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948A - Feeding apparatus for lifter equipped extensible ladder vehicle - Google Patents
Feeding apparatus for lifter equipped extensible ladde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4948A KR20160014948A KR1020140097170A KR20140097170A KR20160014948A KR 20160014948 A KR20160014948 A KR 20160014948A KR 1020140097170 A KR1020140097170 A KR 1020140097170A KR 20140097170 A KR20140097170 A KR 20140097170A KR 20160014948 A KR20160014948 A KR 201600149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base member
- state
- loading table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가 상승되는 경우에는 수평되게 하여 적재된 화물을 안정되게 이동시키고, 적재대의 하강이 완료된 경우에는 기울어지게 하여 적재된 화물이 자동으로 하차될 수 있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riced ladder car convey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moving a loaded cargo in a stable manner when the cargo loaded luggage rack is lifted, .
일반적으로, 고가사다리차는 지상과 고층건물간의 사이에 위치되어서 화물을 지상에서 고층건물로 또는 고층건물에서 지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elevated ladder cars are located between ground and high rise buildings and are used to move cargo from ground to high rise buildings or from high rise buildings to ground.
이러한, 고가사다리차는 차체에 구비되는 다단으로 신축되는 붐대가 신장되어서 고층건물의 창문이나 아파트의 베란다에 지지된 상태에서,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가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붐대를 따라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Such an elevated ladder car is installed such that a boom band extending and extending in multi-stages provided in a vehicle body is extended and supported on a veranda of a window or an apartment of a high-rise building, so that a loading platform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boom have.
따라서, 구동장치가 구동되면 화물이 적재된 적재대가 붐대를 따라 상승되어서 고층건물로 화물을 올리거나 고층건물에서 지상으로 화물을 내릴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driving device is driven, the loading unit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can be lifted along the boom frame to raise the cargo to the high-rise building or lower the cargo to the ground from the high-rise building.
그러나, 전술한 고가사다리차는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가 항상 수평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장방형의 화물을 세워서 상차시키지 못하고 눕힌 상태로만 상차시키기 때문에 장방형의 화물이 눕혀진 상태로 상차됨에 의해 외부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elevated ladder car is always in a horizontal state, the cargo is placed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cargo can not be lifted upright.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적재대가 세워진 상태로 화물을 운반하고 적재대가 눕혀진 상태로 상차작업이나 하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ique capab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loading platform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so that the cargo can be transported in a state where the loading platform is erected and the loading platform can be laid down so that the car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공보 10-1015394호(2011.02.10.)가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15394 (Feb.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가 상승되는 경우에는 수평되게 하여 적재된 화물을 안정되게 이동시키고, 적재대의 하강이 완료된 경우에는 기울어지게 하여 적재된 화물이 자동으로 하차될 수 있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a cargo to which the cargo is loaded when the load is elevated, And to provide a high-priced ladder carrying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는, 고가사다리차의 붐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0)와, 베이스부재(10)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20)와, 적재대(20) 및 베이스부재(10)의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부재(10)의 하단을 밀거나 당겨서 적재대(2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30)와, 베이스부재(10)의 승강상태와 적재대(20)의 회전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40)와, 센서부(40)의 센싱상태를 감지하여 베이스부재(10)의 승강상태에 따라 적재대(20)가 미리 설정된 각각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부재(3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vator ladder car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바람직하게, 회전부재(30)는 적재대(20)와 베이스부재(10)에 실린더축과 실린더몸체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31)와, 적재대(20)에 설치된 상태로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실린더(31)의 실린더축이 신축되도록 실린더(31)에 유체를 제공하거나 제공된 유체를 회수하는 실린더구동부(32)와, 실린더구동부(32)에서 제공되는 유체가 관류되며 실린더(31) 및 실린더구동부(32)에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연결호스(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바람직하게, 회전부재(30)는 적재대(20)와 베이스부재(10)에 실린더축과 실린더몸체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실린더(34)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50)는 보조실린더(34)를 작동시킨 후에 실린더(31)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바람직하게, 센서부(40)는 적재대(20)에 설치되어 적재대(20)의 수평상태를 센싱하는 수평센서(41)와, 붐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재(10)나 적재대(20)의 하강상태를 센싱하는 리미트센서(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바람직하게, 수평센서(41)는 적재대(2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면 수평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수평계로 구성되고, 리미트센서(42)는 적재대(20)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센서나 적재대(20)의 근접상태를 센싱하는 근접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바람직하게, 제어부(50)는 베이스부재(10)가 붐대에서 하강되지 않은 상태를 센서부(40)가 센싱하면 적재대(20)가 수평되도록 회전부재(30)를 작동시키고, 베이스부재(10)가 붐대에서 하강된 상태를 센서부(40)가 센싱하면 적재대(20)가 기울어지도록 회전부재(3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가 상승되는 경우에는 수평되게 하여 적재된 화물을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화물이 안정되게 상승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이 이탈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적재대의 하강이 완료된 경우에는 기울어지게 하여 적재된 화물이 자동으로 하차될 수 있어서 화물의 하차작업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oading bag on which a cargo is loaded is elevated, the loaded cargo can be moved in a stable manner so that the cargo can be stably elevated, and a safety accident such as separation of cargo can be prevented And when the lowering of the loading platform is completed, the loaded cargo can be automatically lowered by tilting, so that the cargo can be easily unloaded and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가 기립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가 수평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부재, 센서부재 및 제어부의 연결된 상태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재대가 화물을 상차하고 수평된 상태로 고가사다리차의 붐대를 따라 상승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재대가 고가사다리차의 붐대의 상단에서도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재대가 폐자재를 상차하고 수평된 상태로 고가사다리차의 붐대를 따라 하강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재대가 고가사다리차의 붐대를 따라 하강된 상태에서 기울어져서 폐자재를 하차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vated ladder car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nding state. FIG.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ying apparatus for an elevated ladde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horizontal stat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ed state of a rotating member, a sensor member,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along a boom of a high-priced ladder car in a state where the cargo is loaded and horizontally loaded.
Fig. 5 is a state of use in which a loading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kept horizontal even at the upper end of a boom of a high-priced ladder.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waste materials ar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lowered along a boom of a high-priced ladder car.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in a state of being lowered along a boom of a high-priced ladder car to lower a waste materi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는, 베이스부재(10)와, 적재대(20)와, 회전부재(30)와, 센서부재(40)와, 제어부(50)를 포함한다. 1 to 4, the elevator ladder car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고가사다리차의 붐대는 텔레스코피형태로 구성되어 수축된 상태에서 다단으로 신장되어서 상단이 고층건물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붐대에는 이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이동부재가 승강되도록 이동부재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컨트롤러에 의해 이동부재가 붐대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First, the boom zone of the elevated ladder car is composed of telescopic type, and it can be extended to multiple stages in the contracted state, so that the upper end can be supported in the high-rise building. In this type of boom, there is provided a moving member which is fixed in a movable stat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ving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ing member. That is, the moving member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boom frame by the controller.
베이스부재(10)는 고가사다리차의 붐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고가다사리의 붐대에 구비된 이동부재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가사다리차의 컨트롤러에 의해 이동부재가 고가사다리차의 붐대를 따라 이동되므로 베이스부재(10)도 고가사다리차의 붐대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The
적재대(20)는 베이스부재(10)에 상단이 회전핀(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것으로, 평판형태로 형성된다. The loading table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on which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table 20 is rotatably fixed to the
또한, 적재대(20)는 양측이나 후방에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외벽(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벽은 적재대(20)에 적대된 화물의 외측을 지지하여서 화물이 적재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ading table 20 may be provided with an outer wall (not shown) which is detachably fixed on both sides or rear. This outer wall can support the outside of the cargo which is hostile to the
회전부재(30)는 적재대(20) 및 베이스부재(10)의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부재(10)의 하단을 밀거나 당겨서 적재대(2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부재(30)는 적재대(20)와 베이스부재(10)에 실린더축과 실린더몸체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31)와, 적재대(20)에 설치된 상태로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실린더(31)의 실린더축이 신축되도록 실린더(31)에 유체를 제공하거나 제공된 유체를 회수하는 실린더구동부(32)와, 실린더구동부(32)에서 제공되는 유체가 관류되며 실린더(31) 및 실린더구동부(32)에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연결호스(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오일이나 공기일 수 있다. The
실린더(31)는 적재대(20)의 하단에 실린더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베이스부재(10)에 실린더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몸체에서 실린더축이 신장되면 베이스부재(10)에서 적재대(20)가 회전되어서 수평이나 수직될 수 있다. The
실린더구동부(32)는 실린더(31)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유체공급부(35)와, 유체공급부(35)를 컨트롤하는 유체컨트롤러(36)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유체공급부(35)는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탱크와, 유체탱크의 유체가 실린더(31)로 공급되게 하거나 실린더(31)에 공급된 유체가 유체탱크로 회수되도록 유체에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을 회수하는 압력발생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유체컨트롤러(36)는 압력발생부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이 탑재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실린더구동부(32)는 적재대(2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연결호스(33)는 신축되는 실린더(31)의 유동에 대응되어서 내경이 변화되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플랙시블한 호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따라서, 회전부재(30)인 실린더에서 실린더축이 신장되면 베이스부재(10)에서 적재대(20)가 상부로 회전되어서 수평을 이루게 되고, 회전부재(30)인 실린더에서 실린더축이 수축되면 적재대(20)가 베이스부재(10)쪽을 향해 하부로 회전되어서 대략 수직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회전부재(30)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부재(10)를 기준으로 적재대(20)가 회전되어서 적재대(20)가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화물의 상차작업 및 하차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ylinder shaft is extended in the cylinder of the
특히, 실린더구동부(32)가 적재대(20)에 구비되어서 실린더(31)에 근접되므로 연결호스(33)가 짧은 길이로 구성될 수 있어서 연결호스(33)가 외부에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은 양의 유체가 관류하므로 연결호스(33)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면서 유체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실린더(31)가 신속하게 작동될 수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또한, 회전부재(30)는 적재대(20)와 베이스부재(10)에 실린더축과 실린더몸체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실린더(3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실린더(34)는 연결호스(33)를 통해 실린더구동부(32)에 연결되어서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는 실린더구동부(32)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31)보다 먼저 작동될 수 있어서, 실린더(31)의 무리한 작동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31)와 함께 적재대(20)를 지지하여 적재대(20)의 하중이 실린더(31)에 가중됨을 방지할 수 있다. The
그리고, 보조실린더(34)는 실린더(31)보다 회전핀(21)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실린더(34)는 실린더(31)보다 먼저 작동되어 실린더(31)에 가해지는 적재대(20)의 하중이 감소시킬 수 있어서 실린더(31)의 무리한 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물론, 보조실린더(34)는 실린더(31)와 동시에 수축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센서부(40)는 베이스부재(10)의 승강상태와 적재대(20)의 회전상태를 센싱하는 것으로, 적재대(20)에 설치되어 적재대(20)의 수평상태를 센싱하는 수평센서(41)와, 붐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재(10)나 적재대(20)의 하강상태를 센싱하는 리미트센서(4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수평센서(41)는 적재대(2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면 수평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수평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리미트센서(42)는 적재대(20)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센서나 적재대(20)의 근접상태를 센싱하도록 광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제어부(50)는 센서부(40)의 센싱상태를 감지하여 베이스부재(10)의 승강상태에 따라 적재대(20)가 미리 설정된 각각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부재(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이 탑재된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50)는 베이스부재(10)가 붐대에서 하강되지 않은 상태를 센서부(40)가 센싱하면 적재대(20)가 수평되도록 회전부재(30)를 작동시키고, 베이스부재(10)가 붐대에서 하강된 상태를 센서부(40)가 센싱하면 적재대(20)가 기울어지도록 회전부재(3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가 붐대를 따라 상승하게 되면 리미트센서(42)가 베이스부재(10)를 센싱하지 못하게 되므로 제어부(50)가 회전부재(30)를 작동시켜서 적재대(20)가 수평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수평센서(41)가 적재대(20)의 수평상태를 센싱하게 됨에 의해 제어부(50)에 의해 적재대(20)가 신속하게 수평될 수 있으면서 수평된 상태로 붐대를 따라 상승될 수 있다. 즉, 수평되는 적재대(20)에 상차된 화물은 안정된 상태로 상승될 수 있다. 5 to 7, when the
그리고, 베이스부재(10)가 붐대를 따라 하강하게 되면 리미트센서(42)가 베이스부재(10)를 센싱하게 되므로 제어부(50)가 회전부재(30)를 작동시켜서 적재대(20)가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즉, 수직되는 적재대(20)에 상차된 화물은 기울어지는 적재대(20)에서 빠르게 하차될 수 있다. 특히, 건물의 내부공사에 의해 발생되는 폐자재를 건물의 내부에서 지상으로 하차시키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제어부(50)는 회전부재(30)를 회전시킬 때 보조실린더(34)를 작동시킨 후에 실린더(31)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적재대(20)가 수평상태로 고가사다리차의 붐대를 따라 상승될 수 있어서 상차된 화물이 안정되게 상승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이 이탈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적재대(20)가 붐대의 하단으로 하강하면 자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서 상차된 화물이 즉시 하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under the control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층으로 화물을 운반하거나 고층의 화물을 지상으로 하차시키기 위한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widely used because it is applied to a conveying device for a high-priced ladder car for transporting cargo to a high-level or for lowering a cargo of a high-level cargo to the groun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베이스부재
20 : 적재대
21 : 회전핀
30 : 회전부재
31 : 실린더
32 : 실린더구동부
33 : 연결호스
34 : 보조실린더
35 : 유체공급부
36 : 유체컨트롤러
40 : 센서부재
41 : 수평센서
42 : 리미트세서
50 : 제어부10: base member 20:
21: rotating pin 30: rotating member
31: cylinder 32: cylinder driving part
33: connecting hose 34: auxiliary cylinder
35: fluid supply part 36: fluid controller
40: sensor member 41: horizontal sensor
42: Limit sensor 50:
Claims (6)
베이스부재(10)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20)와,
적재대(20) 및 베이스부재(10)의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부재(10)의 하단을 밀거나 당겨서 적재대(2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30)와,
베이스부재(10)의 승강상태와 적재대(20)의 회전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40)와,
센서부(40)의 센싱상태를 감지하여 베이스부재(10)의 승강상태에 따라 적재대(20)가 미리 설정된 각각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부재(3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 A base member 10 movably provided along the boom of the elevated ladder,
A loading table 20 on which a top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member 10 and on which cargo is loaded,
A rotary member 30 provided between the stage 20 and the base member 10 to push or pull the lower end of the base member 10 to rotate the stage 20 up and down,
A sensor unit 40 for sensing the ascending / descending state of the base member 10 and the rotating state of the table 20,
And a control unit 50 that senses the sensing state of the sensor unit 40 and operates the rotary member 30 so that the table 20 forms the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tates of the base member 10 Features a high-cost ladder carrying device.
적재대(20)와 베이스부재(10)에 실린더축과 실린더몸체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31)와,
적재대(20)에 설치된 상태로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실린더(31)의 실린더축이 신축되도록 실린더(31)에 유체를 제공하거나 제공된 유체를 회수하는 실린더구동부(32)와,
실린더구동부(32)에서 제공되는 유체가 관류되며 실린더(31) 및 실린더구동부(32)에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연결호스(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 The rotary member (3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ry member
A cylinder 31 in which a cylinder shaft and a cylinder body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ading table 20 and the base member 10,
A cylinder drive unit 32 that is provided in the loading table 20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 to supply fluid to the cylinder 31 or to recover the supplied fluid so that the cylinder axis of the cylinder 31 is expanded and contracted,
And a connecting hose (33) connected to the cylinder (31) and the cylinder driving part (32) in a fluidized state, wherein the fluid supplied from the cylinder driving part (32) is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hose (33).
회전부재(30)는 적재대(20)와 베이스부재(10)에 실린더축과 실린더몸체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실린더(34)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50)는 보조실린더(34)를 작동시킨 후에 실린더(31)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ry member (3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cylinder (34) rotatably connected to the cylinder shaft and the cylinder body, respectively, on the stage (20) and the base member (10)
Wherein the control unit (50) operates the cylinder (31) after operating the auxiliary cylinder (34).
적재대(20)에 설치되어 적재대(20)의 수평상태를 센싱하는 수평센서(41)와,
붐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재(10)나 적재대(20)의 하강상태를 센싱하는 리미트센서(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40)
A horizontal sensor 41 installed in the loading table 20 for sens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loading table 20,
And a limit sensor (42)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boom frame for sensing the descent state of the base member (10) or the loading table (20).
수평센서(41)는 적재대(2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면 수평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수평계로 구성되고,
리미트센서(42)는 적재대(20)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센서나 적재대(20)의 근접상태를 센싱하는 근접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sensor 41 is constituted by a digital horizontal system for outputting a horizontal signal when detect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loading table 20,
Wherein the limit sensor (42) comprises a touch sensor for sensing the touch of the loading table (20) or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the proximity of the loading table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7170A KR101640548B1 (en) | 2014-07-30 | 2014-07-30 | Feeding apparatus for lifter equipped extensible ladde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7170A KR101640548B1 (en) | 2014-07-30 | 2014-07-30 | Feeding apparatus for lifter equipped extensible ladde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4948A true KR20160014948A (en) | 2016-02-12 |
KR101640548B1 KR101640548B1 (en) | 2016-07-18 |
Family
ID=5535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7170A KR101640548B1 (en) | 2014-07-30 | 2014-07-30 | Feeding apparatus for lifter equipped extensible ladde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054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8921B1 (en) * | 2018-03-22 | 2018-07-16 | 양영기 | ladder vehicle |
KR20180137320A (en) * | 2017-06-16 | 2018-12-27 | 한국기계연구원 | Life and Performance Test Equipment for a Carrige of a Ladder Truck |
KR102026616B1 (en) * | 2019-04-05 | 2019-09-30 | (주)오즈코리아 | Movable ladder carriag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7000U (en) * | 1992-05-08 | 1993-11-22 | 成和機工株式会社 | Lifters for aerial work vehicles |
KR100261808B1 (en) * | 1997-11-17 | 2000-09-01 | 구자홍 | Washing machine using balancing sensor |
KR20100006639A (en) * | 2008-07-10 | 2010-01-21 | (주)드림티엔에스 | Ladder truck for burden conveyance |
KR20110112950A (en) * | 2010-04-08 | 2011-10-14 | 강희곤 | Ladder auto move control system |
-
2014
- 2014-07-30 KR KR1020140097170A patent/KR10164054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7000U (en) * | 1992-05-08 | 1993-11-22 | 成和機工株式会社 | Lifters for aerial work vehicles |
KR100261808B1 (en) * | 1997-11-17 | 2000-09-01 | 구자홍 | Washing machine using balancing sensor |
KR20100006639A (en) * | 2008-07-10 | 2010-01-21 | (주)드림티엔에스 | Ladder truck for burden conveyance |
KR20110112950A (en) * | 2010-04-08 | 2011-10-14 | 강희곤 | Ladder auto move control syste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320A (en) * | 2017-06-16 | 2018-12-27 | 한국기계연구원 | Life and Performance Test Equipment for a Carrige of a Ladder Truck |
KR101878921B1 (en) * | 2018-03-22 | 2018-07-16 | 양영기 | ladder vehicle |
KR102026616B1 (en) * | 2019-04-05 | 2019-09-30 | (주)오즈코리아 | Movable ladder carri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0548B1 (en) | 2016-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38500B2 (en) | Lockable lift device and method | |
KR100984538B1 (en) |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s | |
KR101640548B1 (en) | Feeding apparatus for lifter equipped extensible ladder vehicle | |
JP2008189396A (en) | Elevating/lowering transport device | |
JP5963183B1 (en) | Belt conveyor equipment | |
JP2012167468A (en) | Unloading device | |
CN109476421B (en) | Cantilever conveyer | |
JP7028458B2 (en) | Lift device for freight cars | |
KR101761260B1 (en) | Up-down work table | |
JP2015110459A (en) | Lifter device | |
JP2007191257A (en) | Non-powered downward conveying device | |
CN211110073U (en) | Supporting device for assisting in carrying | |
KR20140140156A (en) | Lifting Apparatus for Ship | |
JP5237072B2 (en) | Vehicle loading platform lifting device | |
JP6740811B2 (en) | Vanning/devanning equipment | |
CN205442332U (en) | Coating promotes topples over device with toppling over transport support body | |
KR101626934B1 (en) | Elevated-up/down type transporting cart | |
KR101747830B1 (en) | Transfer apparatus | |
JP5485762B2 (en) | Cargo loading lifting device with foldable floor plate | |
JP7316660B2 (en) | Multi-stage lifting device | |
JP6371886B1 (en) | Panel truck | |
KR102679633B1 (en) | Lifting apparatus | |
KR101878921B1 (en) | ladder vehicle | |
JP5642481B2 (en) | Loading platform lifting device | |
JP2013216428A (en) | Vehicle for high lift w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