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936B1 -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936B1
KR102032936B1 KR1020170020829A KR20170020829A KR102032936B1 KR 102032936 B1 KR102032936 B1 KR 102032936B1 KR 1020170020829 A KR1020170020829 A KR 1020170020829A KR 20170020829 A KR20170020829 A KR 20170020829A KR 102032936 B1 KR102032936 B1 KR 102032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unit
generating unit
nail
toe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560A (ko
Inventor
이용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9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며,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손톱 또는 발톱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손톱 또는 발톱에 광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착용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NAIL OR TOENAIL STIMULATION DEVICE}
본원은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좀은 무좀균으로 알려진 피부 곰팡이(곰팡이 일종)가 피부의 각질층에 파고들어 생기는 피부병이다. 방치할 경우 손발톱 안까지 파고들어 누렇고 딱딱하게 변형되며, 재발이 잦고 치료가 쉽지 않아 환자들이 고충이 심한 대표적인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손톱 또는 발톱 관련 질환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는 약물치료, 레이저 치료, 자외선 치료와 같은 치료법이 있다. 특히, 손톱 또는 발톱 관련 질환 치료를 위해 약물을 이용하는 약물치료법은 체질에 따라 때때로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손톱 또는 발톱 같은 부위의 치료에 있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치료 장치가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0967(공개일: 2011.05.1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톱 또는 발톱에 자기장 및 광을 조사하여 비침습적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자극할 수 있는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착용 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자극할 수 있는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손톱 또는 발톱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손톱 또는 발톱에 광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의 형태 또는 자기장이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태는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의 크기, 지름 및 두께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은 자기장 크기, 자기장 지속 시간, 자기장 인가 주기 및 자기장 유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 발생부는 복수의 광 발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은 원형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광 발생 유닛은 상기 원형코일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형코일은 중앙이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되되, 상기 광 발생 유닛은 상기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발생 유닛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유형의 광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기장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는 복수의 이동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유닛 각각은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을 상기 손톱 또는 발톱을 기준으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는 복수의 이동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유닛 각각은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을 상기 손톱 또는 발톱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을 이동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이 이동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이 서로 다르게 이동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 주기 및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상기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이 서로 다른 자기장 특성을 갖도록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기장 특성은 전압, 전류, 자기장 자극 세기, 자극 시간, 자극 모드, 자극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복수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기장 또는 광의 발생과 관련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자기장 또는 광의 발생과 관련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가 고정 또는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광 발생부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 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자기장 발생부 및 광 발생부를 통해 손톱 또는 발톱에 자기장 및 광을 조사하여 비침습적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자극할 수 있는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자기장 발생부 및 광 발생부를 자동적으로 손톱 또는 발톱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자극할 수 있는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자기장 발생부 및 광 발생부를 통해 손톱 또는 발톱에 자기장 및 광을 조사함으로써, 감염된 손톱 또는 발톱을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류 개선 및 재생을 촉진할 수 있는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를 개괄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유닛 및 광 발생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원의 자기장 발생부, 광 발생부 및 이동부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자기장 발생 유닛 및 광 발생 유닛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자기장 발생부 및 광 발생부를 내부에 포함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를 개괄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는 자기장 발생부(110) 및 광 발생부(120)를 포함하고, 자기장 발생부(110) 및 광 발생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손톱 또는 발톱에 자기장 또는 광을 인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손톱 또는 발톱에는 비침습적이고 무구속적으로 자기장이 제공될 수 있고, 자기장과 함께 광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의 도면기호 (a)를 참조하면,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복수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도면기호 (b)를 참조하면,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가락이 위치하는 복수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복수의 공간은 제1공간 내지 제5공간의 개별적 공간으로 이격 될 수 있고, 각각의 공간 즉, 제1 공간에는 사용자의 제1손가락 또는 제1 발가락이 위치할 수 있다. 제2공간에는 사용자의 제2손가락 또는 제2 발가락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오른손(오른발) 또는 왼손(왼발)이 구분되지 않도록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10)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 종류에 따라 상호 간에 형태 또는 발생 자기장을 달리할 수 있다. 이때, 형태는 자기장 발생 유닛(10)의 크기, 지름 및 두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의 자기장은 자기장 크기, 자기장 지속 시간, 자기장 인가 주기 및 자기장 유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1손가락(엄지손가락) 또는 제1발가락(엄지발가락)은 일반적인 손톱 또는 발톱 중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는 제1 자기장 발생 유닛(10)은 상대적으로 자기장 발생 유닛의 지름이 넓고, 두께가 두꺼운 자기장 발생 유닛(1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5손가락(새끼손가락) 또는 제5발가락(새끼발가락)은 일반적인 손톱 또는 발톱 중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는 제5 자기장 발생 유닛(10)은 크기 및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자기장 발생 유닛(10)이 구비 될 수 있다.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는 복수의 광 발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발생부(120)는 복수의 광 발생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 발생 유닛(20) 각각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 종류에 따라 크기 또는 유형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제1 손가락 또는 제1 발가락에 대응하는 제1 광 발생 유닛(20)은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제5손가락(새끼손가락) 또는 제5발 가락(새끼발가락)에 대응하는 크기에 따라 제5 광 발생 유닛(20)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작은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는 자기장 발생부(110), 광 발생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10)는 손톱 또는 발톱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10)는 제어 신호 또는 새로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이 서로 다른 자기장 특성을 갖도록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자기장 특성은 전압, 전류, 자기장 자극 세기, 자극 시간, 자극 모드, 자극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자기장 발생 유닛(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손톱 또는 발톱을 향해 조사되어, 감염된 손톱 또는 발톱 내에 발병된 무좀균(피부사상균)에 작용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제어부(130)에서 자기장 발생부(110)를 제어하기 위해 생성하는 신호로, 보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광 발생부(120)는 손톱 또는 발톱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제어 신호 또는 새로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 발생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유닛 및 광 발생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a)는 자기장 발생 유닛 (110) 및 광 발생 유닛 (120) 의 결합도를 나타내고, 도 2(b)는 자기장 발생 유닛 (10) 및 광 발생 유닛 (20) 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자기장 발생 유닛 (10) 에는 원형코일(11) 및 2개의 코일 가이드(12,13) 가 포함될 수 있다. 광 발생 유닛 (20) 은 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 유닛(10)은 자기장 제어 신호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손톱 또는 발톱에 자기장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기장 발생 유닛(1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은 펄스 전자기장(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일 수 있다. 펄스 전자기장의 주파수는 8hz 내지 30 hz까지 가변 될 수 있으며, 생화학적 치료효과에 부합하는 주파수에 기초한 펄스 전자기장이, 사용자의 감염된 손톱 또는 발톱에 조사됨으로써, 손톱 또는 발톱 내에 발병된 무좀균(피부사상균)을 적어도 일부 파괴 및 억제하여 효과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개의 코일 가이드(12,13)는 일예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원형 코일(11)은 2개의 코일 가이드(12,13) 각각과 직교하도록 2개의 코일 가이드(12,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원형코일(11)은 중앙이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 유닛(10)에 포함된 원형코일(11) 및 코일 가이드(12)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일예로, 코일가이드(12)는 직경이 10mm, 15mm, 20mm, 25mm 등일 수 있으며, 원형코일 중앙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홀의 직경은 5mm, 6mm, 7mm, 8mm 등일 수 있다. 또한, 코일 가이드(12) 사이의 간격, 즉 원형코일(11)의 높이는 일예로 8mm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구체적인 수치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발생 유닛(20)은 원형코일(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광 발생 유닛(20)은 상기 원형코일(11)의 중앙에 관통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광 발생 유닛(20)은 발광소자로서,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나 원적외선 엘이디(L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 발생 유닛(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저출력 레이저 치료(LLLT: Low level laser therapy)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데, 저출력 레이저 치료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 기술로서, 그 효과는 이미 증명되어 현재 여러 의료 분야에서 인체에 무해한 효과적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저출력 레이저 치료의 개발 당시에는 저출력 레이저로서 He-Ne 레이저가 이용되었으나, 최근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나 엘이디(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저출력 레이저는 출력이 1~500mW 정도로, 열을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광에너지(photo energy)를 이용한다. 저출력 레이저는 열을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 어떠한 다른 손상 없이 피부의 표면을 투과하여 광 에너지만을 신체 내부로 전달하게 된다. 레이저 광선을 흡수한 신체 세포들은 광 에너지를 세포의 손상을 치유할 수 있는 화학적인 에너지로 전환시키며, 이에 따라 상처나 궤양의 치유 촉진, 피부 이식편의 생착 촉진, 통증 치료 등에 이용되고 있다.
예시적으로, 광 발생 유닛(20)으로 이용 가능한 LED 광원을 살펴보면, LED는 반도체에 전극을 가할 경우 빛을 내는 발광체로서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깔을 나타내며, 이때 파장의 범위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는 각기 다른 치료 효과가 발휘된다.
즉, 원자외선(UV-C)은 100nm~280nm 파장 범위로서 살균 및 청정작용 효과가 있고, 중자외선(UV-B)은 280nm~320nm 파장 범위로서 비타민 D 형성, 백반증 및 건선 치료 효과가 있으며, 근자외선(UV-A)은 320nm~400nm 파장 범위로서 아토피 피부염 치료, 경피증 및 진균증 치료 등의 효과가 있다. 가시광선은 400nm~780nm 파장 범위로서 신생아 황달 치료, 여드름 기미 치료, 피부 개선 시신경 치료, 우울증 심미 치료, 세포 활성화 등의 효과가 있고, 근적외선(IR-A)은 780nm~2.5㎛ 파장 범위로서 통증 치료 완화, 피부 재생 촉진, 수술 후 환부 봉합 촉진, 혈액 순환 촉진 등의 효과가 있으며, 중적외선(IR-B)은 2.5㎛~50㎛ 파장 범위로서 의학분야에 이용되어 통증 치료, 온열 치료, 근골격계 치료 등의 효과가 있으며, 원적외선(IR-C)은 50㎛~1mm 파장 범위로서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이처럼,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파장의 범위에 따라 신체에 미치는 효과가 각기 다르며,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실시예로는 치료 목적 혹은 사용자가 지닌 병변에 따라 그에 적합한 파장을 방출하는 광원을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병변의 일 유형으로서 손톱 또는 발톱의 무좀을 예시하였다.
무좀은 무좀균으로 알려진 피부사상균(곰팡이 일종)이 피부의 각질층에 파고들어 생기는 피부병으로, 방치할 경우 손발톱 안까지 파고들어 누렇고 딱딱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는 자기장 및 광을 감염된 손톱 또는 발톱에 선택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무좀균(피부사상균)을 적어도 일부 파괴 및 억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경 및 혈관을 자극하여 감염된 손톱 또는 발톱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는 제어부(130), 센서부(140), 입력부(150), 출력부(160) 및 이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자극 정보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110) 및 광 발생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자극 정보는 입력부(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값, 자기장 또는 광의 발생 즉 자극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자극 정보는 전압, 전류, 자기장 자극 세기, 자극 시간, 자극 모드, 자극 빈도,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10)의 이동 위치 및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10)의 이동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광 자극 정보는, 광 발생 유닛(20)의 광 자극 세기, 자극 시간, 자극 모드, 자극 빈도, 광 발생 유닛(20)의 이동 위치 및 상기 광 발생 유닛(20)의 이동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전압 및 전류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정보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11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자극 세기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자기장 또는 광 자극 세기 및 자극 부위에 대한 자극 정보로서, 약, 중, 강 등과 같이 자극의 세기를 단계별로 세분화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원하는 부위를 자극하도록 이동 또는 왕복 및 반복이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자극 시간에 대한 설정 정보로서, 자기장 발생부(110) 또는 광 발생부(120)를 통해 자기장 또는 광 자극이 가해지는 시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극 시간은 1분, 3분, 10분, 1시간 등과 같이 분 단위 및 시간 단위 등으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150)는 자극 모드에 대한 자극 정보로서, 모드로서N 펄스 자극 모드, S 펄스 자극 모드, N 펄스와 S펄스의 교번 자극 모드, N 펄스 연속 자극 모드 및 S 펄스 연속 자극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장 발생 유닛(10)은 N 펄스 자극, S 펄스 자극, N펄스와 S 펄스의 교번 자극, N 펄스 연속 자극 및 S 펄스 연속 자극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 또는 복수의 광 발생 유닛(20)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을 포함한 자기장 발생부(110) 및 복수의 광 발생 유닛(20)을 포함한 광 발생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극 정보에 기초하여 자기장 및 광의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극 정보는 출력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예를 들어 LCD, LED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원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부(150)가 출력부(160)와 별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부(160)가 출력부(16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출력부(160) 상에 제공되는 입력부(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터치 패널)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극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센서부(14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110) 및 광 발생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여부를 감지하는 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따른 하중, 온도, 부피 또는 압력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측정 센서)는 예를 들어, 압력 감지 센서, 광센서, 온도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손톱 또는 발톱에 자기장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자기장 발생부(110) 및 이동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부(170)는 자기장 발생 유닛(10) 또는 광 발생 유닛(2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170)는 제어 신호 또는 새로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이 서로 다르게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새로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부(170)는 손톱 또는 발톱에 대응하는 위치가 아닌 자기장 발생 유닛(10) 또는 광 발생 유닛(20)을 손톱 또는 발톱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110)는 손톱 또는 발톱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광 발생부(110)는 손톱 또는 발톱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 주기 및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은 일예로, 제1 자기장 발생 유닛(10)은 하방향으로 2번 이동하는 것 일 수 있고, 제2 자기장 발생 유닛(10)은 전방향으로 1번 후방향으로 1번 반복적인 주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3 자기장 발생 유닛(10)은 초기값 상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10)는 제어 신호 또는 새로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이 서로 다른 자기장 특성을 갖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자기장 특성이란, 전압, 전류, 자기장 자극 세기, 자극 시간, 자극 모드, 자극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원의 자기장 발생부, 광 발생부 및 이동부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부(170)는 홀더 유닛(171), 제1이동 유닛(173), 제2이동유닛(1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 유닛(173) 은 자기장 발생 유닛(10)을 이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이동 유닛(173))은 자기장 발생 유닛(10)이 이동하는 가이드레일(1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유닛(174)은 광 발생 유닛(20)을 이동시키는 모터부 및 가이드레일(1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홀더 유닛(171)은 자기장 발생 유닛 (10) 및 광 발생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유닛(171)은 자기장 발생 유닛(10) 및 광 발생 유닛(20)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기장 발생 유닛(10) 및 광 발생 유닛(20)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2)은 홀더 유닛(171) 및 제2 이동 유닛(174)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홀더 유닛(171) 및 제2 이동 유닛(174)은 가이드 레일(172) 및 가이드 레일(172)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1 이동 유닛(173)은 자기장 발생 유닛(10)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이동 유닛(174)은 광 발생 유닛(2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170)는 자기장 발생 유닛(10) 또는 광 발생 유닛(2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동 유닛 (173) 은 자기장 발생 유닛(10)을 이동시키고, 제2 이동 유닛(174)은 광 발생 유닛(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 방향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 끝이 가리키는 방향 즉 하우징 내측 면을 향하는 방향 일 수 있다. 후 방향은 사용자의 몸쪽 방향 즉,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100)의 입구 방향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부(170)는 제1이동 유닛(173) 및 제2이동 유닛(174)을 포함하되, 제1이동 유닛(173) 및 제2이동 유닛(174) 각각은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을 손톱 또는 발톱을 기준으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홀더 유닛(171) 각각은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을 손톱 또는 발톱을 기준으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는 것 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 방향은 지면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하 방향은 지면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자기장 발생 유닛 및 광 발생 유닛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40)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110) 및 광 발생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자기장 발생부(110)가 고정 또는 제1방향(예를 들어, 전 방향 한번 이동)으로 이동될 때, 광 발생부(120)를 제2방향(예를 들어, 후 방향으로 두 번 이동)으로 이동시키도록 자기장 발생부(110) 및 광 발생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자기장 발생 유닛(10)이 고정되어 있는 동안 광 발생 유닛(20)이 상방향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사하거나, 자기장 발생 유닛(10)이 구동되는 동안에는 광 발생 유닛(20)의 구동이 멈춰있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 내의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 및 복수의 광 발생 유닛(20)의 형태는 각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의 제1 손가락(제1손톱, 엄지손톱)에 대응하는 제1 자기장 발생 유닛(10)의 제어 신호는 제1신호(2초간 반복적으로 발생)일 수 있고, 제1 광 발생 유닛(20)의 제어 신호는 제2신호(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제2손가락(제2손톱, 검지손톱)에 대응하는 제2 자기장 발생 유닛(10)의 제어 신호는 제3신호(동작하지 않음)일 수 있고, 제2 광 발생 유닛(10)의 제어 신호는 제4신호(원적외선 강의 세기 발생)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이 인체공학적인 구조로 형성된 경우, 일반적인 손톱 또는 발톱 치료기에 비해 자기장 발생 유닛(10) 및 광 발생 유닛(20)이 사용자의 손톱 또는 발톱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손톱 또는 발톱에 발병된 무좀균(피부사상균)을 효과적으로 적어도 일부 파괴 또는 억제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다.
도 7에 도시된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의 구동 방법은 앞서 설명된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7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는,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자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는 입력부(15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자극 정보는 전압, 전류, 자기장 자극 세기, 자극 시간, 자극 모드, 자극 빈도,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의 이동 위치 및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의 이동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720에서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는 단계 S710에서 수신된 자극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을 포함하는 자기장 발생부(110) 및 이동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는 단계 S710에서 수신된 자극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광 발생 유닛(20)을 포함하는 광 발생부(120) 및 이동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는 단계 S710에서 수신된 자극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을 포함하는 자기장 발생부(110) 및 이동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어부(130)에서 자기장 발생 유닛(10)에 대응하는 변화에 기초하여, 자기장 발생부(110) 및 이동부(170)에 대응하는 새로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10)에 대응하는 변화는 압력이되, 센서부(140)의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이동부(170)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1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각각이 서로 다른 이동 위치 또는 이동 주기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10) 각각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110)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 및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및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및 광 발생 유닛 각각이 서로 다른 자기장 및 광 특성을 갖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부(110) 및 광 발생부(120)를 통해 상기 자기장 및 광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상기 자기장 특성은, 전압, 전류, 자기장 자극 세기, 자극 시간, 자극 모드, 자극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톱 또는 발톱 장치(100)의 구동 방법은, 센서부(140)에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는 온도 센서, 모션센서, 초음파 센서, 압력 감지 센서, 광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40은 본원의 구현 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식 기관 자극 장치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110: 자기장 발생부
10: 자기장 발생 유닛
120: 광 발생부
20: 광 발생 유닛
130: 제어부
140: 센서부
150: 입력부
160: 출력부
170: 이동부
171: 홀더 유닛
172: 가이드 레일
173: 제1 이동 유닛
174: 제2 이동 유닛

Claims (20)

  1.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톱 또는 발톱에 제 1 주파수 내지 제 2 주파수까지 가변이 가능한 펄스 전자기장(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을 포함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손톱 또는 발톱에 제 1 출력 내지 제 2 출력까지 광 출력이 가능하고, 저출력 레이저 치료를 위한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 발생 유닛을 포함하는 광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하우징;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부; 및
    상기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이동 유닛; 및
    상기 광 발생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이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상기 손톱 또는 발톱의 위치 또는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가 사용자의 손톱 또는 발톱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이동 유닛 및 상기 제 2 이동 유닛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동 유닛 및 상기 제 2 이동 유닛 각각을 손톱 또는 발톱을 기준으로 상, 하, 전, 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제어 신호 또는 새로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을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자기장 특성이 발생하도록 상기 자기장을 달리 발생하되,
    상기 자기장 특성은,
    전압, 전류, 자기장 자극 세기, 자극 시간, 자극 모드, 자극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의 형태 또는 자기장이 서로 상이한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는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의 크기, 지름 및 두께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은 자기장 크기, 자기장 지속 시간, 자기장 인가 주기 및 자기장 유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은 원형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광 발생 유닛은 상기 원형코일 내에 위치하는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코일은
    중앙이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되되,
    상기 광 발생 유닛은 상기 홀에 삽입되는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발생 유닛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유형의 광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을 이동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 유닛이 이동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이 서로 다르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자기장 발생 유닛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 주기 및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복수의 공간을 포함하는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기장 또는 광의 발생과 관련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자기장 또는 광의 발생과 관련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가 고정 또는 제 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광 발생부를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인,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KR1020170020829A 2017-02-16 2017-02-16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KR102032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29A KR102032936B1 (ko) 2017-02-16 2017-02-16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29A KR102032936B1 (ko) 2017-02-16 2017-02-16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60A KR20180094560A (ko) 2018-08-24
KR102032936B1 true KR102032936B1 (ko) 2019-11-29

Family

ID=6345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829A KR102032936B1 (ko) 2017-02-16 2017-02-16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610B1 (ko) * 2018-10-24 2021-04-15 이윤희 손발톱용 젤네일 제거 밴드 및 손발톱용 젤네일 시술 장치
KR102166174B1 (ko) * 2019-06-12 2020-10-15 (주)보우메디텍 발톱 자극 장치
KR102220201B1 (ko) * 2019-07-30 2021-02-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기장 및 광을 이용한 말초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684A (ja) * 2005-12-12 2007-06-28 Ekbo Kk 指先刺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67A (ko) * 2002-11-18 2004-05-24 나재흠 자기치료장치
KR100589229B1 (ko) * 2004-09-20 2006-06-19 문승열 침·뜸의 자동 시술장치 및 그 방법
KR101747958B1 (ko) * 2015-04-07 2017-06-15 주식회사 디알메디칼 귀속 치료 장치 및 귀속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612330B1 (ko) * 2015-07-27 2016-04-14 주식회사 디알메디칼 비염 치료 장치 및 비염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684A (ja) * 2005-12-12 2007-06-28 Ekbo Kk 指先刺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60A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6609B2 (ja) ハンドヘルド式低レベルレーザー治療機器
KR100546080B1 (ko) 레이저와 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탈모치료기
KR102032936B1 (ko)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EP1839705A1 (en) Transcutaneous laser therapy patch
KR101450762B1 (ko)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및 방법
WO2006099413A2 (en) Devices, methods and kits for radiation treatment via a target body surface
KR101598665B1 (ko) 피부개선 및 발모용 광 요법 장치
KR101122679B1 (ko) 안면 피부 트러블 개선 및 치료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1811830B1 (ko) 라이트 펜 디스펜서
US20200108268A1 (en) Photo-therapeutic method and apparatus
US20120172949A1 (en) Skin radiation apparatus
KR101725149B1 (ko) 광 자극 브래지어
WO2010013259A1 (en) Device for suction-kneading massage
CN201578768U (zh) 一种多波长半导体激光治疗机
KR101724080B1 (ko) 레이저 조사 유닛과 전자기장 발생 유닛을 결합한 피부 및 두피 관리 장치
KR102097047B1 (ko) Led를 이용한 광치료 장치
KR101777166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좀 치료기
KR20110118039A (ko) 다방향 광 조사가 가능한 광 치료장치
JP2016516545A (ja) 複数アパーチャのハンドヘルド型レーザ治療装置
KR20190119942A (ko) 광마사지기
KR101092121B1 (ko) 광도파로가 연결된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이용한 모발 관리 광원
KR20210099786A (ko) 4가지 파장을 조합한 반려동물 전용 led 살균 및 미용 조사 시스템
KR101724079B1 (ko)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두피 관리 장치
KR101769392B1 (ko) 파장형 led조사기구
KR200320001Y1 (ko)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피부 미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