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479A -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 - Google Patents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479A
KR20160021479A KR1020140106739A KR20140106739A KR20160021479A KR 20160021479 A KR20160021479 A KR 20160021479A KR 1020140106739 A KR1020140106739 A KR 1020140106739A KR 20140106739 A KR20140106739 A KR 20140106739A KR 20160021479 A KR20160021479 A KR 20160021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space
side wall
plat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951B1 (ko
Inventor
박태재
Original Assignee
박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재 filed Critical 박태재
Priority to KR102014010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9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7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all walls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to collapse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저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영역을 형성하는 바닥 플레이트부와, 바닥 플레이트부의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지지기둥들과, 바닥 플레이트부로부터 지지기둥 사이에서 결합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저장공간을 상부에서 개폐할 수 있게 결합된 중간 덮개부와, 지지기둥의 상부에 결합된 지붕부를 구비하고, 바닥플레이트부, 지지기둥, 측벽부, 중간 덮개부 및 지붕부는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에는 저장공간내로 투광이 가능한 투광창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식 저장 구조물에 의하면, 저장공간을 어류 양식, 식생, 천일염 건조, 동물 사육,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동, 분리 및 조립성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assembly structure having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조립식 저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면서 저장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조립식 저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녹지가 적은 도시환경에 대해 미관 및 녹화 목적으로 사람 및 차량의 통행이 많은 도로 주변이나 도로 중간의 중앙분리대에 화분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거리 미화용 화분은 국내 등록특허 제10-0339613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분은 빗물 등에 의해 수분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기 동안에는 관리자가 일일이 물을 공급해 주어야만 하고, 화분 자체의 수분 수용능력이 작아 물 공급 관리주기가 매우 짧아 관리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화분의 구조는 식재 영역을 대형화하고자 하는 경우 규모가 커져 이동성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저장공간을 갖으면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며, 식생, 어류 양식, 천일염 건조, 동물사육, 생태계조성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저장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공간을 갖는 조립식 저장 구조물은 바닥영역을 형성하는 바닥 플레이트부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부의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지지기둥들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부로부터 상기 지지기둥 사이에서 결합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상부에서 개폐할 수 있게 결합된 중간 덮개부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결합된 지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부, 상기 지지기둥, 상기 측벽부, 상기 중간 덮개부 및 상기 지붕부는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저장공간내로 투광이 가능한 투광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제1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영역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어레이되는 제1종플레이트로 된 제1하부층과; 상기 제1종플레이트들의 상기 제1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1끼움돌기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2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어레이되어 상기 제1하부층 상부에서 결합되는 횡플레이트들로 된 제2하부층과; 저면에 상기 횡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하부층 상부에서 상호 밀착되게 어레이되는 제2종플레이트들로 된 제3하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3하부층의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형성된 제1깍지끼움편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1깍지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깍지끼움홈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횡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깍지끼움편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깍지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횡플레이트의 양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종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톱퍼가 삽입될 수 있는 제3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측면에 수직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가이드바에 삽입될 수 있게 양 측면에 슬라이딩 구속홈이 형성되어 수직상으로 슬라이딩에 의해 상호 끼움결합되어 수직상으로 적층되며 저부 및 상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삽입홈이 형성된 단위 측벽유니트들과; 상기 단위 측벽 유니트들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게 상단 및 하단에 제1 및 제2삽입돌기가 형성되어 격자형 투광창을 형성하는 격자체와; 투광이 가능한 투광소재로 상기 격자형 투광창을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된 투광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덮개부는 최상단의 상기 단위 측벽 유니트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저장 구조물에 의하면, 저장공간을 어류 양식, 식생, 천일염 건조, 동물사육,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동, 분리 및 조립성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저장 구조물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저장 구조물을 분리해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1 및 도 2에 적용되는 바닥 플레이트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측벽부 및 중간 덮개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지붕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측벽부와 지지기둥이 바닥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조립식 저장구조물의 사용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저장 구조물 및 이를 적용한 식생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저장 구조물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저장 구조물(100)은 상호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부(110), 지지기둥(140)들, 측벽부(160)와, 중간 덮개부 및 지붕부(190)를 구비한다.
참고로 도 1에서는 후술되는 중간 덮개부를 생략된 상태로 저장공간(102)이 보일 수 있게 도시하였다.
바닥 플레이트부(110)는 사각 형태의 바닥영역을 형성하며, 상세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닥 플레이트부(110)는 제1하부층(112), 제2하부층(114) 및 제3하부층(116)으로 되어 있다.
제1하부층(112)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제1끼움홈(113a)이 형성되어 형성하고자 하는 바닥영역(116a)에 대응되는 영역을 분할하여 하부에서 점유하며 제1방향(A)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어레이되는 다수의 제1종플레이트(113)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종플레이트(113)들이 상호 이격되게 어레이 되어 후술되는 제2하부층(114)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되게 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1종플레이트(113)들이 상호 이격 간격 없이 밀착되게 어레이되어 제2하부층(114)과 결합되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종플레이트(113)의 길이는 제2방향(B)의 바닥영역(116a)길이로 형성하면 된다.
제1종플레이트(113)의 저면에는 지면으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받침다리(113b)가 상호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제1하부층(112)은 다수의 각목재를 결합한 구조가 예시되었다.
제2하부층(114)은 제1종플레이트(113)들의 제1끼움홈(113a)에 삽입될 수 있는 제1끼움돌기(115a)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2끼움돌기(115b)가 형성되어 제1방향(A)과 직교하는 제2방향(B)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어레이되어 제1하부층(112) 상부에서 결합되는 횡플레이트(115)들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끼움돌기(115b)는 상호 이격되어 두 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하나만 형성되어도 된다.
횡종플레이트(115)의 길이는 제1방향(A)의 바닥영역(116a)길이로 형성하면 된다.
제2하부층(114)도 도시된 예와 다르게 횡플레이트(115)들이 상호 이격 간격 없이 밀착되게 어레이되어 제1하부층(112)과 결합되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하부층(116)은 횡플레이트(115)들에 형성된 제2끼움돌기(115b)에 삽입될 수 있는 제2끼움홈(117a)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1방향(A)을 따라 제2하부층(114) 상부에서 상호 밀착되게 어레이되는 제2종플레이트(117)들로 되어 있다.
제3하부층(116)의 최외곽에 배치된 제2종플레이트(117)의 모서리부분에는 보조 지지기둥(141)의 하단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1깍지끼움편(141a)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1깍지끼움홈(117b)이 형성되어 있고, 제1깍지끼움홈(117b)과 대향되는 위치의 하부에 배열되는 횡플레이트(115)에는 제1깍지끼움편(141a)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깍지끼움홈(115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횡플레이트(115)의 양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스톱퍼(115d)가 형성되어 있고, 제2종플레이트(117)에는 스톱퍼(115d)가 삽입될 수 있는 제3끼움홈(117d)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 지지기둥(141)의 하단에 형성된 제1깍지끼움편(141a)은 수직상으로 제1끼움홈(117d)을 통해 제2깍지끼움홈(115c)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 지지기등(141)은 제3하부층(116) 상부로 열십자 형태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결합된다.
지지기둥(140)은 모서리에 4개 및 중앙을 분할하는 위치에 2개가 적용되어 총 6개가 적용되어 있고, 바닥 플레이트부(110)의 각 모서리와 중간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지기둥(140)은 보조 지지기둥(141)과 메인 지지기둥(142)으로 되어 있다.
메인 지지기둥(142)은 단면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몸통부분(143)의 하단에는 앞서 설명된 보조 지지기둥(141)이 수직상으로 깍지끼움될 수 있게 열십자 형태의 보조 지지기둥(141)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깍지끼움편(142a)이 형성되어 있다.
제2깍지끼움편(142a)은 열십자 형태의 보조 지지기둥(141)의 외측면을 감싸는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게 4개의 끼움아암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단에는 제3깍지끼움편(144)이 형성되어 있다.
제3깍지끼움편(144)은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 2개의 끼움 아암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보조 지지기둥(141)의 측면 및 메인 지지기둥(142)의 몸통부분(143)에는 후술되는 측벽부(160)가 수직상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게 수직상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1가이드바(146)가 바닥영역(116a)의 각 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보조 지지기둥(141)은 생략되고 메인 지지기둥(142)의 제2깍지끼움편(142a)이 바닥 플레이트부(110)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벽부(160)는 바닥 플레이트부(110)로부터 지지기둥(140) 사이에서 결합되어 지지기둥(140)의 상단 보다 낮은 높이 또는 지붕부(190)까지 저장공간(102)을 형성한다.
측벽부(160)의 일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측벽부(160)는 단위 측벽유니트(162)와, 격자체(165)를 구비한다.
단위 측벽유니트(162)는 지지기둥(140)의 측면에 수직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가이드바(146)에 삽입될 수 있게 양 측면에 슬라이딩 구속홈(162a)이 형성되어 수직상으로 슬라이딩에 의해 상호 끼움결합되어 수직상으로 적층되며 저부 및 상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삽입홈(163a)(163b)이 형성되어 있다.
격자체(165)는 단위 측벽 유니트(162)들 사이의 제1 및 제2삽입홈(163a)(163b)에 삽입될 수 있게 상단 및 하단에 제1 및 제2삽입돌기(165a)(165b)가 형성되어 단위 측벽 유니트(162) 상호간을 이격되게 지지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 투광창(166)을 형성한다.
참고로 도 2에서 참조부호 10으로 표기된 문틀을 중간 덮개부(180) 위의 측벽부(160)와 지붕부(190) 사이에 끼움결합에 의해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문틀(10)의 상면 및 저면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지붕부의 저면에는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면 된다.
투광패널(168)은 투광이 가능한 투광소재 예를 들면 투명 아클리판으로 형성되며 격자형 투광창을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69는 투광패널을 지지 및 분리할 수 있게 투광패널이 설치영역에 근접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투광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편(169a)과, 고정지지편(169a) 위에 설치되어 고정지지편(169a)에 대해 회동되면서 투광패널(168) 설치 영역 내외로 입출될 수 있게 된 가동지지편(169b)으로 된 록킹부재이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60)는 수직상으로 상호 적층되는 인접된 단위 측벽유니트(162)들의 제1 및 제2삽입홈(163a)(163b) 사이에 삽입되는 보조편(170)을 끼워 단위 측벽 유니트(162)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밀착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위 측벽유니트(162)들은 수직상으로 복수개가 적용되어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부(160)는 바닥영역(116a)의 각 변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앞서 설명된 저장공간(102)을 형성한다.
중간 덮개부는 측벽부(160)에 의해 형성된 저장공간(102)을 상부에서 개폐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중간 덮개부(180)는 복수개의 지지유니트(182)로 되어 있다.
지지유니트(182)는 최상단의 단위 측벽 유니트(162)의 상면에 형성된 제2삽입홈(163a)에 끼움결합될 수 있게 양단 저부에 제4끼움돌기(183)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저장공간(102)을 제2방향(B)을 따라 가로지르되 제1방향(A)을 따라 상호 밀착되게 설치되어 저장공간(102)의 상부를 차폐시키게 되어 있다.
지지유니트(182)의 상면에 형성된 보조홈(182a)는 단열재 등을 삽입하기 위한 것이며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붕부(190)는 메인 지지기둥(142)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기둥(140)들에 의해 구획되는 사각 공간을 상부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붕부(190)는 틀유니트(192a)(192b)와 지붕판(196)을 구비한다.
틀유니트(192a)(192b)는 메인 지지기둥(142)의 상부와 횡방향에서 상호 끼움결합되어 사각 틀을 형성한다.
틀유니트(192a)(192b)는 사각형 몸체를 갖으면서 양단에 제4깍지끼움편(193)이 형성되어 제1방향(A)을 따라 배치되는 두 개의 된 제1틀유니트(192a)와, 제2방향(B)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에 제1틀유니트(192a)의 제4깍지끼움편(193)과 깍지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2깍지끼움홈(198)이 형성된 두 개의 제2틀유니트(192a)가 적용된다.
여기서, 제1틀유니트(192a)의 양단에 형성된 제4깍지끼움편(193)은 메인 지지기둥(142)의 제3깍지끼움편(144) 사이에 삽입되면서 제2틀유니트(192b)의 제2깍지끼움홈(198)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틀유니트(192a)의 상면에는 제3삽입홈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지붕판(196)은 사각 판형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1틀유니트(192a)의 상면에 형성된 제3삽입홈(194)에 끼움결합될 수 있게 저면에 끼움바(198)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97은 제1틀 유니트(192a)를 상호 가로지르게 제1틀 유니트(192a)결합되어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유니트로서, 양단 저면에 상측으로 인입된 결착홈(197a)이 형성되어 제1틀 유니트(192a)에 결착홈(197a)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안착돌기(192c)에 안착된다.
지붕판(196)은 전체가 채광이 가능한 투명소재로 형성되거나, 일부의 투광창영역만 투광이 가능한 투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60)와 지붕부(190) 사이 영역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101)가 4면 중 적어도 1면 이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된 예에서는 통기가 가능한 망으로 된 제1개폐도어(101b)가 지지기둥(140)에 힌지(10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1개폐도어(101b)의 외측에서 투명소재로 형성된 제2개폐도어(101a)가 제1개폐도어(101a)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개폐도어(101b)(101a)는 폐쇄상태에서 잠금이 가능한 록킹기구에 의해 개폐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면 된다.
한편, 측벽부(160)와 지붕부(190) 사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체(165)에 의해 다수의 격자창을 갖게 구축하고, 각 격자창을 앞서 설명된 투광패널(168)로 차폐되게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를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부(110), 지지기둥(140), 측벽부(160), 중간 덮개부(180) 및 지붕부(190)는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어 분리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조립식 저장 구조물(100)은 저장공간(102)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일 예로서 조립식 저장 구조물(100)을 본체로 하여 식생이 가능하게 형성된 형성한 예를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은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먼저, 조립식 저장 구조물(100)은 집수부(210), 집수공급관(230), 식재틀(240), 펌프(250) 및 분사노즐부(260)를 구비한다.
집수부(210)는 지붕부(190) 상부에 형성되어 비를 집수할 수 있게 집수공간(212)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집수부(210)는 지붕판(196)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집수가이드판(213)이 더 형성되어 있고, 지붕판(196)의 상면 및 집수 가이드판(213)의 내측면에는 방수가 가능한 소재로 방수처리되어 있다.
저수패널(270)은 측벽부(160)의 저수공간(102) 내부에 담수가 가능하게 측벽부(160) 내측면 및 바닥영역(116a)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저수패널(270)은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의 시트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집수 공급관(230)은 집수부(210)의 집수공간(212)에 집수된 물을 저장공간(102)으로 낙하에 의해 공급할 수 있도록 지붕판(196)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배수홀(217)에 일단이 결합되어 저장공간(102)으로 집수된 물을 배출할 수 있게 타단이 연장되어 있다.
식재틀(240)은 본체의 저장공간(102) 상부에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덮개부(180)의 상면에 마련되며 가장자리로부터 일정높이로 연장되어 식재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식재틀(240) 내의 식재공간에는 원하는 식물을 식재하면 된다.
펌프(250)는 저장공간(102) 내에 설치되어 저수된 물을 후술되는 분사노즐부(260)로 펌핑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사 노즐부(260)는 펌프(250)의 배출관(252)과 결합되어 지붕판(196)의 저면에서 식재틀(240)로 공급된 물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된 다수의 노즐(262)이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설정된 시간마다 펌프(250)를 가동할 수 있도록 펌프 구동 제어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저장공간을 저수공간 용으로 활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천일염을 자연상태로 건조시키기 위한 공간, 어류를 양식할 수 있는 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어류를 양식하는 경우 해충을 저수공간(102) 내로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전등(미도시)이 본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0: 바닥 플레이트부 140: 지지기둥
160: 측벽부 180: 중간 덮개부
190: 지붕부

Claims (4)

  1. 바닥영역을 형성하는 바닥 플레이트부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부의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지지기둥들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부로부터 상기 지지기둥 사이에서 결합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상부에서 개폐할 수 있게 결합된 중간 덮개부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결합된 지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부, 상기 지지기둥, 상기 측벽부, 상기 중간 덮개부 및 상기 지붕부는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저장공간내로 투광이 가능한 투광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조립식 저장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제1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영역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어레이되는 제1종플레이트로 된 제1하부층과;
    상기 제1종플레이트들의 상기 제1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1끼움돌기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2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어레이되어 상기 제1하부층 상부에서 결합되는 횡플레이트들로 된 제2하부층과;
    저면에 상기 횡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하부층 상부에서 상호 밀착되게 어레이되는 제2종플레이트들로 된 제3하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3하부층의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형성된 제1깍지끼움편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1깍지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깍지끼움홈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횡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깍지끼움편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깍지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횡플레이트의 양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종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톱퍼가 삽입될 수 있는 제3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측면에 수직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가이드바에 삽입될 수 있게 양 측면에 슬라이딩 구속홈이 형성되어 수직상으로 슬라이딩에 의해 상호 끼움결합되어 수직상으로 적층되며 저부 및 상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삽입홈이 형성된 단위 측벽유니트들과;
    상기 단위 측벽 유니트들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게 상단 및 하단에 제1 및 제2삽입돌기가 형성되어 격자형 투광창을 형성하는 격자체와;
    투광이 가능한 투광소재로 상기 격자형 투광창을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된 투광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덮개부는 최상단의 상기 단위 측벽 유니트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조립식 저장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는
    상기 기둥부분의 상부와 횡방향에서 끼움결합되며 사각 틀을 형성하는 틀유니트와;
    상기 틀유니트의 상부에 형성된 제3삽입홈에 끼움결합될 수 있게 저면에 끼움바가 형성된 지붕판과;
    상기 지붕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빗물을 수집할 수 있는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집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붕판은 투광이 가능한 투광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의 내부공간에는 저수가 가능한 저수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조립식 저장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물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집수 공급관과;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 상부에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게 형성된 식재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조립식 저장 구조물.
KR1020140106739A 2014-08-18 2014-08-18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 KR10162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39A KR101629951B1 (ko) 2014-08-18 2014-08-18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39A KR101629951B1 (ko) 2014-08-18 2014-08-18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479A true KR20160021479A (ko) 2016-02-26
KR101629951B1 KR101629951B1 (ko) 2016-06-13

Family

ID=5544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739A KR101629951B1 (ko) 2014-08-18 2014-08-18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9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934A (ja) * 1994-12-20 1996-07-09 Hamamatsu Photonics Kk 植物栽培施設建屋
KR20050026615A (ko) * 2003-09-09 2005-03-15 솔로몬테크(주) 아파트 베란다용 조립식 온실
KR20120128375A (ko) * 2011-05-17 2012-11-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공장용 led조명 재배장치
KR20140035670A (ko) * 2012-09-14 2014-03-24 벽화수주식회사 식생 간이 건축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934A (ja) * 1994-12-20 1996-07-09 Hamamatsu Photonics Kk 植物栽培施設建屋
KR20050026615A (ko) * 2003-09-09 2005-03-15 솔로몬테크(주) 아파트 베란다용 조립식 온실
KR20120128375A (ko) * 2011-05-17 2012-11-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공장용 led조명 재배장치
KR20140035670A (ko) * 2012-09-14 2014-03-24 벽화수주식회사 식생 간이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951B1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0446B2 (ja) 垂直または傾斜した配置でのコンテナ植栽システム
US20080295402A1 (en) Modular Greening Device for Facades, Walls or the Like
US8418402B2 (en) Crop cover
US8141518B2 (en) Animal shelter with integrated storage and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KR101164891B1 (ko) 조립식 화단
JP3177129U (ja) モジュール化可能なソーラエネルギ施設の温室棚
KR101733235B1 (ko) 띠녹지 수벽
US9173352B1 (en) Modular enclosure for gardening and storage
AU2015100015B4 (en) Modular Garden Planter
CN101268746B (zh) 一种绿化模块
WO2009098762A1 (ja) 灌水配管を備えた壁面緑化用ユニット
WO2010009505A1 (en) Green wall system
KR101169351B1 (ko) 가드닝 플랜터
KR101518487B1 (ko)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 및 이를 적용한 식생 장치
KR101629951B1 (ko)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
KR101345525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WO2012167304A1 (en) Improved green wall system
CN205077902U (zh) 一种能够与生态树相结合的景观廊架
US20170050891A1 (en) Tetra vermi compost container and method for composting agricultural waste
CN205062711U (zh) 组合式分层植物道路分隔栏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KR101568638B1 (ko) 도시녹화를 위한 건물의 실내외 녹화용 식생보드
KR20230016959A (ko)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JPH0827751A (ja) ガードフェンス
RU2455819C2 (ru) Теплица из пэт матери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