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482A -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482A
KR20160013482A KR1020140095084A KR20140095084A KR20160013482A KR 20160013482 A KR20160013482 A KR 20160013482A KR 1020140095084 A KR1020140095084 A KR 1020140095084A KR 20140095084 A KR20140095084 A KR 20140095084A KR 20160013482 A KR20160013482 A KR 20160013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cube
pattern
draft
c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혁
Original Assignee
남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혁 filed Critical 남상혁
Priority to KR1020140095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3482A/ko
Publication of KR2016001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특정분야에서 수십년간 일한 전문가라도 회사의 공식입장을 정리한 문서나 업무상 필요한 보고서, 제안서, 보도자료 등을 직접 작성하려면 무슨 내용을 어떻게 정리해야 할는지 막막한 경우가 많다. 산업계나 전문분야 문서는 각기 서술 전개법이 다르고, 사용하는 용어와 표현방식 등도 상이해 오랜 기간 해당업종에 종사한 사람도 새로운 문서를 만들 때마다 매번 어렵게만 느껴진다.
본 발명은 글쓰기나 문서작성에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이 원하는 문서를 단기간에 만들어낼 수 있도록 지원한 방법으로; 현존하는 사회 각 분야의 다양한 우수문서를 분석하고, 이들 문서의 전개규칙과 필수요소, 부가요소 등 문서패턴을 추출해 '문서패턴DB'를 생성한 후; 각 문서패턴별 우수문서를 선별해 '문서DB'를 구축하고; 확보한 문서들을 문서패턴DB에서 규정한 문서패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서조각(큐브)으로 분리하고 부가정보를 추가해 '큐브DB'로 저장하고, 검색을 위해 색인하며; 사용자가 새문서를 작성할 때 문서패턴DB와 큐브DB, 문서DB를 검색해, 원하는 문서와 가장 유사한 기초 문서초안(큐브세트)을 추출해 사용자에게 제시해 주며; 사용자는 '큐브세트미리보기' 등을 통해 추천받은 큐브세트들을 면밀히 검토한 후, 원하는 문서패턴과 가장 유사한 큐브세트를 하나 선택하고; 큐브세트에 포함된 일부 적합하지 않는 큐브를 간단한 조작으로 다른 큐브로 교체하고 재배열해 원하는 문서패턴과 거의 유사한 문서초안을 만들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문서초안을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수정 편집하면 비전문가라도 전문분야 문서를 신속하게 완성할 수 있어; 문서작성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전문가 수준의 고품격 문서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이다.

Description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cube matrix contents generation}
본 발명은 보고서, 제안서, 기사, 보도자료 등 일정한 문서패턴을 가진 문서를 누구나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문서작성 지원도구에 대한 것이다.
종전에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하려면 비슷한 내용의 종이문서를 참고해 문서를 작성했다. 최근 문서지원시스템이 개발돼 업무에 적용되고 있지만, 문서작성 가이드나 주의사항, 작성사례 등 단순참고사항만을 제공하고 있고, 사용자는 시스템이 제공한 1~2개의 예시문서를 참조해 문서를 작성하는 수준이어서, 종전에 참고해 온 종이문서를 컴퓨터 모니터에 보여준 것에 불과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복수의 참고문서를 구비한 경우도 종종 있으나, 참고문서가 각기 다른 목적과 용도로 제작된데다, 문서 전체내용을 한꺼번에 출력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대한 전체 문서 내용을 일일이 검토한 후, 원하는 표현방식과 논리전개방법을 찾아내고, 이를 메모패드나 노트에 정리해 문서작성시 참고해야하는 등 사용방법이 불편하고, 업무효율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유사한 특허문헌을 조사한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본 발명이 차별성 및 진보성이 있음을 기재합니다. 국내 출원번호 KR10-2006-0117823 B1 '기사 자동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도 거래소의 기업공시를 읽어들여 관련기사를 자동 생성, 보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런 류의 기술은 '로봇저널리즘'이라 불리는 자동기사작성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이미 오래전부터 상용화됐다. 상기 두 개의 특허문헌에서 지칭한 기술은 기업이나 기관이 발표한 특정 경영-경제수치를 과거 데이터와 연동시켜 자동분석한 후, 이 결과를 미리 작성해 둔 기사 양식에 끼워맞춰 출력해 주는 것으로, 기사작성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기는 하지만, 산업계 전반의 범용 문서작성에 적용하기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출원번호 KR10-2011-0082289 A '전자문서작성시스템 및 전자문서작성보조방법'은 특허작성 문서지원시스템을 일반화한 것으로; 본 발명과 유사할 수 있으나; 해당 특허문헌중 문서의 암호화와, 특정 기술분야 분류DB를 선택하면 해당분야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 웹에서 문서를 작성할 때 카테고리나 식별요소별로 저장하는 것은 이미 오래전 대중화된 방법이며; 문서작성시 보조컨텐츠를 제공하는 것 역시 오프라인에서 참고하는 보조문서를 온라인에서 보여주는 것일 뿐이다. 국내 출원번호 KR10-2013-0136707 A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툴 또는 시스템' 역시 특허작성 문서지원시스템을 일반화한 것으로, 앞서 비교한 특허문서 출원번호 10-2011-0082289 '전자문서작성시스템 및 전자문서작성보조방법'과 마찬가지로 오프라인에서 참고해 온 보조문서를 온라인에서 한 화면에 보여주는 것일 뿐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는 2006.8.17.자 기사에서 경제정보 업체인 '톰슨 파이낸셜'이 신속한 정보전달을 위해 일부 기사를 컴퓨터로 자동 생성하고 있으며, 로이터도 이미 자동 기사작성 시스템을 일부 사용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인용참조 연합뉴스 2006.8.18.자. 기사제목= 톰슨 파이낸셜 "컴퓨터가 기사 쓴다") 2014.7.25. 네이버뉴스 검색.
종전에는 사회 각 분야의 전문문서를 작성하려면, 일반인들이 각 전문문서가 보유한 논리전개 방법이나 서술패턴 등을 알지 못해, 해당 분야의 전문문서 작성을 대행해 주는 법무사나 변리사를 찾아 도움을 청하거나, 비슷한 내용의 종이문서를 참고해 문서를 작성해 왔으며, 지금도 특허문서나 법률문서 등 전문분야 문서는 해당분야 전문가를 통해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비전문가들이 특정분야 문서를 작성할 수 있게 지원한 문서지원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지만, 문서작성 가이드나 주의사항, 작성사례 등 단순참고사항만을 제공하고 있고, 사용예시도 해당업종문서 1~2개에 불과해 종이문서를 단순히 컴퓨터 모니터에 보여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무엇보다 이들 문서지원시스템들은 문서 전체내용을 한꺼번에 출력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대한 전체 문서 내용을 일일이 읽어보며 원하는 표현방식과 논리전개방법을 스스로 찾아내, 문서를 작성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평소 글쓰기나 문서작성에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전문문서나 생활문서를 단기간에 만들어낼 수 있도록 지원한 것으로; 사회 각분야의 다양한 문서와 문서패턴, 문서조각을 다수 구비해 사용자가 레고블럭처럼 원하는 문서조각을 조합해 문서초안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간단히 수정편집해, 현업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현존하는 사회 각 분야의 다양한 우수문서를 분석하고, 이들 문서의 전개규칙과 필수요소, 부가요소 등 문서패턴을 추출해 '문서패턴DB'를 생성한 후; 각 문서패턴별 우수문서를 선별해 '문서DB'를 구축하고; 확보한 문서들을 문서패턴DB에서 규정한 문서패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서조각(큐브)으로 분리하고 부가정보를 추가해 '큐브DB'로 저장하고, 검색을 위해 색인하며; 사용자가 새문서를 작성할 때 문서패턴DB와 큐브DB, 문서DB를 검색해, 원하는 문서와 가장 유사한 문서초안(큐브세트)을 추출해 사용자에게 제시해 주며; 사용자는 '큐브세트미리보기' 등을 통해 추천받은 큐브세트들을 면밀히 검토한 후, 원하는 문서패턴과 가장 유사한 큐브세트를 하나 선택하고; 큐브세트에 포함된 일부 적합하지 않는 큐브를 간단한 조작으로 다른 큐브로 교체하고 큐브 순서를 조정해 원하는 문서패턴과 거의 유사한 문서초안을 만들고; 이렇게 생성된 문서초안을 문서편집기를 통해 약간 수정하면 비전문가라도 전문분야 문서를 즉시 완성할 수 있어, 문서작성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전문가 수준의 고품격 문서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에 의하면; 글쓰기나 문서작성에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이 원하는 문서종류나 패턴을 검색한 후, 큐브 매트릭스 기술을 통해 부적합한 큐브를 원하는 패턴의 큐브로 몇 차례 교체하고 상하위치를 교정해 주면 누구나 쉽게 원하는 문서와 거의 유사한 문서초안을 신속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문서초안을 약간 수정하면 비전문가라도 전문분야 문서를 즉시 완성할 수 있어; 문서작성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전문가 수준의 고품격 문서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문서작성에 소요된 시간을 좀더 생산적인 용도에 투자할 수 있고; 기업경쟁력 확대는 물론 산업생산성 향상과 국가경쟁력 향상에도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체 구성도(대표도)이며;
도 2는 큐브 매트릭스 DB 구성사례;
도 3는 큐브검색부 큐브세트 선택 사례;
도 4는 큐브 매트릭스 사용자화 사례(1);
도 5은 큐브 매트릭스 사용자화 사례(2);
도 6는 선택한 큐브세트의 사용자화 사례;
도 7은 활성 큐브의 구성 및 사용자화 구현사례이다.
본 발명의 문헌에서 '큐브(Cube)'란 문서패턴 및 문서패턴구성요소에 따라 작은 문서조각으로 분리하고, 여기에 해당 문서조각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덧붙인 단위 문서조각 정보를 지칭하며; '큐브세트(Cubeset)'란 문서를 이루기 위해 하나 이상의 큐브로 구성된 조합; '원문큐브세트'란 원문서 내용의 큐브를 원문서와 동일한 순서대로 연결한 큐브세트; '큐브세트리스트'란 원하는 큐브세트를 쉽게 찾아내고, 다른 큐브세트와의 차이점을 한눈에 비교하기 위해 큐브세트의 제목이나 특징 등을 표제나 요약문으로 출력한 리스트; '인기큐브세트'는 큐브세트에 포함된 각 큐브들의 큐브코드나 분류를 분석해, 해당 큐브코드나 분류의 큐브 가운데 가장 인기있는 큐브들로 구성한 큐브세트를 각각 지칭한다.
또 큐브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큐브는 사용자가 임의로 배치순서를 상하로 바꾸거나 같은 '큐브코드'나 '유사큐브코드'나 동일 '분류'의 큐브, 사용자가 검색해 추가한 큐브 등과 자유롭게 교체하거나 삭제해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의 문서초안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를 만들기 위해 큐브를 이동하거나 교체 또는 삭제해 문서초안을 생성해내고, 이렇게 만들어진 문서초안을 문서편집기를 통해 편집수정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문서를 가공하는 것을 '사용자화'라고 지칭한다.
'큐브 매트릭스'란 큐브세트를 구성하는 큐브를 레고블럭처럼 가상 매트릭스 테이블에 문서배열 순으로 배치하고, 매트릭스 테이블에 배열된 큐브와 동일한 큐브코드나 유사큐스코드를 가진 큐브를 추출해 해당 큐브와 교차되도록 배열한 후, 문맥이나 문서패턴 등을 감안해 큐브중 부적합한 큐브는 동일한 큐브코드의 큐브나 유사큐브코드의 큐브로 즉시 교체할 수 있게 만든 가상의 큐브 매트릭스 공간과 개념을 지칭한다.
도 1 '전체 구성도'(대표도)는 본 발명의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개념도로;
상기 큐브가공단(1000)은,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작성된 현존하는 사회 각 분야의 다양한 우수문서를 분석하고, 이들 각 문서의 논리 전개규칙과 필수 구성요소, 부가요소 등의 특이점과 공통점을 파악해, 문서의 성격, 분류, 용도, 특징, 산업분야, 활용법, 문서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요소 등에 따른 문서구성 패턴을 추출한 후, 각 패턴의 문서패턴고유번호, 문서패턴코드, 분류, 문서패턴제목, 문서패턴도움말, 문서패턴부가정보, 문서패턴기타정보, 유사문서패턴코드, 문서패턴구성요소 등을 데이터베이스화시킨 '문서패턴DB'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패턴생성부(1100)와; 사회 각 분야의 우수 문서를 입수해, 품질을 검수하고, 해당 문서(원문)의 원문제목과 원문본문에 원문고유번호, 문서패턴코드, 분류, 원문도움말, 원문부가정보, 원문기타정보 등을 추가해 '문서DB'를 구축하는 문서입력부(1200); 문서DB에 저장해 둔 각각의 문서들을 기구축한 문서패턴DB의 패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서조각'으로 분리한 후, 해당 문서조각(큐브본문)에 큐브고유번호, 큐브코드, 분류, 큐브제목, 큐브도움말, 큐브부가정보, 큐브기타정보, 원문고유번호 등의 부가정보를 추가해 단위 '큐브'를 생성하고, 생성된 큐브를 '큐브DB'에 저장 관리하는 큐브생성부(1300); 키워드나 특정 단어, 분류체계 등으로 문서DB나 큐브DB, 문서패턴DB를 검색해 원하는 문서나 큐브, 문서패턴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지원한 색인부(1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큐브를 구성하는 문서조각은 문서특성상 큐브DB에 저장하기 곤란하거나, 편의상 파일로 저장해야 하거나, 부득이 파일형태로 저장해야 하는 멀티미디어 문서조각인 경우, 특정 디렉토리에 파일형 큐브로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일형 큐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파일형 큐브와 매칭되는 보조DB를 추가로 생성해 큐브정보와 부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색인부(1400)를 통해 색인하고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형 큐브의 파일명은 큐브고유번호로 큐브DB나 보조DB와 매칭될 수 있다.
상기 문서패턴DB와 문서DB는 '문서패턴코드'로, 문서패턴DB와 큐브DB는 '큐브코드'로 각각 매칭될 수 있다. 문서패턴DB에 저장된 각각의 문서패턴은 문서특징과 사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서패턴구성요소'들을 구비하는데, 이들 문서패턴구성요소는 각기 하나 이상의 '큐브코드'를 부여받을 수 있고; 확장검색을 위한 '유사큐브코드'를 추가로 부여받을 수도 있다.
상기 문서패턴DB와 문서DB, 큐브DB에서는 좀 더 다양한 유사 문서패턴이나 큐브, 큐브세트를 찾아낼 수 있도록 공통적으로 '분류'를 제공하는데, 이들 '분류'는 (예)“기업체문서> 출장보고서> 국내출장보고서” 등 1개 이상의 계층으로 구성된 '계층구조형 분류체계'나; (예) “ax-002-0223-001” 등 코드형으로 구성된 '수평형 분류체계'; (예) “출장보고서-국내숙박” 등 간략한 '직관형 분류체계'; 기타 분류와 식별이 가능한 어떤 분류체계로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검색과 이용상 편의성을 위해 문서종류나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의 분류체계를 복합적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큐브가공단(1000)은 '문서패턴DB'의 문서패턴을 구성하는 요소, 즉 문서패턴구성요소를 정의하면서, 문서패턴구성요소 즉 큐브코드에 대해 해당 문서패턴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에 따라 반드시 필요한 '필수패턴'과 자주 사용하는 '주요패턴', 참고자료나 특별한 용도로 가끔 사용되는 '보조패턴' 등으로 각각의 문서패턴구성요소의 성격과 중요도를 구분하고, 사용자가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지원한 '패턴중요도' 기능 등 다양한 '문서패턴요소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큐브가공단(1000)은 문서DB에 신규 문서를 저장할 때, 해당문서가 어떤 문서패턴의 문서인지 '문서패턴코드'를 등록하게 되는데, 이때 우수한 품질의 문서는 해당 문서패턴의 '대표문서'로 지정할 수 있다. 문서패턴DB는 각각의 문서패턴에 우수한 품질의 문서를 하나 이상 선별해 해당 문서패턴의 '대표문서'로 지정할 수 있다. 또 문서DB는 상기 대표문서를 제외한 나머지 문서는 다른 문서와 차별화된 특징을 보유한 부분만을 잘라내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문서패턴DB'는 큐브코드와 문서패턴구성요소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큐브패턴명과 큐브코드, 큐브패턴도움말, 유사큐브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된 '큐브패턴DB'와; 각각의 '문서패턴구성요소'와 매칭되는 큐브코드, 문서패턴요소부가정보 등을 지정한 '문서패턴요소DB' 등을 보조DB로 운영할 수 있으며; 시스템 액세스 타임이나 DB관리 및 문서관리의 편의상 상기 보조DB들을 하나로 통합하거나, 시스템 운영상 필요한 정보를 추가해 더 많은 DB를 생성해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큐브가공단(1000)의 큐브생성부(1300)를 통해 분리된 문서조각은 문자나 도표, 다이어그램, 도면,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멀티미디어, 기타 온오프라인 문서로 표출될 수 있는 컨텐츠 등 현존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문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혹은 변형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작권 보호를 위해 문서내용을 암호화할 수도 있으며; 용도와 작업환경, 사용처, 큐브패턴 등에 따라 원문서의 모든 요소를 일부 또는 전부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큐브생성부(1300)에서는 입력받은 각각의 원문서를 분석해 내용과 성격, 특징, 분류체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서조각으로 분리하고, 다양한 부가정보를 추가해 단위큐브를 생성하는데, 하나의 단위큐브에는; 원문서 조각이 포함된 큐브본문을 기본으로 포함하고, 큐브고유번호, 큐브코드, 분류, 큐브제목, 큐브도움말, 큐브부가정보, 큐브기타정보, 원문고유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큐브부가정보'에는 해당 큐브의 특성이나 사용처, 분류 등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게 지원한 키워드와, 해당 큐브에 사용한 원문서와 컨텐츠의 출처, 저작권 정보, 저장시각, 작업자 IP주소, 작업자 ID 등이; '큐브도움말'에는 해당 큐브의 사용법과 주의사항, 특징, 차별화 포인트, 인기도, 사용량 등 큐브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 '큐브 매트릭스 DB 구성사례'는 본 발명의 문서작성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DB 구성을 도식화한 사례로; 상기 문서패턴DB(1600)와 문서DB(1500)는 '문서패턴코드'로, 문서패턴DB(1600)와 큐브DB(1700)는 '큐브코드'로 각각 매칭돼 있으며; 문서패턴DB에 저장된 각각의 문서패턴은 문서특징과 사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서패턴구성요소'들을 구비하는데, 이들 문서패턴구성요소는 각기 하나 이상의 '큐브코드'를 부여받을 수 있고; 확장검색을 위한 '유사큐브코드'를 추가로 부여받을 수도 있으며; '문서패턴DB'(1600)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큐브패턴명과 큐브코드, 큐브코드도움말, 유사큐브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된 '큐브패턴DB'(1610)와; 각각의 '문서패턴구성요소'와 매칭되는 큐브코드, 문서패턴요소부가정보 등을 지정한 '문서패턴요소DB'(1620) 등을 보조DB로 운영하는 등의 사례를 도식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상기 큐브추출단(3000)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패턴을 찾기 위해 키워드 검색이나 분류체계 검색, 검색마법사, 질의응답 등을 이용해 큐브 또는 큐브세트 검색을 요청하는 큐브요청부(3100)와; 사용빈도와 검색어, 키워드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검색로직 등을 통해 적합한 큐브와 큐브세트들을 추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패턴과 가장 유사한 큐브세트를 선택하게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문서패턴DB의 '분류'를 탐색해 원하는 큐브세트를 선택할 수 있게 지원한 큐브검색부(3200) 등; 큐브 및 큐브세트 검색을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큐브검색부(3200)는 큐브패턴DB와 문서DB, 큐브DB를 검색해 사용자가 요청한 문서패턴 또는 문서유형과 유사한 다수의 큐브세트를 유사도나 인기도 등의 순서로 출력한 '큐브세트리스트'와; 추천받은 큐브세트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해 해당 큐브세트 관련정보와 함께 문서내용을 살펴볼 수 있도록 '프리뷰'나 '전문보기'를 제공하는 '큐브세트미리보기' 기능; 사용자가 큐브세트리스트와 큐브세트미리보기를 통해 원하는 문서패턴과 가장 유사한 큐브세트를 문서초안으로 선택할 수 있는 '큐브세트선택'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큐브검색부(3200) '큐브세트리스트'나 '큐브세트미리보기'에는 해당 큐브세트를 선택한 사람들의 경험치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해당 큐브세트의 인기도나 사용횟수, 추천마크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 원하는 큐브세트가 없을 경우, 좀 더 다양한 큐브세트를 검토할 수 있도록 유사큐브세트, 인기큐브세트, 키워드, 분류 등 다양한 검색기능과 함께, 사용자 자신이 과거에 사용했던 큐브세트를 출력해 주는 마이큐브세트 검색기능 등 다양한 추가검색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큐브세트리스트'는 문서패턴DB와 문서DB를 검색해, 적합한 대표문서들을 추출해낸 후 해당 대표문서의 원문큐브세트들로 구성된 큐브세트리스트를 제공하는 '대표문서추출법'과; 적합한 문서패턴을 검출해 낸 후, 해당 문서패턴을 대표하는 대표문서를 인기순으로 배열해 큐브세트리스트를 제공하는 '패턴-인기대표문서추출법'; 적합한 문서패턴을 하나 이상 검출한 후, 각 문서패턴별로 문서패턴구성요소를 가상 큐브 매트릭스 테이블에 나열하고, 해당 문서패턴구성요소의 큐브코드와 매칭되는 큐브중 인기도나 무작위, 검색순 등에 따라 하나씩 추출해 다수의 '인기큐브세트'를 구성한 후 '큐브세트리스트'에 제공하는 '패턴-인기큐브추출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큐브세트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큐브세트리스트'에는 원문서나 큐브세트의 제목을 출력하거나, 분류, 특징, 패턴을 요약한 요약문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문서성격과 특징을 좀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원문서의 제목이나 문서패턴, 인기도, 기타 정보 등 리스트에 출력될 내용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표출정보선택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큐브세트리스트'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큐브세트의 내용을 프리뷰할 수 있는 '큐브세트미리보기'가 출력되는데, 상기 큐브세트리스트 제공방법에 따라; '대표문서추출법'이나 '패턴-인기대표문서추출법'에 의해 큐브세트를 추천받은 경우, 해당 원문서의 분류, 원문도움말, 원문부가정보, 원문기타정보, 원문제목, 원문본문 등의 정보를 '큐브세트미리보기'에 출력하고; '패턴-인기큐브추출법'에 의해 큐브세트를 추천받은 경우에는 출력항목과 내용이 해당 문서패턴의 분류, 문서패턴도움말, 문서패턴부가정보, 문서패턴기타정보, 문서패턴제목, 해당 큐브코드의 인기큐브 큐브본문 등으로 바뀌어 '큐브세트미리보기'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큐브세트미리보기'를 통해 표출되는 문서의 본문은 큐브 단위로 분할해 출력되며; 사용자 편의를 위해 원문DB의 원문본문 전체를 출력하거나, 큐브세트내 큐브본문을 하나로 연결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또 사용자가 전체 문맥이나 패턴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당 큐브세트에 포함된 큐브본문이나 원문서의 원문내용 전체를 출력하는 대신, 각 큐브의 제목이나 특징, 요약문 등 간단한 정보만을 요약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큐브세트미리보기'에는 사용자의 회사명이나 대표자명, 상품이나 서비스명 등을 미리 등록해 두면, 프리뷰 화면을 출력할 때 문서 내용중 회사명과 대표자명, 상품이나 서비스명 등이 나타날 경우, 미리 등록해 둔 정보로 자동변환해 주는 '정보사용자화'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 '큐브검색부(3200) 큐브세트 선택 사례'의 좌측부는 상기 큐브추출단(3000) 큐브검색부(3200)를 통해 추천받은 큐브세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사례로; 큐브검색부가 추천한 문서초안, 즉 큐브세트들을 모아놓은 큐브세트리스트(3220)와; 큐브세트리스트에 사용자가 원하는 큐브세트가 없을 경우 '분류'나 '키워드'를 통해 추가로 큐브세트를 검색하거나, 기존 큐브세트리스트와 유사한 문서패턴코드의 큐브세트를 추천해 주는 '유사큐브세트' 추가검색기능, 해당 문서패턴의 문서를 검색해 인기있는 원문큐브세트나 대표문서를 인기도 순으로 나열한 '인기큐브세트' 추가검색기능, 사용자가 과거에 채택한 큐브세트를 출력해 주는 '마이큐브세트' 추가검색기능 등 다양한 추가검색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 3 '큐브검색부(3200) 큐브세트 선택 사례'의 우측부는 '대표문서추출법'이나 '패턴-인기대표문서추출법'을 통해 추천받은 큐브세트리스트(3220)중 하나를 선택(3221)할 때 출력되는 원문큐브세트의 미리보기를 구현한 큐브세트미리보기(3230) 화면을 도식화한 사례로; 선택한 큐브세트의 분류와, 원문도움말, 원문부가정보, 원문기타정보, 원문제목, n개의 큐브로 구성된 원문본문(3231), 큐브세트선택 버튼 등으로 구성할 수 있어; 문서의 내용과 사용법, 특징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원문본문(3231)은 해당 큐브본문 만을 큐브단위로 분리해 화면에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패턴을 정확히 파악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큐브세트의 큐브본문 전체를 하나의 문서처럼 연결시키거나, 해당 원문서 전체를 한꺼번에 출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전체 문맥이나 패턴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당 큐브세트에 포함된 큐브본문이나 원문서의 원문내용 전체를 출력하는 대신, 각 큐브의 제목이나 특징, 요약문 등 간단한 정보만을 요약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큐브사용자화단(5000)은, 큐브추출단(3000)을 통해 문서초안으로 선택한 큐브세트 구성요소중 만족하지 못한 큐브가 있다면, 해당 큐브를 동일한 '큐브코드'나 '유사큐브코드'를 가진 큐브로 교체해 최적의 큐브세트를 생성할 수 있게 지원한 큐브사용자화부(5100)와; 상기 큐브사용자화부를 통한 사용자화 작업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문서패턴의 큐브를 찾을 수 없을 경우, 색인부(1400)를 통해 추가로 원하는 큐브패턴이나 큐브를 검색해 문서를 보완할 수 있는 보정부(5200); 등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초안을 만들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큐브 매트릭스 사용자화 사례(1)'은 큐브 매트릭스 사용자화의 원리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큐브검색부(3200)를 통해 큐브세트 'H'(5110)를 추천받은 후, 'H'와 동일한 문서패턴코드를 부여받은 큐브세트(A~P)를 가상 큐브 매트릭스 테이블에 불러들이고; 추천받은 큐브세트 요소중 일부 큐브가 문맥상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면, 큐브 매트릭스 테이블상 동일한 큐브코드를 부여받은 다른 큐브와 교체하는 원리로; 큐브 'p42-03'의 경우 동일한 p42 큐브코드를 부여받은 큐브중 하나인 'p42-12' 큐브로 대체하고; 'f10-02' 큐브는 동일한 f10 큐브코드인 'f10-15' 큐브로; 's24-17' 큐브는 동일한 s24 큐브코드인 's24-06' 큐브 등 좀 더 적합한 큐브로 교체하는 사용자화 사례를 보여준 것이다. 이때 'a05-19' 큐브의 사례처럼 위치가 적절치 못한 경우 'c11-04' 큐브 자리로 위치를 옮기는 등, 원하는 큐브를 작업중인 큐브세트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엔 가상 큐브 매트릭스 테이블 상에서 'a05' 큐브코드를 갖고 있는 큐브 전체가 'c11' 큐브코드의 큐브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5 '큐브 매트릭스 사용자화 사례(2)'는 큐브 매트릭스 사용자화의 다양한 적용방법을 구현한 또 다른 사례로; 상기 큐브검색부(3200) '패턴-인기큐브추출법'에 따라 추천받은 문서패턴(5111)을 가상 큐브 매트릭스 테이블에 배치한 후; 해당 문서패턴의 문서패턴구성요소 큐브코드와 매칭되는 큐브들을 인기도, 선택된 횟수, 추천수 등 특정기준이나 경험치에 따라 가상 큐브 매트릭스 테이블에 추가로 배치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도면4와 같은 방법으로 적합한 큐브로 교체할 수 있게 지원한 것이다. 이 방법은 많은 사람이 채택한 인기높은 문서조각을 우선 검토할 수 있고, 집단지성과 타인의 경험치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큐브 내용을 검토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짧은 시간에 고품질 문서초안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큐브 매트릭스 사용자화 사례(1),(2)'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초안을 제공할 수 있게 구현한 큐브 매트릭스 사용자화 방법을 도식화한 실시예 중의 두가지 사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또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 큐브사용자화단(5000)은 사용자가 최종 선택한 큐브세트에서 하나 이상의 큐브를 선택하거나, 큐브세트를 선택하는 선택기능; 선택된 큐브를 상하로 이동하거나 다른 큐브로 교체할 수 있는 이동기능; 유사큐브코드의 큐브를 출력해 주는 확장검색기능; 축약본이나 문서일부, 문서전체 등을 출력, 복사, 인쇄할 수 있는 복제기능; 중간본 및 완성본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기능; 자동 넘버링 기능과 자동목차기능 등 부가기능; 도움말, 인기도, 선택된 횟수, 추천수 등 큐브선택에 도움을 주는 정보제공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들 기능을 적절히 디자인해 배치한 기능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큐브나 큐브세트를 선택하면 해당 큐브나 큐브세트는 이동 및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기능들과 기능세트를 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런 상태의 큐브와 큐브세트를 '활성큐브'와 '활성큐브세트'라고 각각 명명한다.
도 6은 선택한 큐브세트의 사용자화를 구현한 사례로; 사용자가 최종 선택한 큐브세트에 포함된 큐브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해 활성큐브로 전환시킬 수 있는 선택기능(5121)과; 선택된 큐브를 상하 이동버튼이나 좌우 큐브교체버튼, 상하좌우 이동교체버튼 등 이동버튼(5122, 5123, 5124)을 이용해 위치를 옮기거나 선택한 큐브를 다른 큐브로 교체하는 이동기능; 유사큐브코드의 큐브를 출력해 주는 확장검색기능(5125); 기타 복제기능, 저장기능, 부가기능, 정보제공기능 등을 적절히 배치한 기능세트(5126) 등을 포함된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이동버튼(5122, 5123, 5124)은 큐브 이동과 교체를 위한 단순 도구이므로, 디자인이나 배치, 기능의 다양성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확장검색기능(5125)과 기능세트(5126) 역시 특정위치나 디자인에 국한되지 않고, 활성화된 큐브 하단이나 큐브세트 하단부 등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열할 수 있고, 큐브세트나 큐브가 선택될 경우에만 해당기능과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큐브사용자화단(5000) 큐브사용자화부(5100)에서는, 최종 선택한 큐브세트에서 하나 이상의 큐브를 선택하면 큐브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기능과 기능세트가 즉시 활성화되고, 이동과 교체가 가능한 '활성큐브'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활성큐브에는; 해당 큐브의 제목이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요약문이나 분류; 사용자가 문서조각 내용을 즉시 확인하면서 원하는 문서조각으로 교체할 수 있게 큐브본문 전체를 보여주거나, 문서전개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간단히 요약한 큐브제목이나 도움말 등을 출력해 주는 본문출력기능; 선택된 큐브를 다른 큐브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기능; 유사큐브코드의 큐브를 출력해 주는 확장검색기능; 큐브를 출력, 복사, 인쇄할 수 있는 복제기능; 도움말, 인기도, 선택된 횟수, 추천수 등 큐브선택에 도움을 주는 정보제공기능; 사용자의 회사명이나 대표자명, 상품이나 서비스명 등을 미리 등록해 두면, 프리뷰 화면을 출력할 때 문서 내용중 회사명과 대표자명, 상품이나 서비스명 등이 나타날 경우, 미리 등록해 둔 정보로 자동변환해 주는 정보사용자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들 기능을 적절히 배치한 기능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활성큐브의 구성과 활성큐브의 사용자화 구현사례로; 큐브본문(5133)과 해당 큐브의 큐브요약문이나 분류(5132), 큐브교체버튼(5134, 5135, 5136, 5137), 유사큐브코드의 큐브를 출력해 주는 확장검색기능(5138); 기능세트(5139)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 좌측 '활성큐브의 구성 사례'(5130)은 좌우 버튼을 통해 큐브본문을 교체해 사용자화시키는 사례이며, 도면 우측 '다양한 큐브 사용자화 UI 사례'(5131)는 추천된 큐브 본문을 상하로 다수 출력해 한꺼번에 비교할 수 있고, 상하 버튼을 통해 다른 큐브본문을 불러내 다시 비교한 후 선택할 수 있게 사용환경을 좀 더 개선한 사례다. 이밖에 도면 중하단부 페이지리스트(5136, 5137)는 숫자나 식별부호, 디자인 등을 활용해 추천받은 큐브의 총량을 파악할 수 있고, 큐브를 옮겨다니며 확인하고, 원하는 큐브를 선택할 수 있는 큐브교체버튼의 다양한 화면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큐브교체버튼(5134, 5135, 5136, 5137)은 큐브 교체를 위한 단순 도구이므로, 디자인이나 배치, 기능의 다양성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확장검색기능(5138)과 기능세트(5139) 역시 특정위치나 디자인에 국한되지 않고, 활성큐브 하단부나 좌우측 등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열할 수 있고, 큐브가 선택될 경우에만 해당기능과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문서화단(7000)은; 큐브사용자화단(500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패턴과 유사하게 사용자화 시킨 큐브세트, 즉 문서초안 최종안을 '문서편집기'로 보내 사용자 요구와 현실에 맞게 제목과 문서내용, 단어, 이미지 등을 적절히 수정해, 원하는 문서를 최종 완성하도록 지원하는 '문서사용자화부'(7100)와; 다양한 문서분류와 용도에 따라 적절한 문서양식이나 장식을 입힐 수 있는 문서 템플리트를 제공하는 '템플리트부'(7200); 완성된 최종문서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이나 회사의 PC, 별도 저장장치, 클라우드 등 온오프라인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게 지원하는 '저장부'(7300); 완성된 문서를 이메일이나 SNS, 프린터, SMS, 인터넷 미디어 등을 이용해 사적-공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공유부'(7400); 기타 완성된 문서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리워드단(9000)은; 다양한 분야의 고품질 문서를 확보하기 위해 외부인이나 외부기관이 작성한 문서를 제공받아 문서 품질을 평가해 문서DB에 저장하고, 이를 문서패턴DB에 맞게 분리한 후, 큐브를 생성해 매트릭스 큐브DB에 추가하는 '문서평가부'(9100); 사용자별로 큐브 및 큐브세트 사용내역을 파악해 과금하는 '과금부'(9200); 각 큐브별 사용량과 품질, 인기도, 분류 등을 토대로 문서 제공자나 저작권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정산부'(9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문서작성 지원방법에 있어서; 분야별 문서의 전개규칙과 필수요소, 부가요소 등 패턴을 분석해 문서패턴을 확보하는 제1단계; 각각의 문서를 하나 이상의 문서조각으로 분리하고, 여기에 고유번호 등 부가정보를 추가해 단위 큐브를 생성하는 제2단계;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큐브를 선택하고 재배치해 문서초안을 완성하는 제3단계; 를 구비하는 컨텐츠 생성방법.
  2. 문서작성 지원시스템에 있어서; 분야별 문서의 전개규칙과 필수요소, 부가요소 등 패턴을 분석해 '문서패턴DB'를 구축하는 제1단계; 각각의 문서를 하나 이상의 문서조각으로 분리하고, 여기에 고유번호 등 부가정보를 추가해 단위 큐브를 생성하고 '큐브DB'나 파일로 저장 관리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큐브를 선택하고 재배치해 문서초안을 완성하는 제3단계; 문서초안을 수정, 편집할 수 있는 문서편집기를 제공하는 제4단계; 를 구비하는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3. 문서작성 지원시스템에 있어서; 분야별 문서의 전개규칙과 필수요소, 부가요소 등 패턴을 분석해 '문서패턴DB'를 구축하는 제1단계; 각각의 문서를 하나 이상의 문서조각으로 분리하고, 여기에 고유번호 등 부가정보를 추가해 단위 큐브를 생성하고 '큐브DB'나 파일로 저장 관리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큐브를 선택하고 재배치해 문서초안을 완성하는 제3단계; 문서초안을 수정, 편집할 수 있는 문서편집기를 제공하는 제4단계; 완성된 문서에 양식이나 장식을 위한 '템플리트'를 제공하는 5단계; 를 구비하는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4. 상기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성된 문서나 문서초안을 이메일이나 SNS, 프린터, SMS, 홈페이지, 뉴스매체, 인터넷 미디어, 전자출판, 온오프라인 인쇄 등을 이용해 사적-공적으로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5. 상기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의 문서를 제공받아, 1단계, 2단계, 3단계를 거쳐 서비스한 후; 기여도를 환산해 보상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KR1020140095084A 2014-07-25 2014-07-25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KR20160013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84A KR20160013482A (ko) 2014-07-25 2014-07-25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84A KR20160013482A (ko) 2014-07-25 2014-07-25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814A Division KR20160110316A (ko) 2016-09-01 2016-09-01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482A true KR20160013482A (ko) 2016-02-04

Family

ID=5535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084A KR20160013482A (ko) 2014-07-25 2014-07-25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34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80A1 (ko) * 2016-03-04 2017-09-08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80A1 (ko) * 2016-03-04 2017-09-08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0209B2 (en) Document collaboration and consolidation tools and methods of use
Edhlund et al. NVivo 12 essentials
Edhlund Nvivo 9 essentials
US8856645B2 (en) Generating formatted documents based on collected data content
RU236894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фильтрации и организации элементов на основе общих свойств
CN101840321B (zh) 作业管理装置及控制方法
Edhlund et al. Nvivo 11 essentials
Edhlund NVivo 8 essentials: The ultimate help when you work with qualitative analysis
Daines III et al. Re-imagining archival display: Creating user-friendly finding aids
CN101488086A (zh) 一种基于领域模型的软件生成方法及装置
JP6173848B2 (ja) 文書分類装置
JP5841102B2 (ja) 技術動向分析報告書作成システム
TWI410814B (zh) 技術資料分析的系統與方法以及專利分析的系統
US8145580B2 (en)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elements using a plurality of metadata elements
Barbuti et al.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multimedia digital library
CN106682879A (zh) 一体化设计流程规范系统
CN102043769A (zh) 单据编辑方法和装置
KR20160013482A (ko)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KR101813902B1 (ko) 동영상 템플릿의 조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0316A (ko) 큐브 매트릭스 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응용한 문서작성 지원시스템
KR100856132B1 (ko) 웹 대상물의 관리 시스템
JP2006048521A (ja) 文書検索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US20080281822A1 (en) Interactive System For Building, Organising, and Sharing One's Own Databank of Works of Literature in one or More Languages
JP4293970B2 (ja) 特徴データ生成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969153B2 (ja) 記事管理装置、記事提供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