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442A - 마늘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마늘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442A
KR20160016442A KR1020140100623A KR20140100623A KR20160016442A KR 20160016442 A KR20160016442 A KR 20160016442A KR 1020140100623 A KR1020140100623 A KR 1020140100623A KR 20140100623 A KR20140100623 A KR 20140100623A KR 20160016442 A KR20160016442 A KR 20160016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transmission
chain
ground
vertica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동농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동농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동농기계
Priority to KR102014010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6442A/ko
Publication of KR2016001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1/00Other digging 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고정부의 지지부와 동력전달부의 고정블럭 사이에 견인부를 설치하며, 연결고정부와 동력전달부 사이에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설치하고, 보호관체를 통해 일단이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보호관체 하방으로 노출되어 그 끝단에 쇄토날을 형성한 수직회전부를 설치하며, 수평지지부 말단에 설치된 제1스크류회전축 하부에 지면에 맞닿는 이동바퀴를 형성한 이동부를 설치함으로써, 농기계 이동에 따라 쟁기가 지면의 토양을 파헤치고, 농기계의 동력기구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가 수직회전부를 회전시켜, 수직회전부의 쇄토날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견인부로 쇄토날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쇄토날의 각도 조절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쟁기로 지면의 토양을 고르게 파헤쳐 작물을 손쉽게 수확할 수 있고, 보조바퀴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위치되어 사용자의 발걸음에 제한이 없으며, 수직회전부가 보호관체에 보호되어 마늘의 잎과 줄기 또는 잡초등이 수직회전부에 감기는 것이 방지되고, 체인을 떠받치는 장력조절부를 축으로 동력전달부 및 수직회전부가 회전되어 체인의 장력에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며, 한 쌍의 수직회전부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면서 마늘 수확장치에 직진성이 부여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늘 수확장치{Garlic harvest equipment}
본 발명은 마늘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전달부의 하방에 설치된 수직회전부의 쇄토날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하여, 지중에 뭍혀있는 마늘이 지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마늘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뭍혀있는 작물(예컨대, 마늘, 생강 등)은 호미나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확하였으나, 이는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지중에 뭍혀있는 작물을 수확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작물들을 호미나 별도의 도구로 수확하는 경우, 호미나 도구가 지중에 뭍혀있는 작물이나 혹은 작물의 뿌리등에 상처를 입혀 상품가치가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경운기취부용 마늘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경운기의 구동에 의해 체인이 체인 휠을 구동시키고, 이 체일휠과 일체로 베벨기어가 회전작동되어 회전축에 결합된 베벨기어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서로 치합된 베벨기어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두 개의 체인휠을 회전작동시키고, 이 두개의 체인휠과 체인으로 연결된 체인휠이 구동력을 전달받아 또 다른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몸체의 중앙부에 위치된 회전축과 몸체의 양 측에 위치된 회전축이 동시에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쇄토날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쇄토날이 지중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작동되면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하여 작물을 수확하게 된다.
여기서, 몸체의 중앙에 위치된 회전축의 정, 역 방향에 따라, 양 측에 위치된 상기 회전축 중 어느 하나는 체인풀리에 의해 중앙에 위치된 상기 회전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작동되고, 또 다른 하나는 중앙에 위치된 상기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부의 회전축에 설치된 체인휠과 양측으로 설치된 회전축의 체인휠 사이의 체인의 장력에 문제가 발생되면, 장력조절장치(미도시)를 조절하여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문헌 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쇄토날이 수평방향으로만 회전작동되어 지중내의 토양만이 파쇄되고, 이에 따라 파쇄되는 지중의 높이가 제한적이며,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지면의 토양을 파헤친 후 작물을 수확하여 작물 수확시간 지연과 동시에 노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마늘 수확시 보조바퀴에 사용자의 발걸음이 제한되어 이동이 불편하고, 마늘 수확시 몸체의 하방으로 노출된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마늘의 잎과 줄기 또는 잡초등이 회전축 외주면에 감김되어 회전축에 부하가 가중되고, 이와 더불어 회전축에 감기는 마늘의 잎과 줄기 또는 잡초등에 의해 회전축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 체인의 장력 변화로 인해 회전축 회전력에 변화가 생겨 회전축 구동력이 저하되고, 몸체 내부에 장력조절장치가 위치되어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으며, 각각의 회전축에 설치된 체인휠을 체인으로 연결하는 복잡한 구조로 고장률 증가와 동시에 유지보수가 어렵고, 짝을 이루어 회전되는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몸체가 치우쳐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994-0003621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 고정부 전방에 동력전달부를 구비하고, 이 연결고정부의 지지부와 동력전달부의 고정블럭 사이에 견인부를 설치하며, 연결고정부와 동력전달부 사이에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설치하고, 동력전달부의 보호관체를 통해 일단이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보호관체 하방으로 노출되어 그 끝단에 쇄토날을 형성한 수직회전부를 설치하며, 동력전달부의 수평지지부 말단에 제1스크류회전축을 설치하고, 제1스크류회전축 하부에 지면에 맞닿는 이동바퀴를 형성한 이동부를 설치함으로써, 농기계의 이동에 따라 동력전달부의 쟁기가 지면의 토양을 파헤침과 동시에 농기계의 동력기구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가 수직회전부를 회전시켜, 수직회전부의 쇄토날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하여 마늘의 수확을 가능하게 하는 마늘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인부로 동력전달부를 연결고정부 방향으로 견인되도록 함으로써, 동력전달부의 각도가 연결고정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하는 쇄토날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마늘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는, 농기계에 고정되고, 일측면에 지지부를 돌출 형성하고 있는 연결 고정부와; 상기 연결고정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고정부와 연결되고, 상면에 고정블럭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면에 연장 형성된 수평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보호관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관체 하단부 외면에 지면의 토양을 파헤치는 쟁기가 형성되어 있고, 농기계의 동력기구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를 상기 연결고정부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 상기 연결고정부와 상기 동력전달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농기계의 동력기구와 상기 동력전달부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을 떠받쳐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장치;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동력전달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관체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며, 그 말단에 상기 보호관체 하방으로 노출되어 지중을 파쇄하는 쇄토날을 형성하고 있는 수직회전부; 상단에 제1회전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의 수평지지부 말단에 축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스크류회전축;및 상기 제1스크류회전축에 결합되는 수직관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관체 말단에 상기 수직관체와 직교되는 조향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축 양단에 이동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고정블럭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제2스크류회전축과;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을 회전작동시키는 제2회전손잡이; 및 일단이 상기 고정블럭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이 상기 연결고정부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지지하는 견인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일단이 상기 연결고정부에 고정되는 지탱부와; 상기 지탱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체인이 떠받쳐지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떠받치는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롤러 중심축은 농기계의 동력기구 중심축과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절단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농기계의 동력기구에 연결된 체인과 연결되어 동력기구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체인기어, 상기 체인기어의 중심축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수평되게 설치되어 회전작동되는 수평회전축 및 상기 수평회전축 양단에 설치되어 축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회전부는, 상단에 상기 제1베벨기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맞물리되, 이 제1베벨기어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베벨기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견인부로 쇄토날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쇄토날의 각도 조절로 지중의 토양을 파고드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쟁기로 지면의 토양을 고르게 파헤쳐 작물을 손쉽게 수확할 수 있고, 보조바퀴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위치되어 사용자의 발걸음에 제한이 없으며, 수직회전부가 보호관체에 보호되어 마늘의 잎과 줄기 또는 잡초등이 수직회전부에 감기는 것이 방지되고, 체인을 떠받치는 장력조절부를 축으로 동력전달부 및 수직회전부가 회전되어 체인의 장력에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며, 장력조절부를 회전 고정하는 단순 방식으로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한 쌍의 수직회전부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면서 마늘 수확장치에 직진성을 부여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가 농기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의 각도가 변화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의 각도가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연결고정부(100)는 농기계(10)에 고정되고, 일측면에 지지부(101)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101)는 농기계(10)에 고정되는 반대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01)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300)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고정부(100)의 지지부 하단에는 양 방향으로 벌어져 그 말단이 상기 동력전달부(200)에 연결되는 연결바(10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정부(100)는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와 동력전달부(200)의 체인기어(206)를 연결하는 체인(C)과 간섭되지 않도록 농기계(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부(200)는 상기 연결고정부(100)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고정부(100)와 연결되고, 상면에 고정블럭(201)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면에 연장 형성된 수평지지부(202)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보호관체(2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관체(203) 하단부 외면에 지면의 토양을 파헤치는 쟁기(204)가 형성되어 있고,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된다.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동력기구(11)로 부터 체인(C)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직회전부(500)를 회전 작동시킨다.
상기 고정블럭(201)은 상기 지지부(101)에 연결된 견인부(300) 타단을 고정하고, 상기 견인부(3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동력전달부(200)를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상기 수평지지부(202)는 제1스크류회전축(600)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한다.
상기 보호관체(203)는 회전작동되는 수직회전부(500)의 외면을 커버하여, 지면 상방으로 노출된 마늘의 잎과 줄기 또는 잡초등이 상기 수직회전부(500)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쟁기(204)는 상기 수직회전부(500)에 의해 파쇄된 지중의 토양 상방의 지면 부분 토양을 파헤쳐 마늘이 지면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동력절단부(200)는, 하우징(205)과, 상기 하우징(205) 내에 구비되고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에 연결된 체인(C)과 연결되어 동력기구(11)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체인기어(206), 상기 체인기어(206)의 중심축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205) 내에 수평되게 설치되어 회전작동되는 수평회전축(207) 및 상기 수평회전축(207) 양단에 설치되어 축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20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베벨기어(208)는 상기 수직회전부의 제2베벨기어(502)와 치합되고, 상기 수평회전축(207)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상기 제2베벨기어(502)를 회전작동 시킨다.
견인부(300)는 상기 지지부(101)와 상기 고정블럭(20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200)를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견인한다.
상기 견인부(300)는 상기 동력전달부(200)를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정해진 각도로 들어올려,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각도를 변화시킨다.
상기 견인부(300)는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고정블럭(201)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제2스크류회전축(301)과,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을 회전작동시키는 제2회전손잡이(302) 및 일단이 상기 고정블럭(201)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이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지지하는 견인관체(303)로 구성된다.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은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견인관체(303)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동력전달부(200)를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견인한다.
상기 견인관체(303)는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을 진입시키면서 정해진 각도로 틸팅되어 상기 동력전달부(200)를 정해진 각도 회전시킨다.
장력조절장치(400)는 상기 연결고정부(100)와 상기 동력전달부(20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와 상기 동력전달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C)을 떠받쳐 체인(C)에 장력을 부여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체인(C)을 떠받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조절장치(400)는 일단이 상기 연결고정부(100)에 고정되는 지탱부(401)와, 상기 지탱부(4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체인이 떠받쳐지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402) 및 상기 높이조절부(402)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인(C)을 떠받치는 롤러(403)로 구성된다.
상기 지탱부(401)는 높이조절부(402) 및 체인(C)을 떠받치는 롤러의 하중을 지탱한다.
상기 높이조절부(402)는 사용자에 의해 그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정해진 각도로 조절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롤러(403)를 지지한다.
상기 높이조절부(402)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체인(C)을 떠받치는 롤러(403)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롤러(403)는 상기 체인(C)을 떠받침과 동시에 축 회전되면서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와 체인기어(206) 사이에서 체인(C)이 순회되는 것을 안내한다.
수직회전부(500)는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200)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동력전달부(200)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관체(203)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며, 그 말단에 상기 보호관체(203) 하방으로 노출되어 지중의 토양을 파쇄하는 쇄토날(501)을 형성한다.
상기 수직회전부(500)는 상기 보호관체(203)에 커버되어 지면 상방으로 노출된 마늘의 잎과 줄기 또는 잡초등에 감기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쇄토날(501)은 180도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회전부(500)는, 상단에 상기 제1베벨기어(208)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맞물리되, 이 제1베벨기어(208)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베벨기어(502)를 형성한다.
상기 제2베벨기어(502)는 상기 제1베벨기어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상기 수직회전부(500)를 회전 시킨다.
제1스크류회전축(600)은 상단에 제1회전손잡이(601)를 형성하여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수평지지부(202) 말단에 축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스크류회전축(600)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손잡이(601)를 회전작동시키는 사용자에 의해 정, 역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어 상기 이동부(700)를 승강 이동시킨다.
이동부(700)는 상기 제1스크류회전축(600)에 결합되는 수직관체(7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관체(701) 말단에 상기 수직관체(701)와 직교되는 조향축(7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축(702) 양단에 이동바퀴(703)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관체(70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작동되는 상기 제1스크류회전축(600)에 의해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이동바퀴(703)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조향축(702)은 한 쌍의 상기 이동바퀴(703) 사이 간격을 이격시켜, 상기 이동바퀴(703)가 사용자의 발걸음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동바퀴(703)는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부(200)가 농기계(1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도5를 참조하면, 농기계(10)의 후방에 연결고정부(100)를 연결 고정하고, 제1스크류회전축(600)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700)의 이동바퀴(700)가 지면에 맞닿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제1회전손잡이(601)를 파지하여 회전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스크류회전축(600)이 회전되고, 상기 이동부(700)의 수직관체(701)가 상기 제1스크류회전축(600)을 따라 상, 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조향축(702)을 승강 이동시켜, 상기 조향축(702) 양측으로 설치된 한 쌍의 이동바퀴(703)가 지면에 가까워 지도록 하방으로 이동되거나 혹은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로 상승된다.
그리고, 농기계(10)의 구동으로 동력기구(11)가 작동되고, 동력전달부(200)가 동력기구(11)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회전부(50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하우징(205) 내에 설치된 체인기어(206)는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와 체인(C)으로 연결되어 있고, 체인기어(206)가 체인(C)에 의해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수평회전축(207)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수평회전축(207) 양단의 제1베벨기어(208)가 상기 수평회전축(207)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작동되고, 이때, 상기 제1베벨기어(208)와 직교되게 치합되어 있는 상기 수직회전부(500)의 제2베벨기어(502)가 상기 제1베벨기어(208)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베벨기어(208)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직회전부(500)를 회전시킨다.
또한,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와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체인기어(206)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C)은 상기 장력조절장치(400)의 롤러(403)에 떠받쳐져 그 장력이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수직회전부(500) 하단에 설치되어 지중에 위치한 한 쌍의 쇄토날(501)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함으로써, 지중이 무르게 변화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쟁기(204)가 농기계(1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토양이 파쇄된 지중의 상방에 지면을 파헤쳐 마늘이 지면으로 노출된다.
즉, 상기 수직회전부(500)의 쇄토날(501)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함과 동시에 토양이 파쇄된 지중 상방의 지면을 쟁기로 파헤침으로써, 지중과 지면의 토양이 무르게 형성되어 마늘을 들어올리는 간단한 작업으로 마늘을 손쉽게 수확 하는 것이다.
이후, 농기계(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하고, 지면의 토양을 파헤쳐 마늘을 수확한다.
이때, 상기 수직회전부(500)는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보호관체(203)에 그 외면이 커버됨으로써, 지면 상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마늘의 잎과 줄기 또는 잡초등이 상기 수직회전부(500)에 감기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6 내지 도7를 참조하면, 상기 쇄토날(501)에 의해 파쇄되는 지중의 깊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견인부(300)의 제2회전손잡이(302)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동력전달부(200)를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200)를 정해진 각도 들어 올린다.
이때, 상기 견인부(300)의 제2회전손잡이(30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이 회전되면서 상기 견인관체(303) 내로 진입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견인관체(303)가 상기 지지부(101)를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200)를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들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보호관체(203)에 삽입 결합된 수직회전부(500)가 상기 동력전달부(200)와 동일한 각도로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쇄토날(501)의 각도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쇄토날(501)이 지중을 파고드는 깊이가 변화된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장치(400)의 롤러(403)는 농기계(100의 동력기구(11)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20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롤러(403)로 체인(C)을 떠받쳐 상기 체인(C)의 장력이 유지되는 것이다.
만약, 체인(C)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부(402)를 회전시켜 체인(C)을 떠받치는 롤러(403)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체인(C)의 장력이 조절된다.
특히, 상기 동력전달부(200)가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들어 올려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700)가 지면에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상기 제1스크류회전축(600)의 제1회전손잡이(601)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이동부(700)의 이동바퀴(703)가 지면에 맞닿도록 한다.
이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늘 수확장치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쇄토날(501)이 지중의 토양을 정해진 깊이로 파쇄하되, 상기 쟁기(204)가 지면의 토양을 파헤쳐 토양이 무르게 되고, 이와 같이 무르게 된 토양에서 작업자가 마늘을 수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쇄토날(501)로 지중의 토양을 파쇄하되, 쟁기(204)로 지면의 토양을 파헤쳐 마늘의 수확이 용이하도록 토양을 무르게 마늘 수확장치는, 견인부(300)로 쇄토날(501)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쇄토날(501)의 각도 조절로 지중의 토양을 파고드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쟁기(204)로 지면의 토양을 고르게 파헤쳐 작물을 손쉽게 수확할 수 있고, 이동바퀴(703)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위치되어 사용자의 발걸음에 제한이 없으며, 수직회전부(500)가 보호관체(203)에 보호되어 마늘의 잎과 줄기 또는 잡초등이 수직회전부(500)에 감기는 것이 방지되고, 체인(C)을 떠받치는 장력조절장치(400)를 축으로 동력전달부(200) 및 수직회전부(500)가 회전되어 체인(C)의 장력에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며, 장력조절장치(400)를 회전 고정하는 단순 방식으로 체인(C)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한 쌍의 수직회전부(500)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면서 마늘 수확장치에 직진성을 부여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수확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농기계 11 : 동력기구
100 : 고정부 101 : 지지부
102 : 연결바 200 : 동력전달부
201 : 고정블럭 202 : 수평지지부
203 : 보호관체 204 : 쟁기
205 : 하우징 206 : 체인기어
207 : 수평회전축 208 : 제1베벨기어
300 : 견인부 301 : 제2스크류회전축
302 : 제2회전손잡이 303 : 견인관체
400 : 장력조절장치 401 : 지탱부
402 : 높이조절부 403 : 롤러
500 : 수직회전부 501 : 쇄토날
502 : 제2베벨기어 600 : 제1스크류회전축
601 : 제1회전손잡이 700 : 이동부
701 : 수직관체 702 : 조향축
703 : 이동바퀴 C : 체인

Claims (5)

  1. 농기계(10)에 고정되고, 일측면에 지지부(101)를 돌출 형성하고 있는 연결 고정부(100)와;
    상기 연결고정부(100)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고정부(100)와 연결되고, 상면에 고정블럭(201)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면에 연장 형성된 수평지지부(202)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보호관체(2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관체(203) 하단부 외면에 지면의 토양을 파헤치는 쟁기(204)가 형성되어 있고,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동력전달부(200);
    상기 지지부(101)와 상기 고정블럭(20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200)를 상기 연결고정부(100)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300);
    상기 연결고정부(100)와 상기 동력전달부(20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와 상기 동력전달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C)을 떠받쳐 체인(C)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장치(400);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200)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동력전달부(200)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관체(203)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며, 그 말단에 상기 보호관체(203) 하방으로 노출되어 지중을 파쇄하는 쇄토날(501)을 형성하고 있는 수직회전부(500);
    상단에 제1회전손잡이(601)를 형성하여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수평지지부(202) 말단에 축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스크류회전축(600);및
    상기 제1스크류회전축(600)에 결합되는 수직관체(7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관체(701) 말단에 상기 수직관체(701)와 직교되는 조향축(7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축(702) 양단에 이동바퀴(703)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7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수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300)는,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고정블럭(201)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제2스크류회전축(301)과;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을 회전작동시키는 제2회전손잡이(302); 및
    일단이 상기 고정블럭(201)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크류회전축(301)이 상기 연결고정부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지지하는 견인관체(30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수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400)는,
    일단이 상기 연결고정부(100)에 고정되는 지탱부(401)와;
    상기 지탱부(4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체인이 떠받쳐지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402); 및
    상기 높이조절부(402)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인(C)을 떠받치는 롤러(40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수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400)의 롤러(403) 중심축은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 중심축과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수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절단부(200)는, 하우징(205)과, 상기 하우징(205) 내에 구비되고 농기계(10)의 동력기구(11)에 연결된 체인(C)과 연결되어 동력기구(11)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체인기어(206), 상기 체인기어(206)의 중심축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205) 내에 수평되게 설치되어 회전작동되는 수평회전축(207) 및 상기 수평회전축(207) 양단에 설치되어 축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20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회전부(500)는, 상단에 상기 제1베벨기어(208)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맞물리되, 이 제1베벨기어(208)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베벨기어(502)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수확장치.
KR1020140100623A 2014-08-05 2014-08-05 마늘 수확장치 KR20160016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623A KR20160016442A (ko) 2014-08-05 2014-08-05 마늘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623A KR20160016442A (ko) 2014-08-05 2014-08-05 마늘 수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442A true KR20160016442A (ko) 2016-02-15

Family

ID=5535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623A KR20160016442A (ko) 2014-08-05 2014-08-05 마늘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64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375B1 (ko) * 2016-07-26 2017-03-29 전말연 마늘 수확기
CN107764583A (zh) * 2017-11-16 2018-03-06 河南豫韩环境治理股份有限公司 多功能自动取土机
CN108575253A (zh) * 2018-06-29 2018-09-28 青岛理工大学 一种深根茎作物收获机
CN112655352A (zh) * 2020-12-17 2021-04-16 孙和慧 一种手持式湿土地用辅助花生秧拔取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375B1 (ko) * 2016-07-26 2017-03-29 전말연 마늘 수확기
CN107764583A (zh) * 2017-11-16 2018-03-06 河南豫韩环境治理股份有限公司 多功能自动取土机
CN107764583B (zh) * 2017-11-16 2024-01-23 河南豫韩环境治理股份有限公司 多功能自动取土机
CN108575253A (zh) * 2018-06-29 2018-09-28 青岛理工大学 一种深根茎作物收获机
CN108575253B (zh) * 2018-06-29 2023-08-22 青岛理工大学 一种深根茎作物收获机
CN112655352A (zh) * 2020-12-17 2021-04-16 孙和慧 一种手持式湿土地用辅助花生秧拔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74469A (en) Mower with extensible mounting frame and power transmitting means
KR20160016442A (ko) 마늘 수확장치
CN106489366B (zh) 开沟机
US8910400B1 (en) Horizontal auger garden ti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4041242B (zh) 拔秆机
CN103141209B (zh) 多功能大蒜联合收获机
EP1470748A2 (de) Stängelheberschnecke mit einer Antriebseinrichtung und Erntevorsatz
CN102724863A (zh) 改进的多条播器中耕机
KR101234685B1 (ko)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KR102029899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CN107371568A (zh) 一种浮动式多层切削秸秆粉碎还田机
CN107466499A (zh) 一种新型机械式葡萄藤出土机
CN207235376U (zh) 一种新型机械式葡萄藤出土机
CN106612874B (zh) 一种马铃薯杀秧机
CN204317059U (zh) 秸秆还田旋耕机
CN104919924B (zh) 用于烟叶种植一体机的覆土装置
US2410003A (en) Spiral cutter for rotary plows
CN208434274U (zh) 大棚用微耕机
RU61074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CN207151198U (zh) 一种浮动式多层切削秸秆粉碎还田机
KR20190014851A (ko) 구근 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CN108293406B (zh) 多功能农用机
US2334729A (en) Bean harvester
CN205546479U (zh) 农用松土开沟机具
KR200482035Y1 (ko) 관리기용 땅 다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