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226A -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226A
KR20160018226A KR1020140102526A KR20140102526A KR20160018226A KR 20160018226 A KR20160018226 A KR 20160018226A KR 1020140102526 A KR1020140102526 A KR 1020140102526A KR 20140102526 A KR20140102526 A KR 20140102526A KR 20160018226 A KR20160018226 A KR 2016001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beacon device
user terminal
abnormalit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172B1 (ko
Inventor
도현오
허재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172B1/ko
Priority to US14/548,680 priority patent/US9826497B2/en
Publication of KR2016001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콘(beacon)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은, 고정된 위치에 위치하여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상기 비콘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WHETHER BEACON DEVICE HAS ERROR}
본 발명은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와 각 비콘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콘 디바이스와 관련된 접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 서버를 통해, 각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 및 사용자 단말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다양한 정보를 푸쉬(push) 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예로, 매장 내에 비콘 디바이스를 설치한 후,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매장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비콘 서비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매장 내에 해당 매장의 위치 정보를 담은 신호(이하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를 적어도 하나 설치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매장 내에 위치하여 비콘 신호를 인식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비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는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광고, 쿠폰/마일리지 적립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비콘 디바이스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배터리가 소모되는 등의 이유로 비콘 신호의 출력 세기가 감소되거나, 아예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콘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비콘 디바이스는 별도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이상 여부 발생 시 서버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비콘 디바이스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각 비콘 디바이스의 정상 동작 여부를 오프 라인으로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예상치 못한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발생 시 비콘 서비스에 가입된 매장의 점주 및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피해를 줌에도 불구하고,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즉시 확인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 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누적하여 패턴을 생성하고, 패턴의 변화를 통해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직접적인 비콘 디바이스의 검사 없이 서버 측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서버와 이를 이용한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 인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비콘(beacon)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수신하는 접근 정보 수신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패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의 패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의 패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제1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이 후 제2 비콘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빈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는, 시간대별로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시간대별 접근 빈도가 소정 비율 이상으로 감소하는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분된 그룹 별로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패턴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상이 발생한 비콘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해당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발생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비콘(beacon)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되는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의 패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의 패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제1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이 후 제2 비콘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빈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시간대별로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대별 접근 빈도가 소정 비율 이상으로 감소하는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상이 발생한 비콘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해당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발생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비콘(beacon)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된 위치에 위치하여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상기 비콘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누적하여 패턴을 생성하고, 패턴의 변화를 통해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직접적인 비콘 디바이스의 검사 없이 서버 측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서버와 이를 이용한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 검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a 및 3b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 패턴을 참고하여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빈도의 변화를 참고하여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서비스 시스템은 비콘 디바이스(300), 사용자 단말기(200), 서비스 서버(100) 및 관리자 단말기(4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비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 장치의 특징 중 이미 공지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비콘 디바이스(300)는 상점 내의 일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점 내부에 복수 개가 위치할 수 있다. 비콘 디바이스(300)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데, 여기서 식별정보에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UUID(Unique User IDentifier)가 포함될 수 있다.
비콘 신호(Beacon Signal)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의 공지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할 수 있으며, 특히 BLE(Blutooth Low Energy) 신호가 활용될 수 있다. 비콘 디바이스(300)에서 출력되는 비콘 신호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수 미터 내지 수십 미터의 에어리어를 커버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비콘 디바이스(300)는 각각의 커버리지(coverage)의 일부만이 겹칠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콘 디바이스(300)는 백화점 등 건물 내에 다수의 상점이 배치된 경우, 각 매장마다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 비콘 디바이스(300) 간의 거리에 따라 비콘 신호의 출력 세기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가 비콘 디바이스(300)의 커버리지 내에 진입하는 경우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의 비콘 신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가 동일한 위치에서 복수의 비콘 신호를 받는 경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비콘 디바이스(300)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비콘 디바이스(300)가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이외에 사용자 단말기(2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필요도 없으며, 별도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서비스 서버(100)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필요도 없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내부 메모리를 구비하여 연산 및 저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비콘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서버(100) 또는 다른 비콘 서비스 업체 등의 서버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을 탑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커버리지 내에 진입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콘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접근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 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비콘 디바이스(300)의 식별정보(예컨대, 비콘 디바이스(300)의 UUID) 및 비콘 신호의 수신 시간,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식별번호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ier), 가입자의 E.164 번호, 비콘 애플리케이션의 가입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콘 애플리케이션은 비콘 신호를 수신한 후 접근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백그라운드(Back ground)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이 후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푸쉬 메시지(Push 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포어 그라운드(Fore ground)에서 실행되어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비콘 디바이스(3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로써, 사용자 단말기(200)와 같이 스마트폰 등 휴대 가능한 단말기로 구현되거나, PC(Personal Computer)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발생 시 관련 정보를 수신하며, 비디오 또는 오디오 출력에 따라 관리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접근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발급하거나, 상점 내의 POS(Point Of Sales)와 연동하여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고, 해당 상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설명 또는 관련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접근 정보를 DB화 하여, 사용자들의 이동 패턴, 구매 패턴, 선호 상품 등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 저장할 수 있다. 그 외에, 서비스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는 제한이 없으며, 접근 정보에 기반한 공지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콘 디바이스(300)는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비콘 신호를 출력하므로, 배터리가 소모되는 경우 비콘 신호의 출력 세기가 약해지고, 이에 따라 종전에 설정되었던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가 감소될 수 있다. 배터리 소모 시간이 예측 가능하다고 보더라도, 기온이나 습도 등의 차이에 따라서 예상된 시간보다 빨리 사용 불가능 상태에 이를 수 있으며, 배터리 소모 이외의 원인으로 인해 비콘 디바이스(300)에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하여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가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며, 이는 비콘 서비스 제공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비콘 디바이스(300)를 별도의 네트워크와 연결하지 않은 상황에서, 종래의 경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3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관리자가 직접 확인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서버(100) 상에서 DB의 정보와 일정한 로직에 따라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00)는 여러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접근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한 후, 패턴 정보가 비정상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가 제1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한 이후 제2 비콘 디바이스(300) 및 제3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여 순차적으로 접근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가 많은 상황에서, 제1 비콘 디바이스(300)에 관한 접근 정보를 전송한 후 제2 비콘 디바이스(300)에 관한 접근 정보가 전송되는 비율이 감소하고 바로 제3 비콘 디바이스(300)에 관한 접근 정보를 전송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 제2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시간대에 여러 사용자 단말기(200)가 특정 비콘 디바이스(300)에 대한 접근 정보를 전송하는 빈도가 일정하다가, 그 빈도가 갑자기 감소하는 경우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시스템 상의 각 장치의 특징에 대해 간략히 설명 하였으며,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는 접근 정보 수신부(110), 패턴 정보 생성부(120), 검출부(140), 데이터베이스부(130), 통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 또는 치환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는 공지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사용자 단말기(200)와 여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접근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서비스 서버(100)가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에 기초하는 바, 서비스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비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접근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대한 접근 정보를 수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콘 디바이스(300)는 상점 내의 일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상점 내부에 복수 개가 위치할 수도 있다. 비콘 디바이스(300)에서 출력되는 비콘 신호는 BLE(Blutooth Low Energy) 등 공지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으로서, 일정한 커버리지 내에 방송되어 사용자 단말기(200)가 해당 커버리지 내에 진입하면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 이후 비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비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접근 정보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식별정보(예컨대, 비콘 디바이스(300)의 UUID) 및 비콘 신호의 수신 시간,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해 둘 수 있으며, 결국 접근 정보 수신부(11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접근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 미터 정도의 오차 범위 내로 추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근 정보 수신부(110)에서 접근 정보가 수신되면, 후술할 데이터베이스부(130)에 누적 저장되며, 데이터베이스부(130)에는 접근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 별, 비콘 디바이스(300) 별, 사용자 단말기(200)의 그룹 별(연령, 성별, 선호 서비스 등에 따른 그룹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패턴 정보 생성부(1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패턴 정보는 각 사용자 단말기(200)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패턴, 즉 여러 사용자가 많이 이동하는 루트에 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는 빈도에 관한 패턴, 즉 각 비콘 디바이스(300)의 커버리지 내에 사용자 단말기(200)가 진입하는 빈도에 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정보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추후 도 3a, 3b 및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패턴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와 같은 패턴 정보를 모든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접근 정보를 참고하여 패턴 정보의 종류 별로 하나만을 생성하거나, 각 사용자 단말기(200) 별로 별도로 생성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0)의 개인 정보에 바탕하여 분류된 그룹 별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패턴 정보 생성부(120)는 시간대별로 수신되는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패턴 정보 생성부(120)는 접근 정보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접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누적 저장되면, 이를 기초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바,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의 상점 내 진입, 이동 및 이탈에 따라 시간대별로 수시로 변화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패턴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패턴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이동 패턴 DB(131) 및 접근 빈도 DB(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동 패턴 DB(131)는 각 사용자 단말기(200)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3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접근 빈도 DB(132)는 사긴대별로 각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이와 같은 패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 별, 비콘 디바이스(300) 별, 사용자 단말기(200)의 그룹 별(연령, 성별, 선호 서비스 등에 따른 그룹 별)로 분류하여 저장될 수 있다.
검출부(140)는 패턴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300)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턴 정보는 여러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접근 정보를 누적하여 생성하며, 사용자들의 상점 내 진입, 이동이 유사한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패턴 정보가 큰 폭으로 갑자기 변경되는 것은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비콘 신호 커버리지의 감소로 인해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의 비콘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식하는 빈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한 이후에는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로에 관한 접근 정보의 수신 빈도가 감소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대한 접근 정보의 수신 빈도가 변경되는 것은 접근 정보의 누적에 따라 패턴 정보 역시 변경될 수 있으므로, 검출부(140)는 패턴 정보의 변경에 따라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패턴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패턴 정보는 모든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 정보를 참고 하여 생성되거나, 각 사용자 단말기(200) 별로 별도로 생성되거나, 사용자 단말기(200)의 개인 정보에 바탕하여 분류된 그룹 별로 생성될 수 있으며, 검출부(140)는 각각의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40)가 패턴 정보의 변경에 따라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추후 도 3 및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지부(150)는 검출부(140)의 검출 결과,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한 비콘 디바이스(300)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발생을 통지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전에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300)의 식별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0)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상 발생 시 매칭되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이상 발생 사실을 통지한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통지를 받은 후, 비디오 또는 오디오 출력에 따라 관리자에게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발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의 상태를 확인한 후 배터리 교체, 수리 등 직접적인 조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 패턴을 참고하여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에서 A, B, C로 표시한 원은 비콘 디바이스 A, B, C에서 출력한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비콘 디바이스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점 내에 배치되고, 각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가 동일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비콘 디바이스의 밀집도가 높고 사용자들의 동선의 패턴이 다양하지 않은 경우에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에 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패턴 정보 생성부(120)는 각 사용자 단말기(200)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정보를 누적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이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 비콘 디바이스 A에 접근한 이후 비콘 디바이스 B에 접근하는 비율이 50%이고, 비콘 디바이스 B에 접근한 이후 비콘 디바이스 C에 접근하는 비율이 30%로 측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가 A, B, C의 순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 상황에 해당한다.
이 후, 비콘 디바이스 B에 배터리 소모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비콘 디바이스 B의 커버리지는 도3b와 같이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리지 감소로 인해 비콘 디바이스 B의 비콘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식하는 빈도가 낮아질 것인 바, 비콘 디바이스 B에 대한 접근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에서 수신하는 빈도가 낮아질 것이다. 이에 따라, 비콘 디바이스 A에 접근한 이후 비콘 디바이스 B에 접근하는 비율은 5%, 비콘 디바이스 B에 접근한 이후 비콘 디바이스 C에 접근하는 비율이 3%와 같이 낮게 측정될 수 있다.
검출부(140)는 패턴 정보에 따라,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300) 중 제1 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이 후 제2 비콘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비콘 디바이스 A에 대한 접근 이후 비콘 디바이스 B에 접근하는 빈도가 통상적으로 50%에서(도 3a), 특정한 시간대에서 5%(도 3b)로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 비콘 디바이스 B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검출부(140)가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시간대 별 패턴 정보 변화의 분산에 따라 계산되어야 할 것이며,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제1 비콘 디바이스에서 제2 비콘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비율의 평균치(예컨대, 50%)의 1/5(예컨대, 10%) 이하로 특정 시간대에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제2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콘 디바이스(300)에 단지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하거나, 주변 환경의 일시적인 변화로 인해 패턴 정보가 변경될 수 있는 바, 검출부(140)는 일정 시간 이상, 예컨대 1시간 단위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3시간 이상, 상기와 같은 패턴 정보의 변화가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비콘 디바이스(300)에 대한 접근 빈도의 변화를 참고하여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대한 시간대별 접근 빈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x축은 시간대를 y축은 접근 빈도를 나타낸다. 접근 빈도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접근 정보를 누적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는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검출부(14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는 빈도의 감소에 따라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에서 X는 통상적인 경우에 비콘 디바이스 A에 대한 시간대별 접근 빈도의 평균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 후, 비콘 디바이스 A에 이상이 발생하여 커버리지가 감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가 비콘 디바이스 A에서 출력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빈도가 Y와 같이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검출부(140)는 이와 같이 시간대별 접근 빈도가 소정 비율 이상으로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 비콘 디바이스 A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도 4에서 Y는 비콘 디바이스 B에 대한 실시간 접근 빈도를, X는 비콘 디바이스 A와 접근 빈도의 패턴이 유사한 비콘 디바이스 B의 실시간 접근 빈도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비콘 디바이스 B는 비콘 디바이스 A와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유사 업종의 상점 등에 비치되어 사용자가 접근하는 패턴이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동일한 시간 대에 비콘 디바이스 B에 대한 접근 빈도와 비교하여 비콘 디바이스 A에 대한 접근 빈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 검출부(140)는 비콘 디바이스 A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3a, 3b 및 도 4를 통해 패턴 정보 생성부(120)가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검출부(140)가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 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단지 일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는 패턴을 누적 저장하고, 패턴 정보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모든 구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비콘 디바이스(300)에 대한 접근 정보를 누적하여 패턴을 생성하고, 패턴의 변화를 통해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직접적인 비콘 디바이스(300)의 검사 없이 서버 측의 패턴 정보 분석을 통해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며,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비콘 디바이스(300)에 대한 접근 정보를 수신한다(S11). 접근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 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비콘 디바이스(300)의 식별정보(예컨대, 비콘 디바이스(300)의 UUID) 및 비콘 신호의 수신 시간,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의 식별번호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ier), 가입자의 E.164 번호, 비콘 애플리케이션의 가입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커버리지 내에 진입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콘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S12). 여기서, 패턴 정보는 각 사용자 단말기(200)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300)의 패턴, 즉 여러 사용자가 많이 이동하는 루트에 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접근하는 빈도에 관한 패턴, 즉 각 비콘 디바이스(300)의 커버리지 내에 사용자 단말기(200)가 진입하는 빈도에 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정보의 각각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와 같은 패턴 정보는 모든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접근 정보를 참고하여 패턴 정보의 종류 별로 하나만을 생성하거나, 각 사용자 단말기(200) 별로 별도로 생성되거나, 사용자 단말기(200)의 개인 정보에 바탕하여 분류된 그룹 별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시간대별로 수신되는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생성되는 패턴 정보의 변화가 발생하는 지 확인하고(S13), 일정 비율 이상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검출한다(S14).
예를 들어, 앞서 도 3a 및 3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패턴 정보에 따라,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제1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이 후 제2 비콘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대별 접근 빈도가 소정 비율 이상으로 감소하는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3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한 비콘 디바이스(300)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발생을 통지할 수 있다(S15). 관리자 단말기(400)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통지를 받은 후, 비디오 또는 오디오 출력에 따라 관리자에게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발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해당 비콘 디바이스(300)의 상태를 확인한 후 배터리 교체, 수리 등 직접적인 조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비콘 디바이스(300)에 대한 접근 정보를 누적하여 패턴을 생성하고, 패턴의 변화를 통해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직접적인 비콘 디바이스(300)의 검사 없이 서버 측의 패턴 정보 분석을 통해 비콘 디바이스(3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은, 각종 연산 처리 장치를 통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써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누적하여 패턴을 생성하고, 패턴의 변화를 통해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직접적인 비콘 디바이스의 검사 없이 서버 측의 패턴 정보 분석을 통해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하므로, 본 명세서의 기술이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서비스 서버
110: 접근 정보 수신부
120: 패턴 정보 생성부
130: 데이터베이스부
140: 검출부
150: 통지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비콘 디바이스
4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5)

  1. 비콘(beacon)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수신하는 접근 정보 수신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패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의 패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의 패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제1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이 후 제2 비콘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빈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는,
    시간대별로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시간대별 접근 빈도가 소정 비율 이상으로 감소하는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분된 그룹 별로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패턴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상이 발생한 비콘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해당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발생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9. 비콘(beacon)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되는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의 패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비콘 디바이스의 패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제1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이 후 제2 비콘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빈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시간대별로 상기 각각의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대별 접근 빈도가 소정 비율 이상으로 감소하는 비콘 디바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상이 발생한 비콘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해당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발생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비콘(beacon)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된 위치에 위치하여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상기 비콘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비콘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패턴에 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패턴 정보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40102526A 2014-08-08 2014-08-08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1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26A KR102213172B1 (ko) 2014-08-08 2014-08-08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4/548,680 US9826497B2 (en) 2014-08-08 2014-11-20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beacon device is abnorm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26A KR102213172B1 (ko) 2014-08-08 2014-08-08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226A true KR20160018226A (ko) 2016-02-17
KR102213172B1 KR102213172B1 (ko) 2021-02-04

Family

ID=5526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526A KR102213172B1 (ko) 2014-08-08 2014-08-08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26497B2 (ko)
KR (1) KR102213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8713B2 (en) 2015-02-24 2018-03-27 KiLife Tech, Inc. Locks for wearable electronic bands
US10032353B2 (en) * 2015-02-24 2018-07-24 KiLife Tech, Inc. Monitoring dependent individuals
US9363784B1 (en) * 2015-04-30 2016-06-07 Mist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the use of real and/or virtual beacons
AU2018352466B2 (en) * 2017-10-16 2024-03-07 Doriette Fransien HARVEY Emergency radio beacon remote activation system
CN110062403A (zh) * 2019-04-28 2019-07-26 新华三技术有限公司 报文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226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및 그의 동작 상태 진단방법
KR20070036263A (ko) * 2005-09-29 2007-04-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진단 단말기 및 그의 진단방법
KR20130138302A (ko) * 2011-03-11 2013-12-18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휴대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무선 노드들을 모니터링
US20140055266A1 (en) * 2012-08-21 2014-02-27 Southern Imperial, Inc. Thef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20140089243A1 (en) * 2012-01-08 2014-03-27 Steven Charles Oppenheimer System and Method For Item Self-Assessment As Being Extant or Displace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3182A1 (en) * 2014-09-30 2016-03-31 Tyco Fire & Security Gmbh Store intelligence sensor platform for improving customer experience and data analytic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226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및 그의 동작 상태 진단방법
KR20070036263A (ko) * 2005-09-29 2007-04-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진단 단말기 및 그의 진단방법
KR20130138302A (ko) * 2011-03-11 2013-12-18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휴대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무선 노드들을 모니터링
US20140089243A1 (en) * 2012-01-08 2014-03-27 Steven Charles Oppenheimer System and Method For Item Self-Assessment As Being Extant or Displaced
US20140055266A1 (en) * 2012-08-21 2014-02-27 Southern Imperial, Inc. Thef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172B1 (ko) 2021-02-04
US20160044521A1 (en) 2016-02-11
US9826497B2 (en)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6196B2 (en) Anomalous phenomena detector
CN106134117B (zh) 未授权的无线通信设备的检测
KR20160018226A (ko) 비콘 디바이스의 이상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467825B2 (en) Alerts based on vehicle and device telematics
AU20162567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oud-service asset management for portable computer test tools
US9258627B2 (en) Locating utility metering devices
US20090042585A1 (en) Terminal positioning method, terminal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server, and program
US201503412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fying machine identifiers for machine-to-machine platform support
CN104620642A (zh) 便携式资源管理系统和方法
Ding et al. From conception to retirement: a lifetime story of a 3-year-old wireless beacon system in the wild
KR20230073169A (ko)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장치, 초음파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19220A (ko) 위치정보 인식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2016114361A (ja) 測位方法、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5512A (ko) 비콘 신호 기반 스탬프 서비스 제공 방법
US9030334B2 (en) Locating utility metering devices
US10345484B2 (en) Storm confirmation and path prediction system
KR20160074295A (ko) 비콘 디바이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100959774B1 (ko)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4077672A (zh) 一种基于rfid的智能化资产管理方法及装置
JP6609418B2 (ja) サーバ装置
JP6753287B2 (ja) 異常検知システム、異常検知装置、異常検知プログラムおよび異常検知方法
US11816631B2 (en) Voting based proximity detection and ranging
KR20170116849A (ko)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878991B1 (ko)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1567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mall group and outc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