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696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696A
KR20160021696A KR1020140112492A KR20140112492A KR20160021696A KR 20160021696 A KR20160021696 A KR 20160021696A KR 1020140112492 A KR1020140112492 A KR 1020140112492A KR 20140112492 A KR20140112492 A KR 20140112492A KR 20160021696 A KR20160021696 A KR 20160021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evel gear
cylinder
bevel
ge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캠퍼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퍼스라인 filed Critical (주)캠퍼스라인
Publication of KR2016002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Abstract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이 개시된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상판;
상기 상판의 네 귀퉁이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 및
상기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는
상기 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기어박스(300),
상기 기어박스(300)에 의해 회전하는 제3실린더(206);
상기 제3실린더(206)의 하부에 고정된 스크류 너트(208);
상기 제3실린더(206)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제2실린더(204);
상기 제2실린더(204)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너트(208)를 통하여 상기 제3실린더(206)의 내부로 연장된 스크류 볼트(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Desk capable of controlling height, leg of desk therefor and gear box therefor}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어박스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책상 다리를 가지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desk)은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받치고 쓰는 가구이다. 학교, 학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책상은 상판과, 상판 저부에 설치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책상은, 다리들이 상판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높이를 조절할 수 없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다리를 상부와 하부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상부를 잡아빼거나 눌러넣고 고정부재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다리 하부에 높이 조절나사를 두는 것이었다.
도 19는 다리의 상부 부분을 조절하는 방식의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판(10)을 지지하는 다리를 상부다리(30)와 하부다리(20)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상부다리(20)에 복수의 관통공(33)을 설치한다. 상부다리(30)는 하부다리(20)로 삽입되고, 고정부재(60)를 관통공(33)들 중의 하나에 끼우게 하여 높낮이를 조절한다.
그렇지만, 도 18에 도시된 바의 다리는 관통공의 간격에 해당하는 단위로만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수동 조작의 문제점은 복수의 다리를 가지는 경우에 심각한 장애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귀퉁이에 설치되는 4개의 다리를 가지는 책상의 경우 각 다리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하여야만 상판(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조작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다리의 저면에 높이 조절 나사를 두어 조절하는 것은 높이 조절 나사의 조절 범위가 크지 않다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높이 조절 나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각 다리의 높이를 세심하게 조절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전동 장치를 이용하여 다리 전체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제시된 바 있다.
도 20 내지 도 21은 전동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도시한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다리는 외부케이스와 내부 케이스로 구성된다. 내부 케이스는 외부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는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와이어는 내부실린더의 하부를 감고 외부케이스의 타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각각의 다리에 설치된 와이어는 하나의 풀리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의 회전력으로 풀리가 회전하면, 풀리가 와이어를 감게 되고, 와이어가 감겨짐에 따라 내부다리가 끌려올라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책상은 외이어, 내부다리 등이 일체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리만을 별도로 설치하는 조립식 책상으로서는 부적합하다.
또한, 와이어의 늘어짐에 의해 모터를 회전시키더라도 각각의 다리에 전달되는 구동력이 서로 다르게 되고 그 결과 상판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늘어남이 있을 경우 이를 보정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와이어유지를 위하여 윤활유를 칠해두어야 하지만, 이 윤활유에 의해 먼지가 흠착되는 등 지저분하게 되므로 정갈한 사무환경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책상 다리에 적합한 기어박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박스들 사이에서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팅 박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도 17에 도시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를 적용하고, 도 7 및 도 12에 도시되는 기어박스를 적용한 것으로서,
상판;
상기 상판의 네 귀퉁이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 및
상기 다리들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는
상기 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기어박스(300),
상기 기어박스(300)에 의해 회전하는 제3실린더(206);
상기 제3실린더(206)의 하부에 고정된 스크류 너트(208);
상기 제3실린더(206)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제2실린더(204);
상기 제2실린더(204)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너트(208)를 통하여 상기 제3실린더(206)의 내부로 연장된 스크류 볼트(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300)에 고정되며 상기 제3실린더(206)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2실린더(204) 내부로 삽입되는 제1실린더(20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린더(202)와 상기 제2실린더(204))의 접촉면들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치(212, 21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실린더(204)를 지지하는 받침대(21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여 상부에 상판에의 고정을 위한 플랜지(302a)가 형성된 기어박스 하우징(30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며, 상부에 상기 상판에 고정되면서 상기 기어박스(300) 및 다리(200)를 접을 수 있도록 경첩(302c)이 형성된 기어박스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도 17에 도시되는 것으로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를 적용하고, 도 7 및 도 12에 도시되는 기어박스를 적용한 것으로서,
상판;
상기 상판의 네 귀퉁이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 및
상기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는
상기 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기어박스(300);
상기 기어박스(30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볼트(506);
상기 스크류 볼트(506)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제2실린더(504); 및
상기 제2실린더(504)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볼트(506)에 나사결합된 스크류 너트(5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300)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볼트(506)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2실린더(504) 내부로 삽입되는 제1실린더(50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실린더(504)의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 나사(5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린더(502)와 상기 제2실린더(504)의 접촉면들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치(512, 51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여 상부에 상판에의 고정을 위한 플랜지(300a)가 형성된 기어박스 하우징(30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며, 상부에 상기 상판에 고정되면서 상기 기어박스(300) 및 다리(200)를 접을 수 있도록 경첩(302c)이 형성된 기어박스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상판의 높이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기어 박스를 이용함으로써 상판의 높이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베벨기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기어박스를 구비하고 있어서,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다리에 적용될 경우 상판의 높이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다리를 접을 수 있어서 책상의 조립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일 실시예를 보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에서 상판을 제거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책상에 부착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에 부착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의 제2실시예를 보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에 부착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다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기어박스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기어박스의 베벨기어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2베벨기어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기어박스의 분해결합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기어박스의 분해결합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 커넥팅 박스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커넥팅 박스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7은 커넥팅 박스, 기어박스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다.
도 19는 다리의 상부 부분을 조절하는 방식의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20 내지 도 21은 전동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일 실시예를 보인다.
도 1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0)은 상판(100), 상판(100)의 양측에서 상판(1000)을 지지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200)를 포함한다.
기어박스(300)가 작동하면, 예를 들어 기어박스(300)에 연결된 모터(400, 도 18참조)가 회전하여 기어박스 내부(300)의 제2베벨기어(미도시)가 회전하면, 이 ㄱ기어박스(300)에 연결된 스크루 볼트가 회전하여 기어박스(300)와 다리(200) 상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기어박스(300)의 상면에는 상판(100)이 얹혀지므로 기어박스(300)의 작동에 따라 상판(1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에서 상판을 제거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0)은 좌우 두 개의 다리(200)를 가지며, 다리(200)의 상부에는 기어박스(300)가 설치되고, 기어박스(300)의 사이에 커넥팅 박스(600)가 설치된다.
기어박스(300)는 내부에 3개의 베벨기어들이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치합되도록 구성된 것(도 7a~도7c 혹은 도 12a~도 12b) 혹은 워엄기어로 구성된 것(도 15) 등이 있으나, 그것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커넥팅 박스(600)는 커넥팅 로드(704, 706)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것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책상에 부착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200-1)는 기어박스(300),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기어박스 하우징(302), 기어박스 하우징(302)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중공의 제1실린더(202), 제1실린더(202)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제2실린더(204), 기어박스(30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며 제1실린더(202) 내부로 연장된 제3실린더(206), 제3실린더(206)의 하단에 고정된 스크류 너트(208), 스크류 너트(208)와 나사결합되며 스크류 너트(208)를 관통하여 제3실린더(206) 내부로 연장된 스크류 볼트(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실린더(208)의 하단은 제1실린더(202)의 하단에 회전자재하도록 지지되며, 스크류 볼트(210)의 하단은 제2실린더(204)의 바닥에 고정되며, 제2실린더(204)는 다리받침(210)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기어박스 하우징(202)의 상측으로는 플랜지(302-a)가 설치되며, 이 플랜지(302-a)를 통하여 상판(100)에 고정된다. 상판(100)에의 결합수단으로서는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다.
기어박스(300)가 작동하면, 예를 들어 기어박스(300)에 연결된 모터(400)가 회전하여 기어박스 내부(300)의 제2베벨기어(미도시)가 회전하면, 이 제2베벨기어의 회전 방향으로 제2실린더(206) 및 스크류 너트(208)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크류 너트(208)는 제2실린더(206)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스크류 볼트(210)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실린더(206)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너트(208)의 높이 즉, 제2실린더(204)의 바닥으로부터의 스크류 너트(208)까지의 거리가 달라진다. 스크류 너트(208)의 높이 변화는 기어박스(300)의 높이 변화에 상당한다.
기어박스(300)의 상면에는 상판(100)이 얹혀지므로 기어박스(300)의 작동에 따라 상판(1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미설명부호 212 및 214는 제1실린더(202)와 제2실린더(204)의 접촉면들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치(sliding patch)이다.
기어박스(300)는 전동 모터(4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에 부착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의 제2실시예를 보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다리(200-2)는 기어박스(300),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기어박스 하우징(302), 기어박스 하우징(302)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중공의 제1실린더(502), 제1실린더(502)에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제2실린더(504), 기어박스(30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며 제1실린더(502) 내부로 연장된 스크류 볼트(506), 제2실린더(504)의 상단에 고정되며 스크류 볼트(506)과 나사결합된 스크류 너트(50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실린더(504)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 나사(510)가 설치될 수 있다.
기어박스(300)가 작동하면, 예를 들어 기어박스(300)에 연결된 모터(400)가 회전하여 기어박스 내부(300)의 제2베벨기어(미도시)가 회전하면, 이 제2베벨기어의 회전 방향으로 스크류 볼트(506)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크류 볼트(506)는 제2실린더(504)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스크류 너트(508)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크류 볼트(508)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너트(508)의 높이 즉, 기어박스(300)의 바닥으로부터 스크류 너트(508)까지의 거리가 달라진다. 스크류 너트(508)의 높이 변화는 기어박스(300)의 높이 변화에 상당한다. 기어박스(300)의 상면에는 상판(100)이 얹혀지므로 기어박스(300)의 작동에 따라 상판(1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에 부착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다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다리(200-3)는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더하여 제1실린더(502) 및 제2실린더(504)를 수용하는 제3실린더(512)를 더 포함한다. 높이조절나사(510)는 제3실린더(512)의 바닥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책상 다리(500)는 상판(100)을 상승시킴에 따라 제2실린더(504)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마치 제2실린더(504)가 늘어나는 것처럼 보이게 되지만, 도 5에 도시된 책상다리(500)는 제2실린더(504)가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판을 상승시킬 때 기어박스(300)가 상승하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는 제1실시예의 기어박스(300-1) 및 제2실시예의 기어박스(300-2)의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다. 제1실시예의 기어박스(300-1)과 제2실시예의 기어박스(300-2)에 있어서 제1베벨기어(304)와 제2베벨기어(306) 사이의 각도가 다르기는 하지만 구동력을 전달하는 원리는 동일하므로 제2실시예의 기어박스(300-2)의 베벨기어 구성에 준하여 설명하고 제1실시예의 기어박스(300-1)의 베벨기어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베벨 기어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통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어박스(300)는 몸체(300a), 내부벽체(300b), 제1베벨기어(304), 제2베벨기어(306), 제3베벨기어(308)를 구비한다. 제1베벨기어(304) 내지 제3베벨기어(308)은 서로 직각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제1베벨기어(304)는 구동기어로서 사용되고, 제2베벨기어(306) 및 제3베벨기어(308)는 종동기어로서 사용된다. 내부벽체(300b)는 기어박스(300)를 이루는 몸체(300a)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서 제1~제3베벨기어(304~308)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벽체(300b)는 적어도 3개의 지지면을 가지며 각각의 지지면은 이웃하는 지지면과 서로 직각을 이룬다.
또한, 제1베벨기어(304)와 제3베벨기어(308)는 동일한 크기 및 기어수를 가지며, 제2베벨기어(306)의 크기 및 기어수는 제1베벨기어(304) 및 제2베벨기어(308)의 그것보다 크다. 이는 제2베벨기어(306) 및 제3베벨기어(308)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2베벨기어(306)의 기어축은 수직으로서 상판(100)을 상승/하강시키는 부재에 연결된다. 제1 및 제3베벨기어(304, 308)의 기어축은 수평으로서 모터(400) 혹은 커넥팅 박스(600)에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310~314는 베어링이다.
도 6에 도시된 기어박스(300)의 특징은 제1베벨기어(304) 내지 제3베벨기어(308)가 몸체(300a) 내부에 설치된 내부벽체(300b)에 의해 지지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베벨기어(304) 내지 제3베벨기어(308)의 상부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지고, 몸체(300a) 내부에 형성된 지지벽체(300b)의 지지면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제1베벨기어(304) 내지 제3베벨기어(308)의 지지력 및 안정성을 높인다. 예를 들어, 모터(400)에 연결되는 제1커넥팅 로드(702)의 회전에 따라 제1베벨기어(304)가 회전할 경우, 이 제1베벨기어(304)는 베어링(310)에 의해 축방향의 요동이 없도록 지지될 뿐만 아니라, 그것의 머리부분이 지지벽체(300b)의 지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함으로 인하여 이웃하는 베벨기어(306)와 결합이 확고하게 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기어박스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제1실시예(300-1)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베벨기어(304) 내지 제3베벨기어(308)들이 서로 수직하되 제1 및 제3 베벨기어(304, 308)는 서로 수직하는 측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베벨기어(306)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형태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제2실시예는 제1베벨기어(304)와 제3베벨기어(308)가 일직선상에 놓여지고 제2베벨기어(306)가 그것에 수직하게 하방으로 배치되는 형태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체(300a)의 정면, 좌측면 그리고 저면에는 오목한 연결부(320, 322, 324)들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20, 322, 324)는 각각의 베벨기어들(304, 306, 308)을 삽입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연결부(320, 322, 324)들 각각에는 베벨기어 안착부, 베어링 안착부 그리고 스냅링 삽입홈들이 설치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측 중앙의 정면도로부터 제1베벨기어(304)가 삽입되는 제1연결부(320)가 보여진다. 또한 제1연결부(320)의 축공(320a) 및 지지벽면(320b) 그리고 공간부(326, 328)가 보여진다.
상측 좌측의 좌측면도로부터 제3베벨기어(308)가 삽입되는 제3연결부(324)가 보여진다. 또한 제3연결부(324)의 축공(324a) 및 지지벽면(324b) 그리고 공간부(326, 328)가 보여진다.
한편, 하측 저면도로부터 제2베벨기어(306)가 삽입되는 제2연결부(322)가 보여진다. 또한, 제2연결부(322)의 축공(322a) 및 지지벽면(322b) 그리고 공간부(326, 328)가 보여진다.연결부(320, 322, 324)들 각각에는 지지벽면, 베벨
기어 안착부, 베어링 안착부 그리고 스냅링 삽입홈들이 설치된다.
도 7b는 제1연결부(320) 및 제3연결부(324)를 보이는 투시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연결부(320)에는 축공(320a), 지지벽면(320b), 베벨기어 안착부(320c), 베어링 안착부(320d) 그리고 스냅링 삽입홈(320e)들이 설치된다.
축공(320a)은 제1베벨기어(304)의 머리부분에 돌출되는 돌출부(304a)가 삽입되는 곳이며, 지지벽면(320b)는 제1베벨기어(304)의 머리 부분의 평평한 곳을 지지하는 것이며, 베어링 안착부(320c)는 베어링(33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되며, 스냅링 삽입홈(304e)에는 제1베벨기어(304) 및 베어링(3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336)이 삽입된다.
도 7c는 제1연결부(320), 제2연결부(322) 그리고 제3연결부(324)를 보이는 투시도이다.
도 7c에 도시되는 제2연결부(322) 및 제3연결부(324)의 세부 구성은 크기만 다를 뿐 제1연결부(320)의 구성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320, 322, 324)들 사이를 연통시키는 공간부들(326, 328)이 형성된다. 이 공간부들(326, 328)을 통하여 베벨기어들(304~308)이 치합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것은 도 7에 도시된 기어박스(300)의 하좌측 즉 제3연결부(324)측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8의 상측 그림을 참조하면, 제1연결부(320) 및 제2연결부(322)가 점선으로 도시되고 있다. 축공(324a), 지지벽체(324b)가 도시되고 있다.
도 8의 하측 그림을 참조하면, 제2연결부(322)와 제1연결부(320)의 구성이 도시된다. 중앙에서 약간 우측에서 제2연결부(322의 베벨기어 안착부(322c)와 제1연결부(320)의 베벨기어 안착부(320c)가 서로 겹쳐지게 도시된 부분은 공간부(326)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즉, 제2연결부(322의 베벨기어 안착부(322c)에 안착된 제2베벨기어(306)과 제1연결부(320)의 베벨기어 안착부(320c)에 안착된 제1베벨기어(304)가 이 공간부(326)에서 서로 치합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즉, 제2연결부(322의 베벨기어 안착부(322c)에 안착된 제2베벨기어(306)과 제3연결부(324)의 베벨기어 안착부(324c)에 안착된 제1베벨기어(308)가 다른 하나의 공간부(328)에서 서로 치합되게 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기어박스의 베벨기어를 도시한다.
도 9의 상측에 도시된 것은 제2베벨기어(306)이고, 하측에 도시된 것은 제1 및 제3베벨기어(304, 308)이다. 제1베벨기어(304)와 제3베벨기어(308)은 동일한 크기이며, 제2베벨기어(304)는 제1 및 제3베벨기어(304, 308)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기어수도 많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베벨기어(306)은 돌출부(306a), 기어부(306b), 베어링지지부(306c), 삽입부(306d)로 구성된다. 돌출부(306a)는 기어부(306b)의 머리부분에서 축선을 따라 돌출된 부분으로서 제2연결부(322)의 축공(322a)에 삽입된다. 기어부(306b)는 베벨기어의 주요부분이 되고, 베어링 지지부(306c)는 베어링이 끼워지는 부분이며, 삽입부(306d)는 스크류 볼트(506) 혹은 제3실린더(206)과의 결합을 위해 제공된다.
한편, 제1베벨기어(304) 및 제3벨기어(306)의 구성은 크기 및 기어수를 제외하고는 제2베벨기어(306)와 유사하다. 단, 커넥팅 로드 삽입부(304d, 308d)는 커넥팅 로드(702, 70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이다. 커넥팅 로드 삽입부(304d, 308d)는 커넥팅 로드(702, 704)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제2베벨기어의 외관을 도시한다.
제1베벨기어(304)와 제3베벨기어(308)은 동일한 크기이며, 제2베벨기어(304)는 제1 및 제3베벨기어(304, 308)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기어수도 많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1베벨기어 내지 제3베벨기어(304 ~308)의 구성은 유사하다.
.
도 11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기어박스의 분해결합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연결부(322)를 통하여 제2베벨기어(306)가 설치되며, 제2베벨기어(306)의 삽입부(306d)에는 스크류 볼트(506)가 결합된 것이 도시된다. 제2베벨기어(306)의 삽입부(306d)에는 제3실린더(206)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베어(312)링은 베어링 지지부(306c)에 삽입된다.
한편, 제3연결부(324)를 통하여 제3베벨기어(308)가 설치되며, 제3베벨기어(308)의 커넥팅 로드 삽입부(308d)에는 커넥팅 로드(704)가 결합된다. 한편, 베어링(314)은 베어링 지지부(308c)에 삽입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제2실시예는 제1베벨기어(304) 내지 제3베벨기어(308)들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형태이다. 이에 비해, 도 1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제2실시예는 제1베벨기어(304)와 제3베벨기어(308)가 일직선상에 놓여지고 제2베벨기어(306)가 그에 수직하게 하방으로 배치되는 형태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본체(300a)의 양측면 및 저면에는 오목한 연결부(340, 342, 344)들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40, 342, 344)는 각각의 베벨기어들(304, 306, 308)을 삽입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연결부(340, 342, 344)들 각각에는 지지벽면, 베벨기어 안착부, 베어링 안착부 그리고 스냅링 삽입홈들이 설치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중앙의 저면도로부터 제2베벨기어(304)가 삽입되는 제2연결부(342)가 보여진다. 또한, 제2연결부(342)의 축공(342a) 및 지지벽체(342b)가 보여진다.
한편 좌측의 좌측면도로부터 제3베벨기어(306)가 삽입되는 제3연결부(344)가 보여진다. 또한, 제3연결부(344)의 축공(344a) 및 지지벽체(344b) 그리고 공간부(346)가 보여진다.
한편, 우측의 우측면도로부터 제1베벨기어(304)가 삽입되는 제1연결부(340)가 보여진다. 또한, 제1연결부(340)의 축공(340a), 지지벽체(340b) 그리고 공간부(348)가 보여진다.
도 12b는 제3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보이는 투시도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2연결부(342)에는 축공(342a), 지지벽면(342b), 베벨기어 안착부(342c), 베어링 안착부(342d) 그리고 스냅링 삽입홈(342e)들이 설치된다.
축공(342a)은 제2베벨기어(306)의 머리부분에 돌출되는 돌출부(306a)가 삽입되는 곳이며, 지지벽면(342b)는 제2베벨기어(306)의 머리 부분의 평평한 곳을 지지하는 것이며, 베어링 안착부(342c)는 베어링(332)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되며, 스냅링 삽입홈(342e)에는 제2베벨기어(306) 및 베어링(3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336)이 삽입된다.
제1연결부(340) 및 제3연결부(344)의 세부 구성은 크기만 다를 뿐 제2연결부(342)의 구성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벽면(342b)의 양측으로는 연결부(320, 322, 324)들 사이를 연통시키는 공간부들(346, 348)이 형성된다. 이 공간부들(326, 328)을 통하여 베벨기어들(304~308)이 치합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기어박스의 분해결합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연결부(342)를 통하여 제2베벨기어(306)가 설치되며, 제2베벨기어(306)의 삽입부(306d)에는 스크류 볼트(506)가 결합된 것이 도시된다. 제2베벨기어(306)의 삽입부(306d)에는 제3실린더(206)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베어링(332)은 베어링 지지부(306c)에 삽입된다.
한편, 제1연결부(340)를 통하여 제1베벨기어(304)가 설치되며, 제1베벨기어(304)의 커넥팅 로드 삽입부(304d)에는 커넥팅 로드(702)가 결합된다. 한편, 베어링(330)은 베어링 지지부(308c)에 삽입된다. 제1연결부(340)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702)는 전동모터(4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연결부(344)를 통하여 제3베벨기어(308)가 설치되며, 제3베벨기어(308)의 커넥팅 로드 삽입부(308d)에는 커넥팅 로드(704)가 결합된다. 한편, 베어링(334)은 베어링 지지부(308c)에 삽입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좌우측 두 개의 기어박스(300)들 중에서 일측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가 될 수 있고, 타측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는 전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기어박스(300-1) 및 제2실시예의 기어박스(300-2)의 경우, 인접하는 기어박스들 사이에서 제2베벨기어(306)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책상(1000)에 적용할 경우 이웃하는 기어박스들 사이에서는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을 서로 다르게 하여야 한다. 즉, 일측 기어박스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이 왼나사 방식이라면, 타측 기어박스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은 오른나사 방식이어야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어박스(300-3)는 워엄기어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워엄기어(350)는 모터(400) 혹은 커넥팅 로드(704)에 연결되며 워엄휠(352)은 스크류 볼트(506) 내지 제2실린더에 연결된다.
기어박스(300-3)을 사용할 경우 인접한 기어박스(300-3)들에 있어서 워엄휠(35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에의 기어박스(300-1)와 제2실시예의 기어박스(300-2)를 사용할 때와 비교할 때 동일한 방식의 스크류 볼트(506)를 사용할 수 있다.
커넥팅 박스(600)는 두 기어박스(300)들 사이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5 커넥팅 박스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커넥팅 박스(600)는 두 커넥팅 로드(702, 704)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커넥팅 로드(702, 704)는 기어박스(300)의 베벨기어(304, 308)의 커넥팅 기어 삽입부(304d, 308d)에 삽입되어 제1베벨기어(304)를 구동하거나 제3베벨기어(308)로의 구동력을 다른 기어박스(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베벨기어(304, 308)와의 결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커넥팅 박스(600)의 커넥팅 로드 수용부(600a, 600c)도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도 16은 커넥팅 박스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커넥팅 박스(600)는 하우징(602), 커넥팅 로드 수용부(604, 606) 그리고 탄성 스프링(608)를 구비한다. 하우징(602)은 관형의 것으로서, 내부에 커넥팅 로드 수용부(604, 606) 그리고 탄성 스프링(608)를 수용한다. 두 개의 커넥팅 로드 수용부(604, 606)들 중에서 하나는 고정된 것이며, 다른 하나는 하우징(602)내부에서 슬라이딩된다. 커넥팅 로드 수용부(604, 606)들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60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7은 커넥팅 박스, 기어박스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상(2000)은 장방형의 상판(100), 다리(200), 기어박스(300), 커넥팅 박스(600), 커넥팅 로드(704~712)를 포함한다. 기어박스(300)들 중에서 전동모터(400)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기어박스(300a)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300-2)를 사용하고 나머지들(300b~300d)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300-1)를 사용한 것이 도시된다.
상판(100)의 네 귀퉁이에 기어박스(300)들이 하나씩 설치되며 각 기어박스(300)들은 커넥팅 로드(704~712)를 통하여 연결되어야 한다. 즉, 네 개의 기어박스(300a-300d)를 잇는 커넥팅 로드(704~712)는 "ㄷ"자형으로 배치되어야 하며, 이들 중에서 닫힌 변쪽 모서리에 배치되는 기어박스들(300b, 300c)는, 커넥팅 로드(706와 708, 708과 710)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기어박스(300-1)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열린 변쪽에 위치하는 기어박스들(300a, 300d)는 제1실시예에 다른 기어박스(300-1)이던지 제2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300-2)던지 상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커넥팅 박스(600)는 커넥팅 로드(704~712)들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전동모터(400)에 달린 커넥팅 로드(702)를 제1기어박스(300-2)에 연결하고 전동모터(400)를 구동시키면, 전동모터(400)의 구동력에 의해 제1내지 제4기어박스(300a~300d)가 구동하여 다리(200)의 높이가 함께 변동한다. 이에 따라 상판(1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베벨기어로 구성된 기어박스(300-1, 300-2)의 특성상 제1베벨기어(304)와 제3베벨기어(308)의 회전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에 따라 두 기어박스 예를 들어 제1기어박스(300a)와 제3기어박스(300c)사이에 위치하는 기어박스 예를 들어 제2기어박스(300b, 300d)에 결합된 다리들 사이에서 제2베벨기어(306)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두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다리는 반대되는 회전 방향에 상응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기어박스(300a)에 연결된 다리(200a)가 왼쪽 방향의 회전에 대하여 상승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면, 제2기어박스(300b)에 연결된 다리(200b)는 반대가 되는 오른쪽 방향의 회전에 대하여 상승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다리(200a) 왼나사 방식의 스크류 볼트(506)를 사용하고 제2다리(200b)는 오른나사 방식의 스크류 볼트(506)를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것은 책상(1000) 좌우의 다리(200)를 가운데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철식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200)을 접을 경우, 커넥팅 박스(600) 및 커넥팅 로드(704, 706)을 제거하고난 후에, 다리(200)를 접게 된다. 먼저, 커넥팅 로드(704)를 잡고서 커넥팅 박스(600) 쪽으로 밀면, 커넥팅 로드(704)가 커넥팅 박스(600) 안으로 밀려들어가면서 반대쪽의 기어박스(300)쪽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넥팅 로드(704, 706)와 커넥팅 박스(600)를 제거한 후, 기어박스(300)의 양쪽 플랜지중 바깥쪽 플랜지(302b)의 나사를 풀고, 다리를 가운데쪽으로 접게 된다.
도 20은 기어박스에 설치된 경첩의 예를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300)의 하우징(302)에서 바깥쪽에는 나사로 고정할 수 있는 플랜지(302b)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안쪽에는 경첩(302c)이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302b)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첩(302c)을 이용하여, 상판(100)에 대하여 기어박스(300) 및 다리(200)를 접을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책상(1000)을 조립식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조립 및 이동에 용이함을 알 수 있다.
100...상판 200...다리
300...기어박스

Claims (42)

  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있어서,
    상판;
    상기 상판의 네 귀퉁이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 및
    상기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는
    상기 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기어박스(300),
    상기 기어박스(300)에 의해 회전하는 제3실린더(206);
    상기 제3실린더(206)의 하부에 고정된 스크류 너트(208);
    상기 제3실린더(206)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제2실린더(204); 및
    상기 제2실린더(204)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너트(208)를 통하여 상기 제3실린더(206)의 내부로 연장된 스크류 볼트(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0)에 고정되며 상기 제3실린더(206)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2실린더(204) 내부로 삽입되는 제1실린더(20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202)와 상기 제2실린더(204))의 접촉면들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치(212, 21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204)를 지지하는 받침대(2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여 상부에 상기 상판에의 고정을 위한 플랜지(302s, 302b)가 형성된 기어박스 하우징(30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며, 상부에 상기 상판에 고정되면서 상기 기어박스(300) 및 다리(200)를 접을 수 있도록 경첩(302c)이 형성된 기어박스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0)는 상기 커넥팅 로드에 의해 'ㄷ'자형으로 연결되는 4개의 기어박스(300a, 300b, 300c, 300d)가 구비되며, 'ㄷ'자형의 닫힌 변에 위치한 두 개의 기어박스(300b, 300c)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3개의 베벨기어(304, 306, 308)
    내부에 서로 수직하는 3개의 지지벽면(320b, 322b, 322c)으로 구성된 지지벽체(300b)가 형성된 몸체(300a);
    상기 몸체의 정면, 좌측면 그리고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들 각각을 수용하는 연결부(320, 322, 324);
    상기 베벨기어(304, 306, 308) 각각에 대하여 구비된 베어링(310, 312, 324);
    상기 베어링(310, 312, 324) 각각에 대하여 구비된 스냅링;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20, 322, 324)들 각각은
    상기 지지벽체(300b)의 상기 지지벽면들 중의 하나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베벨기어 안착부, 상기 베벨기어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 상기 베어링 안착부에 수용된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스냅링이 삽입되는 스냅링 삽입홈들이 차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는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이 상기 지지벽면에 연접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면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의 상부면에는 기어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들(304, 306, 308)들 중에서 정면 및 좌측면으로 배치되는 제1베벨기어(304) 및 제3베벨기어(308)는 동일한 크기 및 기어수를 가지며,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2베벨기어는 제1베벨기어(304) 및 제3베벨기어(308)에 비해 큰 크기 및 많은 기어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20, 322, 324)들 사이에는 상기 베벨기어들(304, 306, 308)이 치합되는 공간부(326, 3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2. 제7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리들에서 일측 다리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이 왼나사 방식이라면, 타측 다리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은 오른나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3. 제7항에 있어서,
    'ㄷ'자형의 열린 변에 위치한 두 개의 기어박스(300a, 300d)들 중의 하나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3개의 베벨기어(304, 306, 308)
    내부에 서로 수직하는 3개의 지지벽면(340b, 342b, 342c)으로 구성된 지지벽체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우측면, 좌측면 그리고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들 각각을 수용하는 연결부(340, 342, 344);
    상기 베벨기어(304, 306, 308) 각각에 대하여 구비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 각각에 대하여 구비된 스냅링;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40, 342, 344)들 각각은
    상기 지지벽체의 상기 지지벽면들 중의 하나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베벨기어 안착부, 상기 베벨기어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 상기 베어링 안착부에 수용된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스냅링이 삽입되는 스냅링 삽입홈들이 차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는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이 상기 지지벽면에 연접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면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의 상부면에는 기어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들(304, 306, 308)들 중에서 우측면 및 좌측면으로 배치되는 제1베벨기어(304) 및 제3베벨기어(308)는 동일한 크기 및 기어수를 가지며,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2베벨기어는 제1베벨기어(304) 및 제3베벨기어(308)에 비해 큰 크기 및 많은 기어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40, 342, 344)들 사이에는 상기 베벨기어들(304, 306, 308)이 치합되는 공간부(346, 3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8. 제13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리들에서 일측 다리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이 왼나사 방식이라면, 타측 다리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은 오른나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들 사이에서 상기 커넥팅 로드들을 연결하는 커넥팅 박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박스는
    관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설치되는 커넥팅 로드 수용부;
    상기 커넥팅 로드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
    을 포함하며,
    일측의 커넥팅 로드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측의 커넥팅 로드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 수용부는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2.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있어서,
    상판;
    상기 상판의 네 귀퉁이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 및
    상기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는
    상기 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기어박스(300);
    상기 기어박스(30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볼트(506);
    상기 스크류 볼트(506)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제2실린더(504); 및
    상기 제2실린더(504)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볼트(506)에 나사결합된 스크류 너트(508);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0)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볼트(506)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2실린더(504) 내부로 삽입되는 제1실린더(50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504)의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 나사(5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502)와 상기 제2실린더(504)의 접촉면들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패치(512, 51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여 상부에 상기 상판에의 고정을 위한 플랜지(302s, 302b)가 형성된 기어박스 하우징(30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0)를 수용하며, 상부에 상기 상판에 고정되면서 상기 기어박스(300) 및 다리(200)를 접을 수 있도록 경첩(302c)이 형성된 기어박스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0)는 상기 커넥팅 로드에 의해 'ㄷ'자형으로 연결되는 4개의 기어박스(300a, 300b, 300c, 300d)가 구비되며, 'ㄷ'자형의 닫힌 변에 위치한 두 개의 기어박스(300b, 300c)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3개의 베벨기어(304, 306, 308)
    내부에 서로 수직하는 3개의 지지벽면(320b, 322b, 322c)으로 구성된 지지벽체(300b)가 형성된 몸체(300a);
    상기 몸체의 정면, 좌측면 그리고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들 각각을 수용하는 연결부(320, 322, 324);
    상기 베벨기어(304, 306, 308) 각각에 대하여 구비된 베어링(310, 312, 324);
    상기 베어링(310, 312, 324) 각각에 대하여 구비된 스냅링;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20, 322, 324)들 각각은
    상기 지지벽체(300b)의 상기 지지벽면들 중의 하나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베벨기어 안착부, 상기 베벨기어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 상기 베어링 안착부에 수용된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스냅링이 삽입되는 스냅링 삽입홈들이 차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는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이 상기 지지벽면에 연접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면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의 상부면에는 기어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들(304, 306, 308)들 중에서 정면 및 좌측면으로 배치되는 제1베벨기어(304) 및 제3베벨기어(308)는 동일한 크기 및 기어수를 가지며,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2베벨기어는 제1베벨기어(304) 및 제3베벨기어(308)에 비해 큰 크기 및 많은 기어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20, 322, 324)들 사이에는 상기 베벨기어들(304, 306, 308)이 치합되는 공간부(326, 3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33. 제28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리들에서 일측 다리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이 왼나사 방식이라면, 타측 다리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은 오른나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34. 제28항에 있어서,
    'ㄷ'자형의 열린 변에 위치한 두 개의 기어박스(300a, 300d)들 중의 하나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3개의 베벨기어(304, 306, 308)
    내부에 서로 수직하는 3개의 지지벽면(340b, 342b, 342c)으로 구성된 지지벽체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우측면, 좌측면 그리고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들 각각을 수용하는 연결부(340, 342, 344);
    상기 베벨기어(304, 306, 308) 각각에 대하여 구비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 각각에 대하여 구비된 스냅링;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40, 342, 344)들 각각은
    상기 지지벽체의 상기 지지벽면들 중의 하나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베벨기어 안착부, 상기 베벨기어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 상기 베어링 안착부에 수용된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스냅링이 삽입되는 스냅링 삽입홈들이 차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는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이 상기 지지벽면에 연접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면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의 상부면에는 기어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들(304, 306, 308)들 중에서 우측면 및 좌측면으로 배치되는 제1베벨기어(304) 및 제3베벨기어(308)는 동일한 크기 및 기어수를 가지며,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2베벨기어는 제1베벨기어(304) 및 제3베벨기어(308)에 비해 큰 크기 및 많은 기어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40, 342, 344)들 사이에는 상기 베벨기어들(304, 306, 308)이 치합되는 공간부(346, 3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39. 제38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리들에서 일측 다리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이 왼나사 방식이라면, 타측 다리의 스크류 볼트 및 스크류 너트의 나사 방식은 오른나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들 사이에서 상기 커넥팅 로드들을 연결하는 커넥팅 박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박스는
    관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설치되는 커넥팅 로드 수용부; 및
    상기 커넥팅 로드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
    을 포함하며,
    여기서, 일측의 커넥팅 로드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측의 커넥팅 로드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 수용부는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20140112492A 2014-08-18 2014-08-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KR20160021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7315 2014-08-18
KR1020140107315 2014-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696A true KR20160021696A (ko) 2016-02-26

Family

ID=5544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492A KR20160021696A (ko) 2014-08-18 2014-08-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16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034B1 (ko) 2017-07-10 2019-01-30 주식회사 플라팜 책상용 다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034B1 (ko) 2017-07-10 2019-01-30 주식회사 플라팜 책상용 다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670B2 (en) Height-adjustable table
EP2840931B1 (en) Lifting column
US11268650B2 (en) Rotatable stand for LCD monitor
KR20020012988A (ko)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KR100930600B1 (ko) 멀티비전 스탠드 설치장치
KR101724068B1 (ko)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US20110198456A1 (en) Adjustable motorized screen mount
US20200340557A1 (en) A linear actuator
KR20160021694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KR20190118288A (ko) 리프터
KR20160021698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KR101780545B1 (ko) 높이조절 책상
KR20160021696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KR20160021693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KR2016002169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JP2016116802A (ja) 荷重支持機構
KR2016002169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KR101696417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KR20160021700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KR2016002169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KR2016002170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AU2008226089B9 (en) Ceiling installation lift for a multimedia projector
KR200446491Y1 (ko) 책상용 높이조절장치
KR200384317Y1 (ko)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CN115346446A (zh) 用于显示屏的框体结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