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586A -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 Google Patents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586A
KR20160021586A KR1020140107041A KR20140107041A KR20160021586A KR 20160021586 A KR20160021586 A KR 20160021586A KR 1020140107041 A KR1020140107041 A KR 1020140107041A KR 20140107041 A KR20140107041 A KR 20140107041A KR 20160021586 A KR20160021586 A KR 20160021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visual acuity
vision
subjec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경민
Original Assignee
지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경민 filed Critical 지경민
Priority to KR102014010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1586A/ko
Priority to PCT/KR2015/007496 priority patent/WO2016027995A1/ko
Publication of KR2016002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9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accommod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력교정용 필터를 준비하는 단계,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 후, 상기 피검자의 각 단안 시력을 1.0으로 맞추도록 교정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 상기 교정렌즈의 전방에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를 배치시켜, 상기 피검자의 단안 시력을 각각 0.15 내지 0.35로 낮추는 단계, 단안 시력이 낮아진 상기 피검자에게 0.15 내지 0.35 시력표를 보여주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단안으로 각각 0.15 내지 0.35 시력표를 선명하게 보이도록 상기 교정렌즈를 교체하는 단계, 상기 교정렌즈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은, 교정렌즈를 통해 각 단안 시력이 1.0으로 최초 교정된 기준 시력을 시력교정용 필터의 플러스(+) 렌즈가 0.15 ~ 0.35로 낮추어, 피검자의 눈의 긴장을 완화시킨 상태에서 이후 피검자의 재검측을 통한 시력 교정이 이루어짐으로서 장시간 렌즈를 착용하더라도 눈의 피로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Filter for vision correction and vision cor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확한 시력 교정이 가능하도록 안구의 긴장상태를 제거시키는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시력도표를 이용한 자각식 시력측정이나 검안기를 사용한다. 여기서, 검안기를 이용한 시력측정은, 피검자의 눈에 측정용 광을 조사하고 피검자의 각막에 의하여 반사된 광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력을 측정하거나 눈의 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검안기는 시력측정용 광원, 광의 경로를 형성하는 광학계와, 광학계를 통하여 광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자각식 시력측정이나 검안기를 통해 측정된 시력을 기준으로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의 시력을 각각 1.0으로 맞추도록 렌즈를 처방하게 된다.
그러나, 자각식 시력측정이나 검안기를 통해 시력을 측정시, 피검자의 눈이 긴장된 상태에서 기준 시력인 1.0으로 렌즈를 처방함으로서, 교정된 상태에서 렌즈를 착용할 경우에도 눈의 긴장상태가 유지됨으로서, 일정시간 착용시 눈의 피로도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력 측정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23945호(2004.03.20)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피검자의 눈의 긴장상태를 완화시킨 상태에서 시력을 측정함으로서 교정렌즈에 의해 교정된 상태에서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눈의 피로도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렌즈삽입공이 상호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렌즈프레임, 상기 렌즈프레임의 렌즈삽입공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플러스(+)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스(+) 렌즈는, 피검자의 각 단안 교정시력 1.0을 기준으로 0.15 내지 0.35로 낮추어 상기 피검자의 눈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시력교정용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청구항 1의 시력교정용 필터를 준비하는 단계,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 후, 상기 피검자의 각 단안 시력을 1.0으로 맞추도록 교정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 상기 교정렌즈의 전방에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를 배치시켜, 상기 피검자의 단안 시력을 각각 0.15 ~ 0.35로 낮추는 단계, 단안 시력이 낮아진 상기 피검자에게 0.15 ~ 0.35 시력표를 보여주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단안으로 각각 0.15 ~ 0.35 시력표를 선명하게 보이도록 상기 교정렌즈를 교체하는 단계, 상기 교정렌즈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력교정용 필터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은, 교정렌즈를 통해 각 단안 시력이 1.0으로 최초 교정된 기준 시력을 시력교정용 필터의 플러스(+) 렌즈가 0.15 ~ 0.35로 낮추어, 피검자의 눈의 긴장을 완화시킨 상태에서 이후 피검자의 재검측을 통한 시력 교정이 이루어짐으로서 장시간 렌즈를 착용하더라도 눈의 피로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력교정용 필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력교정용 필터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력교정용 필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100a)는, 렌즈프레임(100), 플러스(+) 렌즈(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렌즈프레임(100)은 이후 설명될 플러스(+) 렌즈(200)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렌즈프레임(100)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의 렌즈삽입공(110)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렌즈삽입공(110)에는 플러스(+) 렌즈(200)를 삽입 배치하게 된다. 일실시예에 도시된 도 1에서 상기 렌즈프레임(100)은 평판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피검자의 귀에 걸림 배치할 수 있도록 귀걸이부분(도면미도시)을 추가로 연결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렌즈프레임(100)에는 상기 렌즈삽입공(110)에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홈(120)으로는 불투명한 가림판(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렌즈삽입공(110)에 삽입 설치되는 플러스(+) 렌즈(200)를 선택적으로 가릴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가림판(130)은 상기 피검자의 단안에 대한 시력 측정시, 즉 좌안이나 우안에 대해 선택적인 시력측정시 한 쪽을 가릴 수 있게 해준다.
상기 플러스(+) 렌즈(200)는 상기 피검자의 시력 측정시 상기 피검자가 교정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 단안 시력 1.0을 기준으로 0.15 내지 0.35로 시력이 낮아지게 하면서, 상기 피검자의 눈의 긴장상태를 완화시키는 렌즈이다. 이러한, 상기 플러스(+) 렌즈(200)는, (+) 0.60D ~ (+) 0.85D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스(+) 렌즈(200)가 (+) 0.60D보다 낮은 도수일 경우에는 상기 피검자의 누의 긴장상태 완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 0.85D 보다 높은 도수일 경우에는 상기 피검자가 상기 플러스(+) 렌즈(200)를 통해 시력표를 볼 수 없게 되어 시력 측정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력교정용 필터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앞서 설명한 시력교정용 필터(100a)를 준비한다.
이러한,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100a)가 준비되면, 상기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한 후 교정렌즈를 착용시킨다. 즉, 상기 피검자의 시력을 검안기나 시력표를 이용하여 검사한 후, 상기 피검자의 각 단안 시력이 1.0이 되도록 교정렌즈를 착용시킨다.
이렇게, 상기 피검자의 각 단안 시력이 1.0이 되게 교정렌즈를 착용시킨 후에는, 상기 피검자가 착용한 상기 교정렌즈 전방에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100a)를 배치시킨다.
이같이,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100a)가 상기 피검자의 교정렌즈 전방에 배치하게 되면, 상기 피검자의 단안 시력은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피검자의 눈의 긴장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교정렌즈를 통해 좌안 시력 및 우안 시력이 각각 0.15 내지 0.35로 낮아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검자의 상기 교정렌즈를 통한 좌안 시력 및 우안 시력을 각각 0.15 ~ 0.35로 낮아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100a)의 플러스(+) 렌즈(200)는 (+) 0.60 ~ (+) 0.85D의 도수를 가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피검자의 상기 교정렌즈 및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100a)를 통한 각 단안 시력을 0.15 내지 0.35로 낮아지게 한 후에는, 상기 피검자에게 0.15 내지 0.35 시력표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피검자가 0.15 ~ 0.35 시력표를 선명하게 본다면, 더 이상 상기 교정렌즈의 좌측 및 우측 렌즈를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피검자가 0.15 ~ 0.35 시력표를 선명하게 보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피검자가 0.15 ~ 0.35 시력표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상기 교정렌즈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렌즈의 도수를 교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정렌즈는 플러스(+)렌즈로서, 교체되는 렌즈의 도수는 상기 피검자의 시력을 0.15 ~ 0.35 시력표를 명확하게 볼 수 있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피검자의 상기 교정렌즈 및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100a)를 착용한 상태에서 단안으로 각각 0.15 ~ 0.35 시력표를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상기 교정렌즈를 교체한 후에는, 상기 교정렌즈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100a)를 이탈 제거함으로서, 상기 피검자의 시력교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은, 교정렌즈를 통해 각 단안 시력이 1.0으로 최초 교정된 기준 시력을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100a)의 플러스(+) 렌즈(200)가 0.15 ~ 0.35로 낮추어, 상기 피검자의 눈의 긴장을 완화시킨 상태에서 이후 상기 피검자의 시력 교정이 이루어짐으로서 장시간 렌즈를 착용하더라도 눈의 피로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 시력교정용 필터 100: 렌즈프레임
110: 렌즈삽입공 120: 슬라이딩홈
130: 가림판 200: 플러스(+) 렌즈

Claims (5)

  1. 한 쌍의 렌즈삽입공이 상호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렌즈삽입공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플러스(+)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스(+) 렌즈는, 피검자의 각 단안 교정시력 1.0을 기준으로 0.15 내지 0.35로 낮추어 상기 피검자의 눈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시력교정용 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 렌즈는, (+) 0.60 ~ (+) 0.85D 렌즈인 시력교정용 필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프레임에는 상기 렌즈삽입공에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으로는 불투명한 가림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더 삽입 설치되는 시력교정용 필터.
  4. 청구항 1의 시력교정용 필터를 준비하는 단계와;
    피검자의 시력을 검사 후, 상기 피검자의 각 단안 시력을 1.0으로 맞추도록 교정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와;
    상기 교정렌즈의 전방에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를 배치시켜, 상기 피검자의 단안 시력을 각각 0.15 내지 0.35로 낮추는 단계와;
    단안 시력이 낮아진 상기 피검자에게 0.15 ~ 0.35 시력표를 보여주는 단계와;
    상기 피검자가 단안으로 각각 0.15 ~ 0.35 시력표를 선명하게 보이도록 상기 교정렌즈를 교체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렌즈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시력교정용 필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력교정용 필터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가 단안으로 각각 0.15 ~ 0.35 시력표를 선명하게 보이도록 상기 교정렌즈를 교체하는 단계에서,
    교체되는 상기 교정렌즈는 플러스(+) 렌즈인 시력교정용 필터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KR1020140107041A 2014-08-18 2014-08-18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KR20160021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41A KR20160021586A (ko) 2014-08-18 2014-08-18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PCT/KR2015/007496 WO2016027995A1 (ko) 2014-08-18 2015-07-20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41A KR20160021586A (ko) 2014-08-18 2014-08-18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86A true KR20160021586A (ko) 2016-02-26

Family

ID=5535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041A KR20160021586A (ko) 2014-08-18 2014-08-18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21586A (ko)
WO (1) WO2016027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5657A (zh) 2016-04-15 2019-05-03 高山免疫科学股份有限公司 Cd80变体免疫调节蛋白及其用途
WO2018170026A2 (en) 2017-03-16 2018-09-20 Alpine Immune Sciences, Inc. Cd80 variant immunomodulatory protein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8571B2 (ja) * 2003-05-02 2008-08-27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JP4676476B2 (ja) * 2007-11-02 2011-04-27 愛眼株式会社 検眼枠
KR20120100577A (ko) * 2011-03-04 2012-09-12 박주영 렌즈교체형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7995A1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647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bestimmung der augenrefraktion
US7806529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tometry
KR101704442B1 (ko) Vr 기기를 이용한 시력측정시스템
EP3430976B1 (en) Eye-fatigue examining device and eye-fatigue examining method
WO20070827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fects of the retina using objective and subjective interaction with a patient
CA2967715A1 (en) Optical visual aid with additional astigmatism
JP6733160B2 (ja) 検眼装置、および検眼プログラム
US103276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subjective refraction properties of an eye
JP2013195931A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両眼視体感方法
ES2523685T3 (es) Caracterización de una percepción de borrosidad o desenfoque
US11363948B2 (en) Ophthalmolog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ophthalmologic device
KR20160021586A (ko) 시력교정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력교정방법
Parmar et al. Does an iPad fixation disparity test give equivalent results to the Mallett near fixation disparity test?
Schmidinger et al. Intraindividual comparison of color contrast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clear and blue-light-filtering intraocular lenses
KR102474483B1 (ko) 원근조절 및 이접의 공동 결정
Coe et al. Polychromatic refractive error from monochromatic wavefront aberrometry
Manzanera et al. Adaptation to brightness perception in patients implanted with a small aperture
JP6828234B2 (ja) 検眼情報表示装置、検眼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09349999B (zh) 一种主观验光方法
KR102535860B1 (ko) 간헐외사시 중증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간헐외사시 중증도 평가 장치
Domenech et al. Influence of ocular dominance in the variability of the eye’s anterior segment measurements
JP4915689B2 (ja) 視力障害疾患検出機
CN216622840U (zh) 一种低视力验光辅助望远镜
Schramm et al. Shack–Hartmann-based objective straylight assessment of the human eye in an increased scattering angle range
Barrionuevo et al. Evaluation of the intraocular scattering through brightness reduction by glare using external diffusers to simulate cata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