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174B1 - 발톱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발톱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174B1
KR102166174B1 KR1020200070289A KR20200070289A KR102166174B1 KR 102166174 B1 KR102166174 B1 KR 102166174B1 KR 1020200070289 A KR1020200070289 A KR 1020200070289A KR 20200070289 A KR20200070289 A KR 20200070289A KR 102166174 B1 KR102166174 B1 KR 102166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oenail
foot
light source
ath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호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보우메디텍
김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우메디텍, 김태우 filed Critical (주)보우메디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5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치료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넓은 치료 면적을 제공하는, 광을 이용하는 무좀 치료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을 이용하는 무좀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발판; 제1 또는 제2파장의 빛을 발판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1광원; 상기 제1광원의 빛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크기의 광치료 영역으로 조사되는 빔을 생성하는 광학계; 상기 발판을 통과한 빛을 상기 발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무좀 치료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톱 자극 장치{TOENAIL STIMUL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좀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 및 펄스 자기장을 이용하는 무좀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성인 사이에서 아주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무좀(조갑진균증)이다. 우리 나라 전체 인구의 1/4이 무좀을 가지고 있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로, 무좀은 매우 흔한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무좀을 치료하기 위해, 성인들은 약물을 복용하거나 약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약물 중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약물이 케토코나졸인데, 최근 케토코나졸이 간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위험이 발견되어 사용중단이 권고되었으며, 미국 및 유럽에서는 이미 판매 및 사용이 금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약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의 경우, 무좀균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고 재발된 경우 무좀균의 내성에 의해 보다 강력한 약물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광을 환부에 조사하여 무좀을 치료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상용화된 제품이 출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광이 조사되는 면적 즉, 광치료 면적이 협소하고 시술자가 직접 환자의 발에 광을 조사해야하는 번거로움 등이 존재하여, 대중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50967호가 있다.
본 발명은 광 및 펄스 자기장을 이용하는 무좀 치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무좀 치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치료 면적을 제공할 수 있는 무좀 치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발판; 제1 또는 제2파장의 빛을 발판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1광원; 상기 제1광원의 빛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크기의 광치료 영역으로 조사되는 빔을 생성하는 광학계; 상기 발판을 통과한 빛을 상기 발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무좀 치료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좀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시에 넓은 무좀 환부에 대해 빛의 조사가 가능하므로, 치료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치료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톱 무좀 증상이 심한 발톱에 집중적으로 광 또는 펄스 자기장을 조사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광과 함께 펄스 자기장을 함께 환부로 조사함으로써, 치료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치료 면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에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색상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는, 무좀균을 제거하고 피부 재생을 도울 수 있는 광을 사용자의 발로 조사하여 무좀을 치료한다. 이 때, 조사되는 빛은, 특정 포인트 형태나 라인 형태로 사용자의 발에 조사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크기의 면적을 갖는 광치료 영역에 조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시에 다양하고 넓은 무좀 환부에 대해 빛의 조사가 가능하므로, 치료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는, 발등 방향 및 발바닥 방향 즉, 양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무좀을 치료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발바닥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해 별도의 광원을 이용하지 않고, 발등 방향으로 조사된 빛 중 일부를 반사시켜, 발바닥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치료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치료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에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100)는 제1광원(110), 발판(120), 광학계(130), 반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제1광원(110)은 제1 또는 제2파장의 빛을 조사한다. 제1광원(110) 아랫쪽에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발판(120)이 위치하며, 제1광원(110)은 발판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사용자의 발등보다는 발가락 및 발톱이 무좀의 주요 환부이므로, 제1광원(110)은 사용자의 발가락 및 발톱으로 제1파장의 빛 및 제2파장의 빛를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일실시예로서, LED가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1광원(110)은 실선으로 표시된 제1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제1LED와 점선으로 표시된 제2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제2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무좀이 치료될 수 있도록 고출력(High Power) LED가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LED는 900nw의 고출력 LED, 제2LED는 400nw의 고출력 LED일 수 있다.
제1파장은 자외선 대역의 파장일 수 있으며, 제1파장의 빛은 피부 및 발톱에 존재하는 무좀균을 제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1파장은 405nm일 수 있다.
제2파장은 적외선 대역의 파장일 수 있으며, 제2파장의 빛은 피부 깊숙이 침투한 무좀균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면역 반응을 향상시킴으로써, 치료 성능을 향상시키고 피부 및 발톱의 재생을 도울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2파장은 635nm일 수 있다.
발판(120)에는 사용자의 발(121)이 위치하게 되며, 유리와 같이, 광원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광원의 빛이 반사되지 않고 많은 양의 빛이 발판(120)을 투과할수록, 후술되는 반사부(140)에 의해 발바닥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많아질 수 있으므로, 발바닥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많아질 수 있도록, 임계 투과율 이상으로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코팅층이 발판(120)에 포함될 수 있다.
광학계(130)는 제1광원(110)의 빛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크기의 광치료 영역으로 조사되는 빔을 생성한다. 일실예로서, 광학계(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에 조사되는 빔의 형상이 미리 설정된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이 되는 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의 발에 대한 광치료 영역(210), 즉 직사각형의 크기는 가로 130mm, 세로 100mm일 수 있다. 렌즈 등의 다양한 광학 소자가 광학계로 이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광치료 영역(210)의 크기 또는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 전체와, 발가락 전체 그리고 발등 일부를 포함하는 크기 또는 형상일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광치료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은 발톱 일부와 발가락 일부를 포함하는 크기 또는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별로 발의 크기, 형상 등이 다르기 때문에, 광치료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남자인 경우의 광치료 영역의 크기, 즉 광치료 면적은, 사용자 여성인 경우의 광치료 면적보다 넓을 수 있으며, 광학계(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광치료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거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계(130)는 광치료 영역 내에서의 빛의 세기의 편차가 줄어들 수 있도록, 광치료 영역에서의 빛의 최대 세기와, 광치료 영역에서의 빛의 최소 세기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가 되는 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치료 영역에 포함되는 발가락 및 발톱에 균일하게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환부에 대한 치료 효과의 편차도 줄어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치료 영역의 중심에서의 빛의 세기가 최대를 나타내므로, 광학계(130)는 광치료 영역에서의 빛의 최소 세기가 광치료 영역의 중심에서의 빛의 세기의 80% 수준이 되도록, 광치료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부(140)는 발판(120) 하부에 위치하며, 광원의 빛 중에서 발판을 투과한 빛(111, 112)을, 발판(12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거울이 반사부(140)로 이용될 수 있나 실시예에 따라서, 볼록 거울 및 평면 거울도 반사부(140)로 이용될 수 있다. 반사부(140)는 실시예에 따라서, 오목 거울, 볼록 거울 및 평면 거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 증착된 플라스틱 기판이 이러한 거울로 이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반사부(140)는 발판(120)을 투과한 빛을 발가락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며, 반사부(140)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입사되는 위치는 후술되는 제어부(15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무좀 치료 장치를 제어하며, 일실시예로서, 제1파장 및 제2파장의 빛의 조사 패턴을 조절하거나 반사부(140)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발에 입사되는 면적 또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제1 및 제2파장의 빛이 동일한 크기의 광치료 영역으로 동시에 조사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파장의 빛이 번갈아 조사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파장의 빛의 조사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제1 및 제2파장의 빛이 조사되는 시간을 조절하거나, 제1 및 제2파장의 빛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의 광치료 영역으로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반사부(130)에 결합된 액츄에이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반사부(140)의 위치 또는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반사부(140)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발에 입사되는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주요 무좀 환부가 발가락 아랫쪽보다는 발바닥 중심쪽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150)는 반사되는 빛이 발바닥 중심쪽에 입사되도록, 반사부(140)를 발바닥 중심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는 LED를 제어하는 LED 드라이버, LED의 방열을 위한 히트 싱크 및 치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발(오른발), 조사되는 빛의 세기, 잔여 치료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색상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좀 치료 장치(400)는 이동 스테이션(460) 및 펄스 자기장 모듈(471 내지 4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펄스 자기장 모듈(471 내지 473)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동 스테이션(460)에는 비전 센서와, 제2광원이 배치되며, 실시예에 따라서 펄스 자기장 모듈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스테이션(460)은, 비전 센서, 제2광원 및 펄스 자기장 모듈을 이동시켜, 비전 센서의 촬영 위치, 제2광원 및 펄스 자기장 모듈의 조사 위치를 조절한다.
비전 센서는 사용자의 발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2차원 카메라, 3차원 스캐너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다. 비전 센서는 이동 스테이션(46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며, 사용자의 발을 스캐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비전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톱 위치를 추정하며, 사용자의 발톱 무좀 증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2광원의 빛이 무좀이 발생한 발톱에 조사될 수 있도록 이동 스테이션(460)을 제어한다.
이동 스테이션(460)은, 발톱 무좀 증상이 발생한 발톱 방향으로 제2광원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2광원을 이동시킨다. 일실시예로서, 이동 스테이션(460)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서, 발톱 무좀 증상이 임계 증상 이상인 발톱 방향으로 제2광원의 빛 및 펄스 자기장 모듈의 펄스 자기장이 조사되도록 제2광원 및 펄스 자기장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엄지 발가락에 임계 증상 이상의 심한 발톱 무좀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50)는 이동 스테이션(460)에 배치된 제2광원이 엄지 발가락 위에 위치하도록 이동 스테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제2광원은 제1광원(110)과 같이, 제1 또는 제2파장의 빛을 사용자의 발톱으로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일실시예로서, 발톱의 색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톱 무좀 증상을 분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발톱은 분홍색 색상을 띄나, 무좀 증상이 있는 발톱의 경우,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 변색되기 때문에, 발톱의 색상으로부터 발톱 무좀 증상이 분석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비전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발톱 영역을 검출하고, 발톱의 색상을 분석한다. 제어부(150)는 발톱에 포함된 색상 중에서, 미리 설정된 색상 예컨대, 흰색, 노란색 및 분홍색에 대한 색상값을 계산하고, 발톱 영역 중 흰색, 노란색 및 분홍색 영역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색상값은 예컨대 RGB 색 공간에 대한 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발톱 전체에서 포함된 흰색 및 노란색이 존재하는 영역의 비율이 임계 비율 이상이거나, 흰색 및 노란색의 색상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발톱 무좀 증상이 임계 증상 이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펄스 자기장 모듈(471 내지 473)은 사용자의 발로 펄스 자기장(PEMF)를 조사하며, 반사부(140)의 비반사면(142)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140)는 제1광원(110)의 빛을 발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141)과, 비반사면(142)을 포함하며, 펄스 자기장 모듈(471 내지 473)이 발판(120)과 반사면(141)에 배치될 경우, 펄스 자기장 모듈(471 내지 473)에 의해 광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펄스 자기장 모듈(471 내지 473)은 비반사면(14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발로 조사되는 펄스 자기장은 발 및 발톱의 표면 뿐만 아니라 내부 세포 단위까지 자극을 제공하며, 발의 혈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혈류량 증가는 무좀 증상이 억제와 발톱의 재생에 효과가 있다. 펄스 자기장은 제1광원의 빛이 조사되는 동안 조사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서 1~100hz 300gauss의 세기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펄스 자기장은 투자율이 높은 금속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므로, 반사부(140)는 투자율이 낮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톱 무좀 증상이 심한 발톱에 집중적으로 광 또는 펄스 자기장을 조사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과 함께 펄스 자기장을 함께 환부로 조사함으로써, 치료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480)는 발톱 무좀 증상의 시간에 따른 변화 패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변화 패턴 정보는 일예로서 시간 흐름에 따른 무좀 증상의 완화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무좀 증상의 정도는 전술된 색상값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제어부(150)는 발톱에 포함된 색상 중에서, 미리 설정된 색상에 대한 색상값의 변화 그래프를, 변화 패턴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발톱 무좀의 증상 개선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힘든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무좀 증상의 완화 정도를 나타내는 변화 패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치료 의지를 고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환자의 치료 의지를 더욱 고양시키기 위해 1차적으로 계산된 색상값을 2차적으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0)는 제1시점에서의 색상값과, 제1시점 이후인 제2시점에서의 색상값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차이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증가시켜 변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과거인 제1시점에서 획득된 발톱 영상의 색상값과 현재인 제2시점에서 획득된 발톱 영상의 색상값의 차이를 계산한 후 차이를 의도적으로 증가시켜 변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차이값이 증가한다는 것은, 무좀 상의 개선 정도가 증가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만큼 증가되지 않은 그래프(510)와 비교하여,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만큼 증가된 그래프(520)의 증감폭이 보다 커지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그래프를 통해 무좀 증상이 보다 완화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완화 정도가 커진 것으로 인식한만큼 사용자의 치료 의지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스테이션은 제1레일부(461, 462), 제2레일부(463, 464) 및 슬라이딩부(465)를 포함한다.
제2레일부(463, 464)는 제1레일부(461, 462) 상에서 이동하며, 슬라이딩부(465)는 제2레일부(463, 464) 상에서 이동한다. 그리고 제2레일부(463, 464) 및 슬라이딩부(465)의 이동을 위해 액츄에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제2레일부(463, 464)는 제1레일부(461, 462)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1레일부(461, 462)에서 이동한다. 제2레일부(463, 464)가 제1레일부(461, 46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나 슬라이딩 구조체가 제1 및 제2레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465)는 제2레일부(463,464)에서 이동하며, 비전 센서 및 제2광원이 슬라이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펄스 자기장 모듈이 슬라이딩부(465)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465)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레일부(463,464)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부(465)에 배치된 제2광원 및 펄스 자기장 모듈은, 타겟 환부로 이동하여 타겟 환부에 빛이나 펄스 자기장을 조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슬라이딩부(465)는 제2레일부(463, 46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격되거나, 제2레일부(463, 464)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광원 및 펄스 자기장 모듈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여 타겟 환부에 빛이나 펄스 자기장을 조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발판;
    제1 또는 제2파장의 빛을 발판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1광원;
    상기 제1광원의 빛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크기의 광치료 영역으로 조사되는 빔을 생성하되, 상기 광치료 영역에서의 빛의 최대 세기와, 상기 광치료 영역에서의 빛의 최소 세기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가 되는 빔을 생성하는 광학계;
    상기 발판을 통과한 빛을 상기 발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상기 사용자의 발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비전 센서;
    상기 영상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발톱의 색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톱 무좀 증상을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발톱 무좀 증상의 시간에 따른 변화 패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톱에 포함된 색상 중에서, 미리 설정된 색상에 대한 색상값의 변화 그래프를 상기 변화 패턴 정보로 생성하되, 제1시점에서의 색상값과, 상기 제1시점 이후인 제2시점에서의 색상값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상기 차이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증가시켜 상기 변화 그래프를 생성하는
    발톱 자극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부의 위치 또는 자세를 조절하여,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상기 발에 입사되는 면적의 크기 또는 위치를 조절하는
    발톱 자극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파장의 빛은, 번갈아가며 상기 발판 방향으로 조사되는
    발톱 자극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치료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은
    발톱 및 발가락 전체 또는 발톱 및 발가락 일부를 포함하는 크기 또는 형상인,
    발톱 자극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파장의 빛을 상기 사용자의 발톱으로 조사하는 제2광원; 및
    상기 비전 센서 및 상기 제2광원를 이동시키는 이동 스테이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톱 위치를 추정하ㄴ는,
    발톱 자극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스테이션은, 상기 발톱 무좀 증상이 임계 증상 이상인 발톱 방향으로 상기 제2광원의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제2광원을 이동시키는
    발톱 자극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스테이션은
    제1레일부;
    상기 제1레일부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레일부에서 이동하는 제2레일부; 및
    상기 제2레일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비전 센서 및 상기 제2광원이 배치된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는 발톱 자극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비반사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펄스 자기장 모듈; 및
    상기 이동 스테이션에 배치되는 제2펄스 자기장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발톱 자극 장치.
KR1020200070289A 2019-06-12 2020-06-10 발톱 자극 장치 KR102166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495 2019-06-12
KR20190069495 2019-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174B1 true KR102166174B1 (ko) 2020-10-15

Family

ID=7288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289A KR102166174B1 (ko) 2019-06-12 2020-06-10 발톱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1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0967A (ko) * 2009-11-09 2011-05-17 엄장환 자외선을 이용한 무좀치료기
KR101485388B1 (ko) * 2013-02-28 2015-01-26 주식회사 오션 레이저 피부 미용 장치
KR101615434B1 (ko) * 2014-06-03 2016-04-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족피부질환 평가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3368A (ko) * 2015-12-18 2017-06-28 (주)디오시스 족부궤양 광치료장치
KR20180094560A (ko) * 2017-02-16 2018-08-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0967A (ko) * 2009-11-09 2011-05-17 엄장환 자외선을 이용한 무좀치료기
KR101485388B1 (ko) * 2013-02-28 2015-01-26 주식회사 오션 레이저 피부 미용 장치
KR101615434B1 (ko) * 2014-06-03 2016-04-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족피부질환 평가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3368A (ko) * 2015-12-18 2017-06-28 (주)디오시스 족부궤양 광치료장치
KR20180094560A (ko) * 2017-02-16 2018-08-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손톱 또는 발톱 자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7201B2 (ja) 放射線ベースの皮膚科治療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6863997B2 (ja) 脱毛装置
KR102364395B1 (ko) 진피 기미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47446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non-ablative laser treatment of dermatologic conditions
US8518094B2 (en) Precisely guided phototherapy apparatus
US9962557B2 (en) Aesthetic treatment device and method
JP2021007780A (ja) 皮膚処理装置
KR101950362B1 (ko) 3차원 스캐닝 기술 및 피드백을 이용한 광 감응성 피부질환 자외선 표적 광선 치료 장치 및 방법
US20220071491A1 (en) Light irradiation device
JP2004519303A (ja) 保護された放射出力開口を有する皮膚処理装置
EP2890323B1 (en) Aesthetic treatment device and method
US9901746B2 (en) Skin radi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6526408A (ja) 皮膚特性のための測定装置、及び、非侵襲的処理装置
US20230405355A1 (en) Image guided laser therapy
KR102166174B1 (ko) 발톱 자극 장치
US20170209709A1 (en) Light treatment apparatus
US11980773B2 (en) Tunable light source
US10617564B1 (en) Area scanning photomedicine device and method
US20120239017A1 (en) Optical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5102931A (ja) 皮膚血流改善用光照射装置
KR20220157539A (ko) 자외선살균장치
KR20240014204A (ko) 레이저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0474A (ko) 3차원 스캐닝 기술을 이용한 피사체 자외선 표적 광선 치료 방법 및 시스템
JPWO202011223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