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557A - 체감 유도형 포셋 및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 Google Patents

체감 유도형 포셋 및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557A
KR20160017557A KR1020140101281A KR20140101281A KR20160017557A KR 20160017557 A KR20160017557 A KR 20160017557A KR 1020140101281 A KR1020140101281 A KR 1020140101281A KR 20140101281 A KR20140101281 A KR 20140101281A KR 20160017557 A KR20160017557 A KR 2016001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sensing
laser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719B1 (ko
Inventor
정순철
김형식
전재훈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셋 및 포셋의 급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가 포셋의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신체 조직에 특정 감각을 유도할 수 있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포셋이 자신의 신체를 감지하여 급수 개시 예정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범위를 그 범위에 따라 둘 이상으로 구별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가 어느 감지범위에 존재하는지에 따라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포셋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체감 유도형 포셋 및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A FAUCET AND METHOD FOR WATER SUPPLYING WITH INDUCED TACTILE SENSE}
본 발명은 포셋 및 포셋의 급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가 포셋의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신체 조직에 특정 감각을 유도할 수 있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포셋이 자신의 신체를 감지하여 급수 개시 예정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에 관한 것이다.
포셋이란 수도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급수제어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포셋으로는 손잡이를 돌려 냉/온수 및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가 존재한다.
한편, 최근에는 낭비되는 물을 줄이고자 절수형 포셋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어 손이 포셋에 접근하는 경우에만 이를 감지하여 급수를 개시하는 방식의 포셋이 많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지형 포셋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이 얼마나 가까이 포셋에 접근시킬 때 급수가 개시되는지, 즉 자신의 손이 포셋에 의해 현재 감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없었는바, 사용자는 필요 이상으로 자신의 손을 포셋 가까이 접근시키는 불편함이 존재해 왔다.
또한, 설치되는 감지형 포셋들은 감지가능 범위 역시 상이한 바, 사용자로서는 자신의 손이 포셋의 감지범위 내에 진입하였는지에 대해 더더욱 혼란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청결하지 못한 포셋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공용세면대, 공용화장실의 경우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도 야기시켜 왔다.
이 건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KR 10-2014-0013648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포셋의 감지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신체의 생체조직에 체감각을 유도할 수 있는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신체 일부가 포셋에 의해 감지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가 가능한 범위에 따라 감지범위를 나누어, 약한 세기의 레이저를 상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포셋의 제1감지범위 외부, 즉 제1감지범위에 비해 보다 광역의 제2감지범위에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로 하여금 신체 일부를 감지범위 내로 이동시킬 수 있게 유도 또는 가이드 할 수 있는 체감 유도형 포셋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체감 유도형 포셋을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발명의 카테고리들은 단어 그 자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살펴볼 기술 사상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은, 사용자 신체가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 사용자 신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조사부; 물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급수관리부; 및 상기감지부, 조사부 및 급수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감 유도형 포셋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조사의 발진 및 정지를 반복하는 펄스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 때 제어부는 상기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속성값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레이저의 속성값은 레이저의 세기, 펄스 폭 또는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감 유도형 포셋에 있어서 감지부는 감지범위 내 사용자 신체의 모션을 인지하고,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인지한 모션에 따라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은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획득부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상기 수온획득부에 의해 감지된 수온과 대응되는 강도의 체감이 유도할 수 있는 레이저 속성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체감 유도형 포셋에 있어서 상기 감지범위는 협역의 제1감지범위 및 광역의 제2감지범위로 구성되고, 제어부는 사용자 신체가 어느 감지범위에 존재하는지에 따라 조사부에 의해 조사되는 레이저의 속성값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은 사용자 신체가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 사용자 신체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 신체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 경우 급수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포셋에 접근시 레이저를 조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신체 일부가 감지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장치의 성능에 따라 감지능력, 감지범위가 달라지더라도 사용자는 이와 무관하게 감지여부를 인지할 수 있어 포셋 이용시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되는 물의 급수정보, 예를 들어 급수량, 수온 등의 정보, 또는 물이 급수되는 시간정보 등을 레이저에 의해 유도되는 사용자 체감각에 반영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단순 감지여부 이외에 기타 급수정보에 대해서도 감각만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셋에서 조사하는 레이저의 속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체감 유도 포셋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감지부가 제1감지범위, 제2감지범위로 나누어 대상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체감 유도형 포셋 내 조사부가 상/하, 좌/우로 운동 가능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체감 유도형 포셋 내 복수 개의 조사부가 어레이 형태로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은 감지부(100), 조사부(200), 급수관리부(3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감지부(100)는 사용자의 신체가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100)는 바람직하게는 광 근접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감지부(100)는 기본적으로 광 방출기 및 광 검출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 방출기는 적외선(IR) 광펄스를 방출하며 광 검출기는 차단 물체 또는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적외선 광펄스를 수신 및 감지함으로써 감지범위 내 사용자의 신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범위란 상기 감지부(100)가 특정 물체의 존재를 감지해 낼 수 있는 한계 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광 근접 센서로 구현된 감지부(100)의 경우 방출된 적외선 광펄스가 손실없이 특정 물체에 반사되어 광 검출기에 도달할 수 있는 한계 범위를 감지범위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감지범위는 그 범위에 따라 두 가지로 구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100)는 제1감지범위, 제2감지범위가 구별된 설정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어느 감지범위에 포함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어느 감지범위 내 사용자 신체 일부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조사부로 하여금 다른 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게 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감지부(100)는 광 근접 센서가 아닌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인식 카메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모션 인식 카메라로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어느 정도 근접해 있는지를 알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신체 일부의 움직임 자체를 인지하여 명령어로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 모션 인식 카메라로 구현된 감지부(10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송신하고, 제어부(500)로 하여금 이를 급수량 조절의 명령어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후 제어부(500)는 급수관리부(300)를 제어하여 수로관을 통과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은 조사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사부(200)는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 사용자 신체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 때 조사되는 레이저는 사용자의 생체 조직에 일정한 체감각을 유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펄스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사부(200)는 세부적으로 펄스 레이저를 생성하여 방출하는 레이저 출력모듈, 펄스 레이저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광필터, 펄스 레이저의 직경을 제어하기 위한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사부(200)의 레이저 출력모듈은 루비 레이저, 네오디뮴:야그 레이저, 네오디뮴:글라스 레이저, 레이저 다이오드, 엑시머 레이저, 색소 레이저 속성의 레이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속성의 레이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사부(200)의 광필터는 레이저의 세기를 2차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레이저의 세기란 레이저가 내포하는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의미한다. 레이저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는 1차적으로 추후에 설명하게 될 제어부(500)에 의해 설정된 값에 따라 정해지며, 2차적으로는 상기 광필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광필터는 레이저의 세기를 감쇄시킬 수 있는 감쇄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이미 생성된 레이저에 대해 세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앞서도 언급하였듯, 포셋 내 감지부(100)는 감지범위의 범위를 달리하여 해당 범위내 사용자 신체의 존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어느 영역에 신체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레이저의 세기를 제어하여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신체가 광역의 제2감지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부(100)가 인지한 경우, 조사부(200)는 약한 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포셋에 의해 감지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이어서 사용자 신체가 협역의 제1감지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부(100)가 인지한 경우, 조사부(200)는 보다 강한 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신체 일부가 급수를 개시시킬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해 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제2감지범위의 설정 및 각 감지범위에서의 신체 일부 존재에 따라 조사되는 레이저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자신의 신체 일부를 포셋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유도 또는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사부(200)는 렌즈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렌즈는 레이저의 직경을 제어하는 데에 이용된다. 상기 렌즈는 레이저를 집속하기 위한 광집속부(볼록렌즈) 및/또는 레이저를 확산시키기 위한 광확산부(오목렌즈)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체감 유도형 포셋의 구성 중 하나인 급수관리부(300)는 물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급수관리부(300)는 물이 통과하는 수관과 연결되고 급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리부(300)는 제어부(500)로부터 전달된 명령에 따라 급수를 개시 또는 종료한다.
한편, 체감 유도형 포셋의 각 기능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수단과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연산 수단은 범용의 중앙연산장치(CPU)일 수도 있고,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도 있다. 또한, 저장 수단으로는 휘발성 메모리 소자,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비휘발성 전자기적 저장 소자가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포셋의 감지부(100), 조사부(200), 급수관리부(300)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조사부(20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의 속성값을 제어할 수 있다.
레이저 속성값이란,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조사를 위한 펄스의 각 속성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2는 펄스 레이저의 각 속성값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어부(500)가 제어할 수 있는 속성값의 종류로는 펄스 크기(Amplitude), 펄스 폭(Width), 주파수(Frequenc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저 속성값들은 펄스 레이저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파라미터들로서, 궁극적으로 제어부(500)는 펄스 레이저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레이저 속성값들 중 펄스 폭(Width)의 조절은 밀리세컨드(ms) 스케일 이하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의 신체 조직에 체감 유발 이외의 조직 파괴 또는 조직 훼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저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는 0.005mJ 이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0.005mJ 미만의 에너지가 내재된 펄스 레이저의 경우 사용자의 피부 조직에 유효한 체감을 유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사용자의 피부 조직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저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는 9.5mJ 이하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은 수로관 내부 수온을 감지하여 획득하는 수온획득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상기 수온획득부(400)와 연계하여 수온과 대응될 수 있는 체감이 사용자 생체 조직에 유도될 수 있도록 레이저의 속성값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온획득부(400)는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어 저장되어 있는 탱크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온과 대응될 수 있는 체감이란 수온이 높을수록 더 높은 크기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가 내재된 레이저를 출력함으로써 유도되는 사용자 생체 조직에서의 체감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렇듯 수온정보를 체감의 강도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급수 개시 이전 물의 온도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은 내부적으로 급수가 진행되는 시간정보를 획득하는 타이머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상기 타이머와 연계하여 현재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는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에 대한 체감이 사용자 생체 조직에 유도될 수 있도록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를 이용해 시간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부(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구현하고 레이저의 조사 타이밍을 제어하여 급수가 진행됨에 따라 레이저의 조사를 좌에서 우로 실시하거나, 레이저의 조사 간격을 달리 하거나 또는 상기 조사부(200)가 직접 숫자 또는 문자 형태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조사부(200)는 복수개가 하나의 어레이(Array) 형태로 집합을 이루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숫자 또는 문자 형태의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레이저의 조사 간격을 달리 하기 위해 레이저 출력을 온/오프 할 수 있는 구성으로는 반도체의 스위칭 부품이 활용될 수 있다.
조사부(200)의 구현예 및 레이저의 조사형태에 대해서는 도 6, 7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체감 유도형 포셋을 이용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포셋을 이용하기 위해 자신의 신체 일부, 예를 들어 손을 접근시키게 되는데, 이 때 감지부(100)는 감지범위 내 상기 대상물이 존재함을 감지하게 된다. (S100)
감지부(100)가 광 근접 센서 또는 모션 인지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내용과 같으며, 광 근접 센서로 구현된 경우에는 감지부(100)에서 방출된 적외선 광펄스가 위 손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모션 인지 카메라로 구현된 경우에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자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거리를 연산해 냄으로써 대상물의 감지범위 내 존재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도 언급하였듯 감지부(100)는 두 개의 다른 범위를 가지는 감지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감지부(100)가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따르면 감지부(100)는 협역의 범위 내 물체의 존재를 인지하는 제1감지범위, 광역의 범위 내를 인지하는 제2감지범위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위의 두 감지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즉 손이 감지되는 경우,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를 달리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손을 협역의 제1감지범위로 접근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사용자가 자신의 손을 제2감지범위로 들인 경우 조사부(200)는 단위 펄스당 에너지가 작은 레이저를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손이 인지가 되고 있음을 알리고, 이 후 사용자가 손을 제1감지범위까지 들인 경우 보다 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가지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포셋에의 접근 정도가 적정함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특정 대상물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이후, 조사부(200)를 제어하여 대상물, 즉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500)는 상기 레이저의 속성값, 즉 펄스 레이저의 크기(Amplitude), 폭(Width), 주파수(Frequency)를 조절(S110)하여 사용자 신체의 생체 조직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레이저가 조사(S120)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셋의 조사부(200)는 앞서도 언급하였듯 상/하, 좌/우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조사부(200)의 일 예로, 서보모터, 초음파 모터(250)가 연결된 조사부(200)를 구현한 것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하, 좌/우 제어가 가능한 구조체에 의해 조사부(200)는 다양한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으며, 포셋은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 바람직하게는 손바닥 또는 손등에 시간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서보모터, 초음파 모터 등의 전동기(250)들은 갈바노미터와 같이 미세 전류를 측정 및 제어할 수 있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셋의 조사부(200)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현한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조사부(200)는 복수개가 하나의 어레이 형태로 집합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하는 경우, 제어부는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숫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별 조사부(200)를 작동시켜 의도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숫자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예로서, 도 6 또는 도 7에 따라 조사부(200)를 구현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은 사용자의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급수가 개시된 때로부터 타이머에 의해 측정한 시간정보를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그 외 수온, 급수량 등 기타 급수정보도 같은 방식으로 전달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감지부(100)는 감지범위 내에 대상물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S130)하여 제어부(5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이를 기초로 급수 개시 여부를 결정하여 급수관리부(300)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500)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신체가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 경우에만 급수를 실시(S140)하도록 급수관리부(300)를 제어하며, 상기 일정 시간 내 사용자 신체가 감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급수 제공 과정을 종료(S150)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도형 포셋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감지부
200 : 조사부 250: 전동기
300: 급수관리부
400: 수온획득부
500: 제어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 사용자 신체 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체성감각을 유도하는 조사부;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관리부; 및
    상기 감지부, 조사부 및 급수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조사의 발진 및 정지를 반복하는 펄스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속성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
  4. 제3항에 있어서,
    속성값은 레이저의 세기, 펄스 폭 또는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
  5. 제1항에 있어서,
    감지부는 감지범위 내 사용자 신체의 모션을 인지하고,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인지한 모션에 따라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
  6. 제3항에 있어서,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획득부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상기 수온획득부에 의해 감지된 수온과 대응되는 강도의 체감이 유도할 수 있는 레이저 속성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범위는 협역의 제1감지범위 및 광역의 제2감지범위로 구성되고,
    제어부는 사용자 신체가 어느 감지범위에 존재하는지에 따라 조사부에 의해 조사되는 레이저의 속성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상/하 또는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복수개가 배열(Array)을 형성하되, 상기 배열 내 하나 이상의 개별 조사부는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
  10. 사용자 신체가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
    사용자 신체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신체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범위 내 존재하는 경우 급수를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KR1020140101281A 2014-08-06 2014-08-06 체감 유도형 포셋 및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KR101654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81A KR101654719B1 (ko) 2014-08-06 2014-08-06 체감 유도형 포셋 및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81A KR101654719B1 (ko) 2014-08-06 2014-08-06 체감 유도형 포셋 및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557A true KR20160017557A (ko) 2016-02-16
KR101654719B1 KR101654719B1 (ko) 2016-09-22

Family

ID=5544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281A KR101654719B1 (ko) 2014-08-06 2014-08-06 체감 유도형 포셋 및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99B1 (ko) * 2019-12-09 2020-09-14 다로스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 기반의 급수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3987B2 (en) 2020-08-31 2023-03-14 Kraus Usa Plumbing Llc Lighting system for fixtures and applianc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485A (ja) * 1999-10-26 2001-05-08 Inax Corp Led付水栓器具
JP2008248668A (ja) * 2007-03-30 2008-10-16 Toto Ltd 自動洗面器
JP2009293264A (ja) * 2008-06-04 2009-12-17 Inax Corp 照明機能付の自動水栓
KR20130015816A (ko) * 2011-08-05 2013-02-14 고 건 호 접근유도기능을 가진 자동수세식소변기
KR20140013648A (ko) 2012-07-26 2014-02-05 주식회사 맥스포 전자 감지식 수도꼭지를 이용한 절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485A (ja) * 1999-10-26 2001-05-08 Inax Corp Led付水栓器具
JP2008248668A (ja) * 2007-03-30 2008-10-16 Toto Ltd 自動洗面器
JP2009293264A (ja) * 2008-06-04 2009-12-17 Inax Corp 照明機能付の自動水栓
KR20130015816A (ko) * 2011-08-05 2013-02-14 고 건 호 접근유도기능을 가진 자동수세식소변기
KR20140013648A (ko) 2012-07-26 2014-02-05 주식회사 맥스포 전자 감지식 수도꼭지를 이용한 절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99B1 (ko) * 2019-12-09 2020-09-14 다로스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 기반의 급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719B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648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control of ultrasound treatment
KR101074882B1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US10918450B2 (en) Controlling a laser surgical device with a sensation generator and a gesture detector
CN102639079A (zh) 用于通过光处理人或动物组织的设备和方法
KR101478162B1 (ko) 휴대형 피부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60045762A1 (en) Displacement-based control of a skin treatment device
JP2009028267A (ja) 光照射美容器具
KR20120066286A (ko) 광선치료 장치 및 방법
KR102038425B1 (ko) 초음파 피부미용장치
KR101654719B1 (ko) 체감 유도형 포셋 및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US9839790B2 (en) Laser therapy device
KR101811830B1 (ko) 라이트 펜 디스펜서
KR20210046617A (ko) 피부침투장치 및 피부침투방법
JP2009028275A (ja) 光照射美容器具
KR102032936B1 (ko)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KR101648854B1 (ko) 펄스 레이저를 이용한 체성감각 유도장치
EP2148614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kin
KR101340359B1 (ko) 촉감 조절을 위해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340361B1 (ko) 광-기계적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20004749A (ko) 광 치료 장치
JP2016540554A (ja) 皮膚組織への光結合を提供する皮膚治療装置
KR101654730B1 (ko) 자기 자극을 이용한 체감 유도형 포셋
KR101867077B1 (ko) 펄스 레이저를 이용한 체감유도형 시계
KR20140103227A (ko) 비데 및 비데에서의 사용자인식방법
JP201552233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