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068A -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068A
KR20160023068A KR1020140108837A KR20140108837A KR20160023068A KR 20160023068 A KR20160023068 A KR 20160023068A KR 1020140108837 A KR1020140108837 A KR 1020140108837A KR 20140108837 A KR20140108837 A KR 20140108837A KR 20160023068 A KR20160023068 A KR 20160023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ed plastic
plastic fiber
concrete
mixing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821B1 (ko
Inventor
양인환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현석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8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04B16/0633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66Poly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배합비에 따라 배합되는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에 첨가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비중 0.80 ~ 0.92, 길이 15 ~ 30 mm, 직경 0.6 ~ 1.3 mm로 형성되고, 콘크리트의 부피 대비 0.5 % ~ 2.5 %로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골재 및 시멘트를 투입하는 골재 및 시멘트 투입 단계; 투입된 골재 및 시멘트가 고르게 섞이도록 재료를 믹싱하는 건비빔 단계; 건비빔 단계가 완료되면 물과 혼화제를 투입하면서 믹싱하는 재료 투입 단계; 재료 투입 단계가 완료되면, 골재, 시멘트, 물 및 혼화제를 믹싱하는 1차 믹싱 단계; 1차 믹싱 단계 후에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투입하면서 믹싱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 및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믹싱하는 2차 믹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Recycling 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보강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역학적 특성이 우수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내구성과 경제성을 겸비한 가장 널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건설재료이다. 콘크리트는 로마시대에 화산회와 석회석을 써서 만들어진 것이 그 시초라고 하나, 일반적으로는 19세기 초기에 포틀랜드시멘트(Portland Cement)가 발명된 후, 1867년 프랑스에서 철망으로 보강된 콘크리트가 만들어진 것이 최초이다. 그 후 독일을 중심으로 콘크리트의 개발이 계속되어 근래에는 토목공사나 건축용 구조재료의 중심이 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지만, 압축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인장강도 및 균열저항성 부족하다. 이로 인해서 균열발생과 철근부식 등 내구성 저하에 의한 수명단축 등의 단점들이 있다. 이에 대한 보강으로 철근이나 철망(mesh)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철근은 배근된 방향으로만 보강효과가 있으며, 또한 여전히 균열 발생 등의 문제가 남아 있었다.
이러한 일반 콘크리트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섬유를 혼입한 섬유보강콘크리트를 활용하려는 기술개발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섬유보강콘크리트는 강 (steel), 유리 (glass), 탄소 (carbon), 나일론 (nylon),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등의 섬유를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콘크리트의 균열면에서의 섬유의 인성을 현저히 높이게 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 및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섬유 보강재의 침하 또는 합성섬유의 부유현상 및 섬유의 뭉침현상 (fiber balling)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3-0022375는 강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섬유 보강재의 직경이 매우 작게 형성되어 뭉침형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섬유보강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일반 콘크리트보다 세심한 시공관리가 필요하여 국내에서는 그 사용이 널리 확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섬유보강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섬유는 신소재를 활용하고 있어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섬유보강콘크리트의 사용시 경제성 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활용하여 역학적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타측면은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섬유 뭉침현상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내에서 고르게 분산시켜 최적의 역학적 성능이 우수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일정 배합비에 따라 배합되는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에 첨가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비중 0.80 ~ 0.92, 길이 15 ~ 30 mm, 직경 0.6 ~ 1.3 mm로 형성되고, 콘크리트의 부피 대비 0.5 ~ 2.5 %로 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물-시멘트비(W/C) 40 ~ 44.5%, 잔골재비(S/a) 43 ~ 47%이며, 시멘트 중량에 대한 혼화제 비율이 0.50 ~ 0.62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에이트(PET) 및 AB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면적이 증가되도록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외주면에 표면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단면이 오목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혼화제는 콘크리트 배합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감수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은 골재 및 시멘트를 투입하는 골재 및 시멘트 투입 단계; 투입된 골재 및 시멘트가 고르게 섞이도록 재료를 믹싱하는 건비빔 단계; 건비빔 단계가 완료되면 물과 혼화제를 투입하면서 믹싱하는 재료 투입 단계; 재료 투입 단계가 완료되면, 골재, 시멘트, 물 및 혼화제를 믹싱하는 1차 믹싱 단계; 1차 믹싱 단계 후에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투입하면서 믹싱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 및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믹싱하는 2차 믹싱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제조방법의 건비빔 단계는 투입된 골재 및 시멘트가 고르게 섞이도록 25 ~ 35 rpm의 속도로 믹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제조방법의 재료 투입 단계는 물을 소요량의 전량과 투입하고 상기 혼화제의 일부를 투입하여 믹싱한 후에, 혼화제의 나머지를 더 투입하며, 믹싱속도는 15 ~ 25 rpm의 속도로 믹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제조방법의 1차 믹싱 단계는 투입된 골재, 시멘트, 물 및 혼화제가 고르게 섞이도록 25 ~ 35 rpm의 속도로 믹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제조방법의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일정량으로 나누어 투입하고,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손상과 뭉침현상을 방지하도록 1차 믹싱 단계의 믹싱 속도의 1/2이하로 믹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제조방법의 2차 믹싱 단계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분산되어 고르게 믹싱되도록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 믹싱속도의 2배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투입되는 혼화제는 콘크리트 배합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감수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활용하여 역학적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섬유의 뭉침현상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내에서 섬유를 고르게 분산시켜 역학적 성능이 우수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를 시험하는 사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를 시험하는 사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균열개구부 변위성능을 시험하는 사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균열개구부 변위성능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수축성능을 시험하는 사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수축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일정 배합비에 따라 배합되는 콘크리트 및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크리트는 물,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 및 혼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멘트는 물시멘트비(W/C)로 40 ~ 44.5 % 투입되며, 물시멘트비(W/C)는 시멘트 중량에 대한 물의 비율을 의미한다. 잔골재 및 굵은골재는 잔골재 비율(S/a) 43 ~ 47 %에 따라 투입된다. 이때 잔골재 비율은 잔골재에 대한 전체 골재의 양을 의미한다. 혼화제는 시멘트 중량 대비하여 0.50 ~ 0.62 %가 투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2a 내지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소정 길이 및 직경을 갖는 침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보강재의 비중은0.80 ~ 0.92, 길이는 15 ~ 30 mm, 직경은 0.6 ~ 1.3 mm로 형성될 수 있다. 섬유 보강재가 상기 범위의 규격으로 형성되면, 콘크리트에 배합될 때 뭉침 현상이나 보강재의 침하 또는 부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섬유 보강재가 상기의 규격보다 작게 형성되면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무게가 감소하여 콘크리트 내에서 배합될 때 부유현상을 증가시키거나, 상기의 규격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무게가 증가하여 침하될 수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에이트(PET) 및 ABS의 재활용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가열 용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친환경적이며 섬유 보강재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단면은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표면 처리는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110)과 같은 돌출부를 형성하여 표면 처리할 수 있으며, 표면의 거칠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강재의 단면이 엠보싱(110)과 같이 표면 처리되면 콘크리트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콘크리트 부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b 및 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단면 형상은 오목 다각형(120, 1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 다각형(120, 130)은 원형보다 외주면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오목 다각형(120, 130)의 형상은 규칙적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었으나 불규칙적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부착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즉,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재활용재를 용융하고 이를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사출기에 장착된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서로 단단하게 결합되어 균열 저항성능, 휨 인장강도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홀(140) 내부로 콘크리트가 채워지면,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콘크리트의 부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축방향을 따라 관통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150)의 직경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사용재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관통 홀(150) 내부로 콘크리트가 채워져 콘크리트와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부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도 2f ~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2f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축방향을 따라 복수회 굴절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강도를 증가시켜 배합 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g는 섬유 보강재의 양단에 복수의 갈고리(210)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 인해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콘크리트 내에서 뭉침형상과 침하현상이 방지되고 고르게 분산되어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2a 내지 도2g에 도시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은 골재 및 시멘트 투입 단계(S100), 건비빔 단계(S200), 재료 투입 단계(S300), 1차 믹싱 단계(S400),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S500) 및 2차 믹싱 단계(600)를 포함한다.
골재 및 시멘트 투입 단계(S100)는 시멘트, 굵은 골재 및 잔골재를 투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투입되는 시멘트량은 물시멘트비(W/C) 기준으로 40 ~ 44.5 %에 따라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굵은 골재와 잔골재 비율(S/a)은 43 ~ 47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굵은 골재의 비율이 커지면 콘크리트 내의 공극이 커지고 시멘트와 부착면적이 줄어들어 콘크리트 부착강도가 감소하며, 잔골재 비율이 커지면 부착면적은 증가하나 굵은 골재의 비율이 감소하여 콘크리트의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와 골재와의 부착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콘크리트내의 공극을 최소하고 하고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굵은 골재와 잔골재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비빔 단계(S200)는 투입된 골재 및 시멘트를 믹싱하는 단계이며, 이때에물은 투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을 투입하기 전에 골재 및 시멘트를 믹싱하므로 재료의 혼합상태의 확인이 용이하다. 이때 회전 믹서를 사용하며, 골재 및 시멘트가 고르게 섞이도록 25 ~ 35 rpm의 속도로 믹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분 30초 ~ 2분동안 믹싱할 수 있으나 믹싱 시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시간동안 믹싱한 후에 재료의 혼합여부를 확인하고 회전속도를 15 ~ 25 rpm을 유지하며 추가적으로 혼합할 수도 있다.
재료 투입 단계(S300)는 건비빔 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골재 및 시멘트에 물 및 혼화제를 투입하면서 믹싱하는 단계이다. 이때 회전 믹서의 회전속도는 15 ~ 25 rpm의 회전속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은 소요량의 전량을 투입하고 혼화제는 소요량의 일부를 투입하여 부분적으로 믹싱한 후에, 혼화제의 나머지를 더 투입하여 추가적으로 믹싱할 수도 있다.
1차 믹싱 단계(S400)는 골재, 시멘트, 물 및 혼화제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골재, 시멘트, 물 및 혼화제를 믹싱하는 단계이다. 이때 회전 속도는 25 ~ 35 rpm의 속도로 믹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분30초 ~ 2분30초 동안 믹싱할 수 있으나 믹싱 시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해서 투입된 골재, 시멘트, 물 및 혼화제가 고르게 섞이도록 할 수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S500)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일정량으로 나누어 투입하면서 1차 믹싱 단계의 회전속도의 1/2이하로 설정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믹싱을 너무 빠르게 하면 믹서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접촉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일정량을 나누어서 소량으로 투입하면서 회전시키면 보강재의 뭉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2차 믹싱 단계(S500)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믹싱 속도를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 믹싱속도의 2배이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와 완전히 접촉되어 콘크리트로부터 보호받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콘크리트 내에서 고르게 분산되며, 뭉침현상과 침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믹싱 시간은 1분 30초 ~ 2분 30초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믹싱 시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사용하여 제작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를 비교한 시험을 설명한다. 시험은 쪼갬 인장강도 시험, 휨 인장강도 시험, 균열 개구부 변위성능 시험 및 수축성능 시험에 대해 실시하였다. 시험체의 실시예들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투입량에 따라 결정되며, 비교예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투입되지 않았다. 표 1은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단위중량(kg/㎥)에 대한 시험체 현황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를 시험하는 사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쪼갬 인장강도(split tensile strength)는 인장강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이다.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험체는 직경 100mm 높이 200mm로 제작되었다.
쪼갬 인장강도 시험은 도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체를 눕히고, 가압판을 사용하여 변위제어 방식으로 시험체에 하중을 재하하였다. 변위제어 방식은 역학시험이나 재하시험에 있어서 하중 재하점의 변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서 통상 변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이며, 변형률 제어라고도 한다. 변위 제어방식은 재하 하중과 변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시험체의 극한하중을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시험에 의해서 측정된 하중을 바탕으로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쪼갬인장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Figure pat00003
: 쪼갬 인장강도(MPa)
P : 시험극한하중(N)
d : 원주형 시험체의 직경(mm)
L : 원주형 시험체의 높이(mm)
첨가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량에 따른 콘크리트 쪼갬 인장강도의 시험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으며, 이를 도4b에 도시하였다. 도 4b에서 x 축은 첨가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량을 나타내며, y축은 쪼갬 인장강도(MPa)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쪼갬 인장강도는 첨가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량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시예 1 ~ 4는 비교예보다 17.2% ~ 38.2%의 쪼갬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콘크리트의 취성파괴를 완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 인해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콘크리트의 취성 강도를 증가시켜 콘크리트의 급격한 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휨 인장강도를 시험하는 사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휨 인장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콘크리트는 휨 인장강도가 취약하므로 일반적으로 철근 등으로 보강하여 휨 인장강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본 실험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콘크리트의 휨 보강 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시험체를 150×150×550 mm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시험은 도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점 하중 재하방식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4점 하중 재하방식은 시험체에 하중을 재하하는 2개의 가력점과 시험체를 지지하는 2개의 지점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4점 하중 재하방식으로 하중을 시험체에 재하하면 전단력의 작용을 최소화하고 순수 휨 인장응력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첨가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에 따른 콘크리트의 휨 인장강도에 대한 시험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으며, 시험결과에 대해 도5b와 같이 도시하였다. 도 5b에서 x 축은 첨가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량을 나타내며, y축은 휨 인장강도(MPa)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휨 인장강도는 첨가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량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시예 1~4는 비교예보다 8.9% ~ 20%의 휨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콘크리트 시험편의 축방향으로 철근과 같이 인장부재의 역할을 하여 휨 응력에 대해서 저항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균열개구부 변위성능을 시험하는 사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균열개구부 변위성능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균열개구부 변위성능 시험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초기균열 이후 재료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노치(notch)가 있도록 시험체를 제작하여 3점 하중 재하법에 의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체의 단면은 정사각단면 형상이며, 시험편의 크기는 100 mm (폭) × 100 mm (높이) × 400 mm (길이)로 제작하였다. 노치는 시험체의 타설면을 기준으로 시험체의 중앙 하면에 위치하며, 깊이는 10 mm이고 폭은 3.4 mm로 형성되었다. 노치 끝단에는 균열게이지 (clip gauge)를 설치하여 노치의 균열개구변위 즉, CMOD (crack mouth opening displacement)를 측정하였다.
첨가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량에 따른 균열개구부 변위성능은 아래의 표 4와 같으며, 시험결과에 대해 도 6b와 같이 도시하였다.
Figure pat00006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균열개구부 변위성능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시예 1~4는 비교예보다 26 % ~ 66 %의 균열개구부 변위성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콘크리트의 배면 박리를 억제하고 콘크리트 내부에서 가교작용을 하여 전단 저항력을 증가시켜 균열이 발생한 이후에도 추가적인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수축성능을 시험하는 사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수축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콘크리트의 수축 시험은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에 따른 콘크리트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콘크리트의 수축 시험은 실시예1과 비교예를 도 7a와 같이 항온항습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여기서 항온항습은 일정한 온도와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림 7b는 실시예1과 비교예를 31일 동안의 길이변화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1의 길이 변화량은
Figure pat00007
이며, 비교예의 길이 변화량은
Figure pat00008
으로서,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길이 변화량이 일반콘크리트보다 약 14% 정도 작게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콘크리트의 배면 박리를 억제하고 콘크리트의 내부에서 가교작용을 하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 110: 엠보싱
120, 130: 오목 다각형 140: 홀 150: 관통홀 210: 갈고리

Claims (13)

  1. 일정 배합비에 따라 배합되는 콘크리트; 및
    상기 콘크리트에 첨가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비중 0.80 ~ 0.92, 길이 15 ~ 30 mm, 직경 0.6 ~ 1.3 mm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부피 대비 0.5 ~ 2.5%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는 물-시멘트비(W/C) 40 ~ 44.5 %, 잔골재비(S/a) 43 ~ 47 %이며, 시멘트 중량에 대한 혼화제 비율이 0.50 ~ 0.6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에이트(PET) 및 AB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와 상기 콘크리트의 부착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외주면에 표면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단면이 오목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제는 콘크리트 배합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감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보강 콘크리트.
  7. 골재 및 시멘트를 투입하는 골재 및 시멘트 투입 단계;
    상기 투입된 골재 및 시멘트가 고르게 섞이도록 재료를 믹싱하는 건비빔 단계;
    상기 건비빔 단계가 완료되면 물과 혼화제를 투입하면서 믹싱하는 재료 투입 단계;
    상기 재료 투입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골재, 시멘트, 물 및 혼화제를 믹싱하는 1차 믹싱 단계;
    상기 1차 믹싱 단계 후에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를 투입하면서 믹싱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 및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믹싱하는 2차 믹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비빔 단계는
    상기 투입된 골재 및 시멘트가 고르게 섞이도록 25 ~ 35 rpm의 속도로 믹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투입 단계는
    상기 물을 소요량의 전량과 상기 혼화제의 일부를 투입하여 믹싱한 후에, 상기 혼화제의 나머지를 더 투입하며, 믹싱속도는 15 ~ 25 rpm의 속도로 믹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믹싱 단계는
    상기 투입된 골재, 시멘트, 물 및 혼화제가 고르게 섞이도록 25 ~ 35 rpm의 속도로 믹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는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는 일정량으로 나누어 투입하고,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의 손상과 뭉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1차 믹싱 단계의 믹싱 속도의 1/2이하로 믹싱하는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믹싱 단계는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분산되어 고르게 믹싱되도록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투입 단계 믹싱속도의 2배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되는 혼화제는
    콘크리트 배합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감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20140108837A 2014-08-21 2014-08-21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79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837A KR101679821B1 (ko) 2014-08-21 2014-08-21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837A KR101679821B1 (ko) 2014-08-21 2014-08-21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068A true KR20160023068A (ko) 2016-03-03
KR101679821B1 KR101679821B1 (ko) 2016-12-05

Family

ID=5553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837A KR101679821B1 (ko) 2014-08-21 2014-08-21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8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3202A (zh) * 2018-06-07 2018-11-23 西安理工大学 一种掺加废旧塑料包装袋再生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20220048264A (ko) * 2020-10-12 2022-04-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파쇄 폐어망 보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125029A3 (en) * 2020-12-10 2022-09-09 Kordsa Teknik Tekstil A.S. A reinforcement member for reinforcing concre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72B1 (ko) * 2001-12-31 2002-05-22 성낙전 재생골재를 이용한 고강도, 고내구성 다기능 하이브리드투수콘크리트 포장의 제조방법
KR20050081782A (ko) * 2004-02-16 2005-08-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0151052A2 (ko) * 2009-06-23 2010-12-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보강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숏크리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72B1 (ko) * 2001-12-31 2002-05-22 성낙전 재생골재를 이용한 고강도, 고내구성 다기능 하이브리드투수콘크리트 포장의 제조방법
KR20050081782A (ko) * 2004-02-16 2005-08-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0151052A2 (ko) * 2009-06-23 2010-12-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보강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숏크리트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3202A (zh) * 2018-06-07 2018-11-23 西安理工大学 一种掺加废旧塑料包装袋再生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20220048264A (ko) * 2020-10-12 2022-04-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파쇄 폐어망 보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125029A3 (en) * 2020-12-10 2022-09-09 Kordsa Teknik Tekstil A.S. A reinforcement member for reinforcing concre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821B1 (ko) 201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8560B2 (en) Composite structural material and aggregate therefor
Ganesan et al. Bond stress slip response of bars embedded in hybrid fibre reinforced high performance concrete
Hu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SFRC using blended recycled tyre steel cords (RTSC) and recycled tyre steel fibres (RTSF)
EP2103577B1 (en) Method for premixing and addition of fibres in the dry state
KR101679821B1 (ko) 재활용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한 재활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N109678429A (zh) 一种tbm隧道用无筋钢纤维混凝土管片的制备方法
KR102286554B1 (ko) 슬립과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텍스타일 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AU2009347599B2 (en) Cementitious mortar and method for improved reinforcement of building structures
JP4817304B2 (ja) 繊維補強モルタル又は繊維補強コンクリ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法枠の施工方法
KR101309135B1 (ko) 바닥슬래브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Muktadir et al. Comparison of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capacity between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Bendable Concrete) and conventional concrete used in Bangladesh
JP6214393B2 (ja) 複数微細ひび割れ型繊維補強セメント複合材料
Orosz et al. From material level to structural use of mineral-based composites—an overview
Anand et al. Study of hardened properties of hybrid fibre reinforced concrete using steel and glass fibre
Orosz et al. Crack development and deformation behaviour of CFRP-reinforced mortars
Abdul Rahim et al. The Effect Of Steel Fiber As Additional Reinforcement In The Reinforced Concrete Beam
Mercan Effect of fiber type and concrete strength on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plates under quasi-static bending
Duhaim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Different Concrete Ductile Materials
JP2003327462A (ja) 水硬性混練成形体
AMINU VARIATION I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HT OF CONCRETE USING SISAL FIBER AS A PARTIAL REPLACMENT OF FINE AGGREGATE
EP1337493A1 (en) Fibrous mixture for concrete
Bhardwaj et al.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oncrete with Acrylic and Carbon Nano Fibers
Ray et al.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oncrete iwth Acrylic and Carbon Nano Fibres
Singh et al. Suitability of Concrete Reinforced with Synthetic Fiber
Wani et al. Light weight concrete (Partial replacement of coarse aggregate using polystyrene b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