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966A - 접합되는 폐쇄 메커니즘으로 랩핑되는 직물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되는 폐쇄 메커니즘으로 랩핑되는 직물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966A
KR20160013966A KR1020157036347A KR20157036347A KR20160013966A KR 20160013966 A KR20160013966 A KR 20160013966A KR 1020157036347 A KR1020157036347 A KR 1020157036347A KR 20157036347 A KR20157036347 A KR 20157036347A KR 20160013966 A KR20160013966 A KR 2016001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uter layer
edges
rti
op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야마구치
타쿠토 마에다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1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62Textile, fabric, cloth, or pile containing [e.g., web, net, woven, knitted, mesh, nonwoven, matte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Gloves (AREA)

Abstract

기다란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랩핑되는 직물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이 제공된다. 슬리브는 정반대쪽의 내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을 가지는 내측 레이어를 포함한다.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은 내측 폭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슬리브는 정반대쪽의 외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을 가지는 외측 레이어를 더 포함한다.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은 외측 폭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접착제 중간 레이어는 내측 레이어와 외측 레이어 사이에 끼워져 있고, 여기서 접착제 중간 레이어의 용융된 부분은 내측 레이어를 외측 레이어에 접합한다. 접착제 중간 레이어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의 노출된 영역을 제공하도록 내측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넘어 뻗어있다. 노출된 영역은 외측 레이어에 접합되어 있고, 외측 레이어를 랩핑된 관형 구성으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접합되는 폐쇄 메커니즘으로 랩핑되는 직물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WRAPPED TEXTILE SLEEVE WITH BONDED CLOSURE MECHANIS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출원은 2013년 5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828,122호, 및 2014년 5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실용신안 출원 제14/288,795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는 그 전체로 참조사항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대체로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기다란 부재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보호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랩핑가능한 보호용 직물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염, 마모, 열 작용, 진동 및 소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와이어 하니스를 보호하기 위해서 와이어 하니스 둘레에 보호용 슬리브를 배치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공지의 슬리브들 중에서 일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내측 레이어("폐쇄형(closed)"으로도 지칭됨)를 가지는 듀얼 레이어로서 제공되는데, 이 내측 레이어는 기다란 와이어 하니스에 걸쳐서 와이어 하니스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처음으로 미끄러지고, 그 다음 외측 레이어는 듀얼 레이어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내측 레이어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랩핑(wrap 또는 wrapping; 어떤 대상을 둘러싸거나 감싸는 일체의 동작 또는 그렇게 둘러싸거나 감싼 상태 등을 의미하며, 이는 명세서 전체로 동일함)된다. 이러한 슬리브는 포함되어 있는 와이어 하니스에 원하는 보호를 제공할 수 있지만, 와이어 하니스 둘레에서 조립하는데 노동 집약적이어서 비용이 많이 든다.
전술된 듀얼 레이어 슬리브 뿐만 아니라, 와이어 하니스 둘레에 싱글 레이어를 랩핑하는 것도 알려져 있어서, 와이어 하니스 둘레에 슬리브를 랩핑할 때는 슬리브를 그 랩핑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위치 둘레에 테이프 조각을 랩핑한다. 이러한 슬리브가 적합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지만, 슬리브 둘레에 복수의 테이프 조각을 랩핑할 필요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궁극적으로는 인접한 테이프 조각들 사이에서 슬리브 속으로의 진로를 찾을 때 오염을 초래할 수도 있다.
게다가, 와이어 하니스 둘레에 서로 라미네이트된(laminated) 복수의 부직포 레이어를 랩핑하는 것은 알려져 있고, 여기서 부직포 레이어들은 서로 마찬가지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거울처럼 라미네이트되고, 이로써 그 전체 외주 둘레에 같은 높이의 에지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는 원하는 보호를 제공할 수 있지만, 복수의 부직포 레이어는, 특히 서로 인접하는 4개의 레이어를 가지는 중첩된 에지들에 걸쳐 증가된 벽 두께를 슬리브에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슬리브는 증가된 양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부동산이 값비싼 곳에 있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기다란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가 제공된다. 슬리브는 정반대쪽의 내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을 가지는 내측 레이어를 포함한다.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은 내측 레이어의 내측 폭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슬리브는 정반대쪽의 외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을 가지는 외측 레이어를 더 포함한다.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은 외측 레이어의 외측 폭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접착제 중간 레이어는 내측 레이어와 외측 레이어 사이에 끼워져 있고, 내측 레이어를 외측 레이어에 접합한다. 접착제 중간 레이어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의 노출된 영역을 제공하도록 내측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넘어 뻗어있다. 노출된 영역은 외측 레이어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어 있고, 외측 레이어를 랩핑된 관형 구성으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내측 에지들 중 하나는 외측 에지들 중 하나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정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외측 레이어는 중간 레이어에 접합된 반경방향 안쪽으로 향하는 내측 표면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을 가지고, 여기서 중간 레이어의 노출된 영역은 외측 레이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에 접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내측 레이어는 중합체 재료로 된 불투성 시트이고, 외측 레이어는 부직포 레이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내측 레이어는 중합체 재료로 된 불투성 시트이고, 외측 레이어는 인터레이스사(interlaced yarn)로 된 직물 레이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내측 레이어는 부직포 재료이고, 외측 레이어는 부직포 재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내측 레이어는 부직포 재료이고, 외측 레이어는 인터레이스사로 된 직물 레이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접착제 중간 레이어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의 한 쌍의 노출된 영역을 제공하도록 내측 에지들 양쪽 모두를 넘어 뻗어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내측 에지들 양쪽 모두는 인접한 외측 에지들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접착제 중간 레이어의 쌍을 이루는 노출된 영역은 서로에 대해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랩핑되는 슬리브를 구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정반대쪽의 내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을 가지는 내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정반대쪽의 외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을 가지는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및 그 후 접착제 레이어의 끼워진 부분, 및 내측 레이어의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넘어 뻗어있는 접착제 레이어의 노출된 부분을 형성하도록 내측 레이어와 외측 레이어 사이에 접착제 중간 레이어를 끼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접착제 중간 레이어의 끼워진 부분을 가열하여 내측 레이어를 외측 레이어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로,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에 인접한 외측 레이어의 부분들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게 되도록 맨드릴(mandrel) 둘레에 외측 레이어를 랩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후 접착제 레이어의 노출된 부분을 가열하여 랩핑된 외측 레이어의 인접하는 부분들을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중합체 재료로 된 불투성 시트로서 내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부직포 레이어로서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인터레이스사로 된 레이어로서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부직포 재료로서 내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부직포 레이어로서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인터레이스사로 된 레이어로서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외측 에지들 중 하나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내측 에지들 중 하나를 정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외측 레이어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향하는 내측 표면을 중간 레이어의 노출된 영역에 접합하는 단계, 및 중간 레이어의 노출된 영역을 외측 레이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에 접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한 쌍의 노출된 영역을 제공하도록 내측 레이어의 내측 에지들 양쪽 모두를 넘어 접착제 중간 레이어를 뻗게 하는 단계, 및 서로에 대해 쌍을 이루는 노출된 영역들을 접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내측 레이어에 EMI 차폐 특성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양태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최선의 형태(best mode)에 관한 다음에 오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하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기다란 부재 둘레에 랩핑된 것으로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대체로 도 1의 라인 1A-1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랩핑되지 않은 납작한 구성으로 나타나 있는 도 1의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랩핑되지 않은 납작한 구성으로 나타나 있는 도 1의 슬리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기다란 부재 둘레에 랩핑된 것으로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대체로 도 4의 라인 4A-4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랩핑되지 않은 납작한 구성으로 나타나 있는 도 4의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랩핑되지 않은 납작한 구성으로 나타나 있는 도 4의 슬리브의 평면도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슬리브를 구성하기 위한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대체로 도 1의 라인 7A-7A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7b는 대체로 도 1의 라인 7B-7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면을 보다 상세하게 참조하면, 도 1에는 제한없는 예로써 와이어 하니스로서 나타나 있는 기다란 부재(12)를 보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랩핑되면서 영구적으로 접합되는 직물 슬리브(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10)는 정반대쪽의 내측 단부들(20, 2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16, 18)을 가지는 내측 레이어(14)를 포함한다.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16, 18)은 내측 레이어(14)의 내측 폭(inner width; IW)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슬리브(10)는 정반대쪽의 외측 단부들(30, 3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26, 28)을 가지는 외측 레이어(24)를 더 포함한다.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26, 28)은 외측 레이어(24)의 외측 폭(outer width; OW)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접합가능한 접착제 중간 레이어(34)는 내측 레이어(14)와 외측 레이어(24) 사이에 끼워져 있고, 내측 레이어(14)를 외측 레이어(24)에 영구적으로 접합하는 접합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접착제 중간 레이어(34)는 중간 레이어(34)의 노출된 영역(36)을 제공하도록 내측 에지(18)로서 나타나 있는 내측 에지들(16, 18) 중 적어도 하나를 넘어 측면방향으로 뻗어있다. 노출된 영역(36)은 외측 레이어(24)를 영구적으로 랩핑된 관형 구성으로 유지하도록 외측 레이어(24)에 영구적으로 직접 접합되는 접합 메커니즘을 더 제공하고, 이로써 기다란 부재(12)의 전체 원주 둘레에 기다란 부재(12)에 대한 완전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내측 레이어(14)는 제한없는 예로써 비닐과 같은 중합체 재료로 된 무공 시트(imperforate sheet), 얇은 스펀 본드 부직포(spun bond nonwoven)와 같은 부직포 재료, 및/또는, 예컨대 코팅된 섬유나 와이어 섬유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섬유를 포함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차폐 특성을 가지는 레이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내측 레이어(14)는 기다란 부재(12)의 전체 원주 둘레에 기다란 부재(12)에 대한 원하는 기계적 보호를 제공하는 능력과 오염물질의 진입을 방지하는 능력을 슬리브(10)에 부여하므로, 내측 레이어(14)가 기다란 부재(12)의 전체 원주를 둘러싸는 것이 중요하다. 내측 레이어(14)는 중간 레이어(34)를 통해 위에 놓이는 외측 레이어(24)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38), 및 반경방향 안쪽으로 향하는 내측 표면(40)을 가진다.
외측 레이어(24)는 부직포 재료, 발포제(예컨대 우레탄 발포제)로서 제공되거나, 편물, 직포 또는 브레이드 레이어(braided layer)와 같은 인터레이스사로 된 레이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외측 레이어(24)는 진동으로부터의 소음 감소 성능을 제공하는 능력을 슬리브(10)에 부여하므로, 외측 레이어(24)가 소음 감쇠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외측 레이어(24)는 오버랩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둘러싸는 주위에 노출되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42), 및 반경방향 안쪽으로 향하는 내측 표면(40)을 가진다.
접착제 중간 레이어(34)는 접착 재료, 바람직하게는 고온 용융 접착제로 된 레이어로서 제공되고, 외측 레이어(24)의 내측 표면(44) 전체에 걸쳐 뻗어있다.
접착제 중간 레이어(34)가 사용중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섭씨 140도 이상의 용융점을 가지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34)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접착제 중간 레이어(34)를 통한 접합을 형성하도록 접착제 중간 레이어(34)를 원하는 시간까지 미용융상태로 남아있게 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10)의 구성에 있어서, 접착제 중간 레이어(34)는 외측 레이어(24)의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내측 표면(44)에 걸쳐 놓여 있고, 내측 레이어(14)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34)에 대한 소정의 정렬상태로 접착제 중간 레이어(34) 위에 놓여 있다. 도 1의 슬리브(10) 구성시, 내측 레이어(14)의 내측 에지(16)는 외측 레이어(24)의 외측 에지(26)와 높이가 같아지거나 실질적으로 같아지도록 정렬되고, 내측 레이어(14)는 외측 레이어(24)의 폭(OW)보다 작은 폭(IW)을 가지고, 내측 에지(18)는 슬리브(1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외측 레이어(24)의 외측 에지(28)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제 중간 레이어(34)의 노출된 영역(36)이 형성된다. 이때, 내측 레이어(14)와 외측 레이어(24) 사이에 끼워져 있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34)의 영역은 제한없는 예로써 내측 레이어(14)의 내측 표면(40)에 하중(L)이 가해지는, 예컨대 가열된 롤러(46)와 같이 접착제 중간 레이어(34)의 용융 온도 이상의 열을 가함으로써 용융되고, 이로써 용융되고 나서 냉각되고 완전히 접합된 접착제 중간 레이어(34)를 통해 내측 레이어(14)와 외측 레이어(24)를 서로에 대해 약간 압축되게 하고 영구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열된 롤러(46)는 내측 레이어(14)의 폭(IW)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RW)을 가지므로, 가열된 롤러(46)의 바로 밑에 있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34)의 끼워진 영역만이 용융되고, 이로써 내측 레이어(14)를 외측 레이어(24)에 접합하는 동안 접착제 중간 레이어(34)의 남아있는 노출된 영역(36)을 용융되지 않고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남겨둘 수 있다.
그 후, 용융되고 냉각되는 중간 레이어(34)를 통해 내측 레이어(14)를 외측 레이어(24)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게 접합할 때, 슬리브(10)의 접합된 멀티레이어 벽(48)은 외측 에지들(26, 28)이 서로를 넘어 뻗어있도록 외측 에지들(26, 28)을 서로에 대하여 중첩시키기 위해서 맨드릴(50)로도 지칭되는 툴 둘레에 "담배" 형태로 랩핑된다. 중첩 정도는 원하는 대로 조정될 수 있지만, 접착제 중간 레이어(34)의 노출된 영역(36)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전체가 외측 레이어(24)의 외측 표면(42)에 대하여 중첩하면서 인접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맨드릴(50)은 원한다면 노출된 영역(36)을 용융하고 접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서 중첩된 영역 바로 밑에 편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52)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외측 에지들(26, 28)은 랩핑되면서 중첩되어 있고, 제한없는 예로써 가열된 롤러(54)와 같은 가열된 부재는 외측 레이어(24)의 중첩된 영역의 외측 표면(42)에 대하여 소정의 하중을 받으며 압축되도록 이동되고 슬리브(1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압축을 받으며 굴러다니며, 이때 가열된 롤러(54) 밑에 있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34)의 노출된 영역(36)의 온도는 제한없는 예로써 섭씨 140도와 같은 용융 온도 이상 상승되고, 이로써 접착제 중간 영역(34)의 용융되고 나서 순차적으로 냉각되는 노출된 영역(36)을 통해 서로에 대해 외측 레이어(24)의 중첩된 영역들을 접합할 수 있다. 롤러가 용융된 영역을 넘어 전진함에 따라 용융된 영역은 냉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열된 롤러(54)가 슬리브(1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지나갈 때, 중첩된 영역은 접합되면서 밀착되고, 이로써 유체와 다른 형태의 오염물질의 진입의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리브(10)를 형성할 때에는 내측 레이어(14)가 슬리브(10)의 벽(48)에 의해 형성된 내측 캐비티(56)의 원주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랩핑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고, 이로써 둘러싸인 기다란 부재(12)에 최적의 기계적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랩핑되고 접합된 벽(48)을 형성한 후에, 또는 맨드릴(50)에 걸쳐 벽(48)을 랩핑하고 접합하기 전에 슬리브(10)의 마감 길이가 절단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구성된 랩핑되고 접합된 슬리브(110)가 나타나 있는데, 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100이라는 숫자로 오프셋되어 있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재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110)는 정반대쪽의 내측 단부들(120, 122)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116, 118)이 있는 내측 레이어(114)를 가진 벽(148)을 포함한다.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116, 118)은 내측 레이어(114)의 내측 폭(IW)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슬리브(110)는 정반대쪽의 외측 단부들(130, 132)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126, 128)을 가지는 외측 레이어(124)를 더 포함한다.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126, 128)은 외측 레이어(124)의 외측 폭(OW)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접착제 중간 레이어(134)는 내측 레이어(114)와 외측 레이어(124) 사이에 끼워져 있고, 내측 레이어(114)를 외측 레이어(124)에 접합하는데, 이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34)에 관하여 상술된 것과 유사하다. 접착제 중간 레이어(134)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에지(116, 118)를 넘어 뻗어있고 접착제 중간 영역(134)의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노출된 영역(136)을 제공하도록 양쪽 모든 내측 에지들(116, 118)을 넘어 뻗어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접착제 중간 영역(134)의 단일의 노출된 영역은 인접한 에지들(116, 126, 118, 128) 중 어느 한 쌍 사이에 형성될 수 있되 정반대쪽의 노출된 영역은 인접한 에지들(116, 126, 118, 128) 중 나머지 사이에서 처음에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134)가 없는 상태로 남아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내측 레이어(114)를 외측 레이어(124)에 접합하는 동안, 내측 레이어(114)는 외측 레이어(124)에 대하여 중앙에 있게 되거나 실질적으로 중앙에 있게 되므로, 외측 레이어의 자유 에지들(126, 128)은 내측 레이어(114)의 자유 에지들(116, 118)을 넘어 등거리로 뻗어있거나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뻗어있다. 그 후, 슬리브(110) 형성시, 노츨된 영역(136)은 서로를 향하여 접히고 서로 함께 인접하게 되고, 이때 노출된 영역(136)은 외측 레이어(124)를 랩핑된 관형 구성으로 유지하도록 서로에 대해 접합된다. 노출된 영역(136)이 노출된 영역(136)을 용융시키고 서로 함께 접합시키도록 적합한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슬리브(10) 형성시 상술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접합되고 나서 접착제 중간 레이어(134)의 용융된 재료가 냉각되고 영구적으로 접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용융되고 순차적으로 냉각된 접착제 중간 레이어(134)를 통해 외측 레이어(124)의 정반대쪽의 자유 에지 부분에 외측 레이어(124)의 하나의 자유 에지 부분을 직접 작동가능하게 접합하고 랩핑할 때, 내측 레이어(114)는 기다란 부재(112)가 그 안에 수용되고 보호되는 내측 캐비티(156)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도록 랩핑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수의 수정과 변경은 위 교시의 관점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특별히 기술된 바와 달리 실시될 수 있다는 점, 및 본 발명의 범위가 최종적으로 인정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5)

  1. 기다란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랩핑되는 직물 슬리브로서,
    정반대쪽의 내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을 가지는 내측 레이어로서, 상기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은 상기 내측 레이어의 내측 폭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내측 레이어;
    정반대쪽의 외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을 가지는 외측 레이어로서, 상기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은 상기 외측 레이어의 외측 폭만큼 서로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외측 레이어; 및
    상기 내측 레이어와 상기 외측 레이어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내측 레이어를 상기 외측 레이어에 접합하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로서, 상기 중간 영역의 노출된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내측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넘어 뻗어있고, 상기 노출된 영역은 상기 외측 레이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외측 레이어를 랩핑된 관형 구성으로 유지하는, 접착제 중간 레이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이어는 중합체 재료로 된 불투성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레이어는 부직포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레이어는 인터레이스사로 된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이어는 부직포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레이어는 부직포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레이어는 인터레이스사로 된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에지들 중 하나는 상기 외측 에지들 중 하나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레이어는 상기 중간 레이어에 접합된 반경방향 안쪽으로 향하는 내측 표면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을 가지고, 상기 중간 레이어의 상기 노출된 영역은 상기 외측 레이어의 상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중간 레이어는 상기 한 쌍의 노출된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내측 에지들 양쪽 모두를 넘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에지들은 인접한 외측 에지들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영역들은 서로에 대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이어는 EMI 차폐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가능한 직물 슬리브.
  14. 랩핑되는 슬리브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정반대쪽의 내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을 가지는 내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정반대쪽의 외측 단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을 가지는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접착제 레이어의 끼워진 부분, 및 내측 레이어의 정반대쪽의 내측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넘어 뻗어있는 접착제 레이어의 노출된 부분을 형성하도록 내측 레이어와 외측 레이어 사이에 접착제 중간 레이어를 끼우는 단계;
    접착제 중간 레이어의 끼워진 부분을 가열하여 내측 레이어를 외측 레이어에 접합하는 단계;
    정반대쪽의 외측 에지들에 인접한 외측 레이어의 부분들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게 되도록 맨드릴 둘레에 외측 레이어를 랩핑하는 단계; 및
    접착제 레이어의 노출된 부분을 가열하여 랩핑된 외측 레이어의 인접하는 부분들을 서로 접합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중합체 재료로 된 불투성 시트로서 내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부직포 레이어로서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인터레이스사로 된 레이어로서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부직포 재료로서 내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부직포 레이어로서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인터레이스사로 된 레이어로서 외측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외측 에지들 중 하나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상기 내측 에지들 중 하나를 정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외측 레이어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향하는 내측 표면을 중간 레이어의 노출된 영역에 접합하는 단계, 및 중간 레이어의 노출된 영역을 외측 레이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에 접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4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노출된 영역을 제공하도록 내측 레이어의 내측 에지들 양쪽 모두를 넘어 접착제 중간 레이어를 뻗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쌍을 이루는 노출된 영역들을 접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14 항에 있어서,
    내측 레이어에 EMI 차폐 특성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7036347A 2013-05-28 2014-05-28 접합되는 폐쇄 메커니즘으로 랩핑되는 직물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 KR20160013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8122P 2013-05-28 2013-05-28
US61/828,122 2013-05-28
US14/288,795 US9633758B2 (en) 2013-05-28 2014-05-28 Wrapped textile sleeve with bonded closure mechanism NA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CT/US2014/039736 WO2014193924A1 (en) 2013-05-28 2014-05-28 Wrapped textile sleeve with bonded closure mechanis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4/288,795 2014-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966A true KR20160013966A (ko) 2016-02-05

Family

ID=5198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347A KR20160013966A (ko) 2013-05-28 2014-05-28 접합되는 폐쇄 메커니즘으로 랩핑되는 직물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633758B2 (ko)
EP (1) EP3005502B1 (ko)
JP (2) JP2016528859A (ko)
KR (1) KR20160013966A (ko)
CN (1) CN105453357B (ko)
BR (1) BR112015029508A2 (ko)
WO (1) WO2014193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0202B2 (ja) * 2016-04-18 2021-10-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装部材付電線
DE102016113330A1 (de) * 2016-07-20 2018-01-25 Svt Brandschutz Vertriebsgesellschaft Mbh International Brandgeschützte Rohr-/Kabeldurchführung
CN106532592A (zh) * 2016-11-07 2017-03-22 深圳市骏鼎达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线保护套管
US20180258321A1 (en) * 2017-03-13 2018-09-13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extile sleeve having a low melt adhesive coating with protective layer thereov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1342098B2 (en) * 2018-06-07 2022-05-24 Wesco Distribution Inc. Cable with a fabric sleeve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US10937568B2 (en) * 2019-01-30 2021-03-02 Wesco Distribution Inc. Attachment of a fabric sleeve to a communications cab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4315A (en) * 1944-03-09 1947-07-22 Columbus Coated Fabrics Corp Fabric tube
JPS505921A (ko) * 1973-05-21 1975-01-22
US4591531A (en) 1982-08-12 1986-05-27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Hot-melt adhesive for thermal insulating articles
GB8707219D0 (en) 1987-03-26 1987-04-29 Kt Technologies Inc Cable shielding tape
JPS648798U (ko) * 1987-07-02 1989-01-18
DE29510907U1 (de) 1995-07-06 1995-10-19 Mohr Karl Eugen Schutzummantelung für Kabel, Litzen u.dgl.
DE29711387U1 (de) 1997-06-30 1997-11-06 Bentley Harris Inc Ummantelung für langgestreckte Gegenstände
US6051291A (en) 1997-07-18 2000-04-18 Federal-Mogul Systems Protection Group, Inc. Heat reflective sleeve with insulating air pocket
US5843542A (en) 1997-11-10 1998-12-01 Bentley-Harris Inc. Woven fabric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conformability
EP1066670B1 (de) * 1998-03-31 2004-07-07 Hänsel Verbundtechnik GmbH Schutzummantelung
US20020098311A1 (en) 1999-09-02 2002-07-25 Michael Lindner Protective sheathing
US6531514B2 (en) * 2000-03-15 2003-03-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ispersant slurries for making spandex
FR2833679B1 (fr) 2001-12-18 2004-05-14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Gaine de protection refermable par recouvrement et utilisation de cette gaine
FR2853148B1 (fr) * 2003-03-24 2008-11-14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Gaine de blindage electro-magnetique notamment pour proteger des faisceaux de cables dans l'aeronautique.
JP4846270B2 (ja) * 2005-05-31 2011-12-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用外装シート
JP2007026016A (ja) * 2005-07-15 2007-02-01 Hitachi Ltd グループ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
JP5112625B2 (ja) * 2005-11-07 2013-01-09 矢崎総業株式会社 被覆電線外装シー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8273429B2 (en) * 2006-01-19 2012-09-25 Federal-Mogul World Wide, Inc. Fabric for end fray resistance and protective sleeves formed therewith and methods of construction
DE202007012475U1 (de) * 2007-09-06 2009-01-08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Klebeband zur Längsummantelung von langgestrecktem Gut
US20090311456A1 (en) * 2008-06-12 2009-12-17 Harris David A Non-woven, self-wrapping thermal sleeve
US20120037259A1 (en) 2010-08-13 2012-02-16 Monroe William Shumate Insulation product with inward curling closure flap
DE202009012475U1 (de) 2009-09-14 2009-12-31 Digilife Technologies Co., Ltd. Videok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61011B2 (en) 2019-07-23
JP2016528859A (ja) 2016-09-15
US20160372903A1 (en) 2016-12-22
EP3005502B1 (en) 2018-03-07
BR112015029508A2 (pt) 2017-07-25
US20140356564A1 (en) 2014-12-04
US9633758B2 (en) 2017-04-25
EP3005502A1 (en) 2016-04-13
JP2020097237A (ja) 2020-06-25
CN105453357B (zh) 2018-05-08
WO2014193924A1 (en) 2014-12-04
CN105453357A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3966A (ko) 접합되는 폐쇄 메커니즘으로 랩핑되는 직물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
JP2016528859A5 (ko)
CN105556194B (zh) 加强的可卷包的防护性纺织套筒及其构造方法
CN105556193B (zh) 带有闭合和定位机构的可卷包的防护性套筒及其构造和使用方法
EP3052312B1 (en) Wrappable laminated textile sleeve with enhanced flexibility and method of reducing cracking in a foil layer of a wrappable textile sleeve
KR102275463B1 (ko) 나선형으로 감겨진 부직포 슬리브 및 이것을 구성하는 방법
EP3137663A1 (en) Micro-perforated reflective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6768654B2 (ja) 不織音響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築方法
US20180358151A1 (en) Protective member, protective member-attached wire, and protective member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23279A (ko) 3d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
EP2041343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fil textile a usage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