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203A -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203A
KR20160017203A KR1020140098600A KR20140098600A KR20160017203A KR 20160017203 A KR20160017203 A KR 20160017203A KR 1020140098600 A KR1020140098600 A KR 1020140098600A KR 20140098600 A KR20140098600 A KR 20140098600A KR 20160017203 A KR20160017203 A KR 20160017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tunnel
tunnel unit
cylindrical portion
concrete structure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3543B1 (en
Inventor
문형석
서승일
사공명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9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543B1/en
Publication of KR2016001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5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3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assembled from sections individually sunk onto, or laid on, the water-bed, e.g. in a preformed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first and second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s which are consecu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ubmerged floating tunnel and hav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through parts in the centers there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 submerged floating tunnel is described as follows. The first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is formed in a triple structure of a first inner cylinder part, a first intermediate cylinder part, and a first outer cylinder part. A first uneven part is formed in one end of the first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The second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is formed in a triple structure of a second inner cylinder part, a second intermediate cylinder part, and a second outer cylinder part. A second uneven part engaged with the first uneven part is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and supporting force of the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s is improved by forming the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s in a triple structure and forming the uneven parts in the connection parts of the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Background Art] [0002] A connecting structure of a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본 발명은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해중 터널을 구성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부위의 구조를 개선하여 해중 터널 단위체들을 견고하게 연결 설치하면서도 단순한 구성으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water tunnel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water tunnel unit which improves the structure of a connection portion of a submarine tunnel unit,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water tunnel unit which can maintain a strong bonding force.

일반적으로 해양 바닥, 강 또는 하천의 바닥을 지나가는 해저 터널에는, 터널 함체를 수중 바닥에 침설하거나, 또는 수중바닥에 설치한 기초 구조물 위에 얹어 물속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해저 터널이 제공되고 있다. In submarine tunnels, which generally pass through the bottoms of marine floors, rivers or streams, submarine tunnels are provided in which the tunnel enclosure is submerged on the underwater floor or placed on a foundation structure installed underwater and crossing the water.

이와 같은 형태의 해저 터널은, 해저 암반 속을 굴착하는 형태와는 달리, 수중 바닥 위에 안착되거나 수중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터널 함체를 물속에 가라앉힌 형태로 이루어진다.Unlike the type of excavating in the sea bed, this type of submarine tunnels is mounted on the underwater floor or across water, and the precast tunnel enclosure is submerged in water.

한편, 최근에는 건설 비용 및 건설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해중 터널이 연구되고 있다.Recently, underwater tunnels supported by buoyancy that can minimiz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have been studied.

즉, 수중 일정 깊이에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해중 터널이 건설됨으로써, 해상의 파도나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육상에서 제작한 후 수중에서 조립하므로 건설 비용 및 건설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constructing an underwater tunnel supported by buoyancy at a certain depth in the wat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since it is assembled in the sea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waves or winds.

이와 같은 해중 터널의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7795호 및 제0797796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Examples of such underwater tunnel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797795 and 0797796.

이때, 종래 해중 터널은 통상 해중 터널 단위체의 사이에 실링부재를 설치하고, 해중 터널 단위체의 단부를 이웃한 해중 터널 단위체의 단부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한다.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underwater tunnel, a sealing member is usually provided between the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and the end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body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underwater underwater tunnel unit body by wires.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해중 터널 연결방법은, 해중 터널 단위체의 단부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여서 조류에 의한 변형이나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연결작업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underwater tunnel connect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end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is connected directly, and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deformation or leakage due to algae, and a long operation time because of difficult connection work have.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0797795호Reference 1: Registration No. 0797795 참고문헌 2 : 등록특허 제0797796호Reference 2: Registration No. 0797796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중 터널을 구성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부위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널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켜 해중 터널을 좀더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of a connection portion of an underwater tunnel unit body constituting an underwater tunnel and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water tunnel unit which enables installation of a tunnel unit.

또한, 본 발명은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연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water tunnel unit which improves the coupling force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underwater tunnel units and can shorten a connection operation time between underwater tunnel units.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해중 터널을 구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1 내측 원통부와 제1 중간 원통부 및 제1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2 내측 원통부와 제2 중간 원통부 및 제2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과 맞물리는 제2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Wherein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cylindrical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tunnel portion,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being continuously connected to constitute an underwater tunnel and having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through- Wherein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is formed of a triple structure of a first inner cylindrical section and a first outer cylindrical section, wherein first unevennes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And a second uneven portion engaging with the first irregularities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The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according to claim 1, to provide.

이때, 상기 제1 내측 원통부와 제1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one end of the first inner cylindrical portion and the first outer cylindrical portion, first irregularities of a wavy pattern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irst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first irregularities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2 내측 원통부와 제2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concavo-convex shape having a wavy patter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second inner cylindrical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cylindrical portion, and a second concavo-convex shape having a wavy pattern in the cross- Is formed.

또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에는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may hav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end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and a second protrusion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And both ends of the supporting wire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이때,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1 지지부 표면으로 제1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1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has a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아울러,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2 지지부 표면으로 제2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2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may have a second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through a second support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그리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복수를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과 나란하게 동심원상으로 복수가 배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so as to be concentrically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And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structure.

또한,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돌출부에는 제1 지지공이 형성되고,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돌출부에는 제2 지지공이 형성되어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support hole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and a second support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to fix both ends of the support wire.

그리고, 상기 지지용 와이어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ing wire is a steel wire.

본 발명에 따르면, 해중 터널 단위체를 3중 구조로 형성하고 그 연결부위에 요철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nderwater tunnel unit is formed into a triple structure, and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r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s thereof, so that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reby enhancing the bonding force and supporting force between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특히, 해중 터널 단위체의 내측 및 외측 원통부의 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내측 및 외측 원통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원통부의 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더욱 향상되도록 하여 해중 터널을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Particularly, wavy pattern irregulariti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ends of the inner and outer cylindrical portions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wavy irregularities are formed in the end portions of the middle cylindrical portion locat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cylindrical portions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bonding force and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underwater tunnel units, and thus the underwater tunnel can be more firmly installed.

아울러,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부위에 볼트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고 지지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서 연결부위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용 와이어로 연결 고정함으로서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연결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어 해중 터널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a bolt-shaped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and a connection wire is used to connect the concrete structure. In addition,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connected to the support wire outside the underwater tunnel uni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nection operation between the underwater tunnel units, there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to install underwater tunne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연결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n underwater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unnel underwa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features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수중 일정 깊이에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해중 터널(1)은 해상의 파도나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육상에서 제작한 후 수중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해중 터널(1)은 복수의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n underwater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an underwater tunnel 1 supported by a buoyancy at a predetermined depth in water is assembled in the sea without being influenced by waves or winds in the sea, and assembled in water. Underwater tunnel 1 comprises a plurality of underwater tunnels And the unit bodies 100 and 200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해중 터널(1)은 열차나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양단부는 육지에 각각 위치하고 중간부분은 해수 중에 위치한다. At this time, the underwater tunnel 1 has a cylindrical shape so that a train, a car or a person can pass through, and both ends are located on the land and the middle part is located in the seawater.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해중 터널(1)의 내측에는 레일 등이 설치됨으로써, 열차가 통행할 수 있는 레일이 설치되거나 자동차 등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해중 터널(1)의 중앙에는 비상시 승객이 대피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통로의 상부 및 하부에도 비어 있는 여분의 통로가 더 형성하여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 rail or the like is installed inside the underwater tunnel 1 to provide a rail on which a train can pass, or a road on which an automobile or the like can pass.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a passageway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nderwater tunnel 1 so that the passenger can evacuate in an emergenc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employ a structure in which an extra empty passage is further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ssage so that air can be filled.

한편, 상기 해중 터널(1)을 구성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외주면은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로 감싸게 되며, 상기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의 양단은 수중 바닥에 설치된 고정 블록(20)에 고정된다. 이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에 복수의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100 and 200 constituting the underwater tunnel 1 are enclosed by a fixed chain or a fixed wire 10 and both ends of the fixed chain or fixed wire 10 are fixed to a fixed block (Not shown).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xed chains or fixed wires 10 may be coupled to one underwater tunnel unit 100, 200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same.

따라서,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있어 수중에서 부력에 의해 수상(水上)으로 상승하려고 하는 해중 터널(1)을 수중에 일정 깊이로 계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는 강선, 복합 재료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fixed chain or the fixed wire 10 serves to moor the underwater tunnel 1 to a certain depth in the water because the air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fixed chain or the fixed wire 10 and is going to ascend to the water level by buoyancy in the water. At this time, the fixed chain or the fixed wire 1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steel wire, a composite material, and the like, but the material thereof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고정 블록(20)은 상기 해중 터널(1)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수중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 블록(20)에는 상기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가 고정된다.
The fixed block 20 is fixed to the flo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underwater tunnel 1, and the fixed chain or the fixed wire 10 is fixed to the fixed block 20.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연결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underwater tunn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underwater tunn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1)은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이하에서는 일측에 연결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라 하며, 타측에 연결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라 한다.2 and 3, the underwater tunnel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100 and 200 are continuously connected. Hereinafter, a submarine tunnel unit body connected to one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100), and the underwater tunnel unit bod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s referred to as a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200).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는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관통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는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2 관통부(210)가 형성된다.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100 has a longitudinal first through-hole 110 formed at its center, and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200 has a second through- do.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양자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는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The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100 and 200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both have the same shape. At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10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200 Respectively.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는 제1 내측 원통부(101)와 제1 중간 원통부(102) 및 제1 외측 원통부(103)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측 원통부(101)와 제1 외측 원통부(103)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101a,103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 원통부(102)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102a)이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100 has a triple structure of a first inner cylindrical portion 101, a first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102, and a first outer cylindrical portion 103, First irregularities (101a, 103a) having a wavy pattern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irst inner cylindrical portion (101) and the first outer cylindrical portion (103) A first concavo-convex pattern 102a having a wavy pattern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와 대응되도록 제2 내측 원통부(201)와 제2 중간 원통부(202) 및 제2 외측 원통부(203)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내측 원통부(201)와 제2 외측 원통부(203)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201a,20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원통부(202)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202a)이 형성된다.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200 includes a second inner cylindrical portion 201, a second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202 and a second outer cylindrical portion 203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100, And second irregularities 201a and 203a having a wavy pattern a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second inner cylindrical portion 201 and the second outer cylindrical portion 203, At one end of the second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202, a second irregularity 202a having a wavy pattern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물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타단부에는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요철과 동일한 구조가 적용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일단부에는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요철과 동일한 구조가 적용됨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same structure as the unevennes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200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100, and at one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200, It is natural that the same structure as the unevennes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100 is applied.

이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와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를 결합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제1 요철(101a,102a,103a)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제2 요철(201a,202a,203a)과 서로 맞물리게 되어 결합부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향상되어 해중터널(1)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된다.When the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200 are coupled by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irregularities 101a, 102a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100 And 103a are engaged with the second irregularities 201a, 202a, and 203a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200, so that the coupling force and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are improved, and the underwater tunnel 1 is more firmly installed.

이때,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는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스켓(미도시됨)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gasket (not shown)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200 to prevent sea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It is desirable to install.

한편,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가 돌출구비된다.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제1 지지부(410) 표면으로 제1 돌출부(420)가 돌출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 외주면으로 상기 제1 돌출부(420)가 관통설치된다. Meanwhile, a bolt-shaped first concrete structure 400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100.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4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protrusion 420 is protruded from a surface of a first support part 410. The first protrusion 420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100, .

이때,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 제1 지지공(120)을 형성하고, 그 제1 지지공(120)을 통해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1 돌출부(420)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1 지지부(410)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제1 관통부(1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The first support hole 1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100 and the first protrusion 420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4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hole 120 through the first support hole 120. [ And the first supporting part 410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400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enetrating part 110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100, .

이 경우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복수를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s 400 are installed so as to be concentrically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100.

또한,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가 돌출구비된다.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은 제2 지지부(510) 표면으로 제2 돌출부(520)가 돌출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 외주면으로 상기 제2 돌출부(520)가 관통설치된다. In addition, a bolt-shaped second concrete structure 500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200.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5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 protrusion 520 is protruded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510. The second protrusion part 520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200, .

이때,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 제2 지지공(220)을 형성하고, 그 제2 지지공(220)을 통해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제2 돌출부(520)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제2 지지부(520)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제2 관통부(2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A second support hole 2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200 and a second protrusion 520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5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hole 220 through the second support hole 220. [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520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500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enetration portion 210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200, .

이 경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은 복수를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s 500 are installed so as to be concentrically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200.

이상의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1 돌출부(420)에는 제1 지지공(422)이 형성되고,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제2 돌출부(520)에는 제2 지지공(522)이 형성되어 지지용 와이어(600)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A first support hole 422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420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400 and a second support hole 522 is formed in the second protrusion 520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500 And both ends of the supporting wire 600 are fixed.

이 경우 상기 지지용 와이어(600)는 강선, 복합 재료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support wire 60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steel wire, a composite material, and the like, but the material thereof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연결부분에 요철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단부에는 볼트 형상의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의 제1 및 제2 돌출부(420,520)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을 지지용 와이어(60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해중 터널(1)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units 100 and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units 100 and 200. The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units 100 and 200 have bolt-like first and second concrete structures 400 and 50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underwater tunnel 1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420 and 520 protruding outward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structures 400 and 500 using the support wire 600 .

특히,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과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은 상기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지지용 와이어(60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연결작업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단순한 구성으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400 and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500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100 and 200, and connected by using the supporting wire 60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connection work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100 and 200 and to maintain a firm bonding force with a simple structure.

즉,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은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지지부(410,510)가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제1 및 제2 관통부(110,210)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의 제1 및 제2 돌출부(420,520)가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의 제1 및 제2 돌출부(420,520)에 제1 및 제2 지지공(422,52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지지공(422,522)을 통해 지지용 와이어(600)가 연결 설치되게 되어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연결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structures 400 and 500 are formed in a bolt shap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410 and 51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portions 110 and 210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100 and 200,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420 and 520 of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structures 400 and 500 are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100 and 200,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422 and 522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420 and 520 of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structures 400 and 500 protruded outside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100 and 200, And the support wire 600 ar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support holes 422 and 522, so that the connect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100 and 200 is facilita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under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해중 터널 100: 제1 해중 터널 단위체
110: 제1 관통부 101: 제1 내측 원통부
102: 제1 중간 원통부 103: 제1 외측 원통부
101a,102a,203a: 제1 요철 120: 제1 지지공
200: 제2 해중 터널 단위체 201: 제1 내측 원통부
202: 제1 중간 원통부 203: 제1 외측 원통부
201a,202a,203a: 제1 요철 210: 제2 관통부
220: 제2 지지공 400: 제1 콘크리트 구조물
410: 제1 지지부 420: 제1 돌출부
500: 제2 콘크리트 구조물 510: 제2 지지부
520: 제2 돌출부 600: 지지용 와이어
1: underwater tunnel 100: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110: first penetrating portion 101: first inner cylindrical portion
102: first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103: first outer cylindrical portion
101a, 102a, 203a: first unevenness 120: first support hole
200: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201: first inner cylinder part
202: first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203: first outer cylindrical portion
201a, 202a, 203a: first unevenness 210: second penetration part
220: second support hole 400: first concrete structure
410: first support part 420: first protrusion
500: second concrete structure 510: second supporting part
520: second protrusion 600: supporting wire

Claims (9)

해중 터널을 구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1 내측 원통부와 제1 중간 원통부 및 제1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2 내측 원통부와 제2 중간 원통부 및 제2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과 맞물리는 제2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A connecting structure of first and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ies continuously connected to constitute an underwater tunnel and having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through holes formed at the center,
Wherein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has a triple structure of a first inner cylindrical portion, a first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and a first outer cylindrical portion, a first unevennes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Wherein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has a triple structure of a second inner cylindrical portion, a second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and a second outer cylindrical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has a second Wherein a concavity and convexity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원통부와 제1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cavo-convex shape having a wavy pattern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irst inner cylindrical portion and the first outer cylindrical portion, and a first concavo-convex pattern having a wavy pattern is formed in one end of the first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in the cross-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 원통부와 제2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concavo-convex shape having a wavy patter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second inner cylindrical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cylindrical portion, and a second concavo-convex pattern having a wavy patter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intermediate cylindrical portion in the cross-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water tunne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에는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rotrusion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protrudes outward at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and a second protrusion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protrudes outwar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And both ends of the supporting wire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1 지지부 표면으로 제1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1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has a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body through a first support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2 지지부 표면으로 제2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2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has a second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a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body through a second support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복수를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과 나란하게 동심원상으로 복수가 배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so as to be concentrically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underwater tunnel unit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derwater tunnel unit, And a plurality of the concentric circle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돌출부에는 제1 지지공이 형성되고,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돌출부에는 제2 지지공이 형성되어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irst support hole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of the first concrete structure and a second support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econd concrete structure to fix both ends of the support wire to each other.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와이어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ing wire is a steel wire.
KR1020140098600A 2014-07-31 2014-07-31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KR1016735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00A KR101673543B1 (en) 2014-07-31 2014-07-31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00A KR101673543B1 (en) 2014-07-31 2014-07-31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203A true KR20160017203A (en) 2016-02-16
KR101673543B1 KR101673543B1 (en) 2016-11-08

Family

ID=5544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600A KR101673543B1 (en) 2014-07-31 2014-07-31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54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220A (en) * 2002-08-30 2004-03-25 Taisei Corp Structure of underwater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water tunnel
KR100797795B1 (en)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 floating type of underwat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loating type of underwater bridge
KR100797796B1 (en)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 floating type of underwater bridge
KR100892134B1 (en) * 2007-10-15 2009-04-09 전영진 The block for the submarine tunnel
KR101109320B1 (en) * 2011-06-27 2012-02-08 주식회사 한양피씨 Field assembly concrete culvert box having underground excavation preven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30115923A (en) * 2012-04-13 2013-10-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ubmerged floating tunnel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220A (en) * 2002-08-30 2004-03-25 Taisei Corp Structure of underwater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water tunnel
KR100797795B1 (en)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 floating type of underwat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loating type of underwater bridge
KR100797796B1 (en)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 floating type of underwater bridge
KR100892134B1 (en) * 2007-10-15 2009-04-09 전영진 The block for the submarine tunnel
KR101109320B1 (en) * 2011-06-27 2012-02-08 주식회사 한양피씨 Field assembly concrete culvert box having underground excavation preven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30115923A (en) * 2012-04-13 2013-10-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ubmerged floating tunne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543B1 (en)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491B1 (en) Submerged floating tunnel with cable-stayed super long-spa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77015B1 (en) Floating body of concrete and floating assemblies using the same
KR101471014B1 (en) Connection socket of buoyancy pipe for marine floating structures
KR101647820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WO2009051357A2 (en) Block for submarine tunnel
CN104294749B (en) A kind of installation method of cylinder foundation trestle work structure
KR20130115923A (en) Submerged floating tunnel system
KR102310131B1 (en) Floatable concrete block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73543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CN104313999A (en) Bridge pier structure
KR101231134B1 (en) Wire system for sea neighboring mooring of floating structure
KR20160017204A (en)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KR20160017264A (en)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KR101232854B1 (en) Floa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earth and on-water
US9505468B2 (en) Floating platform
US20070022934A1 (en) Shallow water mooring system using synthetic mooring lines
KR101830963B1 (en) Pontoon
KR20160017202A (en)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KR20160066611A (en) Connecting Structure of Underwater Tunnel Unit
KR102365694B1 (en) Conncecting apparatus of floating piers
KR102128795B1 (en) Floater and assembly for mooring floater
KR20160065400A (en) Connecting Structure of Underwater Tunnel Unit
JP5458441B2 (en) Environmentally friendly offshor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676842B1 (en) Emergency off system using underwater zone tunnel
RU2135386C1 (en) Float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