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251A - Crucible and ingot growing apparu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rucible and ingot growing apparu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6251A KR20160016251A KR1020140099964A KR20140099964A KR20160016251A KR 20160016251 A KR20160016251 A KR 20160016251A KR 1020140099964 A KR1020140099964 A KR 1020140099964A KR 20140099964 A KR20140099964 A KR 20140099964A KR 20160016251 A KR20160016251 A KR 201600162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t
- graphite crucible
- crucible
- width
- corner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group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1 mono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89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10—Crucibles or containers for supporting the melt
-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30—Mechanisms for rotating or moving either the melt or the crystal
-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32—Seed holders, e.g. chu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02—Elements
- C30B29/06—Silic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02—Preparing waf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잉곳성장장치의 내부에 배치되고, 석영 도가니를 수용하는 흑연 도가니로서,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측벽;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면을 오목하게 연결하는 코너부; 및 상기 측벽, 상기 코너부 또는 상기 측벽 및 코너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흑연 도가니에 형성된 슬릿(또는, 관통구멍)으로 석영 도가니와 흑연 도가니 사이에 스며든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흑연 도가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에 형성된 슬릿은 외측면과 내측면의 폭을 달리 형성하여, 좀더 원활하게 가스를 배출할 수 있고 석영 도가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n embodiment is a graphite crucible disposed inside of an ingot growing apparatus and containing a quartz crucible, comprising: a bottom surface; A side wall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A corner portion concavely connecting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surface;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side wall, the corner portion, or the outer side surface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corn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amage to the graphite crucible can be prevented by discharging the gas impregnated between the quartz crucible and the graphite crucible with slits (or through holes) formed in the graphite crucible.
Further, the slits formed in the graphite crucible of the embodiment have different widths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so that gas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and deformation of the quartz crucible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실시예는 단결정 실리콘 잉곳을 생산하는 잉곳성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흑연 도가니의 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잉곳성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got growing apparatus for producing a single crystal silicon ingo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got growing apparatus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lifetime of a graphite crucible.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실리콘 웨이퍼의 대구경화가 진행됨에 따라, 실리콘 웨이퍼의 대부분은 초크랄스키(CZ) 법에 의해 성장된 실리콘 단결정 잉곳으로부터 제조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As silicon wafers for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continue to increase in size, most silicon wafers are produced from silicon single crystal ingots grown by the Czochralski (CZ) method.
CZ 방법에서는, 석영 도가니에 폴리실리콘을 장입하고, 이를 흑연 발열체에 의해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용융 결과 형성된 실리콘 융액에 종자 결정을 접촉시키고, 계면에서 결정화가 일어나도록 하여 종자 결정을 회전하면서 서서히 인상시킴으로써, 원하는 직경을 가진 실리콘 단결정 잉곳을 성장시킨다.In the CZ method, polysilicon is charged into a quartz crucible, heated by a graphite heating element to melt the crystal, and seed crystal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licon melt formed as a result of the melting so that crystallization occurs at the interface, Thereby growing a silicon single crystal ingot having a desired diameter.
그런데, 석영 도가니 내의 폴리 실리콘을 용융할 때와 단결정 성장 공정시, 석영 도가니를 지지하는 흑연 도가니의 상측 및 하측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노출된 도가니의 열 전도율이 높아서 도가니의 상측 및 하측에서 많은 양의 열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raphite crucible supporting the quartz crucible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olysilicon in the quartz crucible is melted and during the single crystal growth step, and the heat conductivity of the exposed crucible is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of the heat exchanger is lost.
또한, 열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히터파워 상승시, 흑연 도가니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코너부에 열화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열화로 인한 손상이 코너부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흑연 도가니뿐만 아니라 석영 도가니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heat loss, deterioration concentrates on the corn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raphite crucible when the heater power rises, and damage due to such deterioration occurs intensively at the corner portion, But the life of the quartz crucible is shortened.
또한, 실리콘 용융시, 실리콘 용융액과 석영 도가니가 반응하여 SiO 가스가 발생한다. 이 SiO 가스는 챔버 내에서 Ar 가스와 함께 진공 펌프에 의해 챔버 밖으로 배기되지만, 일부는 흑연 도가니와 석영 도가니의 틈으로 들어가 SiO와 흑연 도가니의 C가 반응하여 흑연 도가니의 SiC화가 진행된다. SiC와 C는 열팽창 계수가 현저히 달라서 흑연 도가니의 냉각/가열 동안에 열팽창 차이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여 흑연 도가니는 내구성이 점점 취약해져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Further, when melting the silicon, the silicon melt and the quartz crucible react with each other to generate SiO gas. This SiO gas is exhausted out of the chamber by a vacuum pump together with Ar gas in the chamber, but a part of the SiO gas enters the gap between the graphite crucible and the quartz crucible, and SiO and the C of the graphite crucible react with each other to progress the SiC transformation of the graphite crucible. SiC and C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so that stres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occurs during cooling / heating of the graphite crucible, so that the graphite crucible becomes durable and becomes cracked.
또한, 이 흑연 도가니의 SiC화 층과 석영 도가니의 SiO2가 반응하여 SiO와 CO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 가스들의 흐름에 의해 흑연 도가니에서 식각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iC layer of the graphite crucible reacts with SiO 2 of the quartz crucible to generate SiO 2 and CO gas, and the graphite crucible is etched by the flow of these gases.
특히, 흑연 도가니의 코너부에서는 가스의 병목 현상이 발생하여 가스의 흐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열화 또한 집중되어, 식각으로 인한 수평 방향의 균열(Crack)이 발생한다.Particularly, at the corner of the graphite crucible, a bottleneck of the gas occurs, and the flow of the gas is intensively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deterioration also concentrates and cracks occu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the etching.
이러한 흑연 도가니의 균열은 흑연 도가니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흑연 도가니의 안쪽에 위치하는 석영 도가니의 모양을 변형시켜 공정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Such cracking of the graphite crucible shortens the lifetime of the graphite crucible and deforms the shape of the quartz crucible located inside the graphite crucible, resulting in a loss of the process.
실시예는, 종래에 흑연 도가니의 코너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흑연 도가니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품질을 안정화 시키고자 한다.The embodiment attempt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racks at the corners of the graphite crucible in the past to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graphite crucible and to stabilize the growth quality of the silicon single crystal ingot.
실시예는 잉곳성장장치의 내부에 배치되고, 석영 도가니를 수용하는 흑연 도가니로서,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측벽;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면을 오목하게 연결하는 코너부; 및 상기 측벽, 상기 코너부 또는 상기 측벽 및 코너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mbodiment is a graphite crucible disposed inside of an ingot growing apparatus and containing a quartz crucible, comprising: a bottom surface; A side wall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A corner portion concavely connecting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surface;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side wall, the corner portion, or the outer side surface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corner portion.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흑연 도가니에 형성된 슬릿(또는, 관통구멍)으로 석영 도가니와 흑연 도가니 사이에 스며든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흑연 도가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amage to the graphite crucible can be prevented by discharging the gas impregnated between the quartz crucible and the graphite crucible with slits (or through holes) formed in the graphite crucible.
나아가,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에 형성된 슬릿은 외측면과 내측면의 폭을 달리 형성하여, 좀더 원활하게 가스를 배출할 수 있고 석영 도가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slits formed in the graphite crucible of the embodiment have different widths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so that gas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and deformation of the quartz crucible can be preven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잉곳성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흑연 도가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로, 도 3(a)는 흑연 도가니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흑연도가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의 사시도와, 사시도에서 x-y의 횡단면도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흑연 도가니를 사용한 이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흑연 도가니 내부에 수용되었던 석영 도가니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의 사시도와, 사시도의 X-Y 부분의 횡단면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릿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릿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릿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릿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1 is a view showing an ingot gr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raphite crucible.
Fig. 3 is a graphite cruci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phite crucible, and Fig.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aphite crucible.
4 is a side view of the graphite cruci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graphite crucib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xy in a perspective view.
Fig. 6 shows the state after using the graphite crucible form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7 shows a quartz crucible accommodated inside a graphite crucible form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8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graphite crucib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XY part of the perspective view.
9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10 shows a cross-section of the sl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1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i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12 shows a process of forming a sl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addition, Variation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잉곳성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ngot gr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잉곳성장장치 내에는 실리콘 융액을 담는 석영 도가니(200)와, 이를 지지하는 흑연 도가니(100)와, 흑연 도가니(1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300)와, 핫 존 구조물의 열을 외부와 단열하는 측면 단열부(600) 및 상부 단열부(700)와, 상기 실리콘 융액으로부터 잉곳을 성장시키는 시드를 수용하는 시드 척(800)과, 상기 시드 척(800) 회전 및 승강시키는 시드 케이블(9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he ingot gr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또한, 실시예의 잉곳성장장치는 상기 흑연 도가니(100)를 지지하는 받침대(400)와, 받침대(400)에서 연장되 상기 도가니를 회전시키는 도가니 회전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got grow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흑연 도가니(100)는 재질이 흑연으로 이루어진 보울(bowl) 형태를 갖는 도가니를 지칭하나, 탄소복합재료로 구성된 도가니도 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The
상기 흑연 도가니(100) 아래 배치되는 샤프트인 상기 도가니 회전부(410)는 상기 흑연 도가니(100)를 지지하며 회전 및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The
상기 흑연 도가니(100) 내측에 장입되어 지지되는 상기 석영 도가니(200)는 석영으로 이루어진 보울 형태로, 내부 공간에 다결정 실리콘을 수용할 수 있다. The
상기 흑연 도가니(1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히터부(300)는 상기 흑연 도가니(100) 측으로 열을 가하여, 상기 석영 도가니(200)에 수용된 다결정 실리콘을 용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히터부(300)의 외측 둘레에는 측면 단열부(60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석영 도가니(200)의 외측 둘레 상측에는 상부 단열부(7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단열부(600)와 상부 단열부(700)는 핫존 구조물(예컨대, 석영 도가니, 흑연 도가니 및 히터부)을 단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석영 도가니(200)의 상측에는 시드 척(800)과, 시드 척(800)과 연결된 시드 케이블(9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드 척(800)은 상기 실리콘 융액에 침지된 후 회전과 동시에 상승하여 잉곳을 성장시키기 위한 시드(seed)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시드 케이블(900)은 시드 척(800)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시드 척(800)을 회전과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시드 케이블(800)이 시드 척(800)을 회전과 동시에 상승시킬 때, 상기 도가니 회전부(410)는 흑연 도가니(100)를 시드 척(80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다.
A
도 2는 종래의 흑연 도가니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raphite crucible.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100)는 보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상기 흑연 도가니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과 바닥면을 오목하게 연결하는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실리콘을 용융할 때, 흑연 도가니(100)의 특정 부위에 열화가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영 도가니(200)와 실리콘 용융액이 반응하여 발생한 SiO2 와 같은 가스가 상기 흑연 도가니(100)와 석영 도가니(200) 사이 틈으로 들어가 흑연 도가니(100)를 손상시킬 수 있다. When silicon is melted, deterioration can be concent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특히, 상기 히터부(300)가 흑연 도가니(100)를 가열할 때, 상기 흑연 도가니(100)의 위치에 따라서 열 전달에 편차가 생기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열 전달 편차로 인하여 흑연 도가니(100)의 코너부에 열화가 집중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도 2를 보면, 상기 흑연 도가니(100)의 코너부에 크랙(110)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며, 코너부를 확대한 도면을 보면, 크랙(110)으로 인하여 코너부의 두께가 얇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크랙(110)에 열화가 더욱 집중되고, SiO--2와 같은 가스가 더 밀집되어 식각이 가속화된다. 2, a
이러한 흑연 도가니(100)의 크랙(110)은 흑연 도가니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흑연 도가니의 안쪽에 위치하는 석영 도가니의 모양을 변형시켜 공정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The
이하에서는 흑연 도가니(100)에 발생되는 크랙(110)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흑연 도가니의 구조를 실시예를 달리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various graphite crucibles for preventing the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로, 도 3(a)는 흑연 도가니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흑연도가니의 단면도이다. Fig. 3 is a graphite cruci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phite crucible, and Fig.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aphite crucible.
도 3(a)와 (b)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100)는 보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흑연 도가니는 바닥면(105)과 상기 바닥면(105)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측벽(103)과, 상기 측벽과 바닥면(105)을 오목하게 연결하는 코너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3 (a) and 3 (b), the
특히, 제 1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의 코너부(104)에는 열화의 집중을 막고 SiO2와 같은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t least one through hole H may be formed in the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코너부(104)의 외측면(101)과 내측면(102)을 연결하는 관통구멍(H)들이 등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통구멍(H)은 삼각, 사각, 다각, 원, 타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hrough holes H connecting the
상기 관통구멍(H)들은 상기 흑연 도가니(100)와 석영 도가니 틈으로 스며든 가스를 상기 관통 구멍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멍(H)을 이용한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는 코너부(104)에 집중되는 크랙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through holes (H) can discharge the gas impregnated into the graphite crucible (100) and the quartz crucible gap into the through holes. Therefore, the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100)의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100)는 보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흑연 도가니(100)는 바닥면(105)과 상기 바닥면(105)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측벽(103)과, 상기 측벽(103)과 바닥면(105)을 오목하게 연결하는 코너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코너부(104)에 집중되는 열화와 가스의 밀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의 코너부(104)에는 코너부(104)의 외측면(101)과 내측면(102)을 관통하는 슬릿(130)(slit)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슬릿(130)의 양 단부는 닫힌 구조로, 모따기 등에 의해 라운딩 되도록 형성되어, 단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그리고, 상기 슬릿(130)은 코너부(104)에 높이를 달리하여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코너부(104)의 둘레를 따라서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러한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는 슬릿(130)을 통해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어 가스의 흐름 집중을 분산시키고, 관통 구멍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서 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흑연 도가니(100)의 식각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렇게 흑연 도가니(100)의 변형이 최소화 됨으로써 석영 도가니 안의 실리콘 용융액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품질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
In the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100)의 사시도와, 사시도에서 x-y의 횡단면도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다. Fig.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제 3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100)는 보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흑연 도가니(100)는 바닥면(105)과 상기 바닥면(105)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측벽(103)과, 상기 측벽(103)과 바닥면(105)을 오목하게 연결하는 코너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특히, 제 3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에는 외측면(101)과 내측면(102)을 관통하는 세로방향의 슬릿(140)(slit)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140)은 흑연 도가니(100)의 측벽(103)에서 코너부(104)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105)까지 연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릿(140)의 양 단부는 닫힌 구조로, 모따기 등에 의해 라운딩 되도록 형성되어, 단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이러한 상기 슬릿(140)의 세로길이(L)는 흑연 도가니(100) 몸체의 길이의 5% 내지 80%이거나, 50mm 내지 400mm의 사이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슬릿(140)의 세로길이(L)가 5% 이하 또는 50mm 이하라면 슬릿(140)의 면적이 줄어들어 가스를 배출이 어려워지고, 80% 이상이거나 400mm 이상일 때 슬릿(140)의 면적이 너무 커져 흑연 도가니(100)의 물리적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140)의 세로 길이는 70mm 내지 90mm 사이로 형성되어, 가스 흐름의 분산 효과를 높이면서 흑연 도가니(100)의 물리적 강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The longitudinal length L of the
그리고, 상기 슬릿(140)의 폭(W)은 약 0.1mm 내지 약 10mm일 수 있다. 상기 슬릿(140)의 폭(W)이 0.1mm 이하로 형성될 경우 가스 배출이 어려워지고, 상기 슬릿(140)이 10mm 이상일 때 석영 도가니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140)의 폭(W)은 약 1mm 내지 3mm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idth W of the
그리고, 상기 흑연 도가니(100)에는 측벽(103) 둘레를 따라서 등 간격으로 이격된 슬릿(140)이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two
이러한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는 슬릿(140)을 통해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어 가스의 흐름 집중을 분산시키고, 관통 구멍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서 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흑연 도가니(100)의 식각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렇게 흑연 도가니(100)의 변형이 최소화 됨으로써 석영 도가니 안의 실리콘 용융액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품질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In the
한편, 도 5의 확대도를 보면, 상기 슬릿(140)은 흑연 도가니(100)의 외측면(101)과 내측면(102)을 일정 폭(W)을 가지며 관통할 수 있다.
5, the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흑연 도가니(100)를 사용한 이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흑연 도가니(100) 내부에 수용되었던 석영 도가니의 모습을 나타낸다. Fig. 6 shows a state after using the
도 6을 보면, 제 3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흑연 도가니(100)의 내측면(102) 슬릿(140)을 보면, 슬릿(140) 주변에 식각이 과다하게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흑연 도가니(100) 외측면(101)의 슬릿(140) 주변에는 식각이 일어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이는, 상기 슬릿(140)으로 가스 흐름이 집중되어, 그 주변에 식각이 집중적으로 발생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릿(140)이 식각되어 슬릿(140)의 폭이 증가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연 도가니(100)의 슬릿(140)에 대응되는 석영 도가니 부위에 변형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This is because the gas flow is concentrated on the
이러한 슬릿(140)의 주위의 식각 현상은 흑연 도가니(100)의 수명을 감소시키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슬릿(140)의 다양한 구조를 실시예를 달리하여 설명한다. Since the etch phenomenon around the
이하에서 설명하는 슬릿(140)(또는, 관통구멍)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개념의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lits 140 (or through holes)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ncep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흑연 도가니(100)의 사시도와, 사시도의 X-Y 부분의 횡단면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다. 8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8은 제 3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에서 슬릿(140) 구조만을 달리한 것으로, 제 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제 4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제 1 내지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IG. 8 is a
도 6과 7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슬릿(140)의 폭이 넓으면 이에 대응되는 석영 도가니의 부위에 변형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흑연 도가니(100)에 형성되는 슬릿(140)은 가스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면서도 내측면(102)의 폭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상기 슬릿(140)의 내측면(102) 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슬릿(140) 전체의 폭을 감소시킬 경우, 흑연 도가니(100)의 두께로 인하여 가공이 어려울 수 있고, 가스 흐름 분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S. 6 and 7, when the width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의 슬릿(140)은 내측면(102)에 인접한 슬릿(140)의 폭과 외측면(101)에 인접한 슬릿(140)의 폭을 달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제 4 실시예의 슬릿(140)은 흑연 도가니(100)의 외측면(101)에 인접한 제 1 홀(141)과, 내측면(102)에 인접한 제 2 홀(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홀(141)과 제 2 홀(142)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홀(142)의 크기는 제 1 홀(14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홀(141)의 폭은 5mm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142)은 1mm 내지 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142)의 폭이 1 mm 이하로 형성될 경우 가스 흐름 분산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홀(142)의 폭이 5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 2 홀(142) 주변에 식각으로 인하여 폭이 증가되고 석영 도가니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홀(141)의 폭은 1mm 내지 3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즉, 제 4 실시예의 슬릿(140)은 흑연 도가니(100)를 2 단계로 단차를 주어 관통함으로써, 흑연 도가니(100)의 내측면(102)에 슬릿(140)의 폭은 감소시키고 외측면(101)에 슬릿(140)의 폭은 증가시켜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면서, 내측면(102) 슬릿(140)에 대응되는 석영 도가니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릿(140)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9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도 9는 제 3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에서 슬릿(140) 구조만을 달리한 것으로, 제 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제 5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제 1 내지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IG. 9 shows only the structure of the
제 5 실시예의 슬릿(140)은 내측면(102)에 인접한 슬릿(140)의 폭과 외측면(101)에 인접한 슬릿(140)의 폭을 달리할 수 있다. The
제 5 실시예의 슬릿(140)은 흑연 도가니(100)의 외측면(101)에 인접한 제 1 홀(143)과, 내측면(102)에 인접한 제 3 홀(145)과, 상기 제 1 홀(143)과 제 2 홀(145) 사이에 배치된 제 3 홀(14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홀(143)과 제 2 홀(145)과 제 3홀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홀(143)의 크기는 제 2 홀(145)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 2 홀(145)의 크기는 제 3 홀(145)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홀(143)의 폭은 5mm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145)의 폭은 3mm 내지 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고, 제 3 홀(145)의 폭은 1mm 내지 3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홀(145)의 폭이 1 mm 이하로 형성될 경우 가스 흐름 분산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홀(145)의 폭이 3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 2 홀(145) 주변에 식각으로 인하여 폭이 증가되고 석영 도가니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즉, 제 5 실시예의 슬릿(140)은 흑연 도가니(100)를 3 단계로 단차를 주어 관통함으로써, 흑연 도가니(100)의 내측면(102)에 슬릿(140)의 폭은 감소시키고 외측면(101)에 슬릿(140)의 폭은 증가시켜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면서, 내측면(102) 슬릿(140)에 대응되는 석영 도가니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도 9와 달리, 상기 슬릿(140)은 4 단계 이상의 단차를 주어 관통할 수도 있을 것이다.
9, the
도 10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릿(140)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10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도 10은 제 3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에서 슬릿(140) 구조만을 달리한 것으로, 제 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제 6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제 1 내지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IG. 10 shows only the structure of the
제 6 실시예의 슬릿(140)은 내측면(102)에 인접한 슬릿(140)의 폭과 외측면(101)에 인접한 슬릿(140)의 폭을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릿(140)의 폭은 외측면(101)에서 내측면(102)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gradually)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이 줄어드는 변화율은 일정할 수 있다. The
즉, 상기 슬릿(140)의 폭은 외측면(101)에서 내측면(102)으로 갈수록 선형적(linear)하게 감소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슬릿(140)의 폭은 외측면(101)으로 벌어진 부채꼴 형상을 가져, 틈 사이의 가스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That is, the width of the
그리고, 상기 외측면(101)의 슬릿(140)의 폭은 5mm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102)의 슬릿(140)의 폭은 1mm 내지 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면(102) 슬릿(140)의 폭이 1 mm 이하로 형성될 경우 가스 흐름 분산이 어려울 수 있고, 공정 상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102)의 슬릿(140) 폭이 5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석영 도가니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면(102) 슬릿(140)의 폭은 1mm 내지 3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즉, 제 6 실시예의 슬릿(140)은 흑연 도가니(100)를 크기를 줄여가며 관통함으로써, 흑연 도가니(100)의 내측면(102)에 슬릿(140)의 폭은 감소시키고 외측면(101)에 슬릿(140)의 폭은 증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면서, 내측면(102) 슬릿(140)에 대응되는 석영 도가니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도 11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릿(140)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1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11은 제 7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에서 슬릿(140) 구조만을 달리한 것으로, 제 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제 7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제 1 내지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IG. 11 shows only the structure of the
제 7 실시예의 슬릿(140)은 내측면(102)에 인접한 슬릿(140)의 폭과 외측면(101)에 인접한 슬릿(140)의 폭을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릿(140)의 폭은 외측면(101)에서 내측면(102)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gradually)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이 줄어드는 변화율은 점점 커질 수 있다. 즉, 상기 슬릿(140)의 폭은 외측면(101)에서 내측면(102)으로 갈수록 비선형적(linear)으로 감소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외측면(101)의 슬릿(140)의 폭은 5mm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102)의 슬릿(140)의 폭은 1mm 내지 5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면(102) 슬릿(140)의 폭이 1 mm 이하로 형성될 경우 가스 흐름 분산이 어려울 수 있고, 공정 상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102)의 슬릿(140) 폭이 5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석영 도가니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면(102) 슬릿(140)의 폭은 1mm 내지 3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즉, 제 7 실시예의 슬릿(140)은 흑연 도가니(100)를 크기를 줄여가며 관통함으로써, 흑연 도가니(100)의 내측면(102)에 슬릿(140)의 폭은 감소시키고 외측면(101)에 슬릿(140)의 폭은 증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면서, 내측면(102) 슬릿(140)에 대응되는 석영 도가니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도 12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릿(140)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12 shows a process of forming the
도 12(a)를 보면, 먼저, 흑연 도가니(100)에서 슬릿(140)을 형성할 부분을 선택한다. Referring to FIG. 12 (a), first, a portion of the
다음, 도 12(b)를 보면, 상기 흑연 도가니(100)의 외측면(101)에 5mm 정도의 폭을 갖는 리세스(recess)를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2 (b), a recess having a width of about 5 mm is formed on the
이후, 도 12(c)를 보면, 상기 리세스의 하면에 상기 리세스 보다 작은 폭의 홀을 형성하여, 단차를 달리한 슬릿(140)을 형성할 수 있다. 12 (c), a hole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reces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form a
도 1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흑연 도가니(100)의 내측면(102)에 작은 폭의 리세스를 형성한 후, 상기 리세스에 대응되는 흑연 도가니(100)의 외측면(101)에 리세스를 형성하여, 상기 내측면(102)의 리세스와 상기 외측면(101)의 리세스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슬릿(14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2, a small-width recess is formed i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흑연 도가니(100)는 슬릿(140)(또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석영 도가니와 흑연 도가니(100) 사이에 스며든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흑연 도가니(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상기 흑연 도가니(100)에 형성된 슬릿(140)은 외측면(101)과 내측면(102)의 폭을 달리 형성하여, 좀더 원활하게 가스를 배출할 수 있고 석영 도가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modified by other person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the contents of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branche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Claims (10)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측벽;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면을 오목하게 연결하는 코너부;
상기 측벽, 상기 코너부 또는 상기 측벽 및 코너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흑연 도가니.A graphite crucible disposed inside the ingot growing apparatus and containing a quartz crucible,
Bottom surface;
A side wall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A corner portion concavely connecting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surface;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outer side surface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the corner portion, or the side wall and the corner portion.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코너부에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는 가로방향의 슬릿인 흑연 도가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rough hole is a sli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outer side surface and the inner side surface at the corner portion.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측벽부터 상기 코너부까지 연장된 세로방향의 슬릿인 흑연 도가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 is a sl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to the corner portion.
상기 외측면의 슬릿의 폭과 내측면의 슬릿의 폭은 서로 다른 흑연 도가니.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width of the slit on the outer side and a width of the slit on the inner sid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슬릿의 폭은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흑연 도가니.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dth of the sli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상기 슬릿의 폭은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흑연 도가니.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dth of the slit linearly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상기 슬릿의 폭은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흑연 도가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dth of the slit decreases non-linearly from the outer side toward the inner side.
상기 슬릿의 폭이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변화량은 점차 증가하는 흑연 도가니.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width of the slit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gradually increases.
상기 슬릿의 외측면의 폭은 5mm 이상이고, 상기 슬릿의 내측면의 폭은 1mm 내지 5mm 사이인 흑연 도가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width of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lit is 5 mm or more and a width of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lit is 1 mm to 5 mm.
10. An ingot growing apparatus comprising a graphite crucib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9964A KR20160016251A (en) | 2014-08-04 | 2014-08-04 | Crucible and ingot growing apparutus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9964A KR20160016251A (en) | 2014-08-04 | 2014-08-04 | Crucible and ingot growing apparutus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6251A true KR20160016251A (en) | 2016-02-15 |
Family
ID=5535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9964A Withdrawn KR20160016251A (en) | 2014-08-04 | 2014-08-04 | Crucible and ingot growing apparutus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1625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29162A (en) * | 2021-07-19 | 2021-10-22 | 西安奕斯伟材料科技有限公司 | Graphite crucible and device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quartz crucible |
CN115478319A (en) * | 2022-09-21 | 2022-12-16 | 西安奕斯伟材料科技有限公司 | Quartz crucible, crucible assembly and single crystal furnace |
US11608567B2 (en) | 2019-07-31 | 2023-03-21 | Sk Siltron Co., Ltd. | Crucible for ingot grower |
-
2014
- 2014-08-04 KR KR1020140099964A patent/KR20160016251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08567B2 (en) | 2019-07-31 | 2023-03-21 | Sk Siltron Co., Ltd. | Crucible for ingot grower |
CN113529162A (en) * | 2021-07-19 | 2021-10-22 | 西安奕斯伟材料科技有限公司 | Graphite crucible and device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quartz crucible |
CN115478319A (en) * | 2022-09-21 | 2022-12-16 | 西安奕斯伟材料科技有限公司 | Quartz crucible, crucible assembly and single crystal furnace |
CN115478319B (en) * | 2022-09-21 | 2024-06-04 | 西安奕斯伟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Quartz crucible, crucible assembly and single crystal furna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09911B (en) | Detachable edge ring for thermal processing support towers | |
KR101297473B1 (en) | Graphite crucible and silicon single crystal manufacturing apparatus | |
US9150420B2 (en) | Conical graphite electrode with raised edge | |
JP6631460B2 (en) | Method for producing silicon single crystal and silicon single crystal | |
KR20160016251A (en) | Crucible and ingot growing apparutus having the same | |
JP6236158B2 (en) | Ingot growth equipment | |
KR101724291B1 (en) | Apparatus for growing silicon carbide single crystal using the method of reversal of Physical Vapor Transport | |
CN110573662A (en) | Heat shield member, single crystal pull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ingle crystal silicon ingot | |
WO2023051691A1 (en) | Crucible assembly and crystal pulling furnace | |
JP5293615B2 (en) | Single crystal production equipment | |
US20120266809A1 (en) | Insulation device of single crystal growth device and single crystal growth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50071850A (en) | Gas discharge pipe and ingot grow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20130233241A1 (en) | Single crystal pulling apparatus and low heat conductive member used for single crystal pulling apparatus | |
KR101390799B1 (en) | Graphite crucible | |
KR20130072770A (en) | Apparatus of growing a single silicon ingot | |
JP2006128316A (en) | Vertical boat for heat treatment and heat treatment method | |
KR101506876B1 (en) | Apparatus for growing a silicon single crystal | |
KR20120138112A (en) | Apparatus for fabricating ingot | |
US10190235B2 (en) | Wafer suppor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 |
KR102122739B1 (en) | A crucible designed with protrusion for crystal growth using solution | |
KR102237292B1 (en) | Crucible for ingot grower | |
KR20110090214A (en) | Agitation device and silicon single crystal manufactur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1607160B1 (en) | Single crystal growing apparatus | |
JP2009272386A (en) | Method for supporting wafer to wafer support tool | |
KR10180027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rowing silicon single crystal ing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