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496A -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496A
KR20160021496A KR1020140106776A KR20140106776A KR20160021496A KR 20160021496 A KR20160021496 A KR 20160021496A KR 1020140106776 A KR1020140106776 A KR 1020140106776A KR 20140106776 A KR20140106776 A KR 20140106776A KR 20160021496 A KR20160021496 A KR 20160021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current value
gas
load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송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4010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1496A/ko
Publication of KR2016002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ionisation-sensitive elements, i.e. flame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염의 상태 변화를 신속히 감지하여 과잉공기비를 조절함으로써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염전류를 측정하여 가스공급량을 가변시키는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버너; 상기 버너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공기와 함께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플레임 로드; 상기 플레임 로드에서 검출된 검출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스 공급부에서의 가스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Combustion apparatus having flame rod measuring flame current}
본 발명은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의 전류를 감지하여 가스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보일러에는 연료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버너로서 공기와 연소가스를 미리 예혼합한 후 예혼합된 공기와 연소가스를 연소시키는 예혼합 버너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보일러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버너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상기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압력차에 의해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밸브, 상기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기를 연소시켜 화염을 형성시키는 버너, 상기 각 구성에 의한 연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버너의 부하는 가연성 가스의 양 및 가스와 공기간의 공기 연료 혼합비(과잉공기비, λ)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가스의 양은 상기 가스밸브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가스밸브는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압력 차이에 의해 가스의 공급량이 달라지는 방식인 공압(pneumatic)식 가스조절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공압식 가스조절밸브는 가스보일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스보일러에 필요한 최대 부하에 대응하는 가스량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개도가 설정되고, 사용자가 가스보일러 사용 중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
한편 예혼합 가스보일러는 오염물질 배출량이 적어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오염물질 배출량은 과잉공기비(λ)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특히 유럽의 경우 여러 종류의 가스가 사용되고 있는데, 도시 가스와 같이 낮은 발열량을 가지면서 공기보다 낮은 밀도의 제1가스, 천연 가스와 같이 높은 발열량을 가지면서 공기보다 낮은 밀도의 제2가스, 프로판이나 부탄과 같이 높은 발열량을 가지면서 공기보다 높은 밀도의 제3가스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가스는 발열량이 상이하므로 각 가스의 종류에 대응하여 혼합되는 공기의 양도 달라져야 한다.
종래의 예혼합 버너의 경우 공압식 가스조절밸브에 의해 가스의 공급량이 결정되므로, 상기 공압식 가스조절밸브에 제1가스에 대응하여 개도량이 설정된 경우 제2가스 또는 제3가스로 가스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과잉공기비(λ)가 변경되어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CT 국제공개 WO 2014/060991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ADJUSTING THE COMBUSTION IN A FUEL GAS BURNER"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PCT 국제공개 WO 2014/060991에는 버너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가 수신되는 카드, 상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및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도센서는 버너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가스보일러가 장시간 가동 정지상태에서 재가동된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측정된 버너 표면 온도를 기초로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버너 표면 온도가 상승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되면 최적의 공기 연료 혼합비로 제어가 될 때까지 질소산화물과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 발열량이 급격히 달라지는 가스종류 변경인 경우에는 발생되는 화염온도 변화를 빠르게 인식하지 못해 불완전연소가 급격하게 발생되어 과다한 CO의 배출 및 소음 발생의 문제가 있으며, 열교환기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압식 가스조절밸브는 제품의 제조단계에서 가스가 공급되는 최대량을 제한하기 위해 가스보일러의 사양에 따른 개도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품 생산시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염의 상태 변화를 신속히 감지하여 과잉공기비를 조절함으로써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염전류를 측정하여 가스공급량을 가변시키는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보일러의 제조시 공압식 가스조절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는, 버너; 상기 버너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공기와 함께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플레임 로드; 상기 플레임 로드에서 검출된 검출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스 공급부에서의 가스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자식 가스조절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차이에 의해 가스가 유입되도록 일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된 공압식 가스조절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현재 부하를 판단하고, 상기 플레임 로드에서 검출된 검출 전류값과 상기 현재 부하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현재 부하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측정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의 제어방법은, a) 버너를 가동시켜 연소를 수행하는 단계; b) 플레임 로드를 이용하여 버너에서 생성된 화염의 검출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플레임 로드로부터 측정된 검출 전류값과 제어부에 기 설정된 화염의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에서 벗어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가스 공급부에 구비된 전자식 가스조절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내가 되도록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에는 일정기간마다 수행되도록 화염전류 보정기능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화염전류 보정기능은 과잉공기비를 변화시켜가면서 연소를 수행하여, 상기 과잉공기비에 따른 화염의 검출 전류값의 경향이 변경되는 변곡점이 측정되면, 상기 검출 전류값의 변곡점이 새로운 기준 전류값의 변곡점이 되도록 기준 전류값을 시프트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c)단계는, 현재 부하가 얼마인지를 상기 제어부에서 먼저 판단하고, 상기 검출 전류값이 현재 부하에 맞는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화염의 전류를 감지하는 플레임 로드를 이용하여 화염의 전류를 측정한 후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화염의 상태 변화를 신속히 감지하고, 과잉공기비(λ)를 조절함으로써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가스조절밸브에서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스보일러의 제조시 공압식 가스조절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 기간마다 화염 전류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플레임 로드의 위치 편차가 생기거나 플레임 로드에 이물질이 쌓인 경우에도 일정한 과잉공기비(λ)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과잉공기비에 대한 화염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부하가 서로 다른 경우에 각 부하별 과잉공기비에 대한 화염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과잉공기비에 대한 화염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너(100)와, 상기 버너(100)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200)와, 상기 공기와 함께 상기 버너(100)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300), 상기 버너(100)에서 발생된 화염의 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400), 상기 플레임 로드(400)에서 검출된 검출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스 공급부(300)에서의 가스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너(100)에는 점화장치(110)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500)에서의 연소신호에 의해 점화되어 화염을 형성한다.
상기 송풍기(200)는 공기를 버너(10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부하에 따라 회전속도를 변경시켜 공기와 가스의 혼합기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송풍기(200)에서 공기가 공급될 때 공기가 공급되는 관로 내부와 가스가 공급되는 관로 내부 사이에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 압력 차이에 의해 가스가 유입되어 공기와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 공급부(300)는, 송풍기(200)에서 버너(100)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발생된 압력차이에 의해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공압식 가스조절밸브(310)와, 상기 공압식 가스조절밸브(310)를 통과한 가스의 공급량을 상기 제어부(500)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전자식 가스조절밸브(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압식 가스조절밸브(310)는 상기 압력차이에 따라 가스의 공급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공압식 가스조절밸브(310)에서 허용하는 가스의 공급량은 가스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다소 많은 양의 가스 공급이 가능하도록 가스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압식 가스조절밸브(310)는 가스보일러가 가동되는 경우에는 가스통과구멍을 폐쇄하여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가스보일러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가스통과구멍을 개방하여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부(500)에 의해 온(On)/오프(Off)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식 가스조절밸브(320)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받아 밸브의 개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임 로드(400)는 화염에서 전기가 흐르는 성질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도전성의 전극봉으로서, 버너(100)에서 생성된 화염 속에 상기 플레임 로드(400)의 전극봉을 두고 여기에 전압을 걸면 화염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는 전류가 흐르나, 존재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임 로드(400)는 화염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플레임 로드(400)에서 검출된 검출 전류값은 제어부(50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플레임 로드(400)에서 전달된 검출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전자식 가스조절밸브(320)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플레임 로드(400)에서의 측정된 검출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플레임 로드(400)는 일측 단부가 화염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버너(100)의 표면에 접지되어 있다. 따라서 버너(100)가 착화되어 화염이 형성되면, 플레임 로드(400)와 버너(100) 표면이 화염을 도전체로 하여 통전되는데, 이 때 화염은 저항역할을 하게 되고 부하 및 과잉공기비(λ)에 따라 플레임 로드(400)에서 측정되는 화염의 검출 전류값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과잉공기비(λ)가 대략 1이 될 때까지는 과잉공기비(λ)가 증가할수록 화염의 검출 전류값도 증가하지만, 과잉공기비(λ)가 1 이후부터는 과잉공기비(λ)가 증가할수록 화염의 검출 전류값은 감소하게 된다.
상기 화염으로부터 발생하는 화염전류는 과잉공기비(λ)가 클수록 작아지게 되는데, 동일한 부하에서 가스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 발열량의 차이로 인해 과잉공기비(λ)도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레임 로드(400)에서 화염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가스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과잉공기비(λ)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가스의 종류 중 발열량이 높은 가스는 연소가스 중에 포함된 산소의 농도가 낮아 과잉공기비(λ)가 작고, 발열량이 낮은 가스는 연소가스 중에 포함된 산소의 농도가 높아 과잉공기비(λ)가 크다.
만약, 동일한 부하에서 발열량이 높은 가스로 변경되면 과잉공기비(λ)가 작아지므로 플레임 로드(400)에서 검출된 화염의 전류값이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500)에서는 화염의 검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값의 편차를 벗어나도록 증가하게 되면 제어부(500)는 전자식 가스조절밸브(320)를 닫아 원래의 과잉공기비(λ)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동일한 부하에서 발열량이 낮은 가스로 변경되면 과잉공기비(λ)가 커지게 되므로 플레임 로드(400)에서 검출된 화염의 검출 전류값이 작아지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500)에서는 화염의 검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값의 편차를 벗어나도록 작아지게 되면 제어부(500)는 전자식 가스조절밸브(320)를 열어 원래의 과잉공기비(λ)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플레임 로드(400)를 사용하여 화염의 전류값을 측정하게 되면 화염의 상태 변화를 신속히 감지하여 과잉공기비(λ)를 조절함으로써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가스보일러의 제조시 공압식 가스조절밸브(310)의 개도량을 사용하는 가스 종류 및 가스보일러의 최대 출력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하는 공정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전자식 가스조절밸브(320)에서 가스 종류의 변경에 대응하여 가스공급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가스보일러의 제조시 공압식 가스조절밸브(310)의 개도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되어 가스보일러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는 화염전류보정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플레임 로드(400)는 전극봉의 단부가 화염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설치 위치에 편차가 생기면 화염의 검출 전류값이 기준이 되는 기준 전류값과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플레임 로드(400)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전극봉의 단부에 이물질이 쌓여 측정되는 화염의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과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염의 검출 전류값이 원래 설정된 기준 전류값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일정 기간마다 점검을 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 기준으로 설정된 정상적인 기준 전류값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실선보다 상측으로 시프트(shift)된 점선은 플레임 로드(400)의 단부 위치가 화염에 너무 가까워서 검출 전류값이 정상적인 기준 전류값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실선보다 하측으로 시프트(shift)된 점선은 플레임 로드(400)의 단부 위치가 정상적인 위치보다 화염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설치되거나 플레임 로드(400)의 단부에 이물질 등이 쌓여 화염의 검출 전류값이 정상적인 기준 전류값보다 낮게 나타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현재 화염 전류값을 점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버너(100)를 가동시켜 연소를 수행하되, 과잉공기비(λ)를 점점 증가시키면서 연소를 하여 화염 전류값의 경향이 증가에서 감소로 변화되는 지점인 변곡점을 확인한다.
변곡점의 확인결과 정상적인 변곡점(도 2의 B 지점)보다 높게 나타난 경우(도 2의 A 지점)에는 제어부(500)에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실선보다 상측에 위치한 점선이 새로운 기준 전류값이 되도록 보정을 실시한다.
또한 변곡점의 확인결과 정상적인 변곡점(도 2의 B 지점)보다 낮게 나타난 경우(도 2의 C 지점)에는 제어부(500)에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실선보다 하측에 위치한 점선이 새로운 기준 전류값이 되도록 보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화염전류 보정을 일정 기간마다 주기적으로 실시하게 되면, 플레임 로드(400)의 설치 위치 편차가 생기거나 플레임 로드(400)에 이물질이 쌓인 경우에도 일정한 과잉공기비(λ)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부하가 서로 다른 경우에 각 부하별 과잉공기비에 대한 화염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는 부하가 동일한 경우 과잉공기비(λ)와 화염의 전류값에 대한 관계를 설명하였지만, 부하 변동이 생기면 그에 따른 과잉공기비(λ)와 화염의 전류값도 변동이 생기므로,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서로 다른 부하에 대한 과잉공기비와 화염의 전류값에 대한 관계를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부하가 20%, 50%, 100%일때의 과잉공기비(λ)와 화염의 전류값에 대한 관계가 그래프로 나타나 있다.
과잉공기비(λ)가 동일한 경우에는 부하가 증가할수록 화염의 전류값이 증가하게 되고, 부하가 동일한 경우에는 과잉공기비(λ)가 증가할수록 화염의 전류값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부하 조건마다 과잉공기비(λ)에 따른 화염의 전류값의 특성이 상이하게 되므로, 플레임 로드(400)를 통해 측정된 화염의 검출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이전에, 현재 부하가 얼마인지를 먼저 판단한 후 검출 전류값이 현재 부하에 맞는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부하는 송풍기(200)의 회전수(RPM)에 관계가 있고, 상기 회전수(RPM)을 조절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200)의 회전수(RPM)는 회전수측정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고, 제어부(500)에는 회전수(RPM)과 부하와의 관계가 테이블 또는 수식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정된 회전수(RPM)로부터 현재의 부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버너 110 : 점화장치
200 : 송풍기 300 : 가스공급부
310 : 공압식 가스조절밸브 320 : 전자식 가스조절밸브
400 : 플레임 로드 500 : 제어부

Claims (8)

  1. 버너;
    상기 버너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공기와 함께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플레임 로드;
    상기 플레임 로드에서 검출된 검출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스 공급부에서의 가스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자식 가스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차이에 의해 가스가 유입되도록 일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된 공압식 가스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현재 부하를 판단하고, 상기 플레임 로드에서 검출된 검출 전류값과 상기 현재 부하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부하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측정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6. a) 버너를 가동시켜 연소를 수행하는 단계;
    b) 플레임 로드를 이용하여 버너에서 생성된 화염의 검출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플레임 로드로부터 측정된 검출 전류값과 제어부에 기 설정된 화염의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에서 벗어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가스 공급부에 구비된 전자식 가스조절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검출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내가 되도록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일정기간마다 수행되도록 화염전류 보정기능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화염전류 보정기능은 과잉공기비를 변화시켜가면서 연소를 수행하여, 상기 과잉공기비에 따른 화염의 검출 전류값의 경향이 변경되는 변곡점이 측정되면, 상기 검출 전류값의 변곡점이 새로운 기준 전류값의 변곡점이 되도록 기준 전류값을 시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현재 부하가 얼마인지를 상기 제어부에서 먼저 판단하고, 상기 검출 전류값이 현재 부하에 맞는 기준 전류값의 편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06776A 2014-08-18 2014-08-18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 KR20160021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76A KR20160021496A (ko) 2014-08-18 2014-08-18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76A KR20160021496A (ko) 2014-08-18 2014-08-18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496A true KR20160021496A (ko) 2016-02-26

Family

ID=5544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776A KR20160021496A (ko) 2014-08-18 2014-08-18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14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236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화염 측정이 가능한 연소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236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화염 측정이 가능한 연소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948B1 (ko) 수소버너 및 그 화염감지방법
US2022012044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premix gas burner, a premix gas burner and a boiler
CN104296392A (zh) 自适应全预混燃烧的燃气热水装置
US20080118877A1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Oil Burner's Suitable Burning Ratio Using Air Pressure Sensor
KR100817737B1 (ko) 전기 저항 점화기에의 전압을 조정하는 시스템들
CN110207392B (zh) 一种风机和比例阀电流函数关系的修正方法
US20040255831A1 (en) Combustion-based emission reduction method and system
KR20160021496A (ko) 화염전류를 측정하는 플레임 로드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
JP4660500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機構
CN204176926U (zh) 自适应全预混燃烧的燃气热水装置
US20220128235A1 (en) Method of monitoring a burner and/or a burning behavior of a burner and burner assembly
GB2444109A (en) Burn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CN111981479B (zh) 预混燃烧器控制方法及装置
US20150050606A1 (en) Method for electronically regulating a combustible mixture, for example gas fed to a burner
JP2006329474A (ja) 燃焼機における火炎検出装置
JP2003042444A (ja) 給湯器
JP4155179B2 (ja) ガス燃焼装置
CN111947142A (zh) 全预混燃气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367354B1 (ko) 가스 종류별 최적 연소장치 및 연소방법
JP2022179847A (ja) 燃焼制御方法および燃焼制御装置
KR20190060236A (ko) 화염 측정이 가능한 연소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46858B1 (ko) 가스 혼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렌지
KR100686009B1 (ko) 가스버너의 시스템 부하에 따른 공기량 제어장치 및 이를이용한 공기량 제어방법
KR100187055B1 (ko) 오일연소기의 역화방지 방법
KR960003468B1 (ko) 석유팬히터의 연소 안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