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485A - 체외진단기 및 그에 따른 체외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체외진단기 및 그에 따른 체외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485A
KR20160023485A KR1020140109962A KR20140109962A KR20160023485A KR 20160023485 A KR20160023485 A KR 20160023485A KR 1020140109962 A KR1020140109962 A KR 1020140109962A KR 20140109962 A KR20140109962 A KR 20140109962A KR 20160023485 A KR20160023485 A KR 20160023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
reference range
testee
test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995B1 (ko
Inventor
손유리
이기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995B1/ko
Priority to US14/828,691 priority patent/US20160054342A1/en
Publication of KR2016002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01N2035/00742Type of codes
    • G01N2035/00772Type of codes mechanical or optical code other than bar c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2035/00891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 G01N2035/0091GUI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 진단기는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별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피검사자의 조건 적합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외진단기 및 그에 따른 체외진단방법{IN VITRO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FOR IN VITRO DIAGNOSTIC TEST THEREOF}
본원 발명은 체외진단기 및 체외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피검사자의 신체 정보를 고려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체외진단기 및 체외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체외진단(In Vitro Diagnostic)이란 피검사자로부터 분리 가능한 혈액 및 체액 등의 검사 대상체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로써, 질병 파악을 위한 사전 진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체외진단기의 대표적인 예시인 혈액 검사기는 피검사자로부터 채혈된 적은 양의 혈액으로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혈액 검사기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채혈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피검사자의 질병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체외진단기의 다른 예로 면역 검사기 및 혈당기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체외진단기는 검사 결과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참고범위를 제공한다. 참고범위는 소정의 질병에 대한 감염 여부 등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으나, 의사 및 체외진단기 사용자가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검사 결과의 참고범위는 피검사자의 신체 정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30 대의 피검사자와 70~80 대의 피검사자는 검사 항목에 따라 검사 결과 참고범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체외진단기는 검사 항목 별로 참고범위의 기본값을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참고범위의 기본값을 수정하여 체외진단을 수행하고, 수정된 참고범위에 기초하여 검사 결과를 분석해야 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진단을 위해, 피검사자 조건에 대응하여 다양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체외진단기 및 체외진단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검사 항목에 대하여 복수 개의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체외진단기 및 체외진단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별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체외진단기 및 체외진단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는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별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는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건 별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인 피검사자에 대응되는 제1 조건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는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및 복수 개의 조건 별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조건 및 복수 개의 조건 별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복수 개의 조건 중에서 제1 조건을 선택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택된 제1 조건에 기초하여 피검사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피검사자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설정된 피검사자 조건을 수정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는 수정된 피검사자 조건이 선택된 제1 조건에 매치(match)되지 않는 경우, 제1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알림 신호는 시각적 신호 혹은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피검사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피검사자 조건을 설정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는 복수 개의 조건 중 입력된 피검사자 조건과 매치(match)되는 제1 조건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 개의 조건 중 입력된 피검사자 조건과 매치(match)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을 검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제2 조건 중에서 제1 조건을 선택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정보는 인종, 성별, 나이, 신장 및 몸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는 검사 대상체를 포함하는 검사 매체를 입력받는 로딩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체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분석부의 검사 결과가 참고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알림 신호는 시각적 신호 혹은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은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별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은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건 별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인 피검사자에 대응되는 제1 조건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은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를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a 및 도 1b의 체외진단기에 각각 이용되는 검사 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응급 구조 요원,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를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체외진단기가 디스크 형태의 검사 매체를 이용하는 디스크 타입 혈액 검사기(100a)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크 타입 혈액 검사기(100a)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디스크 타입 혈액 검사기(100a)는 로딩부(110a)의 검사 매체 삽입면(120a) 상으로 환자로부터 채혈된 혈액을 포함하는 검사 매체를 입력받고, 검사 매체에 포함된 혈액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40a)를 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검사 매체는 검사하고자 하는 대상체인 혈액을 포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검사 매체는 디스크 형태, 카트리지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1a의 디스크 타입 혈액 검사기(100a)에 이용되는 디스크 형태의 검사 매체의 일 실시예는 이하에서 도 2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혈액 등의 검사 대상체는 피검사자(또는 환자)로부터 채혈되거나 획득된다.
또한, 디스크 타입 혈액 검사기(100a)는 검사 시작을 알리는 소정의 트리거 신호를 통해 검사 대상체인 혈액의 검사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a)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터치 패드(touch pad)가 결합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혈액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40a)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버튼인 150a 버튼을 터치하여, 혈액의 검사를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외진단기가 카트리지 형태의 검사 매체를 이용하는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를 포함하는 경우,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 b의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에 이용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검사 매체의 일 실시예는 이하에서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는 검사 시작을 알리는 소정의 트리거 신호를 통해 검사 대상체인 혈액의 검사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b)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터치 패드(touch pad)가 결합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혈액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40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소정의 버튼인 150b 버튼을 터치하여, 혈액의 검사를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50b 버튼이 터치되면,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는 검사를 시작하기 위한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 대기 모드 상태에서,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는 로딩부(110b)의 검사 매체 삽입면(111b) 상으로 환자로부터 체혈된 혈액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입력받는다. 또한, 카트리지를 입력받은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는 덮개(110b)가 덮어지면 혈액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40b)를 통하여 출력한다.
또한, 디스크 타입 혈액 검사기(100a) 및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구급차 또는 구급 헬기 등과 같은 응급 환자 이동을 위한 이송 수단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a 및 도 1b의 체외진단기에 각각 이용되는 검사 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검사 매체가 혈액 검사용 디스크를 포함하는 경우, 혈액 검사용 디스크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환자로부터 채혈된 혈액은 검사 매체인 혈액 검사용 디스크(200a)의 주입구(210a)를 통하여 내부로 주입된다. 주입된 혈액은 혈액 검사용 디스크(200a)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221a, 222a, 223a)으로 퍼진다.
또한, 검사 매체인 혈액 검사용 디스크(200a)는 검사 매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식별 정보(240a)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24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로 형성되어 혈액 검사용 디스크(200a)의 전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검사 매체의 식별 정보(240a)는 검사 대상체 및 검사 매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매체의 식별 정보(240a)는 피검사자의 인종, 성별, 나이, 신장 및 몸무게 등의 신체 정보 또는 검사 매체의 유효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통해 후술될 체외진단기의 분석부(460)는 검사 매체에 포함된 혈액과 같은 검사 대상체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도 1a의 디스크 타입 혈액 검사기(100a)에 포함되는 분석부(460)는 검사 매체인 혈액 검사용 디스크(200a)에 포함된 스트립(221a, 222a, 223a)에 존재하는 혈액을 이용하여, 혈액 정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부(460)는 소정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분석부(460)는 식별 정보(240a)에 근거하여, 환자의 소정 질병에 대한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소정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460)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체외진단기 자체의 초기 설정에 근거하여, 소정 질병을 판단할 수 있는 소정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460)는 검사 대상체인 혈액를 이용하여, TnI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TnI 검사는 급성 심근경색증(AMI: acute myocardiac infarctrion)을 비롯한 급성관상동맥 증후군(ACS: acute coronary syndrome)을 진단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심장 표지자(cardiac marker) 검사이다. 심근경색과 관련한 응급 환자가 발생한 경우, 심장 표지자 검사로써 TnI(troponin I) 검사가 필요하다. TnI 는 심근손상 지표로서, 심근조직이 손상된 경우 혈중에 나타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검사 매체가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경우,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환자로부터 채혈된 혈액은 검사 매체인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200b)의 주입구(210b)를 통하여 내부로 주입된다. 주입된 혈액은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200b)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웰(221a, 222a, 223a)로 퍼진다.
구체적으로, 주입구(210b)에는 소정의 필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주입구(210b)에 포함된 소정의 필터는 혈장 또는 혈청과 같이 혈액 검사에 필요한 혈액의 구성 요소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혈액의 구성 요소는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200b)의 복수 개의 웰(220b)로 퍼진다.
또한, 검사 매체인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200b)는 검사 매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식별 정보(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24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로 형성되어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200b)의 후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b 의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는 소정의 센서(130b)를 통해 카트리지에 부착된 식별 정보(240b)를 인식할 수 있다.
검사 매체의 식별 정보(240b)는 검사 대상체 및 검사 매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매체의 식별 정보(240b)는 피검사자의 인종, 성별, 나이, 신장 및 몸무게 등의 신체 정보 또는 검사 매체의 유효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의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에 포함되는 분석부(460)는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200b)에 포함된 복수 개의 웰(well, 220b)에 존재하는 혈액을 이용하여, 혈액 정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b의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는 덮개(120b)를 덮어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200b)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웰(220b) 상으로 유입될 수 있는 외부의 광을 차단한다. 또한,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는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에 포함되는 소정의 광 조사부(미도시)를 통해 복수 개의 웰(220b) 상으로 소정의 광을 조사한다 또한, 카트리지 타입 혈액 검사기(100b)에 포함되는 분석부(460)는, 소정의 광 조사부에 의해 조사된 광에 대한 복수 개의 웰(220b) 상에 포함된 시약과 혈액 사이의 반응물의 흡광률을 분석하여 혈액 정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3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300)는 제어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별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검사 대상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검사 항목을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a 및 도 1b의 혈액 검사기(100a, 100b)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급성 심근경색증을 비롯한 급성관상동맥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 TnI 검사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a 및 도 1b의 혈액 검사기(100a, 100b)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의 혈액 내 수치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항목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검사 항목을 설정하여 검사 대상체의 구체적인 분석 대상을 특정할 수 있다.
검사 항목은 하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한번의 검사로 복수 개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들을 조합하여 복수의 질병에 대한 감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체외진단기는 검사 항목 별로 검사 결과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참고범위를 제공한다. 참고범위는 소정의 질병에 대한 감염 여부 등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으나, 의사 및 사용자가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가 검사 결과 참고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검사 결과는 사용자가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300)는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신체 정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외진단기(300)는 다양한 조건 별로 검사 결과 참고범위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해 두고, 피검사자에게 가장 적합하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를 검색하여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피검사자에게 가장 적합한 조건을 선택하여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300)의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은 이하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의 디스플레이부(340)는 도 1a 및 도 1b의 디스플레이부(140a, 140b)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a 및 도 1b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의 체외진단기(400)는 도 3의 체외진단기(400)에 비하여 저장부(4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 로딩부(450) 및 분석부(4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은 도 3의 체외진단기(30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제어부(430) 및 디스플레이부(440)는 도 3의 제어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410)는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건 별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는 피검사자의 신체 정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정보는 피검사자의 인종, 성별, 나이, 신장 및 몸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신체 정보는 피검사자의 혈액형, DNA 정보, 항원 및 항체 보유 여부 등 피검사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성별에 따라 정상적인 적혈구 수치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경우 정상적인 적혈구 수치가 4.2~6.3 x 10(^6)/uL, 여성의 경우 정상적인 적혈구 수치가 4.0~5.4 x 10(^6)/uL에 해당한다. 여기서 적혈구 수치의 단위인 /uL 은 microLiter 당 적혈구의 수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저장부(410)는 피검사자가 성별에 따라 상이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400)를 이용하여 혈액 내의 적혈구 수치를 검사할 때, 제어부(430)는 피검사자의 성별에 따라 상이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43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인 피검사자에 대응되는 제1 조건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저장부(410)는 이외에도 각종 데이터, 검사 결과 및 체외진단에 필요한 필요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인가 받기 위한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소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하드 키들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터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디스플레이부(44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iplay panel)(미도시)과 결합되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40)가 디스플레이 패널 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정 지점을 터치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하면, 터치 패드에서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가 터치 패드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정 지점을 터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터치된 지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4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30)는 감지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명령을 인식하며, 인식된 요청 또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에 포함되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또는 기타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로딩부(450)는 검사 매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검사 매체는 혈액 및 체액 등과 같이 피검사자에게서 획득된 검사 대상체를 포함하는 매체가 된다. 로딩부(45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로딩부(110a, 110b)와 동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부(450)는 검사 매체를 입력받기 위한 매체 삽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로딩부(450)의 형태는 검사 매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1a에서는, 검사 매체가 디스크(disc) 형태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 경우, 로딩부(110a)는 매체 삽입 장치로써, 디스크를 삽입하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disc tray)(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부(110a)는 디스크 트레이가 도출되도록 디스크 트레이를 구동하여 디스크가 디스크 트레이 상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도 1b에서는, 검사 매체가 카트리지 형태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 경우, 로딩부(110b)는 매체 삽입 장치로써, 카트리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로딩부(450)의 형태는 검사 매체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검사 시작을 알리는 소정의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면, 로딩부(450)를 구동시켜 검사 매체를 입력받고, 검사 대상체의 분석이 시작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분석부(460)는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서, 검사 대상체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460)는 혈액 등과 같은 검사 대상체를 분석하여, 소정의 질병에 대한 피검사자의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분석부(460)에 의해 생성된 검사 결과와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520)에 대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5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Patient123 의 ID(510)를 갖는 피검사자에 대하여, NT-proBNP(521), AST, BUN, 및 GGT 를 포함하는 검사 항목(520)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NT-proBNP(521)는 N-terminal pro B-type natriuretic peptide를 의미하며, 심부전 진단의 생화학적 지표로 급성 호흡곤란의 감별 진단, 심부전의 진단 및 예후 판정 등에 사용된다. 또한, 피검사자의 나이에 따라 검사 결과의 참고범위가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50세 미만의 피검사자의 참고범위는 0.0~450 pg/ml, 50세 이상 75세 미만의 피검사자의 참고범위는 0.0~900 pg/ml, 75세 이상의 피검사자의 참고범위는 0.0~1800 pg/ml에 해당한다. 여기서, NT-proBNP의 단위인 pg/ml 는 pictogram/millimiter를 의미한다.
AST(522)는 Aspartate Aminotransferase를 의미하며, 혈청 중 AST는 활성은 간 질환, 담도 질환, 심근 경색 및 특히 급성간염의 경우에 상승한다. 일반적으로 AST는 0.0~40.0 U/L 의 참고범위를 갖는다. 여기서, AST의 단위인 U/L는 Unit/Liter 를 의미한다.
BUN(523)은 Blood Urea Nitrogen 를 의미하며, 혈액속의 요소 질소량으로, 신장의 기능이 저하될 경우 BUN(523)이 신장에서 배설되지 못해 몸에 축적된다. 이런 특징을 이용하여 신장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BUN(523)은 5.0~24.0 mg/dL 의 참고범위를 갖는다. 여기서 BUN(523)의 단위인 mg/dL 는 milligram/deciliter 를 의미한다.
GGT(524)는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를 의미하며, 신장, 췌장, 전립선, 간 등 사람의 체내의 조직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효소로 혈청 중 GGT(524)의 활성은 주로 폐쇄성 황달, 간암, 알콜성 간 장애에서 상승된다. 일반적으로, GGT(524)의 참고범위는 5.0~66.0 U/L의 참고범위를 갖는다. 여기서 GGT(524)의 단위인 U/L 는 Unit/Liter를 의미한다.
검사 항목(520)은 NT-proBNP(521), AST(522), BUN(523) 및 GGT(524) 이외에도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Patient123의 ID(510)를 갖는 피검사자는 50대 여성 유럽인으로 한정한다.
종래의 체외진단기의 경우, 피검사자의 나이에 상관없이 NT-proBNP(521)에 대한 참고범위를 기본값인 0.0~450.0 pg/ml 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위 참고범위를 수정하여 체외진단을 진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체외진단기(300, 400)는 피검사자의 나이에 따라 가장 적합한 참고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300, 400)는 Patient123 ID(510)를 갖는 피검사자에 대하여 NT-proBNP(521)의 참고범위를 0.0~900 pg/ml로 설정할 수 있다.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500)은 피검사자에게 적합한 소정의 조건을 나타내는 아이콘(5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tient123의 ID(510)를 갖는 피검사자는 여성(Female), 유럽인(European), 및 50대(50s)의 신체 정보를 포함한다는 의미인 FeEu50s 이름을 갖는 소정의 조건에 적합하게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300, 400)는 FeEu50s 조건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520)에 대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체외진단기(300, 400)가 구체적으로 Patient123의 ID(510)를 갖는 피검사자의 참고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 도6 (b) 및 도 6(c)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610) 및 복수 개의 조건(610) 별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0a, 600b, 600c)을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조건(600) 및 상기 복수 개의 조건(610) 별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 430)는 제1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조건(610) 및 복수 개의 조건(610) 별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도 6(a)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건(61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0a)을 도시한다. 복수 개의 조건(610)은 신체 정보와 무관하게 기본값의 참고범위가 설정된 Basic(611) 조건, 남성에 대한 참고범위가 설정된 Male(612) 조건, 50대의 피검사자에 대한 참고범위가 설정된 50s(613) 조건, 50대 여성 유럽인 피검사자에 대한 참고범위가 설정된 FeEu50s(614) 조건 및 70대의 피검사자에 대한 참고범위가 설정된 70s(615) 조건이 포함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복수 개의 조건(610)에 새로운 조건을 추가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새로운 조건을 추가하는 추가 버튼(630)을 누르고, 새로운 조건의 이름, 새로운 조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 및 새로운 조건의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여, 저장부(4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복수 개의 조건(610) 중 소정의 조건 및 소정의 조건에 따른 소정의 참고범위를 삭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삭제하려는 하는 조건인 70s(615) 조건의 체크 박스(621)를 체크한 뒤, 삭제 버튼(620)을 눌러서 저장부(410)에 저장된 70s(615) 조건 및 그 조건에 따른 참고범위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복수 개의 조건(610) 중 소정의 조건 및 소정의 조건에 따른 소정의 참고범위를 수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여, 소정의 조건 및 소정의 조건에 따른 참고범위를 수정하기 위한 체외진단기(300, 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도 6(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0b)을 통해, FeEu50s(614) 조건의 이름을 갖는 소정의 조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650)를 수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FeEu50s(614) 조건은 성별(651), 인종(654) 및 나이(652)에 대한 신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FeEu50s(614) 조건에 포함되는 성별(651)의 신체 정보를 여성으로, 인종(654)의 신체 정보를 유럽인으로, 나이(652)에 대한 신체 정보를 50~59세로 수정하거나 혹은 설정하였다. 또한, 사용자는 몸무게(653)에 대한 신체 정보를 55~65kg으로 수정하거나 혹은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FeEu50s(614) 조건의 이름을 수정하거나, 추가적인 신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도 6(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0c)을 통해, FeEu50s(614) 조건에 따른 검사 결과 참고범위(660)를 수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FeEu50s(614) 조건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체의 감사 항목인 NT-proBNP(661), AST(662), BUN(663) 및 GGT(664)에 대한 참고범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FeEu50s(614) 조건은 NT-proBNP(661) 검사 항목에 대해 참고범위를 0.0~900.0 pg/ml 로, AST(662)의 검사 항목에 대한 참고범위를 0.0~40.0 U/L로, BUN(663)의 검사 항목에 대한 참고범위를 5.0~24.0 mg/dL로, GGT(664)에 대한 검사 항목의 참고범위를 5.0~66.0 U/L 로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FeEu50s(614) 조건은 혈액 내 적혈구, 백혈구 및 혈청 수치와 같이 다양한 검사 항목에 대한 참고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610) 각각에 대하여, 검사 항목 및 검사 항목에 따른 참고범위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610), 복수 개의 조건에 포함되는 신체 정보 및 복수 개의 조건에 따른 검사 결과 참고범위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값으로 수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300, 40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에 따른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데이터 베이스로 하여, 피검사자에게 가장 적합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인 피검사자에게 대응되는 제1 조건(750)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720)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중에서 제1 조건(750)을 선택하는 제2 입력(760)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에 포함되는 소정의 아이콘(530)을 누르는 입력(731)을 수신하면,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인 제1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40)이 디스플레이부(44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40)은 팝업 창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40)을 통해, 제1 조건(750)을 선택하는 제2 입력(760)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FeEu50s 조건을 제1 조건(750)으로 선택하였다.
제어부(330, 430)는 제2 입력(760)에 기초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720)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720)는 제1 조건(750)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Patient123의 ID(710)를 갖는 피검사자의 검사 항목은 NT-proBNP(721), AST(722), BUN(723) 및 GGT(724)를 포함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도 7의 NT-proBNP(721), AST(722), BUN(723) 및 GGT(724)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720) 각각은 제1 조건(750)인 FeEu50s 조건에 따른 도 6(c)의 NT-proBNP(661), AST(662), BUN(663) 및 GGT(664)의 검사 항목에 대한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660)로 설정된다.
위와 같이, 체외진단기(300, 400)는 피검사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피검사자 조건을 입력 받지 않고도, 제2 입력(760)에 기초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720)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조건(750)과 피검사자의 조건이 서로 대응되는지 확인하거나, 피검사자 조건이 기재된 검사 결과 분석 보고서를 획득하거나, 피검사자의 조건에 따라 제1 조건(750)을 자동으로 검색하기 위하여, 필요와 목적에 따라 체외진단기(300, 400)에 피검사자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피검사자가 조건은 피검사자의 인종, 성별, 나이, 신장 및 몸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피검사자 조건을 입력받은 체외진단기(300, 4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는 도 7에서 선택된 제1 조건(750)에 기초하여 설정된 피검사자 조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a)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 430)는 제2 입력(760)에 따라 선택된 제1 조건(750)에 기초하여, 피검사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피검사자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입력(760)에 따라 선택된 제1 조건(750)에 포함되는 신체 정보는 피검사자의 신체 정보에도 포함될 거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체외진단기(300, 400)는 피검사자 조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FeEu50s 조건을 제1 조건(750)으로 선택하였다. 따라서, 제어부(330, 430)는 제1 조건(750)인 FeEu50s 조건에 포함되는 신체 정보에 따라, 인종(840a)에 대한 신체 정보를 유럽인으로, 성별(850a)에 대한 신체 정보를 여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검사자의 성별(840a) 및 인종(850a)에 대한 신체 정보를 따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도 8의 (b)는 도 8의 (a)에서 설정된 피검사자 조건으로부터 수정되거나 추가적으로 설정된 피검사자 조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b)을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제2 입력(760)에 따라 선택된 제1 조건(750)에 기초하여 설정된 피검사자 조건을 수정하는 제3 입력(860a, 870a)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 430)는 수정된 피검사자 조건이 선택된 제1 조건(750)에 매치(match)되지 않는 경우, 제1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치’란 피검사자의 조건에 포함되는 피검사자의 일부 또는 전부의 신체 정보가 제1 조건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신체 정보와 동일 대응되거나, 포함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성별 및 인종이 제1 조건의 성별 및 인종과 동일한 경우, 피검사자의 조건과 제1 조건은 서로 매치된다.
그러나, 피검사자 조건 또는 제1 조건 중 어느 하나에만 포함되는 신체 정보는 피검사자 조건과 제1 조건이 매치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 조건이 제1 조건에 비하여 혈액형에 대한 신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혈액형에 대한 신체 정보는 피검사자 조건과 제1 조건이 매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즉, 사용자는 제1 조건(750)에 따라 설정된 피검사자의 신체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건(750)에 따라 설정된 피검사자의 신체 정보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해당 신체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선택된 제1 조건(750)인 FeEu50s 조건은 나이(652)에 대한 신체 정보를 50~59세의 소정의 범위로 갖는다. 따라서, 제어부(330, 430)는 피검사자의 생년월일(820a)에 대한 신체 정보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다. 다만, 제1 조건(750)의 나이(652)에 대한 신체 정보에 대응되기 위한 피검사자의 출생년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a)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외진단이 측정되는 2014년을 기준으로, 피검사자의 나이가 만 50~59세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피검사자의 출생년도가 1955~1964년 사이에 해당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330, 430)는 제1 조건(750)의 나이(652)에 대한 신체 정보인 1955~1964년을 피검사자의 생년월일(820a)에 대한 신체 정보 칸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조건(750)인 FeEu50s 조건은 몸무게(653)에 관한 신체 정보를 55~65kg의 소정의 범위로 갖는다. 따라서, 제어부(330, 430)는 피검사자의 몸무게(830a)에 대한 신체 정보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다. 다만, 제어부(330, 430)는 제1 조건(750)의 몸무게(653)에 대한 신체 정보인 55~65kg의 소정의 범위를 피검사자의 몸무게(830a)에 대한 신체 정보 칸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검사자의 생년월일(820b)에 대한 신체 정보를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07/27/1964로 수정할 수 있다. 수정된 피검사자의 생년월일(820b)에 대한 신체 정보는 제1 조건(750)인 FeEu50s 조건의 나이(652)에 대한 신체 정보에 부합한다.
반면에, 사용자는 피검사자의 몸무게(830b)에 관한 신체 정보를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72kg으로 수정할 수 있다. 수정된 피검사자의 몸무게(830b)에 대한 신체 정보는 제1 조건(750)인 FeEu50s 조건의 몸무게(653)에 대한 신체 정보에 부합하지 않는다. 수정된 피검사자의 몸무게(830b)는 실제 피검사자의 몸무게에 해당될 수도 있고, 단순히 사용자의 오타에 기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30, 430)는 수정된 피검사자 조건이 제1 조건에 매치되지 않음을 알리는 제1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정된 피검사자 조건에 포함되는 신체 정보가 제1 조건의 신체 정보에 포함되지 않거나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제1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알림 신호는 시각적 신호 혹은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 430)는 제1 조건에 매치되지 않는 피검사자의 신체 정보를 색깔을 달리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0b)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의 (b)의 경우, 수정된 피검사자의 몸무게(830b)에 대한 신체 정보가 제1 조건(750)에 매치되지 않아, 어두운 색으로 디스플레이 되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330, 430)는 제1 조건에 매치되지 않는 피검사자의 신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경고음을 생성하여, 소정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300, 400)는 제1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피검사자 조건과 제1 조건(750)이 매치되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알림 신호를 통해, 오타를 수정하거나,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가 일부 부정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제1 조건(750)의 신체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적인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피검사자의 ID, 혈액형, DNA 정보 및 항체 보유 여부 등을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건(750)의 신체 정보는 피검사자의 ID(810a)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검사자의 ID(810b)에 관한 신체 정보를 Patient123으로 설정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의 (a)는 사용자가 입력한 피검사자 조건(91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a)을 도시한다. 또한,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비하여, 피검사자 조건에 매치되는 제1 조건(920b)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b)을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피검사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피검사자 조건(910)을 설정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도 8의 (a)에서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인 제1 조건(750)을 선택하는 제2 입력(760)에 기초하여, 제어부(330, 430)가 피검사자 조건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도 9의 (a)는 도 8과 달리, 사용자가 제1 조건(920b)을 선택하지 않고, 사용자가 피검사자 조건(910)을 직접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피검사자의 ID(901)를 Patient123으로, 생년월일(911)에 관한 신체 정보를 07/27/1964로, 인종(914)에 대한 신체 정보를 유럽인으로, 성별(912)에 대한 신체 정보를 여성으로, 몸무게(913)에 대한 신체 정보를 60kg으로 설정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30, 43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610)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검사자 조건(910)과 매치되는 제1 조건(920b)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 430)는 검색된 제1 조건(920b)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매치’란 피검사자의 조건(910)에 포함되는 피검사자의 일부 또는 전부의 신체 정보(911, 912, 913, 914)가 제1 조건(920b)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신체 정보와 동일 대응되거나, 포함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성별(912) 및 인종(914)이 제1 조건의 성별 및 인종과 동일한 경우, 피검사자의 조건(910)과 제1 조건(920b)은 서로 매치된다.
그러나, 피검사자 조건(910) 또는 제1 조건(920b) 중 어느 하나에만 포함되는 신체 정보는 피검사자 조건(910)과 제1 조건(920b)이 매치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 조건(910)이 제1 조건(920b)에 비하여 혈액형에 대한 신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혈액형에 대한 신체 정보는 피검사자 조건(910)과 제1 조건(920b)이 매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제4 입력을 수신한 후, 피검사자 조건(910)에 매치되는 제1 조건(920b)을 검색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930)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30, 43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610)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검사자 조건(910)을 비교하여, 피검사자 조건(910)에 매치되는 제1 조건(920b)을 검색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Patient123의 피검사자 조건(910)에 따라, 제어부(330, 430)는 FeEu50s 조건을 제1 조건(920b)으로 검색하였다. 따라서, 제어부(330, 430)는 제1 조건(920b)인 FeEu50s 조건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Patient123의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a)는 사용자가 입력한 피검사자 조건(101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00a)을 도시한다. 또한, 도 10의 (b)는 도 9의 (a)에서 입력된 피검사자 조건(1010)에 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1020b)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00b)을 도시한다. 또한, 도 10(c)는 도 10(a)에 비하여, 제2 조건 중에서 선택된 제1 조건(1020c)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00c)을 도시한다.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피검사자의 ID(1001)를 Patient123으로, 생년월일(1010)에 관한 신체 정보를 07/27/1964로, 성별(1012)에 대한 신체 정보를 여성으로 설정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의 피검사자 조건(1010) 도 9의 피검사자 조건(910)에 비하여 인종(1014) 및 몸무게(1013)에 대한 신체 정보가 설정되지 않았다. 사용자는 인종(1012) 및 몸무게(1013)를 매치 조건에서 제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피검사자의 인종(1012) 및 몸무게(1013)가 검사 항목에 대하여 중요하지 않거나, 알 수 없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330, 43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610)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검사자 조건(1010)과 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1041, 1042, 1043)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제4 입력을 수신한 뒤, 피검사자 조건에 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을 검색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1030)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30, 43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610)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검사자 조건(1010)을 비교하여, 피검사자 조건(1010)에 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1041, 1042, 1043)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조건(1041, 1042, 1043)은 피검사자의 생년월일(1010)에 따른 나이를 포함하고, 성별(1012)에 따른 신체 정보가 여성인 경우, 피검사자 조건(1010)과 매치될 수 있다.
Basic 조건(1041)은 피검사자의 조건에 무관하게 항상 제2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Basic 조건(1041)은 피검사자의 조건과 무관하게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의 기본값을 제공할 수 있다.
50s 조건(1042)은 50~59세의 피검사자 조건과 매치된다. 따라서, 피검사자의 생년월일(1010)의 신체 정보에 따라, 피검사자의 나이에 대한 신체 정보는 50s 조건(1042)에 포함되므로, 50s 조건(1042)은 제2 조건으로 검색되었다. 50s 조건(1042)은 성별에 대한 신체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피검사자 조건에 포함되는 성별(1012)에 대한 신체 정보는 매치를 판단하는 기준에서 제외될 수 있다.
FeEu50s 조건(1043)은 50~59세의 유럽인 여성의 피검사자 조건에 매치된다. 따라서, 피검사자의 나이에 대한 신체정보는 FeEu50s 조건(1043)에 포함되고, 성별이 여성을 상호 일치하므로, FeEu50s 조건(1043)은 제2 조건으로 검색되었다. 또한, 피검사자 조건은 인종(1012)에 대한 신체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FeEu50s 조건(1043)에 포함되는 인종에 대한 신체 정보는 매치를 판단하는 기준에서 제외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제2 조건(1041, 1042, 1043) 중에서 제1 조건(1020c)을 선택하는 제5 입력(1050)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 430)는 선택된 제1 조건(1020c)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Patient123의 피검사자 조건(1010)에 따라, 사용자는 FeEu50s 조건(1043)을 제1 조건(1020c)으로 선택하였다. 따라서, 제어부(330, 430)는 제1 조건(1020c)인 FeEu50s 조건(1043)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Patient123의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체외진단기의 검사 대상체에 대한 검사 결과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0)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체외진단기(300, 400)는 제1 조건인 FeEu50s 조건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Patient123의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였다. 또한, Patient123의 피검사자로부터 획득된 검사 대상체에 대하여, NT-proBNP(1110), AST(1120), BUN(1130) 및 GGT(1140)를 포함하는 검사 항목을 설정하였다.
검사 결과 NT-proBNP(1110)는 1000.0 pg/ml 로 참고범위인 0.0~900.0 pg/ml를 초과하였다. 또한, AST(1120)는 20.0 U/L로 참고범위인 0.0~40.0 U/L에 포함되었고, BUN(1130)은 12.0 mg/dL로 참고범위인 5.0~24.0 mg/dL에 포함되었고, GGT(1140)는 33.0 U/L로 참고범위인 5.0~66.0 U/L에 포함되었다.
제어부(330, 430)는 분석부(460)의 검사 결과가 참고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알림 신호는 시각적 신호 혹은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tient123의 Nt-proBNP 검사 결과가 참고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제어부(330, 430)는 제2 알림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 430)는 Nt-proBNP(1110)의 검사 결과를 색깔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 430)는 제2 알림신호로 경고음을 생성하고, 소정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 알림신호를 통해, 의사 및 사용자는 참고 범위를 벗어난 검사 결과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1200)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1200)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300, 40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의 체외진단기(300, 400)을 참조하여 체외진단방법(12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1200)은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건 별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1210 단계). 1210 단계는 저장부(41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1200)은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별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한다(1220 단계). 1220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330, 43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220 단계는 1210 단계에서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인 상기 피검사자에 대응되는 제1 조건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상기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1200)은 설정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1230 단계). 1230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330, 43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12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1240 단계). 1240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330, 43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방법(1200)은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 및 체외진단방법은 검사 항목에 대하여 복수 개의 조건 별로 상이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조건 및 복수 개의 조건에 따른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기 및 체외진단방법은 피검사자 조건에 매치되는 제1 조건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체외진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검사 항목에 대하여, 피검사자에게 가장 적합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설정된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기초하여,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별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체외진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체의 상기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건 별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체외진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인 상기 피검사자에 대응되는 제1 조건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상기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상기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조건 및 상기 복수 개의 조건 별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조건 및 상기 복수 개의 조건 별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 개의 조건 중에서 상기 제1 조건을 선택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1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피검사자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설정된 피검사자 조건을 수정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정된 피검사자 조건이 상기 선택된 제1 조건에 매치(match)되지 않는 경우, 제1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신호는
    시각적 신호 혹은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피검사자 조건을 설정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조건 중 상기 입력된 피검사자 조건과 매치(match)되는 상기 제1 조건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조건 중 상기 입력된 피검사자 조건과 매치(match)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을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조건 중에서 상기 제1 조건을 선택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는
    인종, 성별, 나이, 신장 및 몸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체를 포함하는 검사 매체를 입력받는 로딩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체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부의 검사 결과가 상기 참고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 신호는
    시각적 신호 혹은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기.
  16. 검사 대상체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별로,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체외진단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체의 상기 검사 항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건 별로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체외진단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인 상기 피검사자에 대응되는 제1 조건에 따른 제1 검사 결과 참고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상기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자에게 적용되는 상기 검사 결과 참고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방법.
  20. 제16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09962A 2014-08-22 2014-08-22 체외진단기 및 그에 따른 체외진단방법 KR102257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962A KR102257995B1 (ko) 2014-08-22 2014-08-22 체외진단기 및 그에 따른 체외진단방법
US14/828,691 US20160054342A1 (en) 2014-08-22 2015-08-18 In-vitro diagnostic apparatus and in-vitro diagnostic tes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962A KR102257995B1 (ko) 2014-08-22 2014-08-22 체외진단기 및 그에 따른 체외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485A true KR20160023485A (ko) 2016-03-03
KR102257995B1 KR102257995B1 (ko) 2021-05-28

Family

ID=5534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962A KR102257995B1 (ko) 2014-08-22 2014-08-22 체외진단기 및 그에 따른 체외진단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54342A1 (ko)
KR (1) KR1022579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729U (ko) 2018-07-05 2019-03-20 (주)래피젠 체외진단검체필터용 케이스
KR20200124868A (ko) 2019-04-25 2020-11-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체외진단장비 및 그 장비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8902B2 (ja) * 2017-09-15 2021-05-12 株式会社ヘルスケアシステムズ 情報処理装置、レコメン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42028B1 (ja) 2017-11-30 2018-12-19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測定方法および検体測定装置
JP6439028B1 (ja) 2017-11-30 2018-12-19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薬キット、試薬キ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測定結果の関連付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2473A1 (en) * 1998-11-10 2002-01-03 Cerner Multum, Inc. Providing patient-specific drug information
JP2007018051A (ja) * 2005-07-05 2007-01-25 Sysmex Corp 臨床検査情報処理装置、方法、システム及び分析装置、並びにそれらのプログラム
JP2009128317A (ja) * 2007-11-27 2009-06-11 Toshiba Corp 自動分析装置
KR20090060696A (ko) * 2007-12-10 2009-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5309A (en) * 1979-06-25 1982-02-09 Coli Robert D Integrated medical test data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7914460B2 (en) * 2006-08-15 2011-03-29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Condensate glucose analyzer
US20080227210A1 (en) * 2007-03-12 2008-09-18 Henry Smith Home test for glycated albumin in saliva
JP4712100B2 (ja) * 2009-03-13 2011-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健康状態判定装置の作動方法
US10037820B2 (en) * 2012-05-29 2018-07-31 Medical Avatar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st, present, and future states of health using personalized 3-D anatomical models
US11055980B2 (en) * 2014-04-16 2021-07-06 Murata Vios, Inc. Patient care and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2473A1 (en) * 1998-11-10 2002-01-03 Cerner Multum, Inc. Providing patient-specific drug information
JP2007018051A (ja) * 2005-07-05 2007-01-25 Sysmex Corp 臨床検査情報処理装置、方法、システム及び分析装置、並びにそれらのプログラム
JP2009128317A (ja) * 2007-11-27 2009-06-11 Toshiba Corp 自動分析装置
KR20090060696A (ko) * 2007-12-10 2009-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729U (ko) 2018-07-05 2019-03-20 (주)래피젠 체외진단검체필터용 케이스
KR20200124868A (ko) 2019-04-25 2020-11-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체외진단장비 및 그 장비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4342A1 (en) 2016-02-25
KR102257995B1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we et al. Biological variation of measured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Miller et al. Utility of salivary biomarkers for demonstrat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R102257995B1 (ko) 체외진단기 및 그에 따른 체외진단방법
Herman et al. Variability and error in cardiac troponin testing: an ACLPS critical review
Fraser et al. Proposals for setting generally applicable quality goals solely based on biology
Swiston et al. Factors that prognosticate mortality in idiopath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US20210007675A1 (en) Method of detecting sepsis using vital signs, including systolic blood pressure, hematology parameters, and combinations thereof
Moosmann et al. Age‐and sex‐specific pediatric reference intervals for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lymphocyte‐to‐monocyte ratio, and platelet‐to‐lymphocyte ratio
CN103177179A (zh) 诊断因素集合确定设备和方法
Asken et al. Acute effects of sport-related concussion on serum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ubiquitin C-terminal hydrolase L1, total tau, and neurofilament light measured by a multiplex assay
US11885733B2 (en) White blood cell population dynamics
Sheth et al. Comparison of hematoma shape and volume estimates in warfarin versus non-warfarin-related intracerebral hemorrhage
CN107345970A (zh) 一种可用于首发精神分裂症诊断的外周血生物标志物
Harpaz et al. Blood biomarkers to detect new-onset atrial fibrillation and cardioembolism in ischemic stroke patients
Örd et al. Evaluation of DOAC dipstick test for detecting direct oral anticoagulants in urine compared with a clinically relevant plasma threshold concentration
Diamond et al. The impact of donor smoking on primary graft dysfunction and mortality after lung transplantation
De et al. Evaluation of heart failure biomarker tests: a survey of statistical considerations
Ronchetti et al. Epidemiology of atopy patch tests with food and inhalant allergens in an unselected population of children
Carobene et al. Biological variation estimates for serum neurofilament light chain in healthy subjects
US20180284134A1 (en) Detection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N103512972A (zh) 精神分裂症的生物标志物及其使用方法和应用
CN110082528B (zh) 诊断或预断人类口腔癌的系统和应用
Hexley et al. Protocol standardization reveals MV correlation to healthy donor BMI
JP5740510B2 (ja) 化学物質判定装置
US11798160B2 (en) Integrated method for cancer scre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