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938A -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938A
KR20160018938A KR1020140101881A KR20140101881A KR20160018938A KR 20160018938 A KR20160018938 A KR 20160018938A KR 1020140101881 A KR1020140101881 A KR 1020140101881A KR 20140101881 A KR20140101881 A KR 20140101881A KR 20160018938 A KR20160018938 A KR 2016001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protruding
edge dam
vibrator
curv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703B1 (ko
Inventor
박철민
김진호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0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7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주조롤; 상기 주조롤 사이에 용탕풀을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조롤의 양측 단부를 밀폐하는 에지댐본체; 및 상기 에지댐본체 인접 용탕에서 발생되는 용탕정체영역에 일부가 침지되어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키는 용탕유동부;를 포함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APPRAUS FOR PREVENTING SOLIDIFICATION OF MENISCUS WAVE IN TWIN ROLL STRIP CASTING}
본 발명은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지댐본체와 상기 주조롤 간의 접합부에서 발생되는 용탕정체영역에 진동을 가하여 용탕풀 탕면의 응고를 방지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쌍롤 박판 주조 공정은 두 개의 회전하는 주조롤에 용탕을 공급하여 그 용탕으로부터 직접 수 mm 정도의 박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롤식 박판 주조 장치는 용탕을 턴디쉬(10)로부터 침지노즐(20)을 통해 한쌍의 주조롤(30) 사이로 균일하게 공급하고, 한쌍의 주조롤(30)을 회전시키면 냉각되고 있는 각 주조롤(30)의 표면에서 형성된 용탕의 응고층들이 최근접점에서 합체되어 일정한 두께의 주편이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주조 전에는 에지댐과 침지노즐(20)의 예열을 위하여 주조롤(30) 섬프 부분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주조 시작시 이미 존재하는 산화성 분위기로 인해 스컴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용탕이 공기와 접촉을 하던지, 용탕 내부의 산소 및 개재물 등으로 인해 탕면 스컴이 생성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이러한 스컴이 발생되어 흐름이 약해지는 정체영역(D)이 생기면 스컴이 굳어서 스컬(S)화될 수 있다.
이러한, 스컬(S)이 점차 성장하여 크기가 커지고 스컬(S)은 주조중 성장과 탈락을 반복하다가 주편의 에지부에 혼입되어 스컬(S)이 굳어 버린 경우에는 주조롤(30)과의 사이에서 스컬(S)로 압착되어 주조롤(30)의 손상 또는 판파단 등으로 인해 조업이 중단될 수 있어 박판의 생산성의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주조롤(30)의 양측 단부에는 용탕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세라믹 등의 내화물이 장착된 한쌍의 에지댐이 설치되고, 주조 전에 미리 예열된 상기 에지댐의 내화물의 가동면에는 한쌍의 주조롤(30) 사이로 공급된 고온의 용탕과 수냉되고 있는 주조롤(30)이 동시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에지댐의 내화물 표면 중 주조롤(30)과의 접촉면은 곧 냉각되어 주위에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용탕이 쉽게 응고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에지댐의 내화물의 가동면에는 용탕이 응고되어 스컬(S)이 생성되며, 이러한 스컬(S)은 에지댐의 내화물의 표면에서 성장하게 된다.
스컬(S)은 주조중 성장과 탈락을 반복하다가 주편의 에지부에 혼입되어 주편의 품질을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스컬(S)이 굳어 버린 경우에는 주조롤(30)과의 사이에서 하부 스컬(S)로 압착되어 주조롤(30)의 손상을 초래하거나 판파단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지댐의 하단부에서 불활성 기체를 용탕에 취입하여 용탕의 응고를 방지하는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불활성 기체 취입 기술은 에지댐의 내화물의 하단부에 가는 금속관을 설치하고 이 금속관을 통해 에지댐의 하단부에서 불활성 기체를 용탕에 취입하여 용탕의 응고를 방지하여 스컬을 저감하는 것인데, 에지댐의 하부 스컬(S)을 저감하는데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에지댐의 탕면부의 탕면 스컬(S)과 에지댐 가동면 중 주조롤과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에지 스컬(S)은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성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용탕이 공기와 접촉을 하던지, 용탕 내부의 산소 및 개재물 등으로 인해 탕면에 생성되는 스컴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스컴이 스컬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조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용탕정체영역에서의 탕면을 유동시켜 탕면의 스컴의 정체를 방지하여 스컴이 스컬화되어 발생하는 판파단, 주조중단, 주조롤 손상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주조롤; 상기 주조롤 사이에 용탕풀을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조롤의 양측 단부를 밀폐하는 에지댐본체; 및 상기 에지댐본체 인접 용탕에서 발생되는 용탕정체영역에 일부가 침지되어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키는 용탕유동부;를 포함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용탕유동부는, 상기 에지댐본체의 내측에서 용탕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에지댐본체와 함께 진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키는 돌출진동자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돌출진동자는, 상기 용탕정체영역의 탕면과 연계되어 진동되도록, 용탕풀의 최저용탕면과 용탕풀의 최고용탕면의 사이에 연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용탕풀에 침지되어 용탕을 공급하는 침지노즐과 주조롤의 사이에 구비되어, 용탕풀의 유동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컴위어; 및, 상기 스컴위어와 상기 주조롤을 사이에 구비되어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돌출진동자는 상기 에지댐본체에 형성되는 볼트홈에 내화재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볼트홈은 용탕풀의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홈의 어느 일측에 상기 내화재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돌출진동자의 설치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돌출진동자가 설치된 상기 볼트홈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볼트홈에는 상기 볼트홈을 밀폐하는 밀폐내화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돌출진동자는, 상기 에지댐본체와 접하는 폭방향의 너비는, 높이방향으로 동일하거나, 높이방향의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에지댐본체에서 용탕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길이는, 높이방향으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돌출진동자는 역다각뿔형 또는 절두된 역다각뿔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용탕풀과 접하는 상기 돌출진동자의 외주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내입만곡부와 돌출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만곡부는, 상기 돌출진동자의 전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내입만곡부는, 상기 돌출만곡부와 상기 에지댐본체의 사이에 연계 형성되고, 상기 돌출진동자의 내측방향으로 내입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입만곡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돌출만곡부의 곡률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댐본체와 상기 주조롤 간의 접합부에서 발생되는 용탕정체영역에 침지되어 진동을 가하도록 제공되어,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키는 용탕유동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용탕정체영역에서의 탕면을 유동시켜 탕면의 스컴의 정체를 방지하여 스컴이 스컬화되어 발생하는 판파단, 주조중단, 주조롤 손상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탕유동부는 상기 에지댐본체의 내측에서 용탕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에지댐본체와 함께 진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용탕유동부가 에지댐본체의 진동에 의해 함께 진동되어 용통유동부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별도의 진동장치를 구비할 필요없이 간이한 방식으로 탕면을 유동시켜 스컬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진동자를 에지댐본체와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에지댐본체에 형성되는 볼트홈에 내화재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에지댐본체의 제조성이 향상되고, 간이한 방식에 의해서 돌출진동자가 결합될 수 있어 설치시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진동자를 용탕풀의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개의 볼트홈 중 어느 일측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탕풀의 탕면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돌출진동자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진동자의 외주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내입만곡부와 돌출만곡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만곡부의 면을 따라 용탕의 흐름을 유도하여 스컴의 정체를 방지하여 스컴이 스컬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입만곡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돌출만곡부의 곡률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돌출진동자가 진동함에 따라 내입만곡부의 큰 곡률반경을 따라 완만하게 이동하던 용탕이 상대적으로 곡률반경이 작은 돌출만곡부와 접촉하여 급격하게 이동하면서 탕면에 형성된 스컴이 용이하게 분산되어 스컬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진동자와 함께 용탕풀의 유동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컴위어와, 상기 스컴위어와 상기 주조롤을 사이에 구비되어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수단의 구성을 더 포함함으로써, 스컴이 스컬화 되는 것을 방지하여 판파단이나 주조롤 손상 등으로 인한 조업중단으로 인한 경제적손실이나 생산성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쌍롤박판 주조기에 스컬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쌍롤박판 주조기에 스컬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돌출진동자가 에지댐본체와 함께 진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돌출진동자의 설치높이 조절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돌출진동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탕면에 스컴이 활성화되었으나 스컬화되기 전의 상태와, 탕면에 스컬이 활성화된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는 주조롤(30), 에지댐본체(100) 및, 용탕유동부(2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스컴웨어(300)와, 가스분사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주조롤(30)과, 상기 주조롤(30) 사이에 용탕풀을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조롤(30)의 양측 단부를 밀폐하는 에지댐본체9100) 및, 상기 에지댐본체 인접 용탕에서 발생되는 용탕정체영역에 일부가 침지되어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키는 용탕유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주조롤(30)과, 상기 주조롤(30) 사이에 용탕풀을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조롤(30)의 양측 단부를 밀폐하는 에지댐본체(100)를 포함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는 상기 에지댐본체(100)와 상기 주조롤(30) 간의 접합부에서 발생되는 용탕정체영역(D)에 일부가 침지되어 진동을 가함으로써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키는 용탕유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탕유동부(200)는 사이 용탕정체영역(D)에 일부가 침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용탕유동부(200)는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켜야 하는바 용탕유동부(200) 전체가 탕면에 침지되지 않도록 에지댐본체(100)에 설치하여야 한다.
용탕유동부(200)는, 상기 에지댐본체(100)의 내측에서 용탕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에지댐본체(100)와 함께 진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키는 돌출진동자(2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탕유동부(200)는 상기 에지댐본체(100)가 진동시 함께 진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탕유동부(200)는 에지댐본체(100)가 진동시 함께 진동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주조롤(3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진동자(210)는 상기 용탕정체영역(D)의 탕면과 연계되어 진동되도록, 용탕풀의 최저용탕면(P1)과 용탕풀의 최고용탕면(P2)의 사이에 연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돌출진동자(210)는 상기 용탕정체영역(D)의 탕면에 유동시켜 탕면의 스컴이 스컬(S)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돌출진동자(210)가 탕면에 완전히 침지되어서는 안되고, 돌출진동자(210)가 탕면과 반드시 접촉되어야 하기 때문에 돌출진동자(210)는 최저용탕면(P1)과 용탕풀의 최고용탕면(P2)의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탕유동부(200)의 돌출진동자(210)는 상기 한쌍의 주조롤(30)과 상기 에지댐본체(100)의 접합부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조롤(30)과 주조롤(30) 사이의 중심인 용탕면의 중심축 상에 용탕유동부(200)가 형성됨으로써, 용탕풀을 균일하게 유동시켜 스컴을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는 스컴웨어(300)와 가스분사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는 용탕풀에 침지되어 용탕을 공급하는 침지노즐(20)과 주조롤(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용탕풀의 유동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컴웨어(300) 및, 상기 스컴웨어(300)와 상기 주조롤(30)을 사이에 구비되어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컴웨어(300)는 용탕풀의 탕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용탕풀에 침지되어 탕면에 형성된 스컴의 유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탕면에 양측의 주조롤(30)에서 약간의 거리를 띄우고 폭 방향으로 한쌍의 스컴웨어(300)를 설치하여 주조롤(30)과 스컴웨어 사이의 영역의 스컴을 좌우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스컴웨어(300)는 양쪽의 에지댐본체(100) 쪽은 일정간격으로 띄우며 이 간격을 형성하는 이러한 간격을 측면스컴출구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탕을 공급하는 침지노즐(20)의 각도와 유량을 조절하여, 주조롤(30)과 스컴웨어(300) 사이에서 용탕 흐름이 에지댐본체(100) 쪽으로 흘러가 주조롤(30)과 스컴웨어(300) 사이의 스컴이 양에지 쪽 스컴 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다만, 침지노즐(20) 만으로 강한 흐름을 만들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스컴이 발생되어 흐름이 생기지 않고 정체가 생기면 스컴이 굳어서 스컬(S)화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컴의 양이 많이 생기면 스컴의 역류를 막기 위해 가스분사수단(400)을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탕면에 불활성가스를 불어 측면스컴출구로의 스컴의 배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지노즐(20)과, 스컴웨어(300), 가스분사수단(400)에 의해 측면스컴출구를 통해 유도된 스컴 또는 스컬(S)이 에지댐본체(100)에서 돌출 형성되는 용탕유동부(200)의 진동에 의해 탕면에 형성된 스컴이 용이하게 분산되어 스컬(S)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스분사수단(400)은 스컴웨어(300)가 탕면에 침지되어 용탕풀의 유동을 차단한 상태에서 가스분사수단(400)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통해 불활성가스를 스컴웨어(300)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고, 침지노즐(20)에 의해 형성된 유동에 의해 주조롤(30)의 상측으로 이동하던 용탕의 흐름을 가스분사수단(40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도된 탕면의 흐름에 의해 용탕정체영역(D)을 통과하는 스컴 또는 스컬(S)은 에지댐본체(100)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진동자(210)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분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하측에는 스컴이 스컬(S)화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스컬(S)화가 과도해 질 경우는 스컴웨어(300)를 업다운시 탕면에 형성된 스컬(S)과 충돌하여 스컴웨어(300)가 파손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를 적용시 용탕정체영역(D)을 통과하는 스컴 또는 스컬(S)이 용이하게 분산되어 스컴웨어(3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진동자(210)를 상기 에지댐본체(100)에 형성되는 볼트홈(110)에 내화재볼트(23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돌출진동자(210)를 에지댐본체(100)와 일체로 성형하여 단일의 부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돌출진동자(210)를 에지댐본체(10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돌출진동자(210) 때문에 에지댐본체(100)의 성형성 및 제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진동자(210)를 에지댐본체(100)와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에지댐본체(100)에 형성되는 볼트홈(110)에 내화재볼트(230)에 의해 체결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에지댐본체(100)의 제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볼트체결이라는 간이한 방식에 의해서 돌출진동자(210)가 결합될 수 있어 설치시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홈(110)은 용탕풀의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홈(110)의 어느 일측에 상기 내화재볼트(230)가 체결되어 상기 돌출진동자(210)의 설치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돌출진동자(210)가 설치된 상기 볼트홈(110)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볼트홈(110)에는 상기 볼트홈(110)을 밀폐하는 밀폐내화볼트(250)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진동자(210)를 용탕풀의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개의 볼트홈(110) 중 어느 일측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탕풀의 탕면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돌출진동자(210)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돌출진동자(210)가 상기 에지댐본체(100)와 접하는 폭방향의 너비는, 높이방향으로 동일하거나, 높이방향의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에지댐본체(100)에서 용탕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길이는, 높이방향으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폭방향의 너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진동자(210)가 에지댐본체(100)와 접하는 부분의 너비를 말한다.
돌출진동자(210)가 상기 에지댐본체(100)와 접하는 폭방향의 너비는, 높이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진동자(210)가 상기 에지댐본체(100)와 접하는 폭방향의 너비는 높이방향의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돌출진동자(210)가 설치되는 위치와, 용탕풀이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형태를 고려할 때 돌출진동자(210)가 양측의 주조롤(30)과의 충돌하는 등의 인해 주조롤(30) 또는 에지댐본체(100) 등의 파손 등으로 인한 조업중단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진동자(210)의 수평방향의 단면적은 높이방향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댐본체(100)에서 용탕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길이는 높이방향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댐본체(100)에서 용탕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길이는, 높이방향으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탕풀의 탕면의 높이가 변동되더라도 돌출진동자(210)가 에지댐본체(100)로부터 돌출된 돌출길이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돌출진동자(210)의 진동에 따른 용탕풀의 탕면의 유동이 원활해져서 스컴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돌출진동자(210)는 역다각뿔형 또는 절두된 역다각뿔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진동자(210)는 역삼각뿔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역사각뿔형, 역오각뿔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다각뿔이 뒤집어진 형탱의 역다각뿔형 에지댐본체(100)에 접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탕풀과 접하는 상기 돌출진동자(210)의 외주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내입만곡부(211)와 돌출만곡부(213)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만곡부(213)는, 상기 돌출진동자(210)의 전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내입만곡부(211)는, 상기 돌출만곡부(213)와 상기 에지댐본체(100)의 사이에 연계 형성되고, 상기 돌출진동자(210)의 내측방향으로 내입 형성될 수 있다.
내입만곡부(211)는 상기 에지댐본체(100)에서 연계 형성되고, 상기 돌출진동자(210)의 내측방향으로 내입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만곡부(213)는 상기 내입만곡부(211)에 연계 형성되고, 상기 돌출진동자(2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돌출진동자(210)의 용탕면 방향의 전면에 돌출만곡부(213)가 형성되고, 내입만곡부(211)는 돌출만곡부(213)와 연결되어 에지댐본체(10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만곡부(213)와 내입만곡부(211)는 돌출진동자(210)의 A-A'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진동자(210)의 외주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내입만곡부(211)와 돌출만곡부(213)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만곡부의 면을 따라 용탕의 흐름을 유도하여 스컴의 정체를 방지하여 스컴이 스컬(S)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입만곡부(211)의 곡률반경(R1)은 상기 돌출만곡부(213)의 곡률반경(R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입만곡부(211)와 돌출만곡부(213)에 의해 주조롤(30)과 에지댐본체(100)의 접합면의 인접한 용탕정체영역(D)의 용탕의 흐름을 유도하여 탕면 상의 스컴 또는 스컬(S)의 분산이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진동자(210)가 진동함에 따라 내입만곡부(211)의 큰 곡률반경을 따라 완만하게 이동하던 용탕이 상대적으로 곡률반경이 작은 돌출만곡부(213)와 접촉하여 급격하게 이동하면서 탕면에 형성된 스컴이 용이하게 분산되어 스컬(S)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턴디쉬 20: 침지노즐
30: 주조롤 40: 에지댐
100: 에지댐본체 110: 볼트홈
200: 용탕유동부 210: 돌출진동자
211: 내입만곡부 213: 돌출만곡부
230: 내화재볼트 250: 밀폐내화볼트
300: 스컴웨어 400: 가스분사수단
D: 용탕정체영역 P1: 최저용탕면
P2: 최고용탕면 R1: 내입만곡부의 곡률반경
R2: 돌출만곡부의 곡률반경 S: 스컬

Claims (10)

  1.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주조롤;
    상기 주조롤 사이에 용탕풀을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조롤의 양측 단부를 밀폐하는 에지댐본체; 및,
    상기 에지댐본체 인접 용탕에서 발생되는 용탕정체영역에 일부가 침지되어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키는 용탕유동부;를 포함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유동부는,
    상기 에지댐본체의 내측에서 용탕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에지댐본체와 함께 진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용탕풀의 탕면을 유동시키는 돌출진동자를 구비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진동자는,
    상기 용탕정체영역의 탕면과 연계되어 진동되도록, 용탕풀의 최저용탕면과 용탕풀의 최고용탕면의 사이에 연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용탕풀에 침지되어 용탕을 공급하는 침지노즐과 주조롤의 사이에 구비되어, 용탕풀의 유동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컴위어; 및,
    상기 스컴위어와 상기 주조롤을 사이에 구비되어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수단;을 더 포함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진동자는 상기 에지댐본체에 형성되는 볼트홈에 내화재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홈은 용탕풀의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홈의 어느 일측에 상기 내화재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돌출진동자의 설치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돌출진동자가 설치된 상기 볼트홈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볼트홈에는 상기 볼트홈을 밀폐하는 밀폐내화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진동자는,
    상기 에지댐본체와 접하는 폭방향의 너비는, 높이방향으로 동일하거나, 높이방향의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에지댐본체에서 용탕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길이는, 높이방향으로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진동자는 역다각뿔형 또는 절두된 역다각뿔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용탕풀과 접하는 상기 돌출진동자의 외주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내입만곡부와 돌출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만곡부는, 상기 돌출진동자의 전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내입만곡부는, 상기 돌출만곡부와 상기 에지댐본체의 사이에 연계 형성되고, 상기 돌출진동자의 내측방향으로 내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만곡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돌출만곡부의 곡률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KR1020140101881A 2014-08-07 2014-08-07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KR101620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81A KR101620703B1 (ko) 2014-08-07 2014-08-07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81A KR101620703B1 (ko) 2014-08-07 2014-08-07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938A true KR20160018938A (ko) 2016-02-18
KR101620703B1 KR101620703B1 (ko) 2016-05-13

Family

ID=5545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881A KR101620703B1 (ko) 2014-08-07 2014-08-07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3625A (zh) * 2022-02-18 2022-05-06 太原理工大学 一种双层金属复合板波-平铸轧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18B1 (ko) * 2007-08-08 2010-06-04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주조장치의 에지댐 진동조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3625A (zh) * 2022-02-18 2022-05-06 太原理工大学 一种双层金属复合板波-平铸轧装置及方法
CN114433625B (zh) * 2022-02-18 2024-04-30 太原理工大学 一种双层金属复合板波-平铸轧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703B1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2973B2 (ja) 連続鋳造用排出ノズル
RU2165825C2 (ru) Разливочный стакан для введения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в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установки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KR20070114296A (ko) 연속주조를 위한 용탕 공급 방법 및 장치
KR101620703B1 (ko)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JPS63235046A (ja) 双ロ−ル式連続鋳造機
KR100779572B1 (ko) 쌍롤식 박판주조공정에서의 에지 스컬 저감방법 및 에지스컬 저감용 에지댐
KR20090032444A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스컴 위어
JPH10128506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2001259800A (ja) ビームブランクの連続鋳造方法
JPS60216956A (ja) 薄板連続鋳造機
KR920000806B1 (ko)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KR20090008826A (ko) 연속주조용 몰드설비의 주형
JPH052417B2 (ko)
JPS63177945A (ja) 薄鋳片連続鋳造装置
RU2419508C2 (ru) Переме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0605705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용 침지노즐의 용강공급 제어방법
JPH0475110B2 (ko)
KR101110251B1 (ko) 쌍롤식 연속박판주조법에서 안정된 용강 공급 방법
KR19990012672U (ko) 상향토출구를 갖는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JPH01293943A (ja) 双ロール式連鋳機
KR100584753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니켈 편석 불균일 최소화장치
KR19980076164A (ko) 몰드슬래그 유입방지용 날개형 침지노즐
KR101316149B1 (ko) 스컴 혼입을 저감시킨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JPH11179496A (ja) 薄板連続鋳造用分流板および薄板連続鋳造方法
JPS63126651A (ja) ベルト式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