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308A -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308A
KR20160018308A KR1020140152521A KR20140152521A KR20160018308A KR 20160018308 A KR20160018308 A KR 20160018308A KR 1020140152521 A KR1020140152521 A KR 1020140152521A KR 20140152521 A KR20140152521 A KR 20140152521A KR 20160018308 A KR20160018308 A KR 20160018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topper
head
lever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filed Critical 김현준
Publication of KR2016001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09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에 설치되는 전기기 설비를 위해 케이블 배치를 확정하기 위한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일정한 길이와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판넬; 상기 홀에 결합되어 높이 방향 길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 상단에 헤드연결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의 가압 및 이탈을 방지케 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Wire harness ji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와이어하네스를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헤드를 고정식으로 하되 헤드 상단에 이탈방지수단과 헤드 내부에 케이블가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이 헤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헤드에 케이블의 수용 수량과 상관없이 항시 가압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유동 및 처짐을 방지하는 하이어하네스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하네스는 여러 전기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케이블을 세트화한 것을 말한다.
이 와이어하네스는 자동차의 사양이 변경되면 변경된 사양에 맞게 와이어하네스를 새롭게 제작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을 보면 길이를 측정하여 수작업으로 와이어하네스를 제작하였기 때문에 사양이 다양해지면 수작업에 의한 와이어하네스 제작에 한계를 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사양 변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와이어하네스 제작이 절실히 요구되었는 바 이를 위하여 와이어하네스를 안착 또는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의 헤드와 헤드의 하부로 연장되어 판넬에 고정하는 몸체로 구성하여 간단하면서 다양한 와이어하네스에 대응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하지만 고정식의 "U"자 형상의 헤드와 몸체로 고정하기 때문에 소량의 케이블을 헤드에 안착시켰을 경우에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없어서 판넬쪽으로 케이블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케이블을 세트화하기 위한 테이핑 작업시 작업이 어려워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고 케이블 길이가 상승하여 재료비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그의 헤드에 수용되는 케이블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케이블이 헤드 밖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판넬 위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의 지그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지그로 인해서 작업에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되는 지그를 분해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준비작업을 수행해야 해서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케이블을 수용하는 헤드를 고정식으로 하되 헤드 상단에 이탈방지수단과 헤드 내부에 케이블가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이 헤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헤드에 케이블의 수용 수량과 상관없이 항시 가압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유동 및 처짐을 방지하는 하이어하네스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넬과 고정된 고정수단에 의해 헤드에 체결된 수직바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헤드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하향시켜 와이어하네스 조립 작업시 지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 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를 이용해 케이블의 고정과 이탈방지를 통해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케이블 길이를 최소화하며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재료비 절감을 꾀할 수 있고 조립시간 단축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는, 일정한 길이와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판넬; 상기 홀에 결합되어 높이 방향 길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 상단에 헤드연결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의 가압 및 이탈을 방지케 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는 한쌍의 기준편과, 상기 기준편의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하부에 가이드편이 형성된 확장편과, 상기 기준편 상단에 배치되어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케이블이탈방지수단과, 상기 확장편 상부에 배치되어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하여 유동을 방지하게 하는 케이블가압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탈방지수단은 기준편 사이에서 회동지지핀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이탈방지레버와, 상기 이탈방지레버를 기준편에 대해 탄성지지될 수 있게 연결된 탄성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은 코일스프링 및 고무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은 확장편 상부에 마련되는 핀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며 케이블을 가압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에는 케이블 삽입시 지지하는 케이블지지플레이트;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판넬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수직으로 삽입되어 수직방향 슬라이딩 동작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수직 방향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스프링의 지지를 받으며 회전 운동하거나 또는 수평 운동하며 수직바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의 상기 헤드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갖는 헤드몸체와, 상기 헤드몸체 상단에서 제1탄성체의 지지를 받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작하며 삽입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한쌍의 이탈방지레버와, 상기 이탈방지레버 하부에 배치되어 제2탄성체의 지지를 받으며 삽입된 케이블 가압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케이블가압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몸체에는 이탈방지레버가 헤드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스토퍼와 케이블가압수단의 상승을 제한하게 하는 제1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헤드몸체는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양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탄성체가이드공과, 상기 탄성체가이드공에 대해 직교하도록 헤드몸체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드홈 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드홈 내의 단부에 제1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가드홈 수직 방향으로 개통되어 제2스토퍼가 결합되는 나사공과, 상기 탄성체가이드공 내에 존재하며 제1스토퍼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레버는 레버몸체 외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탄성체 삽입공과, 상부에 형성되어 제2스토퍼를 안내하는 스토퍼가이드홈과, 한쌍의 이탈방지레버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단차진 단턱부와, 일측에 곡선지게 형성된 제1곡부와 제2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버몸체는 제1곡부와 제2곡부 중 제2곡부가 더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은 가압몸체 상단에 형성되어 제1스토퍼가 안착되는 걸림홈과, 하부에 형성되어 제2탄성체가 걸쳐지는 결착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을 수용하는 헤드를 고정식으로 하되 헤드에 이탈방지수단과 가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이 헤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적재 수량과 상관없이 항상 고정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유동 및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넬에 고정된 고정수단에 의해 헤드에 체결된 수직바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헤드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하향시켜 와이어하네스 조립작업시 지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를 이용해 케이블의 고정과 이탈방지를 통해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케이블 길이를 최소화하며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재료비 절감을 꾀할 수 있고 조립시간 단축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연결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100)는 판넬(110), 높이조절수단(120), 헤드(130) 및 헤드연결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넬(1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판체 형태를 하고 있으며, 판체 표면에는 자동차의 전기기들의 케이블 회로 패턴에 따른 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기준편(131)과 기준편(131)의 이웃하는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확장편(132)과 상기 기준편(131) 측에 배치되어 삽입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3)과, 상기 확장편(132) 측에 배치되어 삽입된 케이블을 가압하여 유동을 방지하게 하는 케이블가압수단(1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준편(131)은 "U"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헤드연결수단(140)을 볼트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체결공(1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편(132)은 상기 기준편(131)과 이웃하는 측면에 기준편과 밀착되도록 돌출되어 케이블가압수단을 안내하는 가이드편(13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31a)과 연통되는 체결공(13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3)은 기준편(131)의 "U"자형 상부에 각각 회동지지핀(13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이탈방지레버(133b)와 일측은 상기 이탈방지레버(133b)에 형성된 걸이공(133d)에 연결되고 타측은 기준편(131) 측에 고정핀(133f)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벙지레버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133e)로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레버(133b)의 단부에는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중첩부(133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레버(133b)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기준편에 배치되어 수평을 이루어 있고, 상부에서 케이블이 삽입되면 중첩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케이블에 의해 가압되는 이탈방지레버에 의해 탄성체에 탄성을 부여하며 하측으로 회전되어 케이블이 기준편과 확장편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 케이블가압수단(134)은 확장편(132) 하부의 가이드편(132a)과 "U"자 형 상부 양측에 구비된 핀롤러(134a)를 감싸듯 배치되어 구조로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케이블에 의해 인장되며 케이블이탈방지수단과 연계하여 케이블을 가압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가압수단(134)은 코일스프링 또는 고무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케이블 삽입시 탄성을 부여하며 인장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4)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지지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지지플레이트(135)는 "U"자형 기준편과 확장편의 사이에 배치되며 중앙 부분에는 케이블이탈방지수단이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게 안착홈(135b)이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135b)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케이블가압수단(134)이 삽입되는 삽입고리(13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연결수단(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돌출된 기준편지지대(141)와 기준편지지대(141) 양측에 돌출된 확장편지지대(14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준편지지대(141)와 확장편지지대(142) 사이에는 삽입홈(144)이 형성되고 상기 기준편지지대(141)와 확장편지지대(142)를 수평 방향 관통하는 체결공(143,1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에는 높이조절수단과 나사 연결되는 숫나사(14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21), 수직바(122) 및 스토퍼(1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몸체(121)는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숫나사(121a)와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바가이드공(121b)과, 수직바기아드공(121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림홈(121c)과 상기 숫나사에 체결되는 너트(121d)와 고정몸체(121) 내에 형성되어 스토퍼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1e)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21e)에서 수직바가이드공(121b) 측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딩공(121f)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121f)과 자리홈(121c)은 상호 중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바(12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환봉 형태이며 상단에는 헤드연결수단(140)이 연결되는 나사공(122b)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 양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걸림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122a)은 한쌍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123)는 고정몸체(121) 내의 수용공간(121e)에 배치되어 스프링(123d)에 의해 수평 방향 동작하는 고정레버(123a)와 상기 고정레버(123a) 일측에 배치되어 고정레버 측에 스프링과 수용공간 사이에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지지편(123b)과 상기 지지편(123b) 일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레버의 수평 동작에 의해 수직바의 동작을 제한하게 하는 삽입돌기(123c)와 상기 삽입돌기(123c)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돌기(123f)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안착시킬 경우에는 수직바(122)의 하측에 배치된 걸림홈(122a)이 스토퍼(123)에 결속 고정되게 하여 사용하고 반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스토퍼(123)의 고정레버(123a)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직각 회전시키면 자림홈(121c)에 삽입된 상태의 걸림돌기(123f)가 고정레버의 회전에 따라 자림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걸림돌기가 이탈한 만큼 고정레버가 후퇴하며 스프링(123d)을 압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걸리홈(122a)에 삽입된 상태의 삽입돌기(123c)가 후퇴하며 삽입돌기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수직바가 수직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켜 수직바 상단의 걸림홈이 스토퍼에 위치되게 하고 후퇴한 고정레버를 초기 회전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123f)이 자림홈(121c)에 다시 삽입되게 되고 삽입돌기(123c)가 걸림홈(122a)에 삽입되며 수직바의 위치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수직바에 연결된 헤드를 판넬 측과 근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헤드의 이용시와 이용하지 않을 경우 적절히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높이조절수단(220)은 고정몸체(221), 수직바(222) 및 스토퍼(2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몸체(221)는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숫나사(221a)와 상기 수직 방향 관통하는 수직바가이드공(221b)과 상기 숫나사(221a)에 체결되어 판넬에 고정몸체를 고정시키는 너트(221c)와 상기 수직바가이드공(221b)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제1슬라이딩공간(221d)과 제1슬라이디이공간(221d)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슬라이딩공간(221e)과 상기 제1슬라이딩공간(221d)과 제2슬라이딩공간(221e)을 연결하는 제1슬라이딩공(221f)과 상기 수직바가이드공(221b)와 제2슬라이딩공간(221e)을 연결하는 제2슬라이딩공(221g)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직바(222)는 앞선 실시예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임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스토퍼(223)는 제2슬라이딩공간(221e) 내에 배치되는 고정레버(223a)와 상기 고정레버(223a)를 제2슬라이딩공간(221e)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223b)과 상기 지지편(223b) 일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23c)와 상기 지지편(223b)과 제2슬라이딩공간(221e) 사이에서 고정레버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23d)과 일측은 상기 제1슬라이딩공간(221d) 내에 위치되고 타측은 고정몸체 외부로 돌출된 버튼(223e) 상기 버튼 단부에 연장되어 제1슬라이딩공(221f)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압대(223f)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 다른 동작 상태를 보면, 앞선 높이조절수단은 스토퍼를 회전시켜 동작하는 것을 주된 동작으로 이용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스토퍼의 주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승된 상태의 수직바(222)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몸체 외부로 돌출된 버튼(223e)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버튼(223e)은 제1슬라이딩공간(221d)에서 슬라이딩하며 연결된 가압대(223f)를 제1슬라이딩공(221f)에서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연속해서 가압대 단부에 위치된 지지편(223b)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지지편(223b)은 이면에 배치된 스프링(223d)을 제2슬라이딩공간(221e) 내에서 압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편 타측면의 삽입돌기(223c)가 걸림홈(222a)에서 이탈하게 되어 상승된 상태의 수직바(222)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수직바를 하강시켜 상부의 걸림홈이 스토퍼 측에 위치되면 가압된 상태의 버튼(223e)의 가압력을 해지하게 되고, 해지된 버튼은 가압대에 의해 연결된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고정몸체 외측으로 돌출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삽입돌기(223c)가 걸림홈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버튼의 가압력을 이용해 수직바의 수직 방향 슬라이딩을 제한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헤드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와 이용할 경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며 적절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예로서 헤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우선 케이블(C)을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3) 상부로부터 기준편과 확장편에 의해 형성된 공간(미도시) 측으로 가압하면 케이블이탈방지수단(133)이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며 탄성체에 탄성을 부여하게 상태가 되게 된다.
계속해서 케이블을 삽입하면 케이블이 완전히 삽입되며 하측으로 회전된 케이블이탈방지수단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며 케이블이 헤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블이 삽입될 때 확장편 측의 가이드편(132a)과 핀롤러(134a)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배치된 케이블가압수단(134)은 케이블의 가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인장되며 인장된 만큼 상부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되므로 상기 케이블이탈방지수단과 케이블가압수단 사이에 케이블 위치되어 케이블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고, 케이블가입수단은 항시 상부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수량 및 크게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가압수단(134) 측에 연결되는 케이블지지플레이트(135)를 더 마련하여 삽입되는 케이블(C)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판넬(110), 높이조절수단(120)에 대한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의 설명은 헤드에 대한 구성으로 국한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230)는 헤드몸체(231),이탈방지레버(232), 케이블가압수단(233), 제1탄성체(234), 제2탄성체(235), 지지대(236) 및 제1,2스토퍼(237a,237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몸체(231)는 중앙 부분에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수용공간(231a)과, 상기 수용공간(231a) 양측에 수직하게 연장된 탄성체가이드공(231b)과, 상기 헤드몸체 상부에 탄성체가이드공(231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31c)과, 상기 가이드홈(231c) 내에 가이드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돌기(231d)와, 상기 가이드홈(231c)의 양측 각각 형성된 삽입홈(231e)과, 상기 탄성체가이드공(231b) 내에 형성된 삽입공(231f)과, 상기 헤드몸체 상단에서 가이드홈(231c) 측과 연통되게 형성된 나사공(231g)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레버(232)는 레버몸체(232a) 외측 양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함몰된 가이드홈(232b)과, 중앙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함몰시켜 형성된 탄성체삽입공(232c)과, 레버몸체(232a) 상단면을 일정한 길이로 함몰시켜 형성된 스토퍼가이드홈(232d)과, 상기 레버몸체(232a) 일측이 곡선지도록 형성된 제1곡부(232f) 및 제2곡부(232g)와, 제1곡부와 제2곡부가 만나는 단부에 이탈벙지레버가 서로 겹쳐지도록 단차진 단턱부(232e)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곡부(232f)와 제2곡부(232g) 중 제2곡부(232g)의 곡선이 더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삽입된 케이블을 외력을 이용해 이탈방지레버를 경유하여 레버몸체로부터 이탈시킬 때 제2곡부를 통해 쉽게 이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케이블가압수단(233)은 가압몸체(233a) 하부에 돌출 형성된 결착돌기(233b)와, 상단 일측을 각각 함몰시켜 형성된 걸림홈(233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체(234) 및 제2탄성체(235)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다.
상기 지지대(236)는 일측에 걸림돌기(236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토퍼(237a)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환봉 형태의 핀이고, 제2스토퍼(237b)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로 하단은 단차진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연결수단(240)은 헤드몸체(2311) 하부에 결합된 나사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헤드몸체(231) 하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헤드연결수단(240)을 삽입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헤드연결수단(24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높이조절수단과 나사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헤드몸체(231)의 탄성체가이드공(231b) 측으로 두개의 제2탄성체(235)를 삽입하고 연속해서 결착돌기(233b)가 제2탄성체 상단을 지지하도록 수용공간(231a)을 경유하여 가압몸체(233a)를 삽입한다.
이 후 제2탄성체(235)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몸체(233a)가 헤드몸체(231)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토록 삽입공(231f)에 제1스토퍼(237a)를 삽입하여 가입몸체(233a)의 걸림홈(233c)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공(231f) 상단은 헤드몸체(231)의 가이드홈(231c)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레버몸체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시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삽입홈(231e)에 한쌍의 지지대(236)를 삽입하는데 돌출된 걸림돌기(236a)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되도록 삽입하고, 나사공(231g)에 제2스토퍼(237b)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2스토퍼(237b) 하단은 가이드홈(231c) 내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한 상태이다.
이 후 상기 제1탄성체(234)를 가이드홈(231c) 측으로 삽입하여 제2탄성체(235) 일측 단부가 걸림돌기(236a)에 삽입되며 지지대(236) 일면에 지지되게 한 후 연속해서 레버몸체(232a)를 가이드홈(231c)에 삽입하여 레버몸체(232a)에 형성된 탄성체삽입공(232c)에 제1탄성체(234) 일부가 삽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레버몸체(231a) 단부에 형성된 단턱부(232e)는 상호 겹쳐지게 되며, 제1탄성체(234)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스토퍼(237b)를 조여 레버몸체(232a) 상부의 스토퍼가이드홈(232d)으로 밀어넣게 하여 제2스토퍼를 이용해 레버몸체(232a)가 가이드홈(231c)으로부터 제1탄성체(234)의 가압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하고자 하는 케이블(C)을 헤드(240)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레버몸체(232a)의 제1곡부(232f)를 케이블(C)을 가압하여 밀 경우 레버몸체(232a)가 지지대(236)에 지지된 상태의 제2탄성체(235)를 압축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231c) 내에서 가이드돌기(231d)의 안내를 받으며 밀려 겹쳐진 단턱부(232e)가 떨어져 레버몸체가 개방하여 헤드몸체(231)의 수용공간(231a)이 개방되어 수용공간(231a)으로 케이블(C)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스토퍼(237b)는 스토퍼가이드홈(232d)을 따라 안내되며 레버몸체가 가이드홈(231c)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후 케이블(C)이 레버몸체(232a)를 지나 수용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가압 압축된 상태의 제2탄성체(235)의 압축력이 해지되면서 제2탄성체의 탄성력이 레버몸체에 작용하여 레버몸체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단턱부(232e)가 겹치며 수용공간이 차단되어 케이블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을 밀어 레버몸체를 경유하여 다수개의 케이블(C)을 수용공간에 위치시키게 되면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케이블이 헤드몸체 내에 위치한 케이블가압수단(233)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탄성체(234)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의 압축력은 반대로 케이블을 승부로 밀어올리는 반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레버몸체와 가압몸체 사이에서 케이블이 결속되는 형태를 하게 되므로 케이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케이블(C)을 수용공간(231a)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케이블을 잡아당겨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레버몸체(232a)의 제2곡부(232g)의 완만한 곡선에 의해 케이블(C)이 레버몸체(232a)를 대향되는 수평 방향으로 밀어 밀착된 상태의 레버몸체가 개방되며 케이블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되고, 하부의 가압몸체(233a)에 의해 압축된 상태의 제2탄성체(235)가 가압몸체를 상부로 밀어올려 수납된 다른 케이블들을 가압하여 수용공간 내에서 항상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하게 된다. 이때 상승하는 가압몸체는 계속해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스토퍼(237a)에 의해 제한된 상승을 하게 되어 가압몸체가 헤드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도 앞선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헤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해 헤드를 판넬 측에 근접하도록 낮은 위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높이조절수단뿐만 아니라 헤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지그장치 110 : 판넬
111 : 홀 120,220 : 높이조절수단
121 : 고정몸체 121a : 숫나사
121b : 수직바가이드공 121c : 자리홈
121d : 너트 121e : 수용공간
121f : 슬라이딩공 122 : 수직바
122a : 걸림홈 122b : 나사공
123 : 스토퍼 123a : 고정레버
123b : 지지편 123c : 삽입돌기
123d : 스프링 123e : 슬라이딩공
123f : 걸림돌기 130,230 : 헤드
131 : 기준편 131a : 체결공
132 : 확장편 132a : 가이드편
132b : 체결공 133 : 케이블이탈방지수단
133a : 회동지지핀 133b : 이탈방지레버
133c : 중첩부 133d : 걸이공
133e : 탄성체 133f : 고정핀
134 : 케이블가압수단 134a : 핀롤러
135 : 케이블지지플레이트 140 : 헤드연결수단
141 : 기준편지지대 142 : 확장편지지대
143 : 체결공 144 : 삽입홈
145 : 숫나사 231 : 헤드몸체
232 : 이탈방지레버 233 : 케이블가압수단
234 : 제1탄성체 235 : 제2탄성체
236 : 지지대 237a : 제1스토퍼
237b : 제2스토퍼

Claims (13)

  1. 일정한 길이와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판넬;
    상기 홀에 결합되어 높이 방향 길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조절수단 상단에 헤드연결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의 가압과 더불어 이탈을 방지케 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한쌍의 기준편과, 상기 기준편의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하부에 가이드편이 형성된 확장편과, 상기 기준편 상단에 배치되어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케이블이탈방지수단과, 상기 확장편 상부에 배치되어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하여 유동을 방지하게 하는 케이블가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탈방지수단은 기준편 사이에서 회동지지핀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이탈방지레버와, 상기 이탈방지레버를 기준편에 대해 탄성지지될 수 있게 연결된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은 코일스프링 및 고무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은 확장편 상부에 마련되는 핀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며 케이블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에는 케이블 삽입시 지지하는 케이블지지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판넬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수직으로 삽입되어 수직방향 슬라이딩 동작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수직 방향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스프링의 지지를 받으며 회전 운동하거나 또는 수평 운동하며 수직바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갖는 헤드몸체와, 상기 헤드몸체 상단에서 제1탄성체의 지지를 받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작하며 삽입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한쌍의 이탈방지레버와, 상기 이탈방지레버 하부에 배치되어 제2탄성체의 지지를 받으며 삽입된 케이블 가압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케이블가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몸체에는 이탈방지레버가 헤드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스토퍼와 케이블가압수단의 상승을 제한하게 하는 제1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몸체는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양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탄성체가이드공과, 상기 탄성체가이드공에 대해 직교하도록 헤드몸체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드홈 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드홈 내의 단부에 제1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가드홈 수직 방향으로 개통되어 제2스토퍼가 결합되는 나사공과, 상기 탄성체가이드공 내에 존재하며 제1스토퍼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레버는 레버몸체 외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탄성체 삽입공과, 상부에 형성되어 제2스토퍼를 안내하는 스토퍼가이드홈과, 한쌍의 이탈방지레버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단차진 단턱부와, 일측에 곡선지게 형성된 제1곡부와 제2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몸체는 제1곡부와 제2곡부 중 제2곡부가 더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가압수단은 가압몸체 상단에 형성되어 제1스토퍼가 안착되는 걸림홈과, 하부에 형성되어 제2탄성체가 걸쳐지는 결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KR1020140152521A 2014-08-08 2014-11-05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KR20160018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451 2014-08-08
KR20140102451 2014-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308A true KR20160018308A (ko) 2016-02-17

Family

ID=5545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521A KR20160018308A (ko) 2014-08-08 2014-11-05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3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431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케이블 안착 지그
CN116742554A (zh) * 2023-08-16 2023-09-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信县供电公司 电力线缆束线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431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케이블 안착 지그
CN116742554A (zh) * 2023-08-16 2023-09-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信县供电公司 电力线缆束线器
CN116742554B (zh) * 2023-08-16 2023-11-14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信县供电公司 电力线缆束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516B2 (en) Electronic equipment mounting angle varying apparatus
KR101252095B1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JP2019527841A (ja) 検査装置
KR20160018308A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US10992067B2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on of an electrical line
KR20160018198A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KR101460493B1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CN110113929B (zh) 可快速拆装的电子信息板固定装置
US7575460B2 (en) IC socket
KR20160018196A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KR20160018197A (ko)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JP6150681B2 (ja) 上プレート付勢ユニットおよ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8456822B2 (en) Support assembly and computer keyboard using the same
JP3821964B2 (ja) Icソケット
JP2013042035A (ja) プレスフィット用押し治具
KR200449223Y1 (ko) 벌브홀더
KR101032777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지그
KR101738621B1 (ko) 보드 일체형 rf 인터포저 유닛 및 이의 설치방법
CN221101915U (zh) 一种手套箱开关结构
CN216723443U (zh) 表带快拆结构
KR20110063944A (ko) 차량용 도어의 릴리스 케이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23051B1 (ko) 부품간의 결합 구조
KR20090021438A (ko)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KR100474163B1 (ko) 전기부품용소켓
CN220753769U (zh) 端子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