사이언, 백색, 적색, 마젠타, 옐로우, 녹색, 청색의 복수 색에 대응하는 색상환의 7개의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색상환의 필터와, 해당 필터를 통해 투영면에 화상 신호가 투영된 경우의 RGB 데이터(즉, 카메라 촬영 화상)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예컨대, 적색 세그먼트(적색 필터)의 경우, 적색의 데이터 값은 RGB 데이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적색 세그먼트의 경우, 녹색과 청색의 광 성분의 투과율이 작기 때문에 이들 색상의 광 성분은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2차 색상인 사이언 세그먼트를 통해 청색과 녹색의 광 성분이 투과되고, 3차 색상인 백색 세그먼트를 통해 RGB의 모든 광 성분이 투과된다.
도 7은 색상환의 일 주기로 투영광이 투과되는 필터와 투영광 색상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광색(light color)은 광원으로서 램프 그 자체의 광색 및 장치로부터 투사된 광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색상,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을 가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7의 실선 화살표로 지시된 투영 구간은 해당하는 색상환(5)의 필터(들)를 통해 화상 신호가 투영되는 시간 구간을 나타낸다. 예컨대, 적색의 투영 광색에 주목하면, 적색으로 분류되는 성분은 적색, 마젠타, 옐로우 및 백색 세그먼트 섹션에 대응한다. 다른 한편, "타이밍 A"의 파선 화살표로 표시된 블랭크 구간은 화상 신호가 투영되지 않는 구간이다. 즉, "타이밍 A"의 블랭크 구간에 대응하는 녹색, 청색 및 사이언 세그먼트 섹션에서는 적색의 투영광이 투영되는 경우에도 화상 신호가 실제 투영되지 않는다. 따라서,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사되는 적색 빔도 검출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타이밍과 동기시켜 투영 패턴(투영 화상)에 조사된 레이저 포인터로부터의 R, G, B의 레이저 빔 스폿(조사점)이 촬영 및 검출된다. 도 8은 투영 화상에 적색, 녹색, 청색의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빔을 조사한 경우의 여러 화상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투영면에 투영된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빔을 "타이밍 A", "타이밍 B" 및 "타이밍 C"에 촬영한 경우 검출된 지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타이밍 A 적색 촬영 화상"은 카메라부(22)에 의해 "타이밍 A"와 동기되어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타이밍 A"와의 동기는 다음의 방식으로 얻어진다. 즉, 화상 투영 장치(10)의 구동 제어부(14)가 색상환(5)을 구동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타이밍에 동기 신호 출력부(11)에 지시를 송신한다. 즉, 촬영 제어부(21)(수신부)는 고정 주파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20 Hz)로 회전하는 색상환(5)이 "타이밍 A"의 블랭크 구간으로 들어가는 타이밍에 동기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밍 A"의 블랭크 구간에서는 적색 화상 신호가 투영되지 않기 때문에, 적색의 레이저 포인터의 조사점이 쉽게 검출된다. 따라서, 포인터의 적색 조사광을 검출하는 경우는 "타이밍 A"와 동기하여 카메라부(22)로 투영 화상을 촬영하면 검출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타이밍 B"의 블랭크 구간 중의 "타이밍 B 녹색 촬영 화상"에 녹색 화상 신호가 투영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녹색 조사광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타이밍 C"의 블랭크 구간 중의 "타이밍 C 청색 촬영 화상"에 청색 화상 신호가 투영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청색 조사점의 검출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검출 타이밍에 따라 특정 색상의 검출이 용이하고, 타이밍을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복수의 조사점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카메라부(22)에 의한 촬영을 색상환(5)의 구동과 동기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색상환(5) 자체에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지표가 되는 블랙 시일(seal)이 설치되고, 색상환(5)의 홀더에 블랙 시일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된다. 구동 제어부(14)는 블랙 시일의 검출 타이밍을 센서로부터 취득함으로써 동기 신호를 생성하라는 지시를 한다. 생성되는 동기 신호는 설정된 레이저 포인터의 조사점의 색상과 가장 가까운 색상이 투영되어 있지 않은 기간과 동기화된다. 따라서, 촬영을 하는 카메라부(22)는 색상환의 동기 신호에 맞춰 촬영의 셔터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각각 색상환의 회전 주기와 촬영 카메라의 촬영 주기(셔터 타이밍/노출 타이밍)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색상환(5)은 120 Hz의 주기로 회전하고, 촬영 카메라는 투영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장면을 30 Hz의 주기로 촬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색상환(5)이 4 회전하는 동안 카메라부(22)가 한 번 촬영할 수 있다. 도 10은 레이저 포인터가 적색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경우 촬영을 동기시키는 타이밍을 나타낸 예이다.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빔의 색상은 사용자가 화상 투영 장치(10)나 외부 PC(20)의 조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여 설정됨으로써(설정부) 외부 PC(20)가 색상을 인식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C 구간이 적색의 블랭크 기간, 즉 "타이밍 A"의 블랭크 구간에 해당하는 색상환(5)의 녹색, 청색 및 사이언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카메라부(22)는 제1주기의 촬영시 하나의 C 구간에 대하여 노출을 행한다. 이때 촬영한 화상을 관측하는 것을 통해 레이저 포인터의 적색 조사점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통상, 화상 형성부(2)가 ON 일 때 광이 스크린(30)에 조사되는 반면, 화상 형성부(2)가 OFF 일 때 광은 조사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에서는 화상 형성부(2)가 ON 일 때에도, 대응하는 타이밍에 동기하여 촬영을 함으로써 RGB 중 임의의 색상 데이터로부터도 조사점이 검출될 수 있다. 즉, 화상의 내용에 무관하게 레이저 포인터(40)부터의 조사점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1은 레이저 포인터가 복수의 색상의 광 빔을 조사하는 경우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부(22)는 제1 주기의 촬영시 하나의 A 구간에 대하여 노출을 행한다. 이 경우, A 구간은 "타이밍 A"의 블랭크 구간에 해당한다. 이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관측하는 것을 통해 레이저 포인터의 적색 조사점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부(22)는 제2 주기의 촬영시 B 구간에 대하여 노출을 행한다. B 구간은 "타이밍 B"의 블랭크 구간에 해당한다. 이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관측하는 것을 통해 레이저 포인터의 녹색 조사점을 검출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3 주기에서 레이저 포인터의 청색 조사점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가 행해진다. 전술한 경우, 동기 신호에는 제1 주기에서의 "타이밍 A", 제2 주기에서의 "타이밍 B" 및 제3 주기에서의 "타이밍 C"을 포함하는 3개의 타이밍을 갖는다. 한편, 동일한 색상의 복수의 포인터를 사용하는 경우, 스크린 내에서 복수의 지점을 문제없이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하나의 카메라가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복수의 색상의 조사점을 검출한다. 대안적으로, 검출하는 색상마다 카메라를 개별 탑재하여, 개별 색상을 검출하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의 촬영 작업이 다른 색상에 대해 수행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각 단색의 검출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 각각에 대응하는 타이밍을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컨대, RGB의 3가지 색상에 대응하도록 3대의 카메라부를 설치하면, 매 주기마다 레이저 포인터로부터의 복수의 색상의 조사점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색상 외에 중간색의 색상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타이밍 A", "타이밍 B", "타이밍 C"의 구간을 색상마다 더 분할하면 충분하다. 이 경우, 검출하고 싶은 중간색에 해당하는 타이밍에 촬영을 함으로써 색상환(5)의 각 세그먼트마다 중간색을 검출할 수도 있다.
다음에, 사영 변환 계수의 산출과 레이저 포인터로부터의 레이저 빔의 검출을 위한 처리의 흐름을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2에 예시된 처리는 입력된 화상 신호의 프레임 대 프레임 단위로 행해진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우선 구동 제어부(14)는 화상 신호의 입력(I/F)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를 투사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S101 단계). 이어서, 촬영 제어부(21)는 현재 모드가 조사점 검출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2 단계). 조사점 검출 모드에서는 조사 장치에 의해 스크린(30)에 조사된 조사점을 검출한다. 조사점 검출 모드는 예컨대 사용자가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작 화면이나 버튼 등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된다. 현재 모드가 조사점 검출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S102 단계: No), 처리는 S101로 복귀하고 다음 화상 신호의 프레임으로 진출한다.
현재 모드가 조사점 검출 모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S102 단계: Yes), 촬영 제어부(21)는 초기 설정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3 단계). 초기 설정 모드에서는 투영 환경이 변한 경우에 사영 변환 계수의 연산을 수행한다. 조사점 검출 모드를 최초에 기동한 경우에는 초기 설정 모드로 되어 있다. 촬영 제어부(21)는 사영 변환 계수의 설정 여부 또는 사영 변환 계수가 설정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사영 변환 계수는 투영 전의 화상 신호와 투영 후의 화상 패턴 간의 좌표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계수이다.
현재 모드가 초기 설정 모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S103 단계: Yes), 구동 제어부(14)는 화상 형성부(2)와 다른 성분을 구동하여 사영 변환을 위한 화상 패턴(도 4 참조)을 투영한다(S104 단계). 계속해서, 촬영 제어부(21)는 동기 신호 출력부(11)를 통해 구동 제어부(14)로부터 화상 패턴의 투영을 통지받고, 투영된 화상 패턴을 촬영한다(S105 단계). 이후, 변환 계수 연산부(26)는 화상 신호 입력부(23)를 통해 입력된 카메라부(22)가 촬영한 화상 패턴의 좌표와 투영된 화상 패턴의 데이터의 좌표 간의 편차를 측정하여, 이 2종의 데이터에 대한 좌표가 일치하 도록 사영 변환 계수를 산출한다(S106 단계). 산출된 사영 변환 계수는 저장되고, S103 단계로 복귀한다.
사영 변환 계수가 설정되어, 현재 모드가 초기 설정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S103 단계: No), 촬영 제어부(21)는 동기 신호 출력부(11)로부터 송신된 촬영 타이밍에 투영 패턴을 촬영한다(S107 단계). 촬영 타이밍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의 색상을 기초로 결정된다. 따라서, 조사점 검출부(24)는 촬영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레이저 포인터로부터의 조사점을 검출할 수 있다(S108 단계). 검출된 조사점의 좌표는 변환 처리부(25)에 입력되고, 변환 처리부(25)는 변환 계수 연산부(26)가 연산한 사영 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조사점의 좌표를 화상 데이터의 좌표로의 사영 변환을 수행한다(S109 단계). 사영 변환으로 얻어진 좌표의 데이터는 화상 투영 장치(10)로 송신된다. 화상 처리부(12)는 투사하는 원래의 화상 신호에 대해 수신된 좌표에서 합성되는 포인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S110 단계), 화상 신호와 포인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다(S111 단계). 즉, 화상 처리부(12)는 검출된 조사점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화상이 부가된 투영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경우, 예컨대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된 포인터로서는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포인터(40)로부터의 조사점이 원래의 크기보다 산출된 조사점에 대해 더 큰 크기로 투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에 대해 큰 크기의 포인터를 쉽게 볼 수 있다. 도 14에서는, 포인터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확대하는 것의 대안적인 예로서, 화상 처리부(12)는 산출된 조사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주위의 일부의 화상 데이터를 확대되게 투영할 수 있다.
사영 변환 계수를 연산할 때에 투영하는 투영 패턴의 일례로서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영된 패턴 대신에,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은 그리드 패턴 또는 원형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원형의 투영 패턴을 이용하는 경우, 사영 변형이 생겨서 좌표에 편차가 생기더라도 무게 중심을 취함으로써 정확한 좌표를 입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드 패턴은 좌표의 편차 자체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환경광에 의한 방해가 없는 한, 보다 정밀도가 높은 패턴 추출이 가능하다.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외부 PC(20)는 화상 투영 장치(10)와 로컬적으로 접속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투영 장치(10)에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연산과 촬영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상의 고성능의 연산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초기의 사영 변환의 행렬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중첩되는 콘텐츠 등을 다운로드하여 화상 처리시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색상환을 이용한 화상 투영이 아니라, 액정 화상 투영 장치에 의한 화상 투영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한다. 색상환을 이용하는 화상 투영 장치가 화상을 투영하는 경우, 광이 투과되는 색상환의 필터가 시간 단위로 변한다. 색상환이 1 주기분으로 회전하는 동안, 1 프레임분의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투영이 완료된다. 한편, 액정 화상 투영 장치는 1 프레임분의 화상 신호가 시간 단위로 분할되지 않고 투영된다. 제2 실시 형태는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카메라부(22)에 의해 촬영이 행하여지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투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상 투영 장치(110)는 할로겐 램프와 같은 백색광을 발하는 백색 광원(104)을 포함한다. 이 백색 광원(104)으로부터 출사된 백색광은 화상 투영 장치(110) 내에 배치된 3장의 미러(108)와 2장의 다이크로익 미러(109)에 의해 RGB의 3원색의 성분 광으로 분리된다. 이들 광 중에서 R-색광은 액정 표시 패널(102R)로 유도되고, G-색광은 액정 표시 패널(102G)로 유도되고, B-색광은 액정 표시 패널(102B)로 유도된다. 액정 표시 패널(102R)은 R의 원색 화상을 생성하는 광 변조기로서 기능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액정 표시 패널(102G) 및 액정 표시 패널(102B) 각각은 G 및 B의 원색 화상을 생성하는 광 변조기로서 기능한다. 액정 표시 패널(102R, 102G, 102B)은 구동 제어부(14)에 의해 구동되어, ON 상태에 있을 때 광을 투과하고 OFF 상태에 있을 때 광을 차단한다. 따라서, 생성하기 원하는 화상 데이터의 색상에 따라 패널마다의 ON 상태와 OFF 상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색조를 가지면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이 투영된다. B-색광은 R-색광과 G-색광보다 광로가 길기 때문에, B-색광은 광 손실을 막기 위해 입사 렌즈(132), 릴레이 렌즈(134) 및 출사 렌즈(135)를 포함하는 릴레이 렌즈계(130)를 통해 유도된다.
액정 표시 패널(102R), 액정 표시 패널(102G), 액정 표시 패널(102B)에 의해 변조된 광, 즉 각각의 원색 화상은 다이크로익 프리즘(112)에 대해 3 방향으로 입사한다. 다이크로익 프리즘(112)에 있어서, R 광성분과 B 광성분은 90도 굴절하는 한편, G 광성분은 직진하기 때문에, 각각 원색 화상은 합성되어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컬러 화상은 렌즈군(103b)에 입사한다. 카메라부(22)는 스크린부(200)에 대하여 기준선을 포함해서 투영된 화상을 사용자가 레이저 포인터(300)를 사용하여 지시한 조사점(302)과 함께 촬상한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의 화상 투영 장치(110)에 의해 투영된 화상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은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제어와 카메라 노출 타이밍을 예시한다.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화상 프레임이 투영 가능한 기간에는 광성분이 액정 표시 패널을 통해 투과되는 기간과 어떤 광성분도 액정 표시 패널을 통해 투과되지 않는 기간(블랭크 기간)이 제공된다. 동기 신호 출력부(11)는 이 블랭크 구간을 지정하고, 카메라부(22)는 이 블랭크 구간에서 촬영을 위해 노출을 행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은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영면인 스크린(30)이 하중을 받으면 발광하는 응력 발광체로 구성된다. 예컨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30)은 응력 발광체(31), 해당 응력 발광체(31)가 제공되는 영역을 갖는 베이스 부재(32) 및 해당 베이스 부재(32) 상에 제공된 응력 발광체를 피복하는 보호 부재(33)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적층체일 수 있다. 스크린(30)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스크린(30)은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응력 발광체(31)가 유지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요약하면, 스크린(30)은 하중을 받으면 발광하는 응력 발광체로 구성되는 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크린(30)의 소정 부위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그 소정 부위는 발광한다(도 19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발광점(제1 실시 형태에서 레이저 포인터로부터의 조사점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을 검출하여,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한 여러 가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투영 장치(10) 및 외부 PC(4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화상 투영 장치(10)의 기능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외부 PC(400)는 전술한 조사점 검출부(24) 대신에 발광점 검출부(240)를 포함한다. 발광점 검출부(240)는 카메라부(22)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스크린(30) 내에서 응력 발광체(31)가 발광하고 있는 영역을 나타낸 발광점(청구범위의 "광점"에 대응함)을 검출한다. 즉, 발광점 검출부(240)는 카메라부(22)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스크린(30) 내에서 사용자가 누른 부분에 생기는 발광점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점 검출부(240)가 청구범위의 "광점 화상 검출부"에 대응하고 스크린(30) 자체는 청구범위의 "광점 장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변환 처리부(25)는 전술한 파라미터(H)를 이용하여 발광점 검출부(240)에 의해 검출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발광점의 좌표(x', y')를 화상 신호에 대한 좌표(x, y)로 변환한다. 포인터 생성부(27)는 화상 신호 중 변환 처리부(25)에 의한 변환으로 얻어진 좌표(x, y)에 소정의 화상을 합성(중첩)함으로써 투영용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화상 신호 전송부(28)는 포인터 생성부(27)에 의해 생성된 투영용 화상 신호를 화상 투영 장치(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화상이 중첩된 투영 화상이 화상 투영 장치(10)에 의해 투영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스크린(30)의 소정 부위를 누르면, 그 소정 부위에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다. 소정의 화상으로서는 여러 가지 화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튤립의 화상을 소정의 화상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전술한 스크린(30)(응력 발광체로 구성되는 스크린) 이외에, 발광체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이용한 도구(예, LED 내장형 볼펜)를 본 발명의 범위의 "광점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발광점을 검출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여러 가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ROM 등에 미리 삽입되어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설치 가능하거나 실행 가능한 파일로서 CD-ROM, 플렉시블 디스크(FD), CD-R,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에 저장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하는 것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또는 배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술한 각각의 부분을 포함하는 모듈 구성을 가진다. 실제의 하드웨어로서는 CPU(프로세서)가 상기 ROM으로부터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각 부분이 주기억 장치 상에 로딩되어 주기억 장치 상에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화상 신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정밀도로 포인터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완전하고 분명한 개시를 위해 특정 실시 형태를 참조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안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충분히 여기 언급한 기본 내용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대안적인 구성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2: 화상 형성부
3a: 광학계
3b: 투사계
4: 광원
5: 색상환
6: 광 터널
7: 릴레이 렌즈
8: 평면 미러
9: 오목 미러
10: 화상 투영 장치
11: 동기 신호 출력부
12: 화상 처리부
13: 화상 신호 입력부
14: 구동 제어부
17: 램프 전원
20: 외부 PC
21: 촬영 제어부
22: 카메라부
23: 화상 신호 입력부
24: 조사점 검출부
25: 변환 처리부
26: 변환 계수 연산부
27: 포인터 생성부
28: 화상 신호 전송부
30: 스크린
40: 레이저 포인터
102R: 액정 표시 패널
102G: 액정 표시 패널
102B: 액정 표시 패널
103b: 렌즈군
104: 백색 광원
108: 미러
109: 다이크로익 미러
110: 화상 투영 장치
112: 다이크로익 프리즘
130: 릴레이 렌즈계
132: 입사 렌즈
134: 릴레이 렌즈
135: 출사 렌즈
200: 스크린부
300: 레이저 포인터
302: 조사점

Claims (10)

  1. 화상 투영 시스템으로서,
    화상 데이터를 투영면에 투영하는 화상 투영 장치; 및
    상기 화상 투영 장치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투영 장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투영하기 위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색상들의 필터들에 시간 단위로 광을 투과시켜 원하는 색조를 가지면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구동 제어부;
    상기 투영면 또는 그 근처에 광점을 발생시키는 광점 장치의 광점의 색상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 및
    상기 색상들의 필터들 중 상기 광점의 설정된 색상에 가장 가까운 색상의 광이 투영되지 않은 기간을,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장면(scene)을 촬상부(image capturing unit)가 촬영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한 동기 신호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동기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촬상부가 상기 장면을 촬영하게 하도록 구성된 촬영 제어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상기 장면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점 장치가 상기 투영면 또는 그 근처에 생성한 상기 광점의 화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광점 화상 검출부; 및
    투영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화상 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인, 화상 투영 시스템.
  2. 화상 투영 시스템으로서,
    화상 데이터를 투영면에 투영하는 화상 투영 장치; 및
    상기 화상 투영 장치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투영 장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투영하기 위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색상들의 광성분들을 투영하고, 액정 표시 패널들에 투과되는 상기 광성분들의 조합을 제어하여, 원하는 색조를 가지면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구동 제어부;
    상기 투영면 또는 그 근처에 생성되는 광점의 색상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 및
    어떤 광도 투영되지 않는 기간을,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장면을 촬상부가 촬영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한 동기 신호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동기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촬상부가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상기 장면을 촬영하게 하도록 구성된 촬영 제어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상기 장면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투영면 또는 그 근처의 상기 광점의 화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광점 화상 검출부;
    상기 광점 화상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광점의 화상의 위치에 따라 특정 화상이 부가된 투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점 화상 생성부; 및
    상기 투영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화상 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인, 화상 투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점이 상이한 색상들의 복수의 광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는 개별 광성분들에 가장 가까운 색상들의 상기 필터들에 어떤 광도 투영되지 않은 복수의 기간들을, 상기 장면을 촬영하는 타이밍들로서 지정하고,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개별 타이밍들에 따라 상기 촬상부가 상기 장면을 촬영하게 하는 것인, 화상 투영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면은 하중을 받으면 발광하는 응력 발광체를 사용해 형성되며,
    상기 광점 화상 검출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장면의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투영면 내에서 사용자가 누른 부분에 발생하는 광점을 검출하는 것인, 화상 투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광점의 상기 개별 광성분들을 위해 제공되는 복수의 촬상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들이 상기 광점의 상기 개별 광성분들을 위해 지정된 상기 개별 타이밍들에 따라 상기 장면을 개별적으로 촬영하게 하는 것인, 화상 투영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점 화상 생성부는 상기 광점 화상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광점의 상기 화상 상의 좌표들에, 상기 광점의 상기 화상 상의 상기 좌표들을 기초로 결정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특정 영역의 확대된 화상을 상기 투영 화상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인, 화상 투영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점 화상 생성부는 상기 광점 화상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광점의 상기 화상의 좌표들에, 상기 좌표들의 주위의 연산된 좌표점 이상의 크기를 갖는 상기 광점의 상기 화상을 상기 투영 화상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인, 화상 투영 시스템.
  8. 정보 처리 장치로서,
    화상 데이터를 투영면에 투영하는 화상 투영 장치로부터,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타이밍을 지정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타이밍에 따라 촬상부가 상기 장면을 촬영하게 하도록 구성된 촬영 제어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상기 장면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투영면 상에 광점을 생성하는 광점 장치의 광점의 화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광점 화상 검출부; 및
    투영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화상 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투영 장치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색상들의 필터들을 통해 시간 단위로 광을 투과시켜, 원하는 색조를 가지면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는 상기 광점 장치의 상기 광점의 색상에 가장 가까운 색상의 광이 투영되지 않은 기간을, 상기 장면을 상기 촬상부로 촬영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9. 정보 처리 장치로서,
    화상 데이터를 투영면에 투영하는 화상 투영 장치로부터,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타이밍을 지정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타이밍에 따라 촬상부가 상기 장면을 촬영하게 하도록 구성된 촬영 제어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상기 장면의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투영면 상의 광점의 화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조사 화상 검출부;
    상기 조사 화상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광점의 상기 화상의 위치에 따라 특정 화상이 부가된 투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점 화상 생성부; 및
    상기 투영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화상 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투영 장치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색상들의 광성분들을 투영하고 액정 표시 패널들을 투과하는 상기 광성분들의 조합을 제어하여 원하는 색조를 가지면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는 어떤 광도 투영되지 않은 기간을, 상기 투영면을 상기 촬상부로 촬영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0.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화상 데이터를 투영면에 투영하는 화상 투영 장치로부터, 상기 투영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타이밍을 지정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상기 동기 신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타이밍에 따라 촬상부가 상기 장면을 촬영하게 하는 것;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상기 장면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투영면 상에 광점을 생성하는 광점 장치의 광점 화상을 검출하는 것; 및
    투영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투영 장치로 송신하는 것
    을 실행하게 하고,
    상기 화상 투영 장치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색상들의 필터들을 통해 시간 단위로 광을 투과시켜, 원하는 색조를 가지면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는 상기 광점 장치의 상기 광점의 색상에 가장 가까운 색상의 광이 투영되지 않은 기간을, 상기 장면을 상기 촬상부로 촬영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7001862A 2013-07-24 2014-07-23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투영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67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3945 2013-07-24
JP2013153945 2013-07-24
JPJP-P-2013-267943 2013-12-25
JP2013267943A JP2015043556A (ja) 2013-07-24 2013-12-25 情報処理装置、画像投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CT/JP2014/069986 WO2015012409A1 (en) 2013-07-24 2014-07-23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projec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837A true KR20160023837A (ko) 2016-03-03
KR101767853B1 KR101767853B1 (ko) 2017-08-11

Family

ID=5239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862A KR101767853B1 (ko) 2013-07-24 2014-07-23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투영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56892A1 (ko)
EP (1) EP3025324B1 (ko)
JP (1) JP2015043556A (ko)
KR (1) KR101767853B1 (ko)
CN (1) CN105453165A (ko)
WO (1) WO2015012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8644A (ja) * 2014-02-25 2015-09-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64994B2 (ja) * 2014-06-20 2018-08-01 船井電機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16212291A (ja) * 2015-05-11 2016-12-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FR3056775B1 (fr) * 2016-09-29 2021-08-20 Valeo Vision Procede de projection d'images par un systeme de proje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et systeme de projection associe
JP6848575B2 (ja) * 2017-03-22 2021-03-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9495204B (zh) * 2018-11-13 2021-09-14 深圳市金城保密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信息电磁泄露干扰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3691791B (zh) * 2021-09-17 2023-10-03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激光投影设备及其投影图像的显示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1675A (ja) 1998-03-25 1999-10-08 Minolta Co Ltd 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9096B2 (ja) * 1994-09-27 2004-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US6275214B1 (en) * 1999-07-06 2001-08-14 Karl C. Hansen Computer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with optical tracking of wireless pointer
AU2000274680A1 (en) * 2000-06-19 2002-01-02 Temasek Polytechnic A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determining a cursor position
JP3867205B2 (ja) * 2002-08-30 2007-01-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示位置検出装置、及び指示位置検出システム、並びに指示位置検出方法
US20060022942A1 (en) * 2004-07-30 2006-02-02 Po-Chi Lin Control method for operating a computer cursor instinctively and the apparatus thereof
WO2006085580A1 (ja) * 2005-02-10 2006-08-17 Takram Design Engineering ポインタ光トラッキング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CN101400977A (zh) * 2006-03-10 2009-04-01 独立行政法人产业技术综合研究所 应力历史记录系统
JP2008033389A (ja) * 2006-07-26 2008-02-14 Fuji Xerox Co Ltd 機能指示システム、機能指示装置、機能指示解析システム、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機能指示解析プログラム。
JP2008039925A (ja) * 2006-08-02 2008-0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対話型の前面投射型スクリーンシステム
JP4961891B2 (ja) * 2006-08-11 2012-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対話型リアー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システム
US20090058805A1 (en) * 2007-08-25 2009-03-05 Regina Eunice Groves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presentation
JP4600488B2 (ja) * 2008-02-20 2010-1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及び測距方法。
JP5147016B2 (ja) * 2008-03-24 2013-02-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53387B2 (ja) * 2008-03-28 2012-06-1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電子入力装置
JP5652594B2 (ja) * 2010-05-12 2015-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制御方法
JP5644421B2 (ja) * 2010-11-25 2014-12-24 富士通株式会社 指示手段形状取得装置及び指示手段形状取得プログラム、並びに投影システム
JP5152317B2 (ja) * 2010-12-22 2013-02-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レゼンテーション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43335B2 (ja) * 2011-04-27 2016-07-05 長崎県公立大学法人 プレゼンテーション装置
JP5643153B2 (ja) * 2011-05-23 2014-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投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1675A (ja) 1998-03-25 1999-10-08 Minolta Co Ltd 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53165A (zh) 2016-03-30
EP3025324B1 (en) 2019-03-13
KR101767853B1 (ko) 2017-08-11
EP3025324A1 (en) 2016-06-01
WO2015012409A1 (en) 2015-01-29
JP2015043556A (ja) 2015-03-05
EP3025324A4 (en) 2016-07-13
US20160156892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53B1 (ko)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투영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3867205B2 (ja) 指示位置検出装置、及び指示位置検出システム、並びに指示位置検出方法
US9470966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presentation system
US9401129B2 (en) Image projection device
JP4535714B2 (ja) プロジェクタ
JP2011050036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画像調整方法
WO2012046575A1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9133911A (ja) リア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16092779A (ja) 画像投影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24696B2 (en) Image projection device
JP2012181264A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18214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5037771A (ja) プロジェクタ
US11146766B2 (en) Projection-type video display device
JP2005148298A (ja) プロジェクタ
JP2012053227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6883256B2 (ja) 投影装置
JP2005148131A (ja) プロジェクタ
JP2016057363A (ja) 投影装置
JP2015079214A (ja) 投影用スクリーンおよび画像投影システム
JP2010130481A (ja) 画像投射装置
WO2023115857A1 (zh) 激光投影设备及投影图像的校正方法
JP4404613B2 (ja) 投射映像の調整装置、調整システム、調整方法
JP2021034891A (ja) 投射画像の撮像に用いられる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6004086A (ja) 画像投影装置、画像投影方法、及び、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