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534A - 장작패기장치 - Google Patents

장작패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534A
KR20160017534A KR1020140101228A KR20140101228A KR20160017534A KR 20160017534 A KR20160017534 A KR 20160017534A KR 1020140101228 A KR1020140101228 A KR 1020140101228A KR 20140101228 A KR20140101228 A KR 20140101228A KR 20160017534 A KR20160017534 A KR 2016001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wood
splitter
base plate
pl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훈
Original Assignee
조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훈 filed Critical 조상훈
Priority to KR102014010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534A/ko
Publication of KR2016001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7/00Arrangements for splitt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7/00Arrangements for splitting wood
    • B27L7/02Arrangements for splitting wood using rotating members, e.g. rotating screws
    • B27L7/04Conical screw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생산,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면서 장작을 용이하게 쪼갤 수 있고 별도의 후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효율적인 장작패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고정하는 모터프레임에 감속기를 일체로 가지고 정,역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감속기모터와, 상기 감속기모터의 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을 형성한 스플리터바디와, 상기 스플리터바디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나선형의 스크류를 형성하여 장작을 파고들면서 쪼개는 뾰족한 형태의 첨예부로 구성되어 장착되는 스플리터와, 상기 감속기모터 반대 위치의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장작을 안치하여 스플리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가동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장작패기장치{FIREWOOD SPLITTING DEVICE}
본 발명을 장작패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나 찜질방 또는 아궁이에 화력을 발생시키도록 공급하기 위한 장작을 기계적으로 만들수 있도록 한 장작패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난방을 위한 화목보일러, 전통적인 난방수단인 아궁이 화력발생 또는 조리나 야영시 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장작인데, 이러한 장작을 만들기 위해서는 톱으로 목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도끼를 이용하여 목재를 작은 크기로 쪼개어 만들었다.
상기와 같이 장작을 인력으로 패는(절단)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장기간 장작패기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근골격계의 이상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장작을 패는 과정에서 나무와 도끼가 잘못된 위치선정이나 연접(부딪침)으로 인하여 나무 또는 도끼가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튀어 주변의 물품을 손상시키는 것은 물론 작업자 또는 주변의 사람과 부딪칠 경우에는 신체를 손상시키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장작을 기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작패기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장작패기장치(1)는, 하부플레이트(2)의 후미에 주식으로 세워지는 서포팅플레이트(3)의 상부에 상부플레이트(4)를 고정하여 프레임(5)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의 일측에는 작업하고자 하는 장작(6)을 밀착시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판(7)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7) 대향 위치의 하부플레이트(2)에는 압착판(8)을 가지는 압축실린더(9)를 설치하여 장작(6)을 고정판(7)과 함께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4)의 전방에 설치되는 수평이동레일(10)에 이동블록(11)을 결합하고, 상기 이동블록(11)에는 하향 돌출되게 실린더(12)을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2)의 로드(13) 끝단에는 장작(6)을 쪼갤 수 있도록 쇄기(14)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특허 제 10 - 1152383 - 0000 호 특허 제 10 - 1248002 - 0000 호 특허 제 10 - 1272698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276609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장작패기장치는, 장작을 길이방향으로 눕혀논 상태에서 위에서 힘으로 눌러서 쪼개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유압으로 쇄기를 가압한다 하여도 장작을 쉽게 반으로 쪼개는 것은 어렵게 된다.
이는 장작의 축방향 단면을 가압할 경우에는 나무결에 의하여 쉽게 쪼개어질 수 있으나 장작의 길이방향으로 쇄기를 가압하게 될 경우에는 장작을 파고들어가는 것도 힘이 들뿐 아니라 완전하게 2등분 상태로 쪼개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장작이 쪼개어진 상태에서 인출하여 후 작업으로 완전하게 등분하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장작이 완전하게 쪼개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후작업시에는 인력에 의하여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때문에 전용의 장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작업에 따르는 작업자의 피로도 가중은 물론, 일부 쪼개어진 장작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하여 신체적인 손상을 입게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게 된다.
그리고, 장작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고정된 장작을 쪼개기 위하여 쇄기를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유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압라인을 구축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유지 및 관리에도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장작을 연료로 사용하는 곳이 도심보다는 외곽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감안하고, 기름이나 가스 등과 같은 연료의 보급이 어려운 지역임을 고려할 때 이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생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어 대외적인 경쟁력이 취약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고정하는 모터프레임에 감속기를 일체로 가지고 정,역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감속기모터와, 상기 감속기모터의 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을 형성한 스플리터바디와, 상기 스플리터바디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나선형의 스크류를 형성하여 장작을 파고들면서 쪼개는 뾰족한 형태의 첨예부로 구성되어 장착되는 스플리터와, 상기 감속기모터 반대 위치의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장작을 안치하여 스플리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가동수단으로 구성하여;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생산,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면서 장작을 용이하게 쪼갤 수 있고 별도의 후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효율적인 장작패기를 수행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를 이용하여 장작을 용이하게 쪼갤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효율성을 높이면서 장작패기장치의 생산원가와 설치 및 유지비용을 줄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이도록 하고, 장작의 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적은 힘으로도 나뭇결 방향으로 완전하게 쪼갤 수 있어 별도의 후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를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를 이용하여 장작을 패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를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를 이용하여 장작을 패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장작패기장치(100)는, 개략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1)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사방 모서리 저면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토퍼기능을 가지는 캐스터(102)를 장착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 일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모터프레임(103)을 고정하고 감속기를 일체로 가지고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감속기모터(105)를 장착한다.
상기 감속기모터(105)의 축(106)에는 장작(107)을 쪼갤 수 있도록 스플리터(Splitter, 108)를 장착하고, 상기 스플리터(108)는 축(106)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09)을 형성한 스플리터바디(110)와, 상기 스플리터바디(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실질적으로 장작(107)을 쪼개는 뾰족한 형태의 첨예부(111)로 구성한다.
상기 첨예부(111)의 외표면에는 장작(107)을 용이하게 뚫고 침투하여 벌리면서 쪼갤 수 있도록 나선형상의 스크류(112)를 더 형성하는 데, 상기 스크류(112)는 일반적인 볼트에 형성되는 형태보다 더 큰 피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장작(107)을 용이하게 파고들어 벌려서 쪼갤 수 있을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감속기모터(105) 반대 위치의 베이스플레이트(101) 상부에는 쪼개고자 하는 장작(107)을 안치하여 스플리터(108)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장작(107)을 쪼개고 난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가동수단(115)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수단(115)은, 장작(107)을 올려놓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플레이트(116)와 상기 수평플레이트(116)의 끝단(스플리터와 반대 방향의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쪼개어지는 장작을 받치는 수직플레이트(117)를 고정한 이동판(118)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116)는,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동기(120)와 연결하여 스플리터(108) 방향으로 장작(107)을 안치하여 왕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동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저면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양단에서 베어링으로 유지되는 스크류바(121)를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바(121)의 일측에는 구동체인기어(122)를 고정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정,역작동하는 이동모터(123)의 축에 설치되는 원동체인기어(124)와 체인(125)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크류바(119)에는 스크류블록(126)을 결합하여 수평플레이트(116)의 저면과 고정시켜 이동판(118)을 스플리터(108) 방향으로 왕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중앙에는 스크류블록(126)의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개방홈(127)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판(118)을 구성하는 수평플레이트(116)의 저면에는 안정된 상태의 왕복이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1)와 협조되게 엘엠가이드, 가이드바와 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가이드를 더 설치하거나 가이드롤러를 설치하여 스크류바(119)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의 유동(롤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어느 한 곳에서 상방으로는 콘트롤박스를 더 구비하여 스플리터(108)를 작동시키는 감속기모터(105)와 이동판(118)을 왕복시키는 이동모터(112)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를 가지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장작패기장치(100)를 이용하여 장작(107)을 쪼개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판(118)에 쪼개고자하는 장작(107)을 직립되게 또는 눕힌 상태로 유지시킨 후 이동모터(123)와 감속기모터(105)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이동모터(123)에 의하여 이동판(118)이 스플리터(108)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판(118)의 지속적인 이동으로 장작(107)의 중심부를 스플리터(108)가 파고들어가게 되므로 양분되어 장작패기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작(107)의 패기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이동모터(123)와 감속기모터(105)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스플리터(108)가 장작(107)과 연접(미세한 상태의 결합 또는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은 상태)되어 있더라도 장작(107)과 스플리터(108)가 분리되고, 장작(107)을 안치하고 있던 이동판(118)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장작(107)과 스플리터(108)는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장작(107)을 이동판(118)에 안치시킨 후 스플리터(108)로 전진시켜 절반으로 쪼개어 장작패기를 기계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플리터(108)와 가동수단(115)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플리터(108)의 작동은 감속기모터(105)를 작동시킴으로서 축(106)에 결합된 스플리터바디(11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장착(107)을 파고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게 되며, 스플리터바디(110)의 선단에 형성된 첨예부(111)와 첨예부(111)에 더 형성한 스크류(112)에 의하여 장작(107)을 용이하게 파고들어 쪼갤 수 있고 또한 장작(107)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동수단(115)의 작동은,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바(121)를 이동모터(123)와 구동 및 원동체인기어(123,124)와 체인(125)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바(121)에 결합된 스크류블록(126)에는 이동판(118)을 구성하는 수평플레이트(116)의 저면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에는 장작(107)을 안치한 이동판(118)이 스플리터(108)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장작패기장치는 어느곳에서나 연결가능한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생산,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면서 장작을 용이하게 쪼갤 수 있고 별도의 후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장작패기장치 101; 베이스플레이트
105; 감속기모터 108; 스ㅍ플리터
111; 첨예부 112; 스크류
115; 가동수단 118; 이동판
120; 가동기 123; 이동모터
126; 스크류블록 127; 개방홈

Claims (2)

  1.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 일측에 고정하는 모터프레임(103)에 감속기를 일체로 가지고 정,역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감속기모터(105)와;
    상기 감속기모터(105)의 축(106)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09)을 형성한 스플리터바디(110)와, 상기 스플리터바디(1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나선형의 스크류(112)를 형성하여 장작(107)을 파고들면서 쪼개는 뾰족한 형태의 첨예부(111)로 구성되어 장착되는 스플리터(108)와;
    상기 감속기모터(105) 반대 위치의 베이스플레이트(101) 상부에 장작(107)을 안치하여 스플리터(108)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가동수단(115)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패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수단(115)은, 장작(107)을 올려놓고 유지할 수 있는 수평플레이트(116)와 상기 수평플레이트(116)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고정하는 수직플레이트(117)로 구성하는 이동판(118)과;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저면에 설치되어 이동판(118)을 스플리터(108)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가동기(120)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저면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바(121)와;
    원동체인기어(124)를 가지고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저면에 설치되어 스크류바(121)의 일측에 고정된 구동체인기어(122)와 체인(125)으로 연결하여 스크류바(121)를 정,역 회전시키는 이동모터(123)와;
    상기 수평플레이트(116)의 저면에 고정되어 스크류바(119)와 결합되는 스크류블록(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패기장치.
KR1020140101228A 2014-08-06 2014-08-06 장작패기장치 KR20160017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28A KR20160017534A (ko) 2014-08-06 2014-08-06 장작패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28A KR20160017534A (ko) 2014-08-06 2014-08-06 장작패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534A true KR20160017534A (ko) 2016-02-16

Family

ID=5544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228A KR20160017534A (ko) 2014-08-06 2014-08-06 장작패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5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6806A (zh) * 2018-08-30 2019-01-11 湖州吴兴久虹机械有限公司 一种分裂锥劈装置
KR200491728Y1 (ko) * 2019-10-28 2020-06-05 김형수 캔 압착기능을 갖는 유압식 장작도끼 장치
KR102315692B1 (ko) 2021-07-06 2021-10-22 고희호 장작 패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609Y1 (ko) 2002-02-26 2002-05-25 변덕규 장작 절단기
KR101152383B1 (ko) 2010-05-31 2012-06-05 노윤한 장작 절단기
KR101248002B1 (ko) 2013-01-21 2013-04-03 이충세 장작 절단장치
KR101272698B1 (ko) 2013-01-16 2013-06-10 (주)삼호엔씨티 장작 쪼개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609Y1 (ko) 2002-02-26 2002-05-25 변덕규 장작 절단기
KR101152383B1 (ko) 2010-05-31 2012-06-05 노윤한 장작 절단기
KR101272698B1 (ko) 2013-01-16 2013-06-10 (주)삼호엔씨티 장작 쪼개는 장치
KR101248002B1 (ko) 2013-01-21 2013-04-03 이충세 장작 절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6806A (zh) * 2018-08-30 2019-01-11 湖州吴兴久虹机械有限公司 一种分裂锥劈装置
KR200491728Y1 (ko) * 2019-10-28 2020-06-05 김형수 캔 압착기능을 갖는 유압식 장작도끼 장치
KR102315692B1 (ko) 2021-07-06 2021-10-22 고희호 장작 패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7534A (ko) 장작패기장치
CN207823841U (zh) 一种汽车配件加工用安全型锻压机
CN204640562U (zh) 一种符合绿色施工的墙体砌块立杆剪切机
CN207543699U (zh) 市政园林花圃自动修剪机
CN203171856U (zh) 一种桥式切石机
CN205834376U (zh) 一种自动化裁断机
KR101748429B1 (ko) 사각형 홈 타공기
KR20110131660A (ko) 장작 절단기
CN2578080Y (zh) 石材翻转装置
CN204397968U (zh) 一种手工剪切工具
CN207807986U (zh) 一种劈木机
CN208494470U (zh) 一种移动式木材捣碎机
CN204892817U (zh) 全自动钢筋剪断器的剪切头
KR200496008Y1 (ko) 장작 쪼개는 장치
CN205950920U (zh) 电动液压十字花格机
CN204382366U (zh) 一种豆腐切块机刀具调节结构
CN104300409A (zh) 便携式多用途施工工具及其操作方法
CN214867395U (zh) 一种双头打孔单元及门窗型材打孔装置
CN203901495U (zh) 一种预应力空心板切割机
CN203918461U (zh) 钢圆棒等离子切割断料机
CN218837005U (zh) 一种储气罐生产用剪板机
KR200491728Y1 (ko) 캔 압착기능을 갖는 유압식 장작도끼 장치
CN207256586U (zh) 一种便捷式切割机
CN212577636U (zh) 一种灭火器瓶身切边装置
CN203697332U (zh) 自动切除潜浇口进胶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