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066A -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066A
KR20160016066A KR1020140099290A KR20140099290A KR20160016066A KR 20160016066 A KR20160016066 A KR 20160016066A KR 1020140099290 A KR1020140099290 A KR 1020140099290A KR 20140099290 A KR20140099290 A KR 20140099290A KR 20160016066 A KR20160016066 A KR 2016001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groove
nozzle
window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440B1 (ko
Inventor
김무희
장원석
이동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4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44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배기 안내수단과 윈도우 키트의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 Window kit of a transportable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실외 열교환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크게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구성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구성되며, 상기 실외기에는 실외 열교환기(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실내열교환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결합된 형태로,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하나의 본체에 구비되어 전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하나의 본체에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창문 또는 창문틀 등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 공기조화기와, 필요한 공간에 본체를 위치시키고 배기 안내수단을 통해 외부로 열교환된 공기 일부를 배출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대표적인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597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와 윈도우 키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본체(1)는 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10)과 전면 판넬(11) 그리고, 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 프레임(12)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10)은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상면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13)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 프레임(12)은 공기조화기의 후면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방 프레임(12)에는 열교환 된 공기를 외부(특히,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안내수단(2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기 안내수단(20)은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기관(21)과, 상기 배기관(21)의 단부에서 윈도우 키트(30)와 연결되는 노즐(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21)은 내부가 빈 관모양을 가지며, 배기 안내수단(20)이 연결되어질 창문(W)의 위치 및 높이에 따라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배기관(21)은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며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21)은 도면과 같이 구부려졌을 때에도 내부가 원형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22)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윈도우 키트(30)와 결합되어 상기 배기 안내수단(20)을 고정시키며, 배출되는 공기가 온전히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노즐(22)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 키트(30)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안내수단(20)의 단부에는 배기 안내수단(20)이 창틀(B)에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윈도우 키트(30)가 구비된다. 상기 윈도우 키트(30)는 상단과 하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즐과 결합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배기판넬(31)과, 상기 배기판넬(31)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윈도우 키트(30)의 길이를 창틀 크기에 맞추기 위한 차폐판(32)이 구비된다.
상기 윈도우 키트(30)의 상/하단부는 창문(W) 또는 창틀(B)에 상기 윈도우 키트(30)의 상/하부가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33)의 둘레에는 상기 노즐(22)과 상기 배기판넬(31)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체결구(34)가 다수개 천공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배기 안내수단(20)과 윈도우 키트(30)의 결합 및 분해를 위해서는 반드시 스크류(S)가 체결되어야 하므로, 설치 이전 등의 작업시 스크류(S) 체결 및 분리를 위한 도구가 필요하게 되어 이동 또는 서비스 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스크류(S)를 각각 체결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배기 안내수단과 윈도우 키트의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는, 창틀에 장착되며,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배기구에서 연장되는 배기 안내수단과 결합되는 윈도우 키트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키트는; 상기 창틀에 고정되며, 상기 배기 안내수단의 개구된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설치판넬과; 상기 설치판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창틀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되는 차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안내수단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통과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과 걸림 구속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의 상단에 형성되는 설치홈 및 걸림홈과 상기 삽입홀의 하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설치홈 및 걸림홈은 서로 비대칭되는 배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홈 및 걸림홈은 상기 삽입홀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홈 및 걸림홈은 상기 삽입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배기 안내수단의 개구된 단부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더 긴 가로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상기 배기 안내수단의 단부가 삽입된 후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수단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후방에서 상기 안내수단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지지부는 상기 설치판넬의 두께와 대응하는 두께만큼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설치판넬과 결합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서 돌출되는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의 전면과 상기 안내수단의 외측을 연결하는 보강부와; 상기 구속부의 배면과 상기 안내수단의 외측을 연결하며, 상기 걸림홈과 걸림 구속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에 의하면, 배기 안내수단의 노즐을 상기 설치 판넬의 삽입홀에 삽입한 후에 상기 노즐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노즐과 상기 설치 판넬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거나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의 체결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상기 노즐과 설치 판넬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과 설치 판넬은 상기 노즐의 삽입 후 측방향 이동되는 조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되어, 후크 결합되는 구조와 같은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구조와는 다르게 보다 간편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을 조립하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노즐과 상기 설치 판넬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안내수단의 노즐과 윈도우 키트의 설치 판넬이 결합될 때, 노즐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설치홈이 삽입홀의 상단과 하단에서 서로 비대칭적인 구조로 배치된다.
즉, 상기 삽입홀 상단과 하단의 설치홈은 그 개수가 서로 다르거나, 개수가 같더라도 간격을 다르게 하여 상기 노즐이 정방향으로만 상기 설치 판넬과 결합되되고 일방향으로만 수평이동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노즐을 항상 정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노즐의 오조립으로 인한 상기 배기 안내수단의 손상 또는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이 결합되는 방향이 일방향으로 한정함으로써 상기 삽입홀의 가로방향 길이와 상기 노즐의 지지부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와 윈도우 키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와 윈도우 키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는 상기 이동식 공기조화기와 윈도우 키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배기 안내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윈도우 키트의 설치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배기 안내수단과 윈도우 키트의 결합구조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는 상기 배기 안내수단과 윈도우 키트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 판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는 공기조화기의 형태와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배기 안내수단이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이동식 공기조화기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와 윈도우 키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는 상기 이동식 공기조화기와 윈도우 키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300)는 공기조화기의 배기 안내수단(200)과 연결되며, 창문(W)의 창틀(B)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의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와 압축기 및 팽창장치를 비롯하여 공기의 유동을 위한 팬모터가 내장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어 실외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배기 안내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후면 일측에는 실외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이 장착된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되어 상기 본체(100) 내측에서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다른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배기구를 지나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에 의해 실외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은 상기 본체의 배기구와 상기 창틀에 설치되는 윈도우 키트(300)와 연결하여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은 유동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기관(210)과 상기 윈도우 키트(200)와 연결되는 노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210)은 주름관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기구와 상기 노즐(22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210)은 사용자에 의한 자유로운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고 벤딩된 상태에서도 내부의 유로 단면의 형상은 변형되지 않고 유지되어 원활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노즐(220)은 상기 배기관(210)의 개구된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220)의 출구(221)는 상기 윈도우 키트(300)에 형성되는 삽입홀(311)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220)은 공기의 유동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해 전반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관(210)이 보다 덜 벤딩된 상태로 상기 윈도우 키트(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윈도우 키트(300)는 상기 창틀(B)과 창문(W)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윈도우 키트(300)는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과 연결되는 설치 판넬(310)과, 상기 설치 판넬(310)과 결합되며 상기 설치 판넬(3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어 상기 창틀(B)의 길이에 따라 설치되는 상기 윈도우 키트(3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차폐판(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 판넬(310)에는 상기 노즐(220)의 출구(221)가 삽입되는 삽입홀(31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311)을 상기 노즐(220)의 단부가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 판넬(310)의 상단과 하단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차폐판(320)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판(320)에는 상기 설치 판넬(310)의 상단과 하단을 수용하는 가이드 홈(32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321)을 따라서 상기 설치 판넬(31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에서 서로 걸림 구속되거나,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윈도우 키트(30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상기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배기 안내수단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5-5'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은, 배기관(210)과 노즐(220)로 구성되며, 상기 배기관(210)의 단부에 노즐(220)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220)은 상기 배기관(210) 측에서 상기 출구(221)를 향할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출구(221)는 상기 설치 판넬(310)의 삽입홀(3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22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삽입홀(311)을 통해 실외 공간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노즐(220)은 전반부는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면은 하면보다 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설치 판넬(310)에 설치될 때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220)의 출구(221)에서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는 지지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22)는 상기 노즐(22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노즐(220)의 외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220)이 상기 설치 판넬(310)에 설치될 때 상기 노즐(220)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지지부(222)는 상기 삽입홀(311)의 외측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22)의 전방에는 다수의 걸림돌기(23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30)는 상기 설치 판넬(310)의 두께 만큼 상기 지지부(222)와 떨어진 위치에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 판넬(310)의 단부가 상기 걸림돌기(230)와 상기 지지부(222)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설치 판넬(310)과 상기 노즐(2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돌기(230)는 상기 노즐(2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30)의 배치는 상기 노즐(220)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비대칭적인 개수 또는 배치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220)이 항상 정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30)가 상기 노즐(220)의 상단에 1개 하단에 2개가 형성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걸림돌기(230)의 개수를 확인하여 상하 위치의 확인이 가능하며 정확한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키트(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230)는 상기 지지부(222)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속부(231)와 상기 구속부(231)와 상기 노즐(220) 외측면이 형성는 모서리를 연결하는 보강부(232) 그리고, 상기 보강부(232)의 반대방향 즉, 상기 구속부(231)와 지지부(222)의 사이에서 상기 구속부(231)와 상기 노즐(220) 외측면이 형성하는 모서리를 연결하는 걸림부(2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231)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설치 판넬(310)의 설치홈(312)을 통과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33)는 상기 설치홈(312)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313)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노즐(220)의 내부에는 외부의 이물이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그릴(2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윈도우 키트의 설치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윈도우 키트(300)의 설치 판넬(31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설치 판넬(310)은 소정의 폭과 넓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단과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14)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314)는 상기 차폐판(320)의 가이드 홈(321)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 판넬(310)과 차폐판(320)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설치 판넬(310)에는 상기 설치홈(312)이 형성된 상기 삽입홀(3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311)은 상기 노즐(2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311)의 상하 폭은 상기 출구(221)의 상하폭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220)의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230)가 상기 삽입홀(311)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노즐(220)이 측방 이동되어 상기 걸림홈(313)에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311)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출구(221)의 가로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220)이 상기 삽입홀(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311)의 좌우측 단부는 상기 출구의 좌우측 단부와 같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과 하단에는 다수의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312)은 상기 노즐(220)이 상기 설치 판넬(310)과 결합되기 위해 통과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220)의 걸림돌기(230)가 통과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설치홈(312)은 상기 걸림돌기(230)의 구속부(23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30)가 상기 설치홈(312)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312)은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되 서로 대칭되지 않는 개수와 배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312)의 위치는 상기 노즐(220)이 삽입될 때 다수의 상기 걸림돌기(23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220)은 일방향으로만 상기 설치 판넬(3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이 바뀌어 오조립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312)의 측방에는 걸림홈(31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313)은 상기 설치홈(312)의 내측으로 삽입된 걸림돌기(230)가 측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230)의 걸림부(233)가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홈(313)은 상기 걸림부(233)의 폭과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되며, 상기 걸림홈(313)과 상기 걸림부(233)의 구속에 의해 상기 노즐(220)과 상기 설치 판넬(310)은 완전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홈(313)은 다수의 상기 설치홈(312) 각각의 측방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220)의 측방향 이동에 의한 구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노즐(220)이 상기 삽입홀(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설치홈(31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220)의 삽입 후 측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홀(311)의 가로방향 길이는 상기 노즐(220)의 출구의 가로방향 길이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222)는 이와 같은 상기 노즐(220)의 이동에도 상기 삽입홀(311)이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만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즐(220)과 윈도우 키트(30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배기 안내수단과 윈도우 키트의 결합구조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는 상기 배기 안내수단과 윈도우 키트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식 공기조화기 본체(100)가 설치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을 구성하는 상기 노즐(220)과 상기 윈도우 키트(300)를 구성하는 설치 판넬(310)을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윈도우 키트(300)의 설치 판넬(310)과 차폐판(320)을 상기 창틀(B)의 폭과 대응하는 폭이 되도록 조절한 후에 상기 창틀(B)에 고정 장착하여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 배기 안내수단(200)과 윈도우 키트(300)의 결합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상기 노즐(220)의 단부가 상기 삽입홀(311)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노즐(220)의 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걸림돌기(230)와 상기 설치 판넬(310)의 설치홈(312)이 서로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230)가 상기 설치홈(312)을 통과하도록 삽입시켜 도 7의 (a)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311)의 단부는 상기 노즐(220)의 지지부(222)와 구속부(231)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설치 판넬(310) 또는 노즐(220)을 측방으로 이동시켜 도 7의 (b)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노즐은 상기 걸림홈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삽입홀 또한 걸림홈이 있는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노즐(220)의 측방향 이동으로 상기 삽입홀(311)의 단부는 상기 지지부(222)와 구속부(23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설치 판넬(310)의 전면과 후면은 각각 상기 지지부(222)와 구속부(231)에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설치 판넬(310)은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2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노즐(220)의 걸림부(233)가 상기 걸림홈(313)에 압입되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33)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홈(313)에 압입된 상태로 상기 노즐(220)이 상기 설치 판넬(31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233)가 걸림홈(3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311)의 둘레는 상기 지지부(222)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실내외의 공이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식 공기조화기 본체(100)의 이동 또는 설치 해체를 위한 경우 상기 노즐(220)과 설치 판넬(310)은 조립의 역순으로 간단히 분리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서 별도의 도구 없이 다시 재 조립되어 설치 가능하게 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 설치 판넬에 형성되는 설치홈 및 걸림홈의 배치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설치 판넬의 구조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 판넬(310)에는 상기 노즐(220)이 삽입되는 삽입홀(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과 하단에는 다수의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312)과 걸림홈(313)과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220)이 상기 설치 판넬(310)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물론, 이때 상기 노즐(220)에는 상기 설치홈(312)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걸림돌기(230)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312)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은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에 두개가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고, 하단에는 세개가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은 상하의 개수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배치 또한 형성되는 위치 또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노즐(220)의 올바른 결합 방향을 식별할 수 있게 되며 항상 정방향으로 상기 노즐(22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 판넬(310)에는 상기 노즐(220)이 삽입되는 삽입홀(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과 하단에는 다수의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은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220)과 상기 설치 판넬(310)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노즐(220)에는 상기 설치홈(312)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걸림돌기(230)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30)는 상기 설치홈(312)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은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세개씩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은 그 배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홈(312) 및 걸림홈(313)이 서로 다른 배치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삽입홀(311)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은 서로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반면, 상기 삽입홀(311)의 하단에 형성된 설치홈(312)과 걸림홈(313)은 더 넓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의 설치홈(312)과 하단의 설치홈(312)은 서로 비 대칭되는 배치를 가지게 되며, 작업자는 이를 통해 상기 노즐(220)의 결합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항상 정 방향으로 상기 노즐(22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창틀에 장착되며,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배기구에서 연장되는 배기 안내수단과 결합되는 윈도우 키트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키트는;
    상기 창틀에 고정되며, 상기 배기 안내수단의 개구된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설치판넬과;
    상기 설치판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창틀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되는 차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안내수단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통과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과 걸림 구속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의 상단에 형성되는 설치홈 및 걸림홈과 상기 삽입홀의 하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설치홈 및 걸림홈은 서로 비대칭되는 배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 및 걸림홈은 상기 삽입홀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 및 걸림홈은 상기 삽입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배기 안내수단의 개구된 단부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더 긴 가로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상기 배기 안내수단의 단부가 삽입된 후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후방에서 상기 안내수단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지지부는 상기 설치판넬의 두께와 대응하는 두께만큼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설치판넬과 결합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서 돌출되는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의 전면과 상기 안내수단의 외측을 연결하는 보강부와;
    상기 구속부의 배면과 상기 안내수단의 외측을 연결하며, 상기 걸림홈과 걸림 구속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KR1020140099290A 2014-08-01 2014-08-01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KR10230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290A KR102302440B1 (ko) 2014-08-01 2014-08-01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290A KR102302440B1 (ko) 2014-08-01 2014-08-01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066A true KR20160016066A (ko) 2016-02-15
KR102302440B1 KR102302440B1 (ko) 2021-09-15

Family

ID=5535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290A KR102302440B1 (ko) 2014-08-01 2014-08-01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4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529A (ko) * 2018-01-08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부 설치키트 결합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WO2020206986A1 (zh) * 2019-04-09 2020-10-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移动空调器
KR20200135085A (ko) * 2019-05-24 202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320717B1 (ko) * 2020-07-15 2021-11-02 손형만 냉난방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순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857A (ja) * 2003-05-09 2004-11-25 Pipe System Niigata:Kk 管路の接続構造
KR20080075259A (ko) * 2007-02-12 2008-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857A (ja) * 2003-05-09 2004-11-25 Pipe System Niigata:Kk 管路の接続構造
KR20080075259A (ko) * 2007-02-12 2008-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공기조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529A (ko) * 2018-01-08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부 설치키트 결합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WO2020206986A1 (zh) * 2019-04-09 2020-10-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移动空调器
KR20200135085A (ko) * 2019-05-24 202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320717B1 (ko) * 2020-07-15 2021-11-02 손형만 냉난방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440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0462B1 (en)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047972B2 (en)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EP3623717B1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conditioner
KR20160016066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CN106705239B (zh) 壁挂式空调器室内机及壁挂式空调器
US20170045240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3699501B1 (en) Wall-mounted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187256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20150093983A1 (en)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KR20170000386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U2018242434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N106705242B (zh) 壁挂式空调器室内机及壁挂式空调器
US7021076B2 (en) Unit type air conditioner
CN211177102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US11486601B2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100051957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75259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101498283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US11578879B2 (en) Window-type air conditioner
KR10227312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CN108692375B (zh) 窗帘阻挡机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110567050A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5675740U (zh) 落地式空调器的壳体组件及具有其的落地式空调器
CN219868141U (zh) 风道组件及空调室内机
CN213713225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