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580A -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580A
KR20160022580A KR1020140108310A KR20140108310A KR20160022580A KR 20160022580 A KR20160022580 A KR 20160022580A KR 1020140108310 A KR1020140108310 A KR 1020140108310A KR 20140108310 A KR20140108310 A KR 20140108310A KR 20160022580 A KR20160022580 A KR 2016002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indoor unit
outdoor unit
unit
communic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265B1 (ko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2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리모컨을 통해 실외기가 설치되는 건물의 외벽면 난간이나 옥상 등에서 원격으로 제1 컨트롤러 및 제1 컨트롤러에 연결된 제2 컨트롤러를 통해 제1 실내기 및/또는 제2 실내기를 통해 실외기에 전원을 ON/OFF 제어하도록 함과 아울러 실외기를 제1 실내기 및/또는 제2 실내기를 연동시켜 가동 제어함으로써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를 왕복 이동하지 않고도 좀더 쉽고 안전하게 실외기를 가동시켜가며 고장 부위를 진단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CONTROL DEVICE FOR REPAIRING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에 에어컨의 수리 작업시 실외기가 설치된 외측에서 실내기들을 원격으로 전원 인가 및 가동 제어하여 에어컨의 수리 작업이 좀더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에어컨(Air-Conditioner)는 주로 냉동 시스템을 이용해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에어컨은 냉동 시스템의 압축기와 응축기가 포함됨 실외기와, 팽창관(모세관)과 증발기가 포함된 실내기로 이루어진다.
가정용 에어컨의 실내기는 흡열을 위해 주로 가정의 거실이나 방에 설치되며, 실외기는 방열을 위해 주로 건물의 외벽이나 옥상 등에 설치된다.
한편, 에어컨의 중수리를 요하는 고장들은 주로 고압부를 이루는 실외기의 응축기나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이들의 운전을 가동 제어 하는 제어 장치들은 대부분 실내기에 함께 구성된다.
따라서, 건물의 외벽면 난간이나 옥상 등에 설치된 실외기를 가동시켜가며 고장 부위를 진단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는 실내기에 구비된 제어기를 통한 전원 인가 및 가동 제어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실내기와 실외기가 설치된 장소를 왕복하여 이동하여야 하는 수리 작업의 어려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실외기가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2011-0005486호(공개일자 2011.06.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4418호(공개일자 2008.03.18)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컨의 실외기가 설치된 쪽에서 실내기들에 구비된 제어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실외기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거나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를 왕복 이동하지 않고도 좀더 쉽고 안전하게 실외기를 가동 제어하며 고장 부위를 진단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는, 제1 실내기의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컨트롤러; 제2 실내기들의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각의 제2 컨트롤러들; 및 실외기쪽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를 통한 상기 제1 실내기를 원격으로 가동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컨트롤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컨트롤러들을 통해 상기 제2 실내기들을 원격으로 가동 제어하는 리모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는 각각 상기 제1 실내기의 제어부 및 제2 실내기의 제어부에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컨트롤러와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리모컨은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컨은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RF송수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에 따르면, 작업자가 리모컨을 통해 실외기가 설치되는 건물의 외벽면 난간이나 옥상 등에서 원격으로 제1 컨트롤러 및 제1 컨트롤러에 연결된 제2 컨트롤러를 통해 제1 실내기 및/또는 제2 실내기를 통해 실외기에 전원을 ON/OFF 제어하도록 함과 아울러 실외기를 제1 실내기 및/또는 제2 실내기를 연동시켜 가동 제어함으로써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를 왕복 이동하지 않고도 좀더 쉽고 안전하게 실외기를 가동시켜가며 고장 부위를 진단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를 도시한 걔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의 리모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를 도시한 걔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는 제1 컨트롤러(110), 제2 컨트롤러(120) 및 리모컨(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에어컨의 수리 작업시 실외기(30)쪽에서 실내기들(10, 20)을 원격으로 가동 제어하여 에어컨의 실외기(30) 설치 장소에 따른 수리 작업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에어컨은 가정의 거실에 설치되는 대용량의 스텐드형 제1 실내기(10), 안방 등에 추가 설치되는 하나의 벽걸이형 제2 실내기(20) 및 제1 실내기(10)와 제2 실내기(20)에 연결되는 하나의 실외기(30)로 구성되는 가정용 에어컨인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가 반드시 상기한 가정용 에어컨의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종류와 개수의 실내기를 가지고 구성되는 가정용뿐만 아니라 시스템 에어컨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컨트롤러(110)는 제1 실내기(10)의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컨트롤러들(120)은 추가 구성되는 각각 제2 실내기(20)들의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컨트롤러(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리모콘(130)은 실외기(30)측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110)를 통한 상기 제1 실내기(10)를 원격으로 가동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컨트롤러(11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컨트롤러(120)들을 통해 상기 제2 실내기(20)들을 원격으로 가동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컨트롤러(110)와 상기 리모컨(130)은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서로 원거리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내기(10)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1 컨트롤러(110)와 실외기(30) 근처에서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컨(130)의 제어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리모컨 사이에 사용되는 주파수 447MHz 대역의 사용 주파수를 사용하여 최장 700m의 통신 대역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130)은 상기 제1 컨트롤러(110)와 양방향성 피드백 신호를 이용해 작업자가 이를 통해 실외기(30)측에서 제1 실내기(10) 및/또는 제2 실내기(2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컨트롤러(110) 및 상기 제2 컨트롤러(120)는 상기 제1 실내기(10)의 제어부 및 제2 실내기(20)의 제어부에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으로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컨트롤러(120)는 상기 제1 컨트롤러(110)와 전술한 바와 같은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서로 원거리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안방에서 제2 실내기(2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컨트롤러(120)와 거리 차를 두고 거실에서 제1 실내기(1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컨트롤러(110) 사이에 제어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실외기(30) 근처에서 작업자의 리모컨(130)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2 실내기(20) 제어 신호는 제1 컨트롤러(110)와 연결되는 제2 컨트롤러(120)를 경유하여 제2 실내기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에 따르면, 작업자가 리모컨(130)을 통해 실외기(30)가 설치되는 건물의 외벽이나 옥상 등에서 원격으로 제1 컨트롤러(110) 및 제1 컨트롤러(110)에 연결된 제2 컨트롤러(120)를 통해 제1 실내기(10) 및/또는 제2 실내기(20)의 제어부를 통해 실외기(30)에 전원을 ON/OFF 제어하도록 함과 아울러 실외기(30)를 제1 실내기(10) 및/또는 제2 실내기(20)를 연동시켜 가동 제어함으로써 실외기(30)와 실내기들(10, 20) 사이를 왕복 이동하지 않고도 좀더 쉽게 안전하게 실외기(30)를 가동시켜가며 고장 부위를 진단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실외기(30)로 배관 내 냉매 가스를 모으도록 실외기 펌프 다운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실외기(30) 내에 설치된 압축기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5~10초 이내의 빠른 시간 이내에 제1 실내기(10) 및/또는 제2 실내기(20)를 통해 에어컨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그러나 1 실내기(10) 및/또는 제2 실내기(20)가 3층에 있고 실외기(30)는 5층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5층 옥상에서 상기한 실외기(30) 펌프 다운 작업을 수행하다가 5~10초 이내에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3층까지 급하게 뛰어 내려가야 하는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작업자가 계단에서 넘어질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실외기(30)가 건물의 외벽면 난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가 외벽면 난간에 매달려 수리 작업중 실외기(30)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해 제1 실내기(10) 및/또는 제2 실내기(20)로 이동하기 위한 난간을 넘어야 되는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락 사고를 예방하여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리모컨(130)은 커버 내에 수납되는 회로기판 상에 실외기 전원 ON/OFF 제어 버튼, 제1 실내기 제어 버튼, 제2 실내기 제어 버튼이 구비되도록 별도 제작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130)이 스마트폰(231) 등을 이용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도 1의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의 리모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리모컨(230)은 스마트폰(231) 및 이에 결합되는 RF송수신모듈(232)로 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231)에 설치되는 앱을 통해 발생된 제어 신호들을 RF송수신모듈을 통해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컨트롤러에 발신하도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실외기(30)에 전원을 ON/OFF 제어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1 실내기 및/또는 제2 실내기를 연동시켜 실외기(30)를 가동 제어하도록 한다.
더욱이, 제1 컨트롤러(110) 및 제2 컨트롤러(120)에 설치되는 전류 감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제1 실내기(10) 및 제2 실내기(20)의 작용 여부를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RF송수신모듈(232)을 통해 스마트폰(231)으로 송신하도록 하여, 실외기(30) 근처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스마트폰(231)에 설치된 앱(APP; Application)을 통해 쉽게 제1 및 제2 실내기(10, 20)의 작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스마트폰(231)에 설치된 앱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실외기(30)가 설치되는 건물의 외벽면 난간이나 옥상 등에서 원격으로 제1 컨트롤러(110) 및 제1 컨트롤러(110)에 연결된 제2 컨트롤러(120)를 통해 실외기(30)에 전원을 ON/OFF 제어함과 아울러 실외기(30)를 제1 실내기(10) 및/또는 제2 실내기(20)를 연동시켜 가동 제어하고, 제1 및 제2 실내기(10, 20)의 작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외기(30)와 실내기들(10, 20) 사이를 왕복 이동하지 않고도 좀더 쉽고 안전하게 실외기를 가동시켜가며 고장 부위를 진단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제1 실내기 20: 제2 실내기
30: 실외기 110: 제1 컨트롤러
120: 제2 컨트롤러 130, 230: 리모컨
231: 스마트폰 232: RF송수신모듈

Claims (5)

  1. 제1 실내기의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컨트롤러;
    제2 실내기들의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각의 제2 컨트롤러들; 및
    실외기쪽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를 통한 상기 제1 실내기를 원격으로 가동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컨트롤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컨트롤러들을 통해 상기 제2 실내기들을 원격으로 가동 제어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는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는 각각 상기 제1 실내기의 제어부 및 제2 실내기의 제어부에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컨트롤러와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리모컨은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리모컨은,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주파수 통신(Radio-Frequency) 방식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RF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KR1020140108310A 2014-08-20 2014-08-20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KR101611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10A KR101611265B1 (ko) 2014-08-20 2014-08-20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10A KR101611265B1 (ko) 2014-08-20 2014-08-20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580A true KR20160022580A (ko) 2016-03-02
KR101611265B1 KR101611265B1 (ko) 2016-04-11

Family

ID=5558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310A KR101611265B1 (ko) 2014-08-20 2014-08-20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2767A (zh) * 2016-05-26 2016-09-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故障诊断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418A (ko)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에어컨 통신불량 체크 지그 및 방법
KR20110005486A (ko) 2009-07-10 2011-01-18 공병철 소성변형을 통한 해체 방지 볼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3365B2 (ja) * 2000-03-08 2007-06-20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418A (ko)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에어컨 통신불량 체크 지그 및 방법
KR20110005486A (ko) 2009-07-10 2011-01-18 공병철 소성변형을 통한 해체 방지 볼트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2767A (zh) * 2016-05-26 2016-09-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故障诊断方法及装置
CN105972767B (zh) * 2016-05-26 2019-04-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故障诊断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265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3873B2 (en) Connecting split HVAC systems to the internet and/or smart utility meters
JP593299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70072099A (ko) 전력 사용량에 연동되는 IoT 자동 원격 제어 시스템
US20180320916A1 (en) Hva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8025377A (ja) マルチ空気調和機
TWI540906B (zh) Coordinated Method of Near - end and Remote Control for Wireless System
KR101611265B1 (ko) 에어컨 수리용 가동 제어 장치
US20080178619A1 (en) Combined management of air conditioning system and lighting system
KR20170107316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EP2696146A1 (en) Air-conditioning remote controller,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system
JP7016023B2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リモコンおよび空気調和装置
EP2674822B1 (en) Connecting split HVAC systems to the internet and/or smart utility meters
KR20160096515A (ko) 루버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JP2013064537A (ja) 全館空調システム
JP4123838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30225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방 감시(계측)제어 방법 및 그 소프트웨어 장치
CN206637792U (zh) 一种新型智能酒店空调控制器
KR101203576B1 (ko) 공기조화기용 테스터 및 그 방법
JP2006105487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9946239B2 (en) Furnace control board architecture
CN108375163B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9015460A (ja) 全館空調システム
CN104898442A (zh) 室内电气控制系统及其方法
US11493223B2 (en) Air conditioner
CN103322652A (zh) 一种空调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