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196A -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196A
KR20160018196A KR1020140102453A KR20140102453A KR20160018196A KR 20160018196 A KR20160018196 A KR 20160018196A KR 1020140102453 A KR1020140102453 A KR 1020140102453A KR 20140102453 A KR20140102453 A KR 20140102453A KR 20160018196 A KR20160018196 A KR 20160018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ead
height adjusting
wire harness
vertic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filed Critical 김현준
Priority to KR102014010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196A/ko
Publication of KR2016001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09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54Flat-harness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63Tying, wrapping, binding, lacing, strapping or sheathing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63Tying, wrapping, binding, lacing, strapping or sheathing harnesses
    • H01B13/01272Harness ty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63Tying, wrapping, binding, lacing, strapping or sheathing harnesses
    • H01B13/01281Harness wrapp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54Cables with incorporated electric 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에 설치되는 전기기 설비를 위해 케이블 배치를 확정하기 위한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일정한 길이와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판넬; 상기 홀에 결합되어 높이 방향 길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의 가압 및 이탈을 방지케 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Wire harness ji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와이어하네스를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헤드를 고정식으로 하되 헤드 상단에 이탈방지수단과 헤드 내부에 케이블가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이 헤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헤드에 케이블의 수용 수량과 상관없이 항시 가압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유동 및 처짐을 방지하는 하이어하네스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하네스는 여러 전기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케이블을 세트화한 것을 말한다.
이 와이어하네스는 자동차의 사양이 변경되면 변경된 사양에 맞게 와이어하네스를 새롭게 제작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을 보면 길이를 측정하여 수작업으로 와이어하네스를 제작하였기 때문에 사양이 다양해지면 수작업에 의한 와이어하네스 제작에 한계를 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사양 변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와이어하네스 제작이 절실히 요구되었는 바 이를 위하여 와이어하네스를 안착 또는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의 헤드와 헤드의 하부로 연장되어 판넬에 고정하는 몸체로 구성하여 간단하면서 다양한 와이어하네스에 대응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하지만 고정식의 "U"자 형상의 헤드와 몸체로 고정하기 때문에 소량의 케이블을 헤드에 안착시켰을 경우에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없어서 판넬쪽으로 케이블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케이블을 세트화하기 위한 테이핑 작업시 작업이 어려워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고 케이블 길이가 상승하여 재료비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그의 헤드에 수용되는 케이블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케이블이 헤드 밖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판넬 위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의 지그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지그로 인해서 작업에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되는 지그를 분해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준비작업을 수행해야 해서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케이블을 수용하는 헤드를 고정식으로 하되 헤드 상단에 이탈방지수단과 헤드 내부에 케이블가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이 헤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헤드에 케이블의 수용 수량과 상관없이 항시 가압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유동 및 처짐을 방지하는 하이어하네스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넬과 고정된 고정수단에 의해 헤드에 체결된 수직바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헤드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하향시켜 와이어하네스 조립 작업시 지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 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를 이용해 케이블의 고정과 이탈방지를 통해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케이블 길이를 최소화하며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재료비 절감을 꾀할 수 있고 조립시간 단축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는, 일정한 길이와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판넬; 상기 홀에 결합되어 높이 방향 길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의 가압 및 이탈을 방지케 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는 높이조절수단과 연결되며 폭 방향으로 케이블을 가압하여 지지하게 케이블가압수단과,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케이블이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한쌍의 케이블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탈방지수단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은 폭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케이블이탈방지수단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케이블이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판넬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수직으로 삽입되어 수직방향 슬라이딩 동작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수직 방향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스프링의 지지를 받으며 회전 운동하거나 또는 수평 운동하며 수직바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을 수용하는 헤드를 고정식으로 하되 헤드에 이탈방지수단과 가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이 헤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적재 수량과 상관없이 항상 고정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유동 및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넬에 고정된 고정수단에 의해 헤드에 체결된 수직바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헤드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하향시켜 와이어하네스 조립작업시 지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를 이용해 케이블의 고정과 이탈방지를 통해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케이블 길이를 최소화하며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재료비 절감을 꾀할 수 있고 조립시간 단축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는, 판넬(110), 높이조절수단(120) 및 헤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넬(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판체 형태를 하고 있으며, 판체 표면에는 자동차의 전기기들의 케이블 회로 패턴에 따른 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21), 수직바(122) 및 스토퍼(1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몸체(121)는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숫나사(121a)와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바가이드공(121b)과, 수직바기아드공(121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림홈(121c)과 상기 숫나사에 체결되는 너트(121d)와 고정몸체(121) 내에 형성되어 스토퍼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1e)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21e)에서 수직바가이드공(121b) 측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딩공(121f)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121f)과 자리홈(121c)은 상호 중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바(12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환봉 형태이며 상단에는 헤드연결수단(140)이 연결되는 나사공(122b)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 양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걸림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122a)은 한쌍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123)는 고정몸체(121) 내의 수용공간(121e)에 배치되어 스프링(123d)에 의해 수평 방향 동작하는 고정레버(123a)와 상기 고정레버(123a) 일측에 배치되어 고정레버 측에 스프링과 수용공간 사이에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지지편(123b)과 상기 지지편(123b) 일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레버의 수평 동작에 의해 수직바의 동작을 제한하게 하는 삽입돌기(123c)와 상기 삽입돌기(123c)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돌기(123f)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안착시킬 경우에는 수직바(122)의 하측에 배치된 걸림홈(122a)이 스토퍼(123)에 결속 고정되게 하여 사용하고 반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스토퍼(123)의 고정레버(123a)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직각 회전시키면 자림홈(121c)에 삽입된 상태의 걸림돌기(123f)가 고정레버의 회전에 따라 자림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걸림돌기가 이탈한 만큼 고정레버가 후퇴하며 스프링(123d)을 압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걸리홈(122a)에 삽입된 상태의 삽입돌기(123c)가 후퇴하며 삽입돌기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수직바가 수직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켜 수직바 상단의 걸림홈이 스토퍼에 위치되게 하고 후퇴한 고정레버를 초기 회전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123f)이 자림홈(121c)에 다시 삽입되게 되고 삽입돌기(123c)가 걸림홈(122a)에 삽입되며 수직바의 위치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수직바에 연결된 헤드를 판넬 측과 근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헤드의 이용시와 이용하지 않을 경우 적절히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높이조절수단(220)은 고정몸체(221), 수직바(222) 및 스토퍼(2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몸체(221)는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숫나사(221a)와 상기 수직 방향 관통하는 수직바가이드공(221b)과 상기 숫나사(221a)에 체결되어 판넬에 고정몸체를 고정시키는 너트(221c)와 상기 수직바가이드공(221b)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제1슬라이딩공간(221d)과 제1슬라이디이공간(221d)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슬라이딩공간(221e)과 상기 제1슬라이딩공간(221d)과 제2슬라이딩공간(221e)을 연결하는 제1슬라이딩공(221f)과 상기 수직바가이드공(221b)와 제2슬라이딩공간(221e)을 연결하는 제2슬라이딩공(221g)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직바(222)는 앞선 실시예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임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스토퍼(223)는 제2슬라이딩공간(221e) 내에 배치되는 고정레버(223a)와 상기 고정레버(223a)를 제2슬라이딩공간(221e)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223b)과 상기 지지편(223b) 일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23c)와 상기 지지편(223b)과 제2슬라이딩공간(221e) 사이에서 고정레버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23d)과 일측은 상기 제1슬라이딩공간(221d) 내에 위치되고 타측은 고정몸체 외부로 돌출된 버튼(223e) 상기 버튼 단부에 연장되어 제1슬라이딩공(221f)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압대(223f)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 다른 동작 상태를 보면, 앞선 높이조절수단은 스토퍼를 회전시켜 동작하는 것을 주된 동작으로 이용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스토퍼의 주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승된 상태의 수직바(222)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몸체 외부로 돌출된 버튼(223e)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버튼(223e)은 제1슬라이딩공간(221d)에서 슬라이딩하며 연결된 가압대(223f)를 제1슬라이딩공(221f)에서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연속해서 가압대 단부에 위치된 지지편(223b)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지지편(223b)은 이면에 배치된 스프링(223d)을 제2슬라이딩공간(221e) 내에서 압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편 타측면의 삽입돌기(223c)가 걸림홈(222a)에서 이탈하게 되어 상승된 상태의 수직바(222)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수직바를 하강시켜 상부의 걸림홈이 스토퍼 측에 위치되면 가압된 상태의 버튼(223e)의 가압력을 해지하게 되고, 해지된 버튼은 가압대에 의해 연결된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고정몸체 외측으로 돌출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삽입돌기(223c)가 걸림홈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버튼의 가압력을 이용해 수직바의 수직 방향 슬라이딩을 제한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헤드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와 이용할 경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며 적절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의 나사공(122b) 측에 숫나사(131i)에 의해 연결되어 삽입되는 케이블의 수량에 따라 폭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케이블가압수단(131)과 상기 케이블가압수단(131)과 연결되어 케이블가압수단(131)의 폭 방향 이동방향으로 대응되게 이동하면서 케이블이 삽입될 공간(미도시)을 확보하며 삽입된 케이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가압수단(131)은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홈(131b)이 형성되며 슬라이딩홈(131b)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상부를 절개한 절개홈(131h)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31h) 양측으로 걸림턱(131c)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수직바(122)의 나사공(122b)에 체결되는 숫나사(131i)가 배치된 슬라이딩 몸체(131a)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131a)의 슬라이딩홈(131b)을 따라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슬라이더(131d)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131d)에는 슬라이더(131d) 상호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1탄성체(131f)가 수용되는 삽입공(131e)과 고정핀(131g)이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블가압수단(131)은 한쌍의 슬라이더(131d)를 상호 연결시킨 제1탄성체(131f)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작용하면 슬라이딩몸체(131a)의 슬라이딩홈(131b)을 따라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1탄성체(131f)에 인장력을 발생시켜 인장력을 통해 케이블이탈방지수단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블을 가압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2)은 상기 케이블가압수단(131)의 슬라이더(131d) 상부면에 결합되는 지지대(132a)와 상기 지지대(132a)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탄성을 가지고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제2탄성체(132b)와, 상기 제2탄성체(132b) 상단에 연결되어 제2탄성체와는 별도의 탄성력을 가지는 제3탄성체(132d)와, 상기 제3탄성체(132d)에 연결대(132f)를 이용해 연결된 상태로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케이블이탈방레버(132e)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체(132b) 외주면에는 제2탄성체(132b)를 감싼 상태로 보호는 캡(132c)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이탈방수단(132)은 케이블가압수단(131)과 연결된 상태로 케이블가압수단(131)이 동작하면서 확보하는 공간에 케이블이 삽입될 경우 삽입된 케이블이 공간 측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토록 탄성력을 이용해 케이블 삽탈되는 상부를 차단하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헤드(130)는 높이조절수단(120)에 의해 판넬(110)의 홀(111)에 삽입된 상태이며, 케이블가압수단(131)의 슬라이더(131d)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밀착된 상태로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2)의 이탈방지레버(132e)가 제3탄성체(132d)에 의해 꺾인 상태로 마주보는 면이 밀착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2)을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케이블가압수단(131)의 슬라이더(131d)를 슬라이딩홈(131b)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호 연결된 제1탄성체(131f)에 인장력을 부여한다.
다음으로 이탈방지레버(132e)를 좌우로 벌려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2)이 확장되며 확보된 사이 공간(미도시)에 케이블(C)을 삽입함과 동시에 이탈방지레버(132e) 놓으면 제3탄성체(132d)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밀착되며 개방된 상부측이 차단되게 된다.
또한 제1탄성체(131f)에 부여된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131d)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상부에 연결된 제2탄성체(132b)가 삽입된 케이블(C)을 가압하며 밀착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케이블(C) 수량을 증가시킬 경우 슬라이더(131d)를 더욱 확장시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2)의 사이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되므로 많은 수량의 케이블의 삽입이 가능하고 확장된 만큼 제1탄성체에 인장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제2탄성체를 통한 가압이 가능하게 되고 상부의 이탈방지레버에 의한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2)은 제2탄성체와 제3탄성체의 탄성을 이용해 자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케이블가압수단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케이블 삽입 공간 확보에서 유연하게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10 : 판넬 111 : 홀
120,220 : 높이조절수단 121 : 고정몸체
121a : 숫나사 121b : 수직바가이드공
121c : 자리홈 121d : 너트
121e : 수용공간 121f : 슬라이딩공
122 : 수직바 122a : 걸림홈
122b : 나사공 123 : 스토퍼
123a : 고정레버 123b : 지지편
123c : 삽입돌기 123d : 스프링
123e : 슬라이딩공 123f : 걸림돌기
130 : 헤드 131 : 케이블가압수단
131a : 슬라이딩몸체 131b : 슬라이딩홈
131c : 걸림턱 131d : 슬라이더
131e : 삽입공 131f : 제1탄성체
131g : 고정핀 131i : 숫나사
132 : 케이블이탈방지수단 132a : 지지대
132b : 제2탄성체 132c : 캡
132d : 제3탄성체 132e : 이탈방지레버
132f : 연결대

Claims (6)

  1. 일정한 길이와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판넬;
    상기 홀에 결합되어 높이 방향 길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의 가압 및 이탈을 방지케 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높이조절수단과 연결되며 폭 방향으로 케이블을 가압하여 지지하게 케이블가압수단과,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케이블이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한쌍의 케이블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탈방지수단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은 폭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케이블이탈방지수단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케이블이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판넬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수직으로 삽입되어 수직방향 슬라이딩 동작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수직 방향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스프링의 지지를 받으며 회전 운동하거나 또는 수평 운동하며 수직바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KR1020140102453A 2014-08-08 2014-08-08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KR20160018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453A KR20160018196A (ko) 2014-08-08 2014-08-08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453A KR20160018196A (ko) 2014-08-08 2014-08-08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96A true KR20160018196A (ko) 2016-02-17

Family

ID=5545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453A KR20160018196A (ko) 2014-08-08 2014-08-08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1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3062A (zh) * 2021-11-13 2022-03-01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南宁供电局 一种电缆支架
KR20230099431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케이블 안착 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3062A (zh) * 2021-11-13 2022-03-01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南宁供电局 一种电缆支架
KR20230099431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케이블 안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1404B2 (en) DIN rail latching arrangement
US7104516B2 (en) Electronic equipment mounting angle varying apparatus
KR20160018198A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JP6778264B2 (ja) 積み重ね可能なモジュール
DE102005050267A1 (de) Reihenklemme
US9044093B1 (en) Height-adjustable handrest
KR20160018196A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KR20160018197A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EP2462004A1 (de) Steckvorrichtung nach art eines zigarettenanzünderstecker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KR101197168B1 (ko) 구조가 개선된 비지에이 소켓
KR20160018308A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KR101460493B1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DE102016115490B4 (de) Anschlusselement
DE4008618C2 (ko)
DE19830672A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308189A1 (de) Haltevorrichtung für mobile Benutzereinrichtungen
DE102011087209B4 (de) Elektroinstallationsgerät
CN114505805B (zh) 用于制造座椅的夹具装置
CN102705644B (zh) 一种位置可调的安装座装置
EP2312713B1 (de) Elektro-Installationsgerät mit Trägerrahmen und Bedien- oder Funktionselement
KR101228015B1 (ko) 모선 및 자선 버스바용 다지점 연결장치
CN103302178A (zh) 冲模装置
EP3309904B1 (de) Gehäuse zum anschliessen wenigstens einer kabellitze eines kabels
KR101032777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지그
CN217086968U (zh) 一种汽车连接器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