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157A -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157A
KR20160018157A KR1020140102342A KR20140102342A KR20160018157A KR 20160018157 A KR20160018157 A KR 20160018157A KR 1020140102342 A KR1020140102342 A KR 1020140102342A KR 20140102342 A KR20140102342 A KR 20140102342A KR 20160018157 A KR20160018157 A KR 20160018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ludge
hole
uni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368B1 (ko
Inventor
박석희
Original Assignee
(주) 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돈호 filed Critical (주) 돈호
Priority to KR102014010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3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되어 원수가 담겨지기 위한 저수공간부를 갖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로 부상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부, 상기 저수탱크의 원수 중 부상된 슬러지가 배출되기 위한 슬러지배출부, 상기 저수탱크의 원수 중 슬러지와 분리된 처리수가 배출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저수탱크의 상측에 위치되되, 이동되는 다수의 스크레이퍼에 의해 부상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배출부로 이동시켜 분리 배출시키는 스크레이핑부, 상기 슬러지배출부가 구비된 저수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레이핑부의 스크레이퍼와 함께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기 위한 탈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원수에서 부상되는 슬러지를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분리된 슬러지를 탈수시켜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Step pressure float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가압부상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원수에서 슬러지를 수중에서 분리 후, 부상시켜 다시 분리하되, 분리 중 탈수시킴에 따라 함수율을 저하시켜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원수에서 부상되는 슬러지를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분리된 슬러지를 탈수시켜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처리란 원수에 용존 및 미립자상태로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이물질을 화학약품 및 미생물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고형화시키고 물리적방법을 이용하여 고형화된 이물질을 분리함으로써,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해내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폐수처리 과정의 방법으로 이전 사용되던 침전방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가압부상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가압부상의 원리는 대기압 상태에서 원수속에 공기가 녹아 용존산소로 존재하고 있는바, 원수를 용기에 넣어 압력을 올린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공기가 대기압 상태보다 많이 녹아 들어가게 되어 용존되지 않고 분자상태로 원수속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력을 대기압상태로 내리게 되면, 물속에 분자상태로 존재하던 공기가 다시 대기로 방출된다.
이를 이용하여 원수에 가압수가 공급되면, 가압수의 미세한 공기와 응집된 슬러지가 엉겨붙어 슬러지는 부력을 가지게 되어, 물 위로 부상을 하게 되고, 부상된 슬러지를 제거하게 된다.
종래 가압부상조를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797197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오폐수(원수)에 공기 분사에 의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부유 이물질의 분리를 활성화하여 부상된 슬러지를 스크레이프장치에 의해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크레이프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슬러지는 함수율이 높은 상태로 배출됨에 따라 다음 공정에서 작업이 길어짐에 따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원수에서 슬러지를 분리배출시키되, 함수율을 저하시켜 배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원수가 담겨지기 위한 저수공간부를 갖는 저수탱크와 이동되는 다수의 스크레이퍼에 의해 부상된 슬러지를 슬러지배출부로 이동시켜 분리 배출시키는 스크레이핑부, 슬러지배출부가 구비된 저수탱크에 구비되어 스크레이핑부의 스크레이퍼와 함께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기 위한 탈수부로 구성되어 원수에서 부상되는 슬러지를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분리된 슬러지를 탈수시켜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되어 원수가 담겨지기 위한 저수공간부를 갖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로 슬러지가 포함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부, 상기 저수탱크의 원수 중 부상된 슬러지가 배출되기 위한 슬러지배출부, 상기 저수탱크의 원수 중 슬러지와 분리된 처리수가 배출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 저면에서 기포를 공급하여 저수공간부에 위치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기 위한 기포발생부, 저수탱크의 상측에 위치되되, 이동되는 다수의 스크레이퍼에 의해 부상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배출부로 이동시켜 분리 배출시키는 스크레이핑부, 상기 슬러지배출부가 구비된 저수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레이핑부의 스크레이퍼와 함께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기 위한 탈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레이핑부는, 상기 탈수부가 위치된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 일단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슬러지배출부와 접한 탈수부의 배출단부 상측에 구비되는 제1회동부,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 타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회동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제2회동부, 상기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탈수부의 유입단부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동부와 동일 수평선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3회동부, 상기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 제3회동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무한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다수 개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에서 부상된 슬러지를 탈수부를 거쳐 슬러지배출부로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제1회동부 또는 제2회동부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부재와 다수의 스크레이퍼를 무한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 제3회동부는, 회동샤프트, 상기 회동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저수탱크에 구비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회동샤프트 중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에 위치된 부분에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회동스프라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동스프라킷은 해당 회동샤프트에 상호 이격되도록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개수는 회동스프라킷의 개수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회동부와 제3회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스크레이퍼가 수평으로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핑구간, 상기 제3회동부와 제1회동부를 제1회동부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크레이퍼를 상향경사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탈수부와 함께 스크레이핑된 슬러지를 탈수시키며 이동시키는 탈수구간, 및 상기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탈수구간을 지난 스크레이퍼를 상기 스크레이핑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대기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회동부를 상기 제2회동부와 제3회동부의 각 회전축을 지나는 수평선상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된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저수탱크에 구비되되, 수평방향으로 장공형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부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브래킷, 상기 설치공이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공 일부와 수직방향 일치되도록 상기 베어링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공과 고정공에 관통되어 체결됨에 따라 상기 베어링부를 고정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제3회동부와 인접한 고정브래킷의 일단부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이 형성된 텐션브래킷, 및 상기 텐션브래킷의 조절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베어링부와 텐션브래킷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연결부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를 상기 텐션브래킷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단부에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재와 함께 베어링부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탈수부는, 상기 제3회동부와 제1회동부를 연결한 상기 연결부재와 평행하도록 하측으로 위치되고,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탈수판, 및 상기 탈수판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탈수공을 통해 탈수된 처리수를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회동부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탈수판의 타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슬러지를 상기 탈수판으로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저수공간부의 수면과 동일한 높이로 처리수가 담겨지기 위한 조절공간부, 상기 조절공간부에 담겨진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한 배수공간부, 상기 조절공간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공간부와 연통시킴에 따라 저수공간부의 처리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 및 상기 조절공간부와 배수공간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되, 상단부에 연통된 배수로가 형성된 조절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저수공간부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조절공간부의 수위가 동일하게 높아짐에 따라 처리수가 상기 조절벽의 배수로를 통해 배수공간부로 배수되어 저수공간부의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벽에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절공간부에 담겨지는 처리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상기 저수공간부의 수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조절벽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의 제1높이조절공이 형성된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도록 조절벽에 구비되는 가이드턱, 상기 조절판의 제1높이조절공 중 어느 부분과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벽에 형성된 제2높이조절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높이조절공과 제2높이조절공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조절판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높이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수공급부가 구비된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 일단부에는 분리벽이 더 구비되되, 상기 분리벽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저수공간부에 저수되는 원수에 잠기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에 의하면, 원수에서 부상되는 슬러지를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분리된 슬러지를 탈수시켜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스크레이핑부의 텐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탈수부와 수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의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스크레이핑부의 텐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의 탈수부와 수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의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10)는 저수탱크(100)와 원수공급부(200), 슬러지배출부(300), 처리수배출부(400), 기포발생부(450), 스크레이핑부(500) 및 탈수부(600)로 구성된다.
저수탱크(10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되어 원수가 담겨지기 위한 저수공간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원수공급부(200)는 저수탱크(100)의 저수공간부(102)로 슬러지가 포함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슬러지배출부(300)는 저수탱크(100)의 원수 중 부상된 슬러지가 배출되기 위해 구비되고, 처리수배출부(400)는 저수탱크(100)의 원수 중 슬러지와 분리된 처리수가 배출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기포발생부(450)는 저수탱크(100)의 저수공간부(102) 저면에서 기포를 공급하여 저수공간부(102)에 위치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스크레이핑부(500)는 저수탱크(100)의 상측에 위치되되, 이동되는 다수의 스크레이퍼(550)에 의해 부상된 슬러지를 슬러지배출부(300)로 이동시켜 분리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탈수부(600)는 슬러지배출부(300)가 구비된 저수탱크(100)에 구비되어 스크레이핑부(500)의 스크레이퍼(550)와 함께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가압부상조(10)에 의하면, 원수에 포함되어 부상된 슬러지가 스크레이핑부(500)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됨은 물론, 스크레이핑 중 스크레이핑부(500)와 탈수부(600)에 의해 탈수되어 슬러지배출부(300)로 배출됨에 따라 탈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원수공급부(200)가 구비된 저수탱크(100)의 저수공간부(102) 일단부에는 분리벽(210)이 형성되되, 이 분리벽(210)에는 다수의 통공(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벽(210)의 상단부는 저수공간부(102)에 저수되는 원수에 잠기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분리벽(2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원수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분리벽(210)에 부딪혀 일부 처리수는 다수의 통공(212)을 통해 저수공간부(102)의 중앙부로 이동되고, 슬러지와 나머지 처리수는 분리벽(21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저수공간부(102)의 중앙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벽(210)은 원수에서 슬러지들을 1차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슬러지들을 분리벽(210)의 상측으로 모은 후, 저수공간부(102)의 중앙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레이핑부(500)를 살펴보면, 제1회동부(510)와 제2회동부(520), 제3회동부(530), 연결부재(540), 스크레이퍼(550) 및 구동부(560)로 구성된다.
제1회동부(510)는 탈수부(600)가 위치된 저수탱크(100)의 저수공간부(102) 일단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슬러지배출부(300)와 접한 탈수부(600)의 배출단부(604) 상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2회동부(520)는 저수탱크(100)의 저수공간부(102) 타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제1회동부(510)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제3회동부(530)는 제1회동부(510)와 제2회동부(520) 사이에 위치되되, 탈수부(600)의 유입단부(602) 상측에 구비되고, 제2회동부(520)와 동일 수평선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부재(540)는 제1회동부(510)와 제2회동부(520), 제3회동부(530)를 동일한 방향으로 무한궤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스크레이퍼(550)는 연결부재(540)에 다수 개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됨에 따라 저수탱크(100)의 저수공간부(102)에서 부상된 슬러지를 탈수부(600)를 거쳐 슬러지배출부(300)로 스크레이핑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560)는 제1회동부(510) 또는 제2회동부(520)를 회전시켜 연결부재(540)와 다수의 스크레이퍼(550)를 무한궤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회동부(510)와 제2회동부(520), 제3회동부(530)는 각각 회동샤프트(512, 522, 532)와 베어링부(514, 524, 534) 및 회동스프라킷(516, 526, 536)으로 구성된다.
베어링부(514, 524, 534)는 회동샤프트(512, 522, 532)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저수탱크(100)에 구비되고, 회동스프라킷(516, 526, 536)은 회동샤프트(512, 522, 532) 중 저수탱크(100)의 저수공간부(102)에 위치된 부분에 연결부재(540)와 연결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각 회동스프라킷(516, 526, 536)은 해당 회동샤프트(512, 522, 532)에 상호 이격되도록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연결부재(540)의 개수는 회동스프라킷(516, 526, 536)의 개수에 대응된다.
그리고 연결부재(540)는 스크레이핑구간(542)과 탈수구간(544) 및 대기구간(546)으로 구성된다.
스크레이핑구간(542)은 제2회동부(520)와 제3회동부(530)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동됨에 따라 스크레이퍼(550)가 수평으로 슬러지를 스크레이핑하게 된다.
또한 탈수구간(544)은 제3회동부(530)와 제1회동부(510)를 제1회동부(510)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크레이퍼(550)를 상향경사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탈수부(600)와 함께 스크레이핑된 슬러지를 탈수시키며 이동시키게 된다.
대기구간(546)은 제1회동부(510)와 제2회동부(520)를 연결하여 탈수구간(544)을 지난 스크레이퍼(550)를 스크레이핑구간(542)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2회동부(520)를 제2회동부(520)와 제3회동부(530)의 각 회전축을 지나는 수평선상을 따라 이동시켜 연결부재(540)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부(570)가 구비된다.
먼저, 베어링부(524)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된 설치공(571)이 형성된다.
그리고 텐션조절부(570)는 고정브래킷(572)과 고정부재(574), 텐션브래킷(576) 및 조절부재(578)로 구성된다.
고정브래킷(572)은 저수탱크(100)에 구비되되, 수평방향으로 장공형태의 고정공(573)이 형성되어 베어링부(524)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고정부재(574)는 설치공(571)이 고정브래킷(572)의 고정공(573) 일부와 수직방향 일치되도록 베어링부(524)가 위치된 상태에서 설치공(571)과 고정공(573)에 관통되어 체결됨에 따라 베어링부(524)를 고정브래킷(572)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텐션브래킷(576)은 제3회동부(530)와 인접한 고정브래킷(572)의 일단부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577)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부재(578)는 텐션브래킷(576)의 조절공(577)에 나사결합되어 베어링부(524)와 텐션브래킷(576)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연결부재(54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베어링부(524)를 텐션브래킷(576)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580)가 고정브래킷(572)의 타단부에 더 구비되어 조절부재(578)와 함께 베어링부(524)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러한 가압부(580)는 조절부재(578)가 베어링부(524)에서 이격될 경우, 이격된만큼 베어링부(524)를 텐션브래킷(576)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이에, 베어링부(524)와 연결된 회동샤프트(522)와 회동스프라킷(526)이 제3회동부(53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연결부재(540)의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탈수부(600)는 탈수판(610)과 배수판(620)으로 구성된다.
탈수판(610)은 제3회동부(530)와 제1회동부(510)를 연결한 연결부재(540)와 평행하도록 하측으로 위치되고, 다수의 탈수공(612)이 형성된다.
또한 배수판(620)은 탈수판(610)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탈수공(612)을 통해 탈수된 처리수를 저수탱크(100)의 저수공간부(102)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3회동부(530)의 하측에 위치된 탈수판(610)의 타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판(630)이 더 구비되어 스크레이퍼(550)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슬러지를 탈수판(610)으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슬러지가 탈수판(610)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저수탱크(100)의 저수공간부(102)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700)가 더 구비된다.
이 수위조절부(700)는 조절공간부(710)와 배수공간부(720), 유입부(730) 및 조절벽(740)으로 구성된다.
조절공간부(710)는 저수공간부(102)의 수면과 동일한 높이로 처리수가 담겨지기 위해 구비되고, 배수공간부(720)는 조절공간부(710)에 담겨진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유입부(730)는 조절공간부(7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저수공간부(102)와 연통시킴에 따라 저수공간부(102)의 처리수가 유입된다.
조절벽(740)은 조절공간부(710)와 배수공간부(720)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되, 상단부에 연통된 배수로(742)가 형성되어 조절공간부(710)에서 넘치는 처리수가 배수공간부(720)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수위조절부(7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저수공간부(102)의 수위가 높아지면 조절공간부(710)의 수위가 동일하게 높아짐에 따라 처리수가 조절벽(740)의 배수로(742)를 통해 배수공간부(720)로 배수되어 저수공간부(102)의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여기서, 조절벽(740)에 높이조절부(750)가 더 구비되어 조절공간부(710)에 담겨지는 처리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저수공간부(102)의 수위를 조절한다.
이 높이조절부(750)는 조절판(752)과 가이드턱(754), 제2높이조절공(746) 및 높이고정부재(748)로 구성된다.
조절판(752)은 조절벽(740)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의 제1높이조절공(753)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턱(754)은 조절판(752)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도록 조절벽(740)에 구비된다.
제2높이조절공(746)은 조절판(752)의 제1높이조절공(753) 중 어느 부분과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조절벽(740)에 형성된다.
또한 높이고정부재(748)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높이조절공(753)과 제2높이조절공(746)에 체결됨에 따라 조절판(75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높이고정부재(748)는 일 실시 예로,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며, 조절판(752)을 조절벽(740)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도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그리고 저수탱크(100) 하단부에는 침전물배출부(350)가 구비되어 침전되는 슬러지를 배출하게 된다.
이 침전물배출부(350)는 저수공간부(102) 하측에 연통되는 침전공간부(104)가 형성되어 원수보다 무거운 슬러지가 침전되면,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원수와 함께 배출시킬 수도 있고, 스크류에 의해 슬러지를 이송시키며 탈수시켜 배출시킬 수도 있다.
10 :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100 : 저수탱크
200 : 원수공급부 300 : 슬러지배출부
400 : 처리수배출부 450 : 기포발생부
500 : 스크레이핑부 510 : 제1회동부
520 : 제2회동부 530 : 제3회동부
540 : 연결부재 550 : 스크레이퍼
560 : 구동부 570 : 텐션조절부
580 : 가압부 600 : 탈수부
610 : 탈수판 620 : 배수판
630 : 가이드판 700 : 수위조절부
710 : 조절공간부 720 : 배수공간부
730 : 유입부 740 : 조절벽

Claims (14)

  1.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되어 원수가 담겨지기 위한 저수공간부를 갖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로 슬러지가 포함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부;
    상기 저수탱크의 원수 중 부상된 슬러지가 배출되기 위한 슬러지배출부;
    상기 저수탱크의 원수 중 슬러지와 분리된 처리수가 배출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 저면에서 기포를 공급하여 저수공간부에 위치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기 위한 기포발생부;
    상기 저수탱크의 상측에 위치되되, 이동되는 다수의 스크레이퍼에 의해 부상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배출부로 이동시켜 분리 배출시키는 스크레이핑부; 및
    상기 슬러지배출부가 구비된 저수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레이핑부의 스크레이퍼와 함께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기 위한 탈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부는,
    상기 탈수부가 위치된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 일단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슬러지배출부와 접한 탈수부의 배출단부 상측에 구비되는 제1회동부;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 타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회동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제2회동부;
    상기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탈수부의 유입단부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동부와 동일 수평선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3회동부;
    상기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 제3회동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무한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다수 개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에서 부상된 슬러지를 탈수부를 거쳐 슬러지배출부로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제1회동부 또는 제2회동부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부재와 다수의 스크레이퍼를 무한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 제3회동부는,
    회동샤프트;
    상기 회동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저수탱크에 구비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회동샤프트 중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에 위치된 부분에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회동스프라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스프라킷은 해당 회동샤프트에 상호 이격되도록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개수는 회동스프라킷의 개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회동부와 제3회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스크레이퍼가 수평으로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핑구간;
    상기 제3회동부와 제1회동부를 제1회동부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크레이퍼를 상향경사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탈수부와 함께 스크레이핑된 슬러지를 탈수시키며 이동시키는 탈수구간; 및
    상기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탈수구간을 지난 스크레이퍼를 상기 스크레이핑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대기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부를 상기 제2회동부와 제3회동부의 각 회전축을 지나는 수평선상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된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저수탱크에 구비되되, 수평방향으로 장공형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부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브래킷;
    상기 설치공이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공 일부와 수직방향 일치되도록 상기 베어링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공과 고정공에 관통되어 체결됨에 따라 상기 베어링부를 고정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제3회동부와 인접한 고정브래킷의 일단부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이 형성된 텐션브래킷; 및
    상기 텐션브래킷의 조절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베어링부와 텐션브래킷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연결부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를 상기 텐션브래킷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단부에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재와 함께 베어링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제3회동부와 제1회동부를 연결한 상기 연결부재와 평행하도록 하측으로 위치되고,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탈수판; 및
    상기 탈수판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탈수공을 통해 탈수된 처리수를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동부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탈수판의 타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슬러지를 상기 탈수판으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부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저수공간부의 수면과 동일한 높이로 처리수가 담겨지기 위한 조절공간부;
    상기 조절공간부에 담겨진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한 배수공간부;
    상기 조절공간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공간부와 연통시킴에 따라 저수공간부의 처리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 및
    상기 조절공간부와 배수공간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되, 상단부에 연통된 배수로가 형성된 조절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저수공간부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조절공간부의 수위가 동일하게 높아짐에 따라 처리수가 상기 조절벽의 배수로를 통해 배수공간부로 배수되어 저수공간부의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벽에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절공간부에 담겨지는 처리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상기 저수공간부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조절벽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의 제1높이조절공이 형성된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도록 조절벽에 구비되는 가이드턱;
    상기 조절판의 제1높이조절공 중 어느 부분과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벽에 형성된 제2높이조절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높이조절공과 제2높이조절공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조절판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높이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KR1020140102342A 2014-08-08 2014-08-08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KR101663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42A KR101663368B1 (ko) 2014-08-08 2014-08-08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42A KR101663368B1 (ko) 2014-08-08 2014-08-08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57A true KR20160018157A (ko) 2016-02-17
KR101663368B1 KR101663368B1 (ko) 2016-10-06

Family

ID=5545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342A KR101663368B1 (ko) 2014-08-08 2014-08-08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3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155B1 (ko) * 2016-04-29 2017-02-24 주식회사 부강테크 부상 분리 시스템
KR101844734B1 (ko) * 2018-01-17 2018-05-18 한순련 부상분리식 하폐수처리장치
KR20180084220A (ko) 2017-01-16 2018-07-25 한국광해관리공단 유가스전 폐수 처리 시스템
KR102163342B1 (ko) * 2020-07-21 2020-10-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탈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686A (ko) 2019-10-17 2021-04-27 대기글로벌(주) 오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67839A (ko)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아쿠아웍스 가압 부상기반의 복합 고액 분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261A (ja) * 1989-06-23 1991-02-04 Toto Ltd 気泡発生浴槽
KR200220721Y1 (ko) * 2000-11-06 2001-04-16 차영희 체인벨트의 장력 조절장치
KR20100023207A (ko) * 2008-08-21 2010-03-04 서경민 부력식 스컴 제거장치
JP2014023980A (ja) * 2012-07-25 2014-02-06 Ebara Corp 加圧浮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261B1 (ja) * 1999-01-28 2000-03-27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261A (ja) * 1989-06-23 1991-02-04 Toto Ltd 気泡発生浴槽
KR200220721Y1 (ko) * 2000-11-06 2001-04-16 차영희 체인벨트의 장력 조절장치
KR20100023207A (ko) * 2008-08-21 2010-03-04 서경민 부력식 스컴 제거장치
JP2014023980A (ja) * 2012-07-25 2014-02-06 Ebara Corp 加圧浮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155B1 (ko) * 2016-04-29 2017-02-24 주식회사 부강테크 부상 분리 시스템
KR20180084220A (ko) 2017-01-16 2018-07-25 한국광해관리공단 유가스전 폐수 처리 시스템
KR101844734B1 (ko) * 2018-01-17 2018-05-18 한순련 부상분리식 하폐수처리장치
KR102163342B1 (ko) * 2020-07-21 2020-10-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탈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368B1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368B1 (ko)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EP08148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non-soluble particles from a liquid
AU2014284885A1 (en) Dissolved air floatation device
US20150291444A1 (en) Rapid flotation device for water laden with suspended matter,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KR100978038B1 (ko) 수위차를 이용한 스컴 분리수단을 갖는 하수, 폐수 오염물질 및 인 처리장치
KR100982833B1 (ko) 하수처리수 고도처리를 위한 용존공기부상형 장치
US8173017B2 (en)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KR100898080B1 (ko) 가압 부상식 여과지
JP4825850B2 (ja) 浮上分離装置、整流装置及び整流装置用分割セル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JP2000117285A (ja) 有機性排水の嫌気性処理装置
KR100302469B1 (ko) 입상활성탄여과지의 활성탄입자 유실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100869312B1 (ko) 오수 부상분리처리조
KR100464716B1 (ko) 수처리 및 폐수처리용 고액분리기
KR102397623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JP2000070922A (ja) 加圧浮上分離装置
EP1388359A1 (de) Kombinierte Klarwasser-Schwimmschlammabzugsvorrichtung
CN112811516A (zh) 一种油水分离装置
KR20140055668A (ko) 드레인 탱크 내의 유수분리 조절장치
Prasad Sedimentation in Water and Used Water Purification
KR200371017Y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JPH0215275B2 (ko)
KR20050005063A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JP4758743B2 (ja) 液中の固形分分離除去装置
CN213865634U (zh) 一种高效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