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148A -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148A
KR20160022148A KR1020140107934A KR20140107934A KR20160022148A KR 20160022148 A KR20160022148 A KR 20160022148A KR 1020140107934 A KR1020140107934 A KR 1020140107934A KR 20140107934 A KR20140107934 A KR 20140107934A KR 20160022148 A KR20160022148 A KR 20160022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thin film
ato
silv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진
구본율
안하림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148A/ko
Publication of KR2016002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84Manufacture of transparent electrodes, e.g. TCO,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H10K30/821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comprising carbon nano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투명 전극은, 기판 위에 제공되는 은 나노와이어 층, 및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덮는 ATO 박막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은 나노와이어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덮는 ATO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TO 박막은 안티몬(Sb)과 주석(Sn)을 포함하는 용액을 전기 분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TRANSPARENT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 전도성 전극은 낮은 저항과 가시 영역에 높은 투과도를 제공하여 태양 전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터치 스크린 등 광전자 장치에 중요한 구성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투명 전도성 전극은 In2O3:Sn(ITO), SnO2:F(FTO), ZnO:Al(AZO), 및 SnO2:Sb(ATO)와 같은 산화물 기반 소재, 그라핀 및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탄소 기반 소재, 은 나노와이어 및 구리 나노와이어와 같은 금속 기반 나노와이어와 같은 다양한 소재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상기 소재 중에서 은 나노와이어는 낮은 면저항과 가시 범위에서 낮은 소광 계수를 갖기 때문에 투명 전도성 전극에 적합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또, 유리 기판 위에 은 나노와이어의 증착은 간단한 용액 기반 공정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은 나노와이어는 열적 화학적 안정성에 대한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실제 제품에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은 나노와이어는 습한 환경 또는 200℃ 이상의 고온에 노출되면 쉽게 산화되거나 불연속 고립 은 아일랜드(islands)를 형성할 수 있어, 전기 및 광학적 물성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투명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은 나노와이어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덮는 ATO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TO 박막은 안티몬(Sb)과 주석(Sn)을 포함하는 용액을 전기 분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분무는 1 ~ 5분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용액은 SbCl3와 SnCl2·2H2O를 알코올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액 내에서 상기 주석 대 상기 안티몬의 몰비는 5:1 ~ 15:1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ATO 박막은 200℃ 이상의 온도에서 마이크로파로 어닐링될 수 있다.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은 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을 스핀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은, 기판 위에 제공되는 은 나노와이어 층, 및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덮는 ATO 박막을 포함한다.
상기 ATO 박막은 비정질일 수 있다. 상기 ATO 박막은 전기 분무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은 은 나노와이어 층과 ATO 박막을 포함한다. 상기 ATO 박막은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의 보호막으로 기능하여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투명 전극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ATO 박막은 전기 분무 방법을 이용한 간단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ATO 박막은 300℃의 낮은 어닐링 온도에서 형성되어 비정질 특징을 가질 수 있고, 은 나노와이어 층의 효과적인 보호막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은 터치 패널, 태양 전지, 및 LED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극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의 XRD 데이터와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의 FE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극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의 면 저항, 광 투과도, 및 헤이즈 값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의 화학적 안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극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은 나노와이어 층을 형성하는 단계(S10) 및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덮는 ATO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기판 위에 은 나노와이어 층을 형성한다(S10).
상기 기판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 등 다양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은 나노와이어 잉크와 2-프로판올의 혼합 용액(1:1 부피비)을 준비한다. 상기 혼합 용액을 기판 위에 30초 동안 2000rpm으로 스핀-코팅하여 은 나노와이어 층을 형성한다. 잔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1시간 동안 80℃의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덮는 ATO 박막을 형성한다(S20).
안티몬(Ⅲ) 클로라이드(SbCl3)를 2-프로판올에 1시간 동안 용해시키고, 주석(Ⅱ) 클로라이드 이수화물(SnCl2·2H2O)을 첨가한다. Sn 대 Sb의 몰 비율을 10:1로 조절한다. 이렇게 획득한 투명 ATO-졸 용액을 23-게이지 스테인레스 스틸 바늘이 장착된 시린지로 옮긴다. 상기 용액의 공급 속도를 0.03mL/h로 제어하고, 24kV의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바늘과 컬렉터(collector) 간 거리는 10cm 정도로 고정된다. 상기 용액을 전기 분무(electrospray)하여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덮는 ATO 박막을 형성한다.
전기 분무에 의한 ATO 박막의 증착 시간을 0, 1, 3, 5, 10, 및 15분으로 하여 구분하여 투명 전극을 형성하였다. 증착 시간이 0분인 경우 투명 전극은 순수 은 나노와이어(pure Ag NW)로 표시되고, 증착 시간이 1, 3, 5, 10, 및 15분인 경우 투명 전극은 각각 샘플 A, B, C, D, 및 E로 표시된다. 상기 샘플의 투명 전극은 아르곤 대기 하에서 3시간 동안 150℃의 오븐에서 건조되었고, 20℃/min의 가열 속도로 승온된 후 5분 동안 300℃에서 마이크로파 가열되었다. XRD(X-ray diffraction) 및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은 나노와이어 층과 전기 분무된 ATO 박막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의 구조적 및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FESEM(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와 MFTEM(multifunctiona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모폴리지 특성을 측정하였다. HEMS(Hall Effect Measurement System)을 이용하여 투명 전극의 면저항을 측정하였고,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UV-vis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280 ~ 900nm 파장 범위에서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의 XRD 데이터와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a는 샘플 A 내지 E의 XRD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3b는 샘플 B의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아래 부분에 순수 은(pure Ag)과 이산화 주석(SnO2) 상(phase)의 레퍼런스 벌크 리플렉션(reference bulk reflections)이 표시된다. 샘플 A에 대하여, 면심 입방 구조를 갖는 금속 은 상(Ag phase)의 (111) 및 (200) 면들에 대응하는 38.2° 및 44.4°에 피크가 나타난다. ATO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 분무 증착 시간이 증가할수록 금속 은 상의 (111) 및 (200) 피크들의 강도가 점차 감소한다. 샘플 E에 대하여는 은 상에 대한 피크가 거의 사라진다. 이는 상기 전기 분무된 ATO 박막이 300℃의 낮은 어닐링 온도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비정질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3b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샘플 B로부터 획득한 Sn 3d, Sb3d, 및 Ag 3d 광전자의 XPS 코어 레벨 스펙트럼이 나타난다. Sn 3d5/2 및 Sn 3d3/2 광전자의 피크가 486.6eV 및 495.1eV에서 나타나고, 이는 Sn이 SnO2 상(phase)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Sb 3d5/2 및 Sb 3d3/2 광전자의 피크가 530.7eV 및 540.3eV에서 나타나고, 이는 Sb가 Sb2O5 상(phase) 내에 Sb5+ 이온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Sb가 도핑된 SnO2(ATO) 상의 성공적인 형성을 나타낸다. 또, O 1s 광전자의 두 피크가 531.6 및 533.0eV에서 나타나고, 표면 상의 비양론적 산화물 및 표면에 약하게 결합된 산소에 부여된다. Ag 3d5/2 및 Ag 3d3/2 광전자의 피크가 367.8eV 및 373.8eV에서 나타나고, 이는 Ag가 Ag2O 상(phase) 내에 Ag+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피크들이 또한 368.0eV(Ag 3d5/2) 및 374.0eV(Ag 3d3/2)에서 나타나며, 이는 금속 은 상태에 대응한다.
상기 XRD 및 XPS 결과들에 따르면 은 나노와이어 층은 금속 은 코어와 어닐링 과정 동안 형성된 부분적으로 산화된 은 표면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의 FE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300℃의 마이크로파 가열 후에 순수 은 나노와이어 층은188~219nm의 직경을 갖는 물방울 형상의 은 입자들을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은 나노와이어는 Ag 마이그레이션 때문에 200℃ 이상의 온도에서 뭉쳐져서 고립된 물방울 형상의 은 입자를 형성한다. 그러나, 샘플 A 내지 E에서의 은 나노와이어는 뭉쳐짐없이 높은 종횡비(aspect ratio)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유지할 수 있다. 전기 분무 증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은 나노와이어 사이의 빈 공간이 점차적으로 전기 분무된 ATO 박막에 의해 채워진다. 도 4e 및 도 4f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은 나노와이어 사이의 빈 영역은 샘플 D 및 E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분무 증착 시간이 투명 전극의 광학 및 전기적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5는 샘플 B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5에서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역은 은 나노와이어를 나타내고, 상대적으로 밝은 영역은 ATO 상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정질 ATO 상이 은 나노와이어를 덮는다. 상기 비정질 ATO 상은 불규칙 원자 배열 및 3차원 분포의 그레인 경계(grain boundaries)를 가지며, 이에 의해 상기 비정질 ATO 상은 결정질 ATO 상에 비하여 더 낮은 유효 확산 계수를 갖는다. 비정질 ATO 상이 은 상으로의 침투를 방해하기 때문에 1차원 모폴로지의 은 나노와이어가 300℃의 어닐링 후에 계속해서 남게 된다. 따라서, 은 나노와이어 위에 증착된 비정질 ATO 박막은 투명 전극의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호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의 면 저항, 광 투과도, 및 헤이즈 값을 나타낸다.
도 6a는 샘플 A 내지 E의 면 저항을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샘플 A 내지 E의 면 저항은 각각 14.5, 27.9, 503.6, 2,318, 및 4,922Ω/으로 나타났다. ATO 박막의 전기 분무 증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면 저항도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샘플 A 및 B의 경우 ATO 박막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면 저항은 주로 은 나노와이어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샘플 D 및 E의 경우 면 저항은 주로 더 두꺼운 ATO 박막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샘플 D 및 E는 샘플 A 내지 C보다 높은 면 저항을 나타낸다. 모든 샘플들 중에서 샘플 A 및 B는 우수한 면 저항을 나타낸다.
도 6b는 샘플 A 내지 E의 광 투과도를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면, 550nm에서 순수 은 나노와이어 및 샘플 A 내지 E에 대한 광 투과도는 각각 75.8%, 82.6%, 81.9%, 80.8%, 79.1%, 및 75.3%로 나타났다. 순수 은 나노와이어는 기판 위에 널리 분포된 은 입자들에 의한 빛 산란(light scattering) 때문에 낮은 투과도를 나타낸다. 샘플 A에서 샘플 E로 갈수록 ATO 박막의 두께가 커지기 때문에 투과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도 6c는 샘플 A 내지 E의 빛 산란 능력을 보여주는 헤이즈 값을 나타낸다. 도 6c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50nm 이상의 큰 직경을 갖는 은 나노와이어는 가시 영역에서 빛 산란을 야기하기 때문에 5~10% 범위의 높은 헤이즈 값을 갖는데 이는 터치 패널이나 LCD와 같은 제품에는 적합하지 않다. 투명 전극에 대하여 헤이즈 값을 감소시키는 것은 산업화를 위해 중요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은 하기 식과 같이 전체 투과된 빛에 대한 퍼지게 투과된 빛의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HT = (Ttot-Tdirect)/Ttot × 100%
상기 식에서 Ttot는 전체 투과도이고 Tdirect는 직접 투과도이다.
상기 순수 은 나노와이어 및 샘플 A 내지 E에 대한 헤이즈 값은 각각 12%, 4.4%, 4.7%, 5.1%, 5.4%, 및 5.8%로 나타났다. 즉, 순수 은 나노와이어가 어닐링 후 형성된 은 입자 덩어리에 의해 증가된 빛 산란때문에 높은 헤이즈 값을 갖는다. 샘플 A 내지 E의 헤이즈 값은 순수 은 나노와이어의 헤이즈 값보다 작게 나타나는데, 이는 ATO 박막이 은 나노와이어의 높은 종횡비 모폴로지를 유지하고 은 상의 뭉침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빛 산란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전극의 화학적 안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투명 전극의 화학적 안정성의 지표로서 4주 동안 샘플들의 면 저항의 변화가 표시된다. 4주 후에 은 나노와이어의 면 저항은 17.5배 증가하였고, 샘플 A의 면 저항은 3배 증가하였다. 이는 4주 동안 대기에 노출된 은 나노와이어는 쉽게 산화되고 부분적으로 은 입자들의 뭉침을 형성하여 은 나노와이어의 연결 지점의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샘플 A의 경우 ATO 박막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면 저항이 조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샘플 B의 경우 면 저항의 값이 4주 후에도 같은 값으로 유지되었다. ATO 박막은 면 저항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심에서 고려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기판 위에 은 나노와이어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덮는 ATO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TO 박막은 안티몬(Sb)과 주석(Sn)을 포함하는 용액을 전기 분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분무는 1 ~ 5분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SbCl3와 SnCl2·2H2O를 알코올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내에서 상기 주석 대 상기 안티몬의 몰비는 5:1 ~ 15:1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TO 박막은 200℃ 이상의 온도에서 마이크로파로 어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은 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을 스핀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8. 기판 위에 제공되는 은 나노와이어 층; 및
    상기 은 나노와이어 층을 덮는 ATO 박막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TO 박막은 비정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극.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TO 박막은 전기 분무 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극.
KR1020140107934A 2014-08-19 2014-08-19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2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34A KR20160022148A (ko) 2014-08-19 2014-08-19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34A KR20160022148A (ko) 2014-08-19 2014-08-19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48A true KR20160022148A (ko) 2016-02-29

Family

ID=5544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934A KR20160022148A (ko) 2014-08-19 2014-08-19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21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61A (ko) * 2017-11-28 2019-06-05 전자부품연구원 복합 전도성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78099A (ko) * 2018-12-21 2020-07-01 전자부품연구원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61A (ko) * 2017-11-28 2019-06-05 전자부품연구원 복합 전도성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78099A (ko) * 2018-12-21 2020-07-01 전자부품연구원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elle et al. Oxidation of copper nanowire based transparent electrodes in ambient conditions and their stabilization by encapsulation: Application to transparent film heaters
Mkawi et al. The effect of dopant concentration on properties of transparent conducting Al-doped ZnO thin films for efficient Cu 2 ZnSnS 4 thin-film solar cells prepared by electrodeposition method
Cattin et al. Properties of NiO thin films deposited by chemical spray pyrolysis using different precursor solutions
Koo et al. Improvement of transparent conducting performance on oxygen-activated fluorine-doped tin oxide electrodes formed by horizontal ultrasonic spray pyrolysis deposition
JP2013522813A (ja) 透明導電性酸化物、金属、及び酸化物の組み合わせに基づく透明電極
Kim et al. Sheet resistance dependence of fluorine-doped tin oxide films for high-performance electrochromic devices
An et al. Effect of sol-layers on Sb-doped SnO2 thin films as solution-based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KR101349357B1 (ko) 금속산화물에 의해 전도성이 향상된 그래핀 투명 전도성 필름
Koo et al. Low-temperature conducting performance of transparent indium tin oxide/antimony tin oxide electrodes
Rajasekaran et al.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optical characterization of Ti-doped ZnO nanorod thin film synthesized by spray pyrolysis technique
CN102982861A (zh) 一种用于电容式触摸屏的透明导电膜层
Elsherif et al.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SnO 2: F thin films deposited by spray pyrolysis for application in thin film solar cells
Farahamndjou The study of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nanocomposite ITO thin films prepared by e-beam evaporation
Koo et al. Percolation effect of V2O5 nanorod/graphene oxide nanocomposite films for stable fast-switching electrochromic performances
Koo et al. Optoelectronic multifunctionality of combustion-activated fluorine-doped tin oxide films with high optical transparency
US10395845B2 (en) Flexible Ti—In—Zn—O transparent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al-inserted three-layer transparent electrode with high conductivity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Shin et al. Silver nanowires network encapsulated by low temperature sol–gel ZnO for transparent flexible electrodes with ambient stability
TWI413130B (zh) Solar cells with positiv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Micali et al.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ITO films co-doped with Molybdenum
Bouabdalli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ickel and Aluminum‐Codoped SnO2 Thin Films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KR101049850B1 (ko)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박막의 제조방법
Lee et al. Fabrication of high transmittance and low sheet resistance dual ion doped tin oxide films and their application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KR20160022148A (ko)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Tabassum et al. Sol–gel and rf sputtered AZO thin films: analysis of oxidation kinetics in harsh environment
KR101069066B1 (ko)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기반 실리콘 태양전지의 투명전도성기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