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708A -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708A
KR20160022708A KR1020140108606A KR20140108606A KR20160022708A KR 20160022708 A KR20160022708 A KR 20160022708A KR 1020140108606 A KR1020140108606 A KR 1020140108606A KR 20140108606 A KR20140108606 A KR 20140108606A KR 20160022708 A KR20160022708 A KR 2016002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reen
application
information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670B1 (ko
Inventor
이한솔
백진욱
김승하
윤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벗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벗
Priority to KR102014010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670B1/ko
Priority to PCT/KR2014/009113 priority patent/WO2016027923A1/ko
Publication of KR2016002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하는 단계, 세션에 대응하여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화면 데이터 및 상용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스크린샷을 이용하여 적은 데이터만으로 오브젝트와 함께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ALYSIS OF INFORMATION OF US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샷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현대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며,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실행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매우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또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들에게 최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거나 개량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한 일이 되었다.
따라서, 개발자들이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시험적으로 실행해보거나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들이 실행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나 불편한 사항들을 발견하고 수집하기 위해 개발자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인터렉션 (interaction) 을 동영상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를 분석한 동영상을 적은 데이터나 적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관련기술문헌]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795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드백 정보 수집을 위해 스크린샷을 이용하여 최적의 데이터량만으로 오브젝트와 함께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적은 비용으로 높은 해상도의 동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하는 단계, 세션에 대응하여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화면 데이터 및 상용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화면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 및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용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크린샷을 수집하지 못하는 경우, 해상도 정보와 동일한 해상도 정보를 갖는 스크린샷, 해상도 정보와 유사한 해상도 정보를 갖는 스크린샷 또는 더미 스크린샷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해상도 정보보다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이 더 큰 경우, 수집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스크린샷을 수집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수집하는 단계는, 전체 스크린샷 및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스크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스크롤되는 경우, 화면 변경 정보는 일정한 주기마다 수집된 스크린샷을 비교하여 획득된 화면 이동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용 데이터는 스크린샷에 대한 스크롤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생성하는 단계는, 해상도 정보를 기준으로 스크린샷 및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및 화면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화면에 대한 스크린샷 및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션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하고, 세션에 대응하여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수집된 화면 데이터 및 상용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수집된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화면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 및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용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크린샷을 수집하지 못하는 경우, 해상도 정보와 동일한 해상도 정보를 갖는 스크린샷, 해상도 정보와 유사한 해상도 정보를 갖는 스크린샷 또는 더미 스크린샷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해상도 정보보다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이 더 큰 경우, 데이터 수집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스크린샷을 수집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부는, 전체 스크린샷 및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스크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스크롤되는 경우, 화면 변경 정보는 일정한 주기마다 수집된 스크린샷을 비교하여 획득된 화면 이동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용 데이터는 스크린샷에 대한 스크롤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생성부는, 해상도 정보를 기준으로 스크린샷 및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고, 화면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화면에 대한 스크린샷 및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션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하고, 세션에 대응하여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화면 데이터 및 상용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드백 정보 수집을 위해 스크린샷을 이용하여 최적의 데이터량만으로 오브젝트와 함께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적은 비용으로 높은 해상도의 동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 및 이를 탑재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에 따라 동영상을 생성하는 세부적인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에 따라 수집되는 예시적인 화면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영상의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면 데이터’란,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한 데이터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 및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용 데이터’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시 수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한 데이터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보다 어플리케이션의 전체화면이 큰 경우, 상용 데이터는 스크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델명,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모바일 디바이스의 버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는 세션이 시작되는 순간 1회 수집될 수 있고, 세션 동안 주기적으로 수집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브젝트’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구성하는 객체로서, 버튼, 체크박스, 표 및 레이아웃 등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구성하는 모든 오브젝트들은 트리 (tree)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브젝트 데이터’란, 어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데이터로서, 오브젝트의 종류 및 오브젝트의 화면상 좌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터렉션 데이터’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한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터렉션 데이터는 버튼의 터치, 스와이프, 롱 터치, 모바일 디바이스 흔들기 등과 같이 사용자의 동작으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는 데이터이다. 인터렉션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 화면의 이동 또는 기능의 실행 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면 변경’이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상이하게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면 변경은 스크롤에 의한 화면 이동과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페이지로 변경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로 인한 화면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면 변경 정보’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변경되는 경우 화면이 변경되는 이유 또는 변경된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화면 이동 정보 및 화면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면 이동’이란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보다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큰 경우, 사용자의 스크롤과 같은 인터렉션 데이터에 의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중 다른 위치를 표시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면 이동 정보’란, 사용자의 스크롤 등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페이지 내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화면 이동 정보는 화면 이동에 따른 화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이동 정보는 화면 이동 전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페이지의 좌표와 화면 이동 후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페이지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좌표는 절대 좌표 또는 상대 좌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면 종료’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변경,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또는 크래쉬로 인해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면 종료 정보’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종료되는 경우 화면이 종료되는 이유나 종료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세션’이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세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또는 크래쉬로 인해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즉, 세션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화면이 표시되고 화면 종료까지의 시간이다. 세션은 시간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 및 이를 탑재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데이터 수집부 (110), 데이터 저장부 (120) 및 생성부 (130) 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200) 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수집하여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각각 별개의 서버 (데이터 수집부 (110) 에 대응하는 수집 서버, 데이터 저장부 (120) 에 대응하는 저장 서버, 생성부 (130) 에 대응하는 생성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개의 모듈 (데이터 수집부 (110) 에 대응하는 수집 모듈, 데이터 저장부 (120) 에 대응하는 저장 모듈, 생성부 (130) 에 대응하는 생성 모듈)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수집부 (110) 는 모바일 디바이스 (200) 로부터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한다. 하나의 세션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스크린샷이 수집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정의된 세션에 대응하여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수신하거나 수집한 모든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 (120) 로 전송하거나, 별도의 데이터 저장부 (120) 가 없는 경우 곧바로 생성부 (130) 로 전송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 (120) 는 수집된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저장부 (120) 는 데이터 수집부 (110) 로부터 생성부 (130) 로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의 손실을 막고 데이터 수집부 (110) 의 데이터 부하를 줄이기 위해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 (120) 는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생성부 (130) 로 전송한다.
생성부 (130) 는 수집된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생성부 (130) 는 화면 데이터 중 스크린샷과 상용 데이터 중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여 동영상의 형태로 분석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된 분석자료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의 각 구성들은 설명의 편의상 개별적인 구성으로 도시한 것일 뿐, 구현 방법에 따라 하나의 모듈에 구현되거나 하나의 구성이 2 이상의 구성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데이터 수집부 (110), 데이터 저장부 (120) 및 생성부 (130) 는 2 이상의 물리적 프로세서 또는 서버로 구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 프로세서 또는 서버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은 데이터 수집부 (110) 가 모바일 디바이스 (200) 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서 개시된다 (S210). 즉, 모바일 디바이스 (200) 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인터렉션 데이터들은 다양한 통신 방법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부 (110) 는 모바일 디바이스 (200) 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터렉션 데이터 (예를 들어, 스크롤, 스와이프, 터치, 롱터치 등) 를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면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한다 (S220). 세션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으로, 화면 변경 정보 중 화면 종료 정보를 기초로 세션의 종료가 결정된다. 여기서, 화면 종료 정보는 인터렉션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오브젝트의 터치나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료 또는 크래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부 (110) 는 모바일 디바이스 (200) 로부터 화면 종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화면 종료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할 수 있다.
이어서,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정의된 세션에 대응하여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한다 (S230). 데이터 수집부 (110) 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200) 로부터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특히, 세션을 정의한 이후에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수신되는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정의된 세션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 (120) 또는 생성부 (130) 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세션을 시작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 (200) 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수집하고, 하나의 세션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 (200) 에서 발생하는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스크린샷을 수집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스크린샷에 포함되는 모든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터렉션 데이터에 의해 화면이 변경되는 경우 화면 변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이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 중 해상도 정보보다 큰 경우, 화면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스크린샷과 상용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보다 큰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한번에 표시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롤과 같은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 (200) 는 화면 이동 정보와 스크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모바일 디바이스 (200) 에 한번에 표시되지 못하는 경우, 전체 화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전체 스크린샷과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전체 스크린샷,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 화면 이동 정보 및 스크롤 데이터를 기초로 보다 정확한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스크롤 가능한 경우 데이터가 수집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어서, 데이터 저장부 (120) 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 (120) 는 ‘수집’된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S240). 구체적으로, 데이터 저장부 (120) 는 정의된 세션 동안에 수집된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개발자의 분석자료 제공 요청 명령에 의해 생성부 (130) 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부 (130) 는 수집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S250), 수집된 화면 데이터 및 상용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한다 (S260). 구체적으로, 생성부 (130) 는 수집된 화면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과 상용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 (130) 가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데이터 저장부 (120) 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생성부 (130) 는 데이터 수집부 (110) 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에 따라 동영상을 생성하는 세부적인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 (S260) 는 해상도 정보를 기준으로 스크린샷 및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S261) 와 화면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화면에 대한 스크린샷 및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S263)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생성부 (130) 는 수집된 화면 데이터 중 스크린샷과 상용 데이터 중 인터렉션 데이터를 해상도 정보에 일치시킨다. 여기서, 스크린샷은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집되었으므로 인터렉션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시간과 함께 스크린샷이 동영상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생성부 (130) 는 하나의 인터렉션과 이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통합하고 이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에 일치시킴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인 동영상의 일부로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부 (130) 는 화면 변경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변경된 화면에 대응하는 다른 인터렉션 데이터와 변경된 화면에 대한 스크린샷을 해상도 정보에 일치시킨다. 즉, 인터렉션 데이터에 따라 화면이 변경되는 경우, 생성부 (130) 는 변경된 화면에 대한 스크린샷과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고 해상도 정보와 일치시켜 동영상의 일부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차적인 스크린샷들 사이를 보다 부드러운 영상으로 표현하기 위해, 생성부 (130) 는 개별 스크린샷들 사이에 자연스러운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의 궤적 또는 움직임을 이미지화하여 스크린샷과 통합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부 (130) 는 하나의 세션에서 시간에 따른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화면의 스크린샷을 통합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생성부 (130) 에서 생성된 동영상을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에 따라 수집되는 예시적인 화면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모바일 디바이스 (200) 의 해상도 정보보다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이 더 큰 경우, ‘스크롤’에 의한 인터렉션 데이터와 스크린샷을 반영한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해상도 정보보다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이 더 큰 경우, 데이터 수집부 (110) 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스크린샷 (521) 과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수집된 전체 스크린샷 (521) 과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스크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스크롤되는 경우, 스크롤 이전 스크린샷 (511) 은 스크롤 이후 스크린샷 (513) 과 비교된다.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전체 스크린샷 (521) 에 대응하는 스크롤 이전 스크린샷 (511) 의 좌표와 스크롤 이후 스크린샷 (513) 의 좌표를 비교하여 화면 이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는 전체 스크린샷 (521) 에 상대적인 상대 좌표와 스크린샷 (511) 에 절대적인 절대 좌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절대 좌표 또는 상대 좌표를 인터렉션 데이터마다 비교하여 화면 이동 여부 및 스크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인터렉션 데이터 중 스크롤 데이터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부 (110) 가 화면 이동 정보 및 스크롤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데이터 수집부 (110) 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스크롤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데이터 수집부 (110) 에서 수집된 스크린샷, 인터렉션 데이터, 화면 이동 정보 및 스크롤 데이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스크롤 되는 경우에도 스크롤 전후의 스크린샷과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여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영상의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 자료 (400) 는 스크린샷 (411), 오브젝트 (413), 재생 제어 버튼 (415) 및 세션 테이블 (420) 을 포함하는 동영상의 형태로 제공된다. 세션 테이블 (420) 은 사용자의 인터렉션과 인터렉션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렉션 데이터들 (421, 423, 425) 을 포함한다.
개발자가 재생 제어 버튼 (415) 중 재생 버튼을 선택하면, 하나의 세션에서 발생하는 인터렉션 데이터들 (421, 423, 425) 에 대응하는 스크린샷들이 시간에 따라 재생된다. 즉, 세션 테이블 (420) 에서 각각의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린샷 (411) 이 재생되고, 스크린샷 (411) 에는 사용자의 인터렉션이 오브젝트 (413) 상에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개발자는 세션 테이블 (420) 의 인터렉션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인터렉션에 대한 스크린샷 (411) 을 재생시키고 확인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개발자에 의해 선택되는 인터렉션 데이터들 (421, 423, 425) 마다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불연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렉션 데이터 (421) 인 ’00:04 화면 시작’을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시작되는 것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이 재생된다. 마찬가지로, 개발자가 제2 인터렉션 데이터 (423) 인 ’00:06 오브젝트 탭 (com.example.test:id/btn8)’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오브젝트 (413) 를 탭 (tab) 한 인터렉션에 대응하는 스크린샷 (411) 이 재생된다.
제3 인터렉션 데이터 (425) 는 크래쉬가 발생하여 화면이 종료된 경우에 대응되는 인터렉션 데이터로 이에 대한 스크린샷은 수집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스크린샷이 수집되지 않은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해상도 정보를 갖는 스크린샷이 대신 재생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인터렉션 데이터 (425) 가 발생하기 직전인 ’00:10 오브젝트 탭 (com.example.test:id/feed_fav_ico)’의 스크린샷이 크래쉬가 발생한 ’00:11’에 대응하는 스크린샷 대신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스크린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빈 화면인 더미 스크린샷이 재생될 수도 있다.
개발자가 재생 제어 버튼 (415) 중 정지 버튼을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 자료 (400) 의 재생이 정지된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수신하여 세션을 정의하고, 정의된 세션 동안 인터렉션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00) 은 스크린샷만을 이용하여 적은 데이터만으로 동영상으로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적은 비용으로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를 높은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모듈
110 데이터 수집부
120 데이터 저장부
130 생성부
200 모바일 디바이스
400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 자료
411 스크린샷
413 오브젝트
415 재생 제어 버튼
420 세션 테이블
421 제1 인터렉션 데이터
423 제2 인터렉션 데이터
425 제3 인터렉션 데이터
511 스크롤 이전 스크린샷
513 스크롤 이후 스크린샷
521 전체 스크린샷

Claims (18)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세션에 대응하여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상기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상용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데이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 데이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 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샷을 수집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해상도 정보와 동일한 해상도 정보를 갖는 스크린샷, 상기 해상도 정보와 유사한 해상도 정보를 갖는 스크린샷 또는 더미 스크린샷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정보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이 더 큰 경우,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스크린샷을 수집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스크린샷 및 상기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스크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스크롤되는 경우,
    상기 화면 변경 정보는 일정한 주기마다 수집된 상기 스크린샷을 비교하여 획득된 화면 이동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용 데이터는 상기 스크린샷에 대한 스크롤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해상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스크린샷 및 상기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화면에 대한 상기 스크린샷 및 상기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9.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하고,
    상기 세션에 대응하여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수집된 상기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상용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수집된 상기 화면 데이터, 상기 상용 데이터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데이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 데이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 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샷을 수집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해상도 정보와 동일한 해상도 정보를 갖는 스크린샷, 상기 해상도 정보와 유사한 해상도 정보를 갖는 스크린샷 또는 더미 스크린샷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정보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이 더 큰 경우,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스크린샷을 수집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전체 스크린샷 및 상기 전체 오브젝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스크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스크롤되는 경우,
    상기 화면 변경 정보는 일정한 주기마다 수집된 상기 스크린샷을 비교하여 획득된 화면 이동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용 데이터는 상기 스크린샷에 대한 스크롤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해상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스크린샷 및 상기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고,
    상기 화면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화면에 대한 상기 스크린샷 및 상기 인터렉션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장치.
  18.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인터렉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정보를 기초로 세션을 정의하고,
    상기 세션에 대응하여 화면 데이터, 상용 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상용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40108606A 2014-08-20 2014-08-20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3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06A KR101633670B1 (ko) 2014-08-20 2014-08-20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9113 WO2016027923A1 (ko) 2014-08-20 2014-09-29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06A KR101633670B1 (ko) 2014-08-20 2014-08-20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708A true KR20160022708A (ko) 2016-03-02
KR101633670B1 KR101633670B1 (ko) 2016-06-28

Family

ID=5535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606A KR101633670B1 (ko) 2014-08-20 2014-08-20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3670B1 (ko)
WO (1) WO2016027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746A (ko) * 2016-08-10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02B1 (ko) * 2011-10-10 2012-02-27 어니컴 주식회사 장면 기반 테스트 자동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56633A (ko) * 2012-10-30 2014-05-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관심분야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95B1 (ko) * 2011-07-18 2013-09-26 (주) 프람트 메타데이터 및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한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0565B1 (ko) * 2011-09-20 2013-07-3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안드로이드 앱의 행위정보 동적분석 에뮬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행위정보 동적분석 시스템, 그리고 안드로이드 앱의 행위정보 동적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055282A (ko) * 2012-10-31 2014-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의 웹 어플리케이션 오류 분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02B1 (ko) * 2011-10-10 2012-02-27 어니컴 주식회사 장면 기반 테스트 자동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56633A (ko) * 2012-10-30 2014-05-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관심분야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7923A1 (ko) 2016-02-25
KR101633670B1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1812B (zh) 音视频播放进度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JP5966596B2 (ja) 情報処理装置、投影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7251550B (zh) 信息处理程序和信息处理方法
US10101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ouch-screen based application ported in a smart device
CN105843734A (zh) 一种自动化测试方法、装置及计算设备
US20150128085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Desktop
CN107577415B (zh) 触摸操作响应方法及装置
KR102664318B1 (ko) 음성 기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608551B (zh) 触摸操作响应方法及装置
US10055388B2 (en) Declarative style rules for default touch behaviors
CN108829320A (zh) 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移动终端及交互系统
CN107479872B (zh) 安卓动画集合播放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US20110187739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70185567A1 (en) User interface control layo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5828167A (zh) 截屏分享方法及装置
CN109656463A (zh) 个性表情的生成方法、装置及系统
KR101633670B1 (ko)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 분석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569675B (zh) 一种提示框显示方法及装置
CN112752127B (zh) 视频播放位置的定位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818390A (zh) 视频截取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30054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udiovisual work, device, and medium
CN109753146A (zh) 一种移动终端启动应用的方法及移动终端
CN105487761B (zh) 一种应用程序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4216603A (zh) 一种显示方法和电子设备
CN114286160A (zh)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