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262A -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 - Google Patents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262A
KR20160019262A KR1020140103777A KR20140103777A KR20160019262A KR 20160019262 A KR20160019262 A KR 20160019262A KR 1020140103777 A KR1020140103777 A KR 1020140103777A KR 20140103777 A KR20140103777 A KR 20140103777A KR 20160019262 A KR20160019262 A KR 2016001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reheating
processed
nozzl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0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262A/ko
Publication of KR2016001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처리물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절단노즐을 구비하는 절단부와,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처리물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예열노즐을 구비하는 예열부와, 상기 처리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예열부가 지지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처리물을 절단하는 장치로서,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온도값에 따라 처리물의 예열 공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한 후, 처리물의 절단 공정을 수행하는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Cutting machine and method for cutting object to be processed}
본 발명은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를 예열하여 처리물의 절단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 설비는 제강 설비로부터 정련된 용강을 공급받아 이를 주편(slab)으로 제조하는 설비이다. 연속주조 설비에서 제조된 주편은 토치 커팅 머신(Torch Cutting Machine)에서 1차 절단되고, 1차 절단된 주편들 중 후판재의 경우에는 크로스 커팅 머신(Cross Cutting Machine)에서 고객 사에서 요구하는 길이로 2차 절단된다. 상기의 커팅 머신은 현재 다양한 구성 및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0966809호에는 절단 머신이 제시되고 있고, 등록특허공보 제10-0701189호에는 슬라브 절단설비가 제시되고 있다.
토치 커팅 머신에서 1차 절단된 주편은 열간 상태에서 크로스 커팅 머신으로 공급되어 2차 절단되거나, 냉각되어 표면이 가공된 상태에서 크로스 커팅 머신으로 공급되어 2차 절단되며, 이에, 크로스 커팅 머신에 의한 주편의 2차 절단 작업 시 2차 절단되는 주편의 표면온도는 각각의 2차 절단 작업 마다 0℃에서 800℃ 이상의 온도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인다.
한편, 주편의 절단 시작 성공률은 절단 시작 위치의 주편의 표면온도에 따라 편차를 보이며, 상세하게는 주편의 표면온도가 400℃ 이상일 경우 주편의 절단 시작 성공률은 100%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주편의 표면온도가 300℃ 이상 400℃ 미만일 경우 주편의 절단 시작 성공률이 감소되기 시작하며, 주편의 표면온도가 300℃ 미만일 때 주편의 절단이 시작되는 경우 주편의 절단 시작 성공률은 급격하게 저하된다. 예컨대 주편의 표면온도가 200℃ 이상 300℃ 미만일 때는 주편의 절단 시작 성공률이 50%로 저하되며, 100℃ 이상 200℃ 미만일 때는 주편 절단 시작 성공률이 20%까지 감소된다.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크로스 커팅 머신의 토치로 절단산소뿐 아니라, 예열 불꽃을 함께 분사하며 주편의 2차 절단을 시작하였으나, 절단산소의 분사 방향을 주편의 두께방향으로 유지해야 함에 따라 토치의 방향이 한정되었고, 이에 예열 불꽃 또한 주편의 두께방향으로 분사하였다. 이로 인해 주편의 상부면만 예열될 뿐 주편의 절단이 시작되는 위치인 주편의 모서리 및 모서리와 이어진 측면은 예열이 어려웠다. 이에 더하여 주편의 절단을 위하여 분사되는 절단산소는 예열 불꽃의 예열 작용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절단산소와 함께 분사되는 예열 불꽃에 의한 주편의 예열은 사실상 어려웠고, 이에 표면온도가 300℃ 미만인 저온 주편의 경우 절단 시작이 실패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상술한 원인에 의하여 주편의 절단 시작이 실패되는 경우에는 크로스 커팅 머신의 토치를 주편 절단 시작위치로 후진시키고, 크로스 커팅 머신의 절단 속도를 줄인 이후, 주편의 절단 작업을 재개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대응 방식은 주편의 절단을 지연시켜 2차 절단 작업의 효율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상술한 대응 방식에 의하여 주편의 상면은 넓은 영역에서 예열되며, 이에 주편의 측면이 아닌 상면에서 주편의 절단이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주편의 절단면이 불규칙하게 패이는 등 주편의 절단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KR 10-0966809 B1 KR 10-0701189 B1
본 발명은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를 예열할 수 있는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처리물의 절단을 안정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처리물의 절단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절단 장치는,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처리물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절단노즐을 구비하는 절단부;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처리물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예열노즐을 구비하는 예열부; 및 상기 처리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예열부가 지지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예열부를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절단부와 상기 예열부를 결합시키는 예열위치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 예열부 및 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예열노즐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는 온도 검출부; 및 상기 온도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절단부 및 예열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절단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예열부의 내측에서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절단노즐은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산소 및 화염을 분사하는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예열노즐은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제3 분사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절단부의 일측에는 연결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예열부는 상기 연결블록을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예열위치 정렬부는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예열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제1 기어블록 및 상기 제1 기어블록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단부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제2 기어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어블록 및 제2 기어블록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예열부 및 절단부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기어블록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기어블록 및 상기 예열부가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단노즐에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에 장착되는 제1 제어밸브; 상기 예열노즐에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에 장착되는 제2 제어밸브; 및 상기 제1 제어밸브, 제2 제어밸브 및 온도 검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온도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의 온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제2 제어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볼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물 절단 방법은,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처리물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처리물의 상측에 절단노즐, 예열노즐 및 온도 검출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온도값에 따라 후속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물은 연속주조 설비에서 주조되어 1차 절단된 주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노즐, 예열노즐 및 온도 검출부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절단 노즐, 예열 노즐 및 온도 검출부를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예열노즐 및 상기 온도 검출부를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예열노즐이 향하는 방향의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속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온도값이 350℃ 내지 450℃ 일 경우에 상기 절단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물의 절단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온도값이 350℃ 미만일 경우에 상기 예열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물을 350℃ 내지 450℃로 예열하는 상기 처리물의 예열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절단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물의 절단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를 예열할 수 있고, 이에 처리물의 절단을 안정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처리물의 절단이 안정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처리물의 절단면 품질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연속주조 설비에서 주조되어 1차 절단된 주편의 2차 절단에 적용되는 경우, 2차 절단되는 주편의 절단 시작 위치의 모서리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가 기준 온도값의 범위 미만일 경우 주편의 절단 시작 위치의 모서리를 국부적으로 예열하여 목적하는 온도로 승온시킨 후 2차 절단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열에 의하여 주편의 절단 시작 위치는 주편의 상부면이 아닌 측면에서부터 안정적으로 절단이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주편 특히, 저온 주편의 2차 절단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주편의 절단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가 적용되는 연속주조 설비의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개략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리물 절단 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가 적용되는 연속주조 설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일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개략도 및 입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100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처리물(S)을 절단하는 장치이며, 처리물(S)은 연속주조 설비에서 주조되어 1차 절단된 주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연속주조 설비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구성 및 방식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연속주조 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련된 용강이 담기는 래들(10), 래들(10)로부터 공급되는 용강을 임시 저장하는 턴디시(20), 턴디시(20)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열간주편(S')으로 주조 및 성형하는 주형(30) 및 세그먼트(40)를 포함하고, 세그먼트(40)의 후단에는 토치 절단 장치(50)가 마련된다. 주형(30) 및 세그먼트(40)에서 연속하여 주조 및 성형되는 열간주편(S')은 토치 절단 장치(50)에서 1차 절단되고, 1차 절단된 주편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1000)로 공급된다.
절단 장치(100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처리물(S)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절단노즐(220)을 구비하는 절단부(200), 처리물(S)의 폭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처리물(S)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처리물(S)의 모서리(C)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예열노즐(320)을 구비하는 예열부(300), 처리물(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절단부(200) 및 예열부(300)가 지지되는 이동부(700)를 포함하고, 처리물(S) 및 이동부(700)를 지지하는 테이블(100), 예열부(300)를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부(700) 또는 절단부(200)와 예열부(300)를 결합시키는 예열위치 정렬부(400), 절단부(200), 예열부(300) 및 이동부(70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예열노즐(320)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는 온도 검출부(500), 온도 검출부(500)로부터 검출되는 처리물(S)의 모서리(C)의 온도값에 따라 절단부(200) 및 예열부(3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물(S)의 모서리(C)는 처리물(S)의 길이방향으로의 모서리들 중 처리물(S)의 상부면과 처리물(S)의 양 측면이 만나는 각각의 모서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처리물(S)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은 처리물(S)의 두께방향과 소정 각도로 서로 교차되며, 이때의 사잇각은 예컨대 40° 내지 50° 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처리물(S)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과 처리물(S)의 두께방향과의 사잇각으로 45°를 예시한다.
테이블(100)은 처리물(S)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110) 및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처리물(S)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한 쌍의 레일(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120)를 포함한다. 처리물(S)은 롤러(120)상에 마련되며, 이동부(700)는 레일(110)상에 결합된다.
절단부(200) 예컨대 절단 토치(cutting torch)는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70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절단부(200)는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단부몸체(210), 절단부몸체(2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절단노즐(220) 및 절단부몸체(210)의 상측 단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절단부몸체(210)의 내부를 통하여 절단노즐(220)에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200)에는 예열부(300)가 연결되어 지지되며, 이를 위해 절단부(200)의 일측에는 예열부(300)가 연결되어 지지 가능한 연결블록(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몸체(210)는 절단노즐(220) 및 제1 공급라인(230)이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소정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몸체(210)의 내부에는 냉각 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절단노즐(220)의 고온으로부터 절단부(200)의 열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블록(210a)은 예열부(300)가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며, 예열부몸체(310)가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는 환형의 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블록(210a)은 외주면의 일측이 절단부몸체(210)를 향하여 연장되어 절단부몸체(210)에 연결된다. 후술하는 예열위치 정렬부(400)의 제1 기어블록(410) 및 제2 기어블록(420)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연결블록(210a)의 외주면의 소정 영역은 처리물(S)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관통된 소정 영역을 통하여 후술하는 예열위치 정렬부(400)의 제1 기어블록(410)에 제2 기어블록(420)이 결합될 수 있다.
절단노즐(220)은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고압의 산소를 분사하는 제1 분사구(221) 및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제2 분사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분사구(221)는 절단노즐(220)의 하측 단부의 중심위치를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분사구(222)는 절단노즐(220)의 하측 단부의 중심위치에서 이격된 절단노즐(220)의 하측 단부의 복수의 위치를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노즐(220)의 내부에는 제1 공급라인(230)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및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제2 분사구(222)로 공급하는 혼합실(미도시)과, 제2 분사구(222)로 공급되는 산소와 혼합된 연소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급라인(230)은 일단이 절단부몸체(210)의 상측 단부를 관통하여 절단노즐(2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절단 장치(1000)의 외측에 마련된 유틸리티 라인(utility line, 미도시)에 연결되며, 절단노즐(220)의 제1 분사구(221) 및 제2 분사구(222)로 산소와 연소가스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의 유틸리티 라인은 제1 공급라인(230) 및 제2 공급라인(330)으로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공급 관로를 의미한다. 제1 공급라인(230)의 내부에는 제1 분사구(221)에 연결되어 고압의 산소를 공급하는 고압산소 공급라인(미도시), 제2 분사구(222)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라인(미도시) 및 제2 분사구(222)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연소가스 공급라인(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열부(300) 예컨대 예열 토치(preheating torch)는 상부가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상기 처리물(S)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되는 예열부몸체(310), 예열부몸체(3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예열노즐(320) 및 예열부몸체(310)의 상측 단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예열부몸체(310)의 내부를 통하여 예열노즐(320)에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3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열부몸체(310)의 상부는 절단부(200)의 연결블록(210a)을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예열부(300)가 절단부(20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예열부몸체(310)는 예열노즐(320) 및 제2 공급라인(330)이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소정 직경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굴곡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열부몸체(310)의 내부에는 냉각 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예열노즐(320)의 고온으로부터 예열부(300)의 열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열노즐(320)은 처리물(S)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제3 분사구(3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분사구(321)는 처리물(S)을 향하는 예열노즐(320)의 단부의 복수의 위치를 처리물(S)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열노즐(320)의 내부에는 제2 공급라인(330)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및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제3 분사구(321)로 공급하는 혼합실(미도시)와, 제3 분사구(321)로 공급되는 산소와 혼합된 연소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급라인(330)은 일단이 예열부몸체(310)의 상측 단부를 관통하여 예열노즐(3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절단 장치(1000)의 외측에 마련된 유틸리티 라인(미도시)에 연결되고, 예열노즐(320)의 제3 분사구(321)로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한다. 제2 공급라인(330)의 내부에는 제3 분사구(321)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라인(미도시) 및 제3 분사구(321)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연소가스 공급라인(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열부(300)는 복수개 구비되며,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200)는 복수개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예열부(300)들의 내측에서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후술하는 이동부(700)의 이동블록(730)들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예열위치 정렬부(400)는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예열부(300)의 예열부몸체(31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제1 기어블록(410), 제1 기어블록(410)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절단부(200)의 절단부몸체(210)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제2 기어블록(420),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기어블록(420)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회전축(430), 회전축(43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절단부(200)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 지지블록(440), 회전축 지지블록(440)의 일측에 장착되고, 회전축(43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회전축(430) 및 회전축(430)에 장착된 제2 기어블록(42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수단(450) 예컨대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열위치 정렬부(400)에는 회전축 구동수단(450)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축 구동수단 제어기(미도시) 및 예열노즐(320)과 처리물(S)의 모서리(C)의 정렬 상태를 감지하여 예열노즐(320)과 처리물(S)의 모서리(C)와의 정렬 상태 정보를 회전축 구동수단 제어기에 전달 가능한 별도의 위치센서(position sensor,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 구동수단 제어기 및 별도의 위치센서는 각각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들 구성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기어블록(410) 예컨대 렉 기어(rack gear)는 예열부몸체(310)의 상부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기어블록(420) 예컨대 피니언 기어(pinion gear)는 제1 기어블록(410)에 맞물려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제1 기어블록(410)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전축(430)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블록(440)은 회전축(430)의 양측 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절단부몸체(210)의 외주면의 소정 위치 및 연결블록(210a)의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회전축 지지블록(440a) 및 제2 회전축 지지블록(440b)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축(430)은 양측 단부가 각각 제1 및 제2 회전축 지지블록(440a, 440b)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 구동수단(450)은 제2 회전축 지지블록(440b)에 장착되고, 제2 회전축 지지블록(440b)를 관통하는 회전축(43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축(430)을 목적하는 회전량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1 기어블록(410)과 제2 기어블록(420)의 상호 결합에 의하여 예열부(300) 및 절단부(200)가 서로 결합되고, 제2 기어블록(42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기어블록(410) 및 제1 기어블록(410)이 장착된 예열부(300)가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기어블록(420)은 제2 기어블록(420)이 장착된 회전축(43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43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회전축(4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구동수단(450)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제어된다.
온도 검출부(500)는 예열부(30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예열노즐(320)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예열부(300)의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하여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온도 검출부(500)는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일단에 예열부몸체(310)의 상측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온도 검출부몸체 지지링(510a)이 형성되고, 타단에 온도 검출기(520)가 연결되어 지지되는 온도 검출부몸체(510) 및 온도 검출부몸체(5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예열노즐(320)이 향하는 방향 즉, 처리물(S)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는 온도 검출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검출기(520)는 처리물(S)의 모서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온도 센서일 수 있고, 예컨대 비접촉식 온도 센서 상세하게는, 적외선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검출부몸체(510)는 온도 검출기(520)를 지지하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상부가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하부가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부와 하부의 사이가 구부러지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 검출부몸체(510)의 일단에는 환형의 온도 검출부몸체 지지링(510a)이 형성되고, 온도 검출부몸체 지지링(510a)은 예열부몸체(410)의 상측 단부에 삽입 장착되어 예컨대 볼트결합 방식으로 예열부몸체(410)에 결합될 수 있다. 온도 검출부몸체(510)의 타단은 처리물(S)을 향하여 연장되며, 예열노즐(320)이 정렬되는 방향으로의 중심선과 교차될 수 있다. 온도 검출부몸체(510)의 타단에는 온도 검출기(520)가 연결되어 처리물(S)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절단노즐(220)에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230)에 장착되는 제1 제어밸브(610), 예열노즐(320)에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330)에 장착되는 제2 제어밸브(620), 제1 제어밸브(610), 제2 제어밸브(620) 및 온도 검출부(500)에 구비된 온도 검출기(520)에 연결되고, 온도 검출기(520)로부터 입력되는 처리물(S)의 모서리(C)의 온도값에 대응하여 제1 제어밸브(610) 및 제2 제어밸브(6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컨트롤러(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밸브(610) 및 제2 제어밸브(620)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 제1 공급라인(230) 및 제2 공급라인(330)에 장착되며,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의하여 제1 공급라인(230) 및 제2 공급라인(3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컨트롤러(630)는 온도 검출기(520)로부터 온도값을 전달받아 이를 기준 온도값의 범위와 대비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제1 제어밸브(610) 및 제2 제어밸브(620)를 제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로와 이에 내장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절단부(200) 및 예열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복수개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제어밸브(610) 및 제2 제어밸브(620)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700)의 구성 및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테이블(100)에 구비된 레일(110)상에서 처리물(S)의 길이방향으로 주행가능하는 것을 만족하고, 또한, 이동부(700)에 지지되는 절단부(200)를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부(700)의 구성 및 방식으로서 다음과 같이 예시한다. 이동부(700)는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 단부가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동부몸체(710),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이동부몸체(710)의 상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이동블록 지지레일(720), 이동블록 지지레일(720)을 따라 주행가능하도록 이동블록 지지레일(720)에 장착되는 이동블록(730)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이동부몸체(71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휠(740)이 장착되며, 휠(740)에 의하여 이동부(700)는 레일(110)상에서 주행 가능하다. 이동부(700)에는 이동부몸체(710) 및 이동블록(7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부 구동수단(미도시) 예컨대 서보 모터, 이동부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부 구동수단 제어기(미도시) 및 처리물(S)의 모서리를 감지 가능한 위치센서(position sensor,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센서에는 기계식 센서 및 광학식 센서를 포함하는 위치센서 중 처리물(S)의 모서리(C)의 위치를 감지하기 용이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이동부 구동수단, 이동부 구동수단 제어기 및 위치센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구성 및 방식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각각의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이동부 구동수단, 이동부 구동수단 제어기 및 위치센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부(700)는 이동부 구동수단, 이동부 구동수단 제어기 및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모서리(C)의 상측에 이동블록(730)이 위치되도록 이동부몸체(710) 및 이동블록(73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블록(730)은 복수개 마련되며,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이동블록 지지레일(720)에 장착될 수 있고,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이동블록 지지레일(720)에 각각 장착되는 이동블록(730)을 예시한다. 복수개의 이동블록(730) 각각에는 절단부(200)가 장착되어 지지되며, 이를 위해 이동블록(730)의 일측에는 절단부 지지부재(730a)가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 지지부재(730a)는 이동블록(730)의 측면들 중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의 외측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며, 절단부(200)가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예열부몸체(310)가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는 환형의 링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의 일측이 이동블록(730)을 향하여 연장되어 이동블록(730)에 연결된다. 절단부몸체(210)는 절단부 지지부재(730a)를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절단부(200)가 이동블록(730)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동블록(730)에 각각 장착된 절단부(200)의 연결블록(210a)들에는 예열부(300)가 각각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절단부(200)와 예열부(300)는 쌍을 이루어 각각의 이동블록(730)에 연결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예열노즐이 처리물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예열노즐이 처리물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예열 노즐이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모서리를 예열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절단노즐이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측면에서부터 처리물을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리물 절단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리물 절단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처리물 절단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절단 장치(1000)의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200), 예열부(300), 예열위치 정렬부(400) 및 온도검출부(500)는 복수개 구비되며,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좌우 대칭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절단 장치(1000)의 좌우 대칭하는 양 측 중 일측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처리물 절단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처리물 절단 방법은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처리물(S)을 절단하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처리물(S)을 마련하는 과정과, 처리물(S)의 상측에 절단노즐, 예열노즐 및 온도 검출부를 마련하는 과정과,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과,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온도값에 따라 후속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먼저, 처리물(S)을 테이블(100)상에 마련(S100)한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주조 설비에서 주조된 열간주편(S')을 토치 절단 장치(50)에서 소정의 길이로 1차 절단한 후, 1차 절단된 주편 즉 처리물(S)을 테이블(100)로 공급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0)상에 마련한다.
다음으로, 처리물(S)의 상측에 절단노즐, 예열노즐 및 온도 검출부를 마련(S200)한다. 상세하게는, 이동부몸체(710)가 레일(110)상에서 처리물(S)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여 절단 노즐(220), 예열 노즐(320) 및 온도 검출기(520)를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이동블록(730)이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주행하여 절단 노즐(220)을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모서리(C)의 상측에 위치시킴에 의하여 절단 노즐(220), 예열 노즐(320) 및 온도 검출기(520)를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노즐(320) 및 온도 검출기(520)가 처리물(S)의 모서리(C)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예열위치 정렬부(400)를 이용하여 예열부(300)를 처리물(S)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켜 예열노즐(320) 및 온도 검출기(520)를 처리물(S)의 모서리(C)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예열위치 정렬부(400)에 의하여 예열노즐(320) 및 온도 검출기(520)가 처리물(S)의 모서리(C)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예열노즐(320)이 향하는 방향의 처리물(S)의 모서리(C)의 온도 즉,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모서리(C)의 표면온도를 온도 검출기(520)를 이용하여 검출(S300)한다. 이어서, 검출된 온도값에 따라 후속공정을 수행한다. 이를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온도 검출기(520)에서 검출된 온도값과 기준 온도값의 범위를 대비(S400)한다. 기준 온도값의 범위는 절단노즐(220)을 이용한 처리물(S)의 절단이 원활하게 시작될 수 있는 처리물(S)의 모서리(C)의 표면온도의 범위를 의미한다. 예컨대 처리물(S)의 모서리(C)의 표면온도가 기준 온도값의 범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절단노즐(220)을 이용한 처리물(S)의 절단 시작이 지연되거나 또는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의 기준 온도값의 범위는 처리물(S)의 재질 및 처리물 절단 공정의 공정 조건에 따라 변경 가능한 온도값이며, 본 실시 예에서는 기준 온도값의 범위로 350℃ 내지 450℃의 기준 온도값의 범위를 예시한다.
검출된 온도값이 350℃ 내지 450℃ 일 경우 절단노즐(220)을 이용하여 처리물의 절단 공정을 실시(S510)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검출된 온도값이 450℃ 이상일 경우에도 절단노즐(220)을 이용하여 처리물의 절단 공정을 실시 가능하다.
처리물(S)을 절단하는 공정은 예컨대 다음과 같다. 제어부(600)의 컨트롤러(630)가 제1 제어밸브(610)을 개방한다. 이에, 절단노즐(220)의 제1 분사구(221)에는 고압 예컨대 14 bar 내지 17 bar의 산소가 공급되고, 고압의 산소(g)는 절단노즐(220)의 하측으로 분사된다. 또한, 절단노즐(220)의 제2 분사구(222)에는 산소 및 연소가스 예컨대 아세틸렌 가스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산소 및 연소가스는 연소되며 화염을 생성하고, 생성되는 화염(f)은 절단노즐(220)의 하측으로 분사된다. 이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분사되는 고압의 산소에 의하여 처리물(S)은 산화 용융되며 절단이 시작되고, 이때, 고압의 산소와 함께 분사되는 화염은 고압의 산소에 의하여 처리물(S)의 절단이 진행되는 처리물(S)의 소정 영역의 온도를 목적하는 온도로 유지 또는 승온시키며 처리물(S)의 절단을 보조한다. 이어서, 처리물(S)의 절단이 안정적으로 시작되면, 기 설정된 속도로 절단노즐(220)을 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처리물(S)을 폭방향으로 절단한다.
검출된 온도값이 350℃ 미만일 경우에 예열노즐(320)을 이용하여 처리물(S)을 350℃ 내지 450℃로 예열하는 처리물의 예열 공정을 실시(S520)한다.
처리물(S)을 예열하는 공정은 예컨대 다음과 같다. 제어부(600)의 컨트롤러(630)가 제2 제어밸브(610)을 개방한다. 이에, 예열노즐(320)의 제3 분사구(321)에는 산소 및 연소가스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산소 및 연소가스는 연소되며 화염을 생성하고, 생성되는 화염은 처리물(S)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분사되는 고온의 화염을 이용하여 처리물(S)의 모서리를 목적하는 온도 예컨대 350℃ 내지 450℃로 예열할 수 있고, 이에 처리물(S)의 모서리의 온도가 처리물(S)이 고압의 산소에 의하여 산화 용융되기 적합한 온도, 즉, 처리물(S)의 절단이 안정적으로 시작될 수 있는 온도로 제어될 수 있다.
이어서, 처리물(S)의 모서리 온도를 검출(S300)하여 검출된 처리물(S)의 모서리의 표면온도를 기준 온도값의 범위와 대비(S400)한다. 이때, 처리물(S)의 예열 공정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처리물(S)의 모서리의 온도를 검출하거나, 처리물(S)의 예열 공정을 일시 중지한 후 처리물(S)의 모서리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처리물(S)의 모서리의 표면온도가 기준 온도값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처리물(S)의 예열 공정을 중지하고, 절단노즐(220)을 이용하여 상술한 처리물의 절단 공정을 실시(S510)한다. 반면에 처리물(S)의 모서리의 표면온도가 기준 온도값의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처리물(S)의 예열 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은 1차 절단된 주편 즉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모서리의 표면온도를 검출할 수 있고, 기준 온도값에 미달되는 경우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모서리를 국부적으로 예열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표면온도가 절단노즐(220)에 의한 처리물(S)의 절단이 안정적으로 시작될 수 있는 온도로 제어된 상태에서 처리물(S)의 절단 공정을 시작할 수 있다. 특히,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모서리를 가열함으로써,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상부면 뿐 아니라 측면도 함께 예열할 수 있고, 처리물(S)의 절단 시작이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측면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에 처리물(S)의 절단 시작이 지연 또는 실패되어 처리물(S) 절단 공정이 지연되었던 것과 달리, 본 실시 예에서는 처리물(S)의 절단이 안정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처리물(S)의 상부면에서 절단이 시작되어 처리물(S)의 절단면 패임 등 절단면의 품질이 저하되었던 것과 달리, 본 실시 예에서는 처리물(S)의 절단 시작 위치의 측면에서 절단이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350℃ 미만의 저온 주편을 2차 절단하는 경우에도 주편의 절단이 안정적으로 시작될 수 있어 2차 절단 작업의 효율, 생산성 및 절단면의 품질을 350℃ 이상의 고온의 주편을 2차 절단할 때의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연속주조 설비에서 주조되어 1차 절단된 주편을 2차 절단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이외의 다양한 설비에서 제조되는 각종 처리물을 절단하는 설비 및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20: 절단노즐 230: 제1 공급라인
320: 예열노즐 330: 제2 공급라인
400: 예열위치 정렬부 520: 온도 검출기
610: 제1 제어밸브 620: 제2 제어밸브
630: 컨트롤러 700: 이동부

Claims (14)

  1.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처리물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절단노즐을 구비하는 절단부;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처리물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예열노즐을 구비하는 예열부; 및
    상기 처리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예열부가 지지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절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를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절단부와 상기 예열부를 결합시키는 예열위치 정렬부;를 포함하는 절단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 예열부 및 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예열노즐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는 온도 검출부; 및
    상기 온도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절단부 및 예열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절단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절단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예열부의 내측에서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절단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노즐은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산소 및 화염을 분사하는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예열노즐은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제3 분사구를 구비하는 절단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절단부의 일측에는 연결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예열부는 상기 연결블록을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되는 절단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예열위치 정렬부는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예열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제1 기어블록 및 상기 제1 기어블록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처리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단부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제2 기어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어블록 및 제2 기어블록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예열부 및 절단부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기어블록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기어블록 및 상기 예열부가 상기 처리물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절단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단노즐에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에 장착되는 제1 제어밸브;
    상기 예열노즐에 산소 및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에 장착되는 제2 제어밸브; 및
    상기 제1 제어밸브, 제2 제어밸브 및 온도 검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온도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의 온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제어밸브 및 상기 제2 제어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절단 장치.
  9. 처리물을 절단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처리물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처리물의 상측에 절단노즐, 예열노즐 및 온도 검출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온도값에 따라 후속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처리물 절단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절단노즐, 예열노즐 및 온도 검출부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절단 노즐, 예열 노즐 및 온도 검출부를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 위치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예열노즐 및 상기 온도 검출부를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처리물 절단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예열노즐이 향하는 방향의 상기 처리물의 모서리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처리물 절단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후속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온도값이 350℃ 내지 450℃ 일 경우에 상기 절단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물의 절단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처리물 절단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후속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온도값이 350℃ 미만일 경우에 상기 예열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물을 350℃ 내지 450℃로 예열하는 상기 처리물의 예열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절단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물의 절단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처리물 절단 방법.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물은 연속주조 설비에서 주조되어 1차 절단된 주편을 포함하는 처리물 절단 방법.
KR1020140103777A 2014-08-11 2014-08-11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 KR20160019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77A KR20160019262A (ko) 2014-08-11 2014-08-11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77A KR20160019262A (ko) 2014-08-11 2014-08-11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262A true KR20160019262A (ko) 2016-02-19

Family

ID=5544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777A KR20160019262A (ko) 2014-08-11 2014-08-11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92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6708A (zh) * 2018-11-21 2019-01-18 西峡龙成特种材料有限公司 在线倒角装置及连铸机
KR20190068857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리스 주편 절단장치
WO2021099077A1 (de) * 2019-11-19 2021-05-27 Sms Group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lage der hüttenindustri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189B1 (ko) 2001-06-23 2007-03-29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의 미절단 감지장치
KR100966809B1 (ko) 2003-06-09 2010-06-29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 슬래브 절단시 절단산소 감지를 이용한 절단속도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189B1 (ko) 2001-06-23 2007-03-29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의 미절단 감지장치
KR100966809B1 (ko) 2003-06-09 2010-06-29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 슬래브 절단시 절단산소 감지를 이용한 절단속도조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857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리스 주편 절단장치
CN109226708A (zh) * 2018-11-21 2019-01-18 西峡龙成特种材料有限公司 在线倒角装置及连铸机
WO2021099077A1 (de) * 2019-11-19 2021-05-27 Sms Group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lage der hüttenindustr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143B2 (en) Slab scarf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19262A (ko) 절단 장치 및 처리물 절단 방법
CN102528210A (zh) 一种特厚钢板火焰切割工艺
US39335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scarfing
KR20150006959A (ko) 하이브리드 절단기
US20150183041A1 (en) Scarfing machine for scarfing hot and cold workpieces made of steel, such as slabs, blocks and billets
KR101905764B1 (ko)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장치 제어방법
US200700954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racks in slabs
JP2605329B2 (ja) 連続鋳造鋳片切断方法・鋳片切断機
KR102033634B1 (ko)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KR20140028308A (ko) 연속주조 주편의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 주편의 표면처리방법
KR101755385B1 (ko) 주편 스카핑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30086693A1 (en) Gas cutting method for cutting steel material and steel material producing method
JP3390716B2 (ja) 溶接歪取方法及び溶接歪取装置
JP4372265B2 (ja) 溶削方法
JP7409349B2 (ja) 金属材の熱切断装置及び金属材の熱切断方法、並びに金属材の製造方法
KR101337496B1 (ko) 연속주조 주편의 표면처리장치, 그를 구비한 연속주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주편의 표면처리방법
KR20160025852A (ko) 처리물 절단 장치
JP3090496B2 (ja) 熱間圧延材の接合方法及び装置並びに連続熱間圧延設備
KR100775322B1 (ko) 스카핑 칩 제거장치
KR20170054601A (ko) 주편처리장치
KR20200056100A (ko) 스카핑 장치 및 방법
KR101546274B1 (ko) 소재 냉각장치
JP2015167977A (ja) スカーフ装置における鋼材の予熱むら検知方法
KR101262543B1 (ko) 주편 스카핑을 위한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