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959A -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 Google Patents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959A
KR20230016959A KR1020210098596A KR20210098596A KR20230016959A KR 20230016959 A KR20230016959 A KR 20230016959A KR 1020210098596 A KR1020210098596 A KR 1020210098596A KR 20210098596 A KR20210098596 A KR 20210098596A KR 20230016959 A KR20230016959 A KR 2023001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upply line
water supply
planting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선
주진희
윤용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959A/ko
Publication of KR2023001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은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본체부; 일측이 개방된 식재 공간을 갖는 식재케이스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와 단차지도록 이음연결되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 일면에 장착되는 식물재배부; 상기 본체부 상단에 구비되어, 빗물을 수용하는 빗물수용조; 및 상기 빗물수용조에 연결되고, 상기 식물재배부 각각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길이 방향의 급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라인은 상기 식재 공간으로 물을 배수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분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A WALL GREENING STRUCTURE USING RAINWATER}
본 발명은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단에 집수된 빗물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급수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식재케이스 내부의 토양으로 골고루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배수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버려지는 빗물을 이용하여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庭園, garden)은 흙·돌·물·나무 등의 자연재료와 인공물 및 건축물에 의해 미적이고 기능적으로 구성된 특정한 구역을 말하는데, 그 구성 요소로는 계단, 담과 울타리, 테라스, 벤치, 잔디와 지피류, 조명, 조각, 기타 장식품 등이 있다.
또한, 정원은 대개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거문화의 반영 뿐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정원은 실외 또는 실내에 많이 설치되는 것으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 및 실외 벽면에 설치되어 정원의 느낌을 살리면서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는 수직형 벽면 녹화 화분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직형 화분 장치들은 벽 등에 화분 받침대를 진열하여 화분 및 꽃병등을 올려놓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화분 및 꽃병 등이 낙하하여 쉽게 파손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수 개의 화분을 벽면에 각각 장착시키는 경우, 각 화분마다 적정량의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벽이나 일정한 구조물이 없는 옥상이나 콘크리트 광장, 도로 안전지대 등에 꽃벽이나 꽃기둥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중앙분리대, 방음벽 등 구조물을 반드시 해야 하는 경우에도 식생이 결합된 수직의 구조물이 요구되고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단으로 화분을 적재하여 벽면에 고정시키는 수직형 벽면 녹화 화분 장치의 상단에 빗물을 집수하는 빗물집수관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집수관에 수용된 빗물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 중 식재공간 내부를 관통하며 토양 내부에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벽면에 설치되어 정원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버려지는 빗물을 그대로 활용하여 수자원 보호 및 관리인력 성력화를 통한 배수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10-2015-0131552호 (공개일자 2015년 11월 25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 벽면에 부착되거나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본체부의 일면에 다수개의 식재케이스가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음연결된 식물재배부 및 상기 식물재배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결되고 다수개의 분사공을 통해 상기 식물재배부 내에 빗물을 배수하는 급수라인을 포함함으로써, 벽면에 설치되어 정원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버려지는 빗물을 그대로 활용하여 수자원 보호 및 관리인력 성력화를 통한 배수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은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본체부; 일측이 개방된 식재 공간을 갖는 식재케이스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와 단차지도록 이음연결되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 일면에 장착되는 식물재배부; 상기 본체부 상단에 구비되어, 빗물을 수용하는 빗물수용조; 및 상기 빗물수용조에 연결되고, 상기 식물재배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길이 방향의 급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라인은상기 식재 공간으로 물을 배수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분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물재배부는 식재케이스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와 단차지도록 이음연결되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다수개의 횡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횡열모듈은 상기 본체부 일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재케이스는 일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라인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 및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상기 식재케이스의 타측벽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식재케이스 저면에서 상기 제2관통홀까지의 높이는 상기 식재케이스 저면에서 상기 제1관통홀까지의 높이보다 낮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관통홀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의 제1관통홀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수라인은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급수라인의 이동 방향 전환을 위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빗물수용조는 상기 급수라인과 접촉하는 일단에 매쉬형상의 여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은 상기 식물재배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부 일면에 장착되어, 결빙으로 인한 상기 분사공의 막힘을 방지하는 투명 재질의 탈착식 단열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에 의하면, 벽면에 설치되어 정원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버려지는 빗물을 그대로 활용하여 수자원 보호 및 관리 인력 성력화를 통한 배수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재배부 및 이를 관통하는 급수라인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을 횡단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본체부 상단에서 집수된 빗물이 중력에 의해 하방 유동하여 상기 식물재배부 내의 토양에 골고루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재배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부 일면에 장착되는 단열시트를 구비함으로써, 기온 하강에 따른 결빙으로 인한 분사공의 막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적정량의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수직형 벽면 녹화 화분 장치에 빗물을 집수하는 빗물집수관을 구비하고, 집수된 빗물이 식재공간 내부에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식생이 결합된 수직의 구조물의 일반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의 식물재배부의 세부적이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라인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식물재배부(200), 빗물수용조(300), 급수라인(400) 및 단열시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1)의 외장을 구성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수직 벽면에 부착되거나 수직 상태로 고정되고, 외부로 개방된 일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부(200)가 장착되고, 상측에 빗물을 집수하고 집수된 빗물을 일면에 부착된 상기 식물재배부(200)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벽면 또는 담장 등에 평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옥상 또는 베란다 등에 입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중앙분리대, 방음벽 등에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벽면 또는 담장의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평면적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이 길고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일면을 포함하는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하방이 길고 비교적 넓은 면적의 일면을 포함한 다양한 다각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식물재배부(200)가 장착되는 비교적 넓은 면적의 일면에 상기 식물재배부(200)의 장착을 위한 안착돌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에 다수개로 돌출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후술할 식재케이스(210)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돌기(110)는 상기 일면에 산발적으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의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자 형상의 함체인 식재케이스(210)가 올려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식재케이스(210)의 직경보다 길게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110)는 상기 식재케이스(2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재케이스(210)는 상기 안착돌기(110)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110)는 부착형 앵커의 형태로 상기 본체부(100) 일면에 다수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식재케이스(210)를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돌기(110)는 상기 본체부(100) 일면에 다수개의 식재케이스(2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없이 적용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의 식물재배부의 세부적이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물재배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식재 공간을 갖는 식재케이스(210)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210)와 단차지도록 이음연결되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100) 일면에 장착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재배부(200)는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을 갖는 식재케이스(210)들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이음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 일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라인(400)이 관통하여 식재케이스(210) 내 토양에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물재배부(200)는 식재케이스(210)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210)와 단차지도록 이음 연결되어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100) 일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횡열모듈들이 다단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빗물수용조(300)에서 집수된 빗물이 별도의 장치없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식물재배부(200)에 골고루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횡열모듈(220)은 상기 본체부(100) 일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급수라인(400)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식물재배부(200)는 내부에 토양과 식물을 수용하는 식재케이스(210)가 상기 본체부(100) 일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도록 다수개로 이음 연결된 횡열모듈(220)을 형성하고, 상기 횡열모듈(220)은 상기 급수라인(400)을 따라 하방으로 빗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횡열모듈(220)은 상기 본체부(100) 일면의 규모나 형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횡열모듈(220)은 상측부터 하측으로 이어진 형상이 지그재그의 형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재케이스(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케이스(210) 양측벽을 상기 급수라인(400)이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급수라인(400)을 통해 이동하는 빗물이 분사공(410)을 통해 식재케이스(210)에 수용된 토양에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식재케이스(210)는 일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라인(400)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211) 및 상기 제1관통홀(211)과 대응되는 상기 식재케이스(210)의 타측벽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재케이스(210) 저면에서 상기 제2관통홀(212)까지의 높이(h₂)는 상기 식재케이스(210) 저면에서 상기 제1관통홀(211)까지의 높이(h₁)보다 낮게 구비될 수 있다(h₁>h₂).
구체적으로, 상기 식재케이스(210)는 양측벽에 급수라인(400)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211) 및 제2관통홀(2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통홀(212)은 상기 제1관통홀(211)보다 식재케이스(210)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게 구성되어 상기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12)을 관통하는 급수라인(400)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관통홀(212)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210)의 제1관통홀(211)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급수라인(400)이 제1관통홀~제2관통홀~제1관통홀~제2관통홀… 과 같이 교번하여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은 상기 급수라인(400)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여 중력에 의해 빗물이 원만하게 하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빗물수용조(300)는 상기 본체부(100) 상단에 구비되어 빗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빗물수용조(300)는 하방으로 좁아지는 깔대기나 호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리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하여 상기 급수라인(400)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 상단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빗물수용조(30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다각형상이나 원뿔대 형상을 갖고 개방된 하단으로 상기 급수라인(4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빗물수용조(300)는 하방으로 경사진 투입가이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수용조(3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부(100) 상단에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빗물수용조(300)는 개방된 하단에 매쉬형상의 여과망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여과망(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수용조(300)로 집수된 빗물에 내재된 이물질들이 상기 급수라인(40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급수라인(400)의 유입구(420)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매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망(310)은 상기 빗물수용조(300)로 유입될 수 있는 벌레, 나뭇잎 또는 먼지나 흙등이 상기 급수라인(4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에 의한 급수라인(400)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여과망(31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급수라인(400)을 보호할 수 있는 철망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라인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수라인(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수용조(300)에 연결되고, 상기 식물재배부(200) 각각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길이 방향의 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급수라인(400)은 상기 빗물수용조(300) 하단에서 본체부(100) 하단까지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집수된 빗물이 상기 식물재배부(200)로 고르게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식물재배부(200)를 관통하여 이어지는 길이 방향의 관 형상으로, 특히 식재케이스(210) 내를 관통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분사공(410)이 천공되어 이송 중인 빗물이 상기 분사공(410)을 통해 토양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수라인(400)은 식물재배부(20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식물재배부(200)와 동일한 이동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라인(400)은 분사공(410), 유입구(420), 배출구(430) 및 절곡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공(410)은 상기 급수라인(400) 중 상기 식재케이스(210) 내를 관통하는 부분에 다수개로 천공된 통공 형상으로, 식재케이스(210) 내로 빗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420)는 급수라인(400)의 상단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420)는 상기 빗물수용조(300)과 연결되며, 상기 여과망(3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430)는 급수라인(400)의 하단부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절곡부(440)는 상기 본체부(100) 측단부에서 상기 급수라인(400)의 방향 전환을 위해 절곡된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440)는 상기 식물재배부(200)와 동일하게 지그재그 형상의 이동 경로를 갖는 급수라인(400)이 하나의 횡열모듈(220)을 통과 후 다른 횡열모듈(220) 통과를 위해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절곡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440)는 상기 유입구(420)에서 배출구(430)까지 분할되지 않는 하나의 관으로 연결된 급수라인(400)이 식물재배부(200)의 모든 부분에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열시트(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재배부(20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부(100) 일면에 장착되어, 결빙으로 인한 상기 분사공(410)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열시트(500)는 커버된 식물재배부(200)의 식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경우에만 장착 가능하도록 탈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시트(500)는 내열성, 내후성, 탄성(굴곡성), 오존성등이 우수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합성고무에 발포제, 가소제, 충진제, 촉진제등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친환경적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시트(500)는 필요한 시기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탈착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단열시트(500)의 탈착을 위한 탈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부재(미도시)는 탈착이 용이한 밸크로, 똑딱 단추나 버클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탈착부재의 구성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단열시트를 탈착시킬 수 있는 공지의 것을 제한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에 의하면, 벽면에 설치되어 정원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버려지는 빗물을 그대로 활용하여 수자원 보호 및 관리 인력 성력화를 통한 배수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식물재배부 및 이를 관통하는 배수라인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을 횡단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본체부 상단에서 집수된 빗물이 중력에 의해 하방 유동하여 상기 식물재배부 내의 토양에 골고루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식물재배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부 일면에 장착되는 단열시트를 구비함으로써, 기온 하강에 따른 결빙으로 인한 분사공의 막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적정량의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수직형 벽면 녹화 화분 장치에 빗물을 집수하는 빗물집수관을 구비하고, 집수된 빗물이 식재공간 내부에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식생이 결합된 수직의 구조물의 일반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100 : 본체부 110 : 안착돌기
200 : 식물재배부 210 : 식재케이스
211 : 제1관통홀 212 : 제2관통홀
220 : 횡열모듈 300 : 빗물수용조
310 : 여과망 400 : 급수라인
410 : 분사공 420 : 유입구
430 : 배출구 440 : 절곡부
500 : 단열시트

Claims (7)

  1.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본체부;
    일측이 개방된 식재 공간을 갖는 식재케이스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와 단차지도록 이음연결되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 일면에 장착되는 식물재배부;
    상기 본체부 상단에 구비되어, 빗물을 수용하는 빗물수용조; 및
    상기 빗물수용조에 연결되고, 상기 식물재배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길이 방향의 급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라인은,
    상기 식재 공간으로 물을 배수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분사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부는,
    식재케이스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와 단차지도록 이음연결되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다수개의 횡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횡열모듈은,
    상기 본체부 일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케이스는,
    일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라인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 및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상기 식재케이스의 타측벽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식재케이스 저면에서 상기 제2관통홀까지의 높이는,
    상기 식재케이스 저면에서 상기 제1관통홀까지의 높이보다 낮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홀은,
    이웃하는 식재케이스의 제1관통홀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은,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급수라인의 이동 방향 전환을 위해 절곡된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수용조는,
    상기 급수라인과 접촉하는 일단에 매쉬형상의 여과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부 일면에 장착되어, 결빙으로 인한 상기 분사공의 막힘을 방지하는 투명 재질의 탈착식 단열시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KR1020210098596A 2021-07-27 2021-07-27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KR20230016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96A KR20230016959A (ko) 2021-07-27 2021-07-27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96A KR20230016959A (ko) 2021-07-27 2021-07-27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959A true KR20230016959A (ko) 2023-02-03

Family

ID=8522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596A KR20230016959A (ko) 2021-07-27 2021-07-27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46401A (zh) * 2023-07-18 2023-09-15 江苏百绿园林集团有限公司 一种立体种养自循环灌溉绿化模块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552A (ko) 2014-05-15 2015-11-25 이경자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552A (ko) 2014-05-15 2015-11-25 이경자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46401A (zh) * 2023-07-18 2023-09-15 江苏百绿园林集团有限公司 一种立体种养自循环灌溉绿化模块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02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озеленяемой стены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KR101164891B1 (ko) 조립식 화단
WO2007043186A1 (ja) 多目的植栽基盤
KR200398771Y1 (ko) 식생매트를 이용한 수직 인공구조물 전면 녹화장치
WO2012050529A1 (en) Planting tray
KR101779010B1 (ko) 빗물 저장형 벤치 화분
NL2001568C2 (nl) Groei-inrichting voor gewas en bekleding of bouwdeel vervaardigd daarmee.
CN108401729B (zh) 装配式抗振节水防蚊虫植物墙
CN104363751A (zh) 竖直园艺系统
US20100043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JP4976785B2 (ja) 屋根の緑化システム
JP2011122403A (ja) 法面保護兼緑化用擁壁
KR20230016959A (ko) 빗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 구조물
JP2002330631A (ja) 立体プランター
JP2010242422A (ja) 緑化用石詰篭構造体及び緑化用擁壁
JP4108198B2 (ja) 緑化パネル、緑化方法及び折版屋根の構造
JPH10215687A (ja) プランターと植物栽培装置
JP2006081535A (ja) 植物栽培用容器
KR20210093208A (ko) 등반매트와 격자가 조합된 덩굴식물류를 이용한 벽면 녹화 프레임
JP2013090623A (ja) 建築物緑化システム
KR100566934B1 (ko) 녹지조성용 블록
JP3738321B2 (ja) 多目的植栽基盤
US20210235896A1 (en) Floral architecture
JP2002017161A (ja) 緑化装置と建築物における屋上用緑化装置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