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460A -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460A
KR20160013460A KR1020140094930A KR20140094930A KR20160013460A KR 20160013460 A KR20160013460 A KR 20160013460A KR 1020140094930 A KR1020140094930 A KR 1020140094930A KR 20140094930 A KR20140094930 A KR 20140094930A KR 20160013460 A KR20160013460 A KR 20160013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rotective layer
thin fil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3460A/ko
Publication of KR2016001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복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정의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비 표시 영역 중 양 측변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격벽;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덮도록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비 표시 영역 상의 상기 보호층 두께보다 높은 단차를 갖는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보호층에 발생된 크랙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수분 및 산소가 크랙을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등이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얇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나 휴대용 정보 처리기에서 표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Portable) 혹은 모바일(Mobile) 기기에서는 더욱 얇고, 더 가벼우며, 전력 소비가 작은 표시 패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형으로 휘도 및 시야각이 크고,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우수하며,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액정 표시장치나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유연성 및 탄성이 높은 자발광 소자를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어, 플렉서블 표시장치로 응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박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유기 박막의 특징인 유연성 및 탄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장치로 응용할 수 있는 최적의 소재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도 1은 복수개의 표시 패널이 형성된 원장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로 절취한 도면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장 기판(혹은 모기판, mother substrate, MS)은 공정의 편의상 복수개의 표시 패널(PNL)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기판이다. 표시 패널(PNL)은 개별적으로 분리되어서 각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원장 기판(MS) 상에 복수개를 동시에 형성시킨 후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분리한다.
원장 기판(MS) 상에는 복수 개의 표시 패널(PNL)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표시 패널(PNL)은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AA)과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AA)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2)와 이에 의해 구동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3)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자들(2,3)은 외부의 산소 및 수분에 매우 취약하다. 내부로 유입된 산소 및 수분은 유기물의 열화로 인한 발광 면적의 수축 현상을 유발하여 소자들(2, 3)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소자들(2, 3)을 산화 또는 부식시켜 전류 누설 및 단락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수분 및 산소의 유입으로부터 소자들(2, 3)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층(7)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보호층(7)은 수분 및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원장 기판(MS) 전면에 형성되는 제1 무기막(4), 폴리머(polymer)와 같은 유기 물질로 제1 무기막(4) 위에 형성되는 유기막(5) 및 유기막(5)을 포함한 원장 기판(MS) 전면에 형성되어 수분 및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무기막(6)을 포함한다.
제1 무기막(4)과 제2 무기막(6)은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모두 덮도록 원장 기판(MS) 상에 적층되어 형성된다. 즉, 무기막들(4, 6)은 인접하는 표시 패널(PNL)간 경계 없이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표시 패널(PNL) 사이에 스크라이빙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개별 표시 패널(PNL)로 분리된 플렉서블 기판(1)과 무기막들(4, 6)이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함께 절단된다.
절단된 무기막들(4, 6)의 끝단에는 스크라이빙 공정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미세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발생한 미세 크랙은 외부 충격이나 곡면 부 변형에 의해 무기막들(4, 6)을 따라 내부로 전파될 수 있고, 전파된 크랙에 따라 유입된 수분 및 산소는 흑점 및 흑선 얼룩을 유발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스크라이빙 공정시 보호층 상에 발생한 크랙의 전파를 차단할 수 없고, 전파된 크랙을 따라 유입된 수분 및 산소에 의한 표시장치 내부의 소자 불량을 막을 수 없어,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발명으로, 보호층에 발생된 크랙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을 형성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복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정의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비 표시 영역 중 양 측변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격벽;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덮도록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비 표시 영역 상의 상기 보호층 두께보다 높은 단차를 갖는다.
상기 격벽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양 측변 최 외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각 화소 영역들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도록 형성된 평탄화막; 상기 평탄화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의 가장자리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뱅크를 덮도록 형성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뱅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각 화소 영역들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되어 게이트 전극, 채널층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도록 형성된 평탄화막; 상기 평탄화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의 가장자리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뱅크를 덮도록 형성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캐소드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기막이 적층된 구조 그리고, 하나 이상의 무기막과 유기막이 교차 적층된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의 단면은 하변이 상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이다.
상기 격벽은 외측 벽면은 수직이고, 내측 벽면은 경사를 갖는 형태이다.
본 발명은 비 표시 영역 상에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보호층에 발생한 크랙의 전파를 방지하고, 보호층에 발생한 크랙을 따라 유입되는 수분 및 산소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 및 산소로부터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 소자를 보호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복수개의 표시 패널이 형성된 원장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로 절취한 도면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절취선 II-II'로 절취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격벽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예들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격벽 형성 후 보호층이 적층된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절취선 II-II'로 절취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AA)과, 표시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여러 소자들이 배치되는 비 표시 영역(NA)으로 구분된 플렉서블 기판(SUB)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판(SUB)은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은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AR(polyarylate), PSF(polysulfone), COC(ciclic-olefin copolymer)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AA)에는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화소 영역(PA)들이 정의된다. 각 화소 영역(PA)에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핵심 구성 요소들인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들(ST, DT)이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들(ST, DT)은 화소 영역(PA)의 일측 부에 정의된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TA)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는 애노드 전극(ANO)과 캐소드 전극(CAT) 그리고, 두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층(OL)을 포함한다.
화소 영역(PA)의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TA)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가 형성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SG), 게이트 절연막(GI), 스위칭 채널층(SA), 스위칭 소스 전극(SS)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SD)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의 스위칭 드레인 전극(SD)과 연결된 구동 게이트 전극(DG), 게이트 절연막(GI), 구동 채널층(DA), 구동 소스 전극(DS) 및 구동 드레인 전극(DD)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에 의해 선택된 화소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들(ST, DT) 위에는 보호막(PAS)과 평탄화막(PL)이 연속으로 도포된다.
평탄화막(PL) 위에는 화소 영역(PA) 내의 일정 부분만을 차지하고, 인접하는 화소 영역(PA)의 애노드 전극(ANO)과 접촉되지 않도록, 각 화소별로 애노드 전극(ANO)이 형성된다. 애노드 전극(ANO)은 보호막(PAS) 및 평탄화막(PL)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구동 드레인 전극(DD)과 연결된다.
애노드 전극(ANO) 위에는 뱅크(BN)가 도포된다. 뱅크(BN)를 패턴하여, 애노드 전극(ANO)의 대부분을 노출한다. 뱅크(BN) 패턴에 의해 노출된 애노드 전극(ANO) 위에는 유기발광층(OL)을 도포한다. 뱅크(BN) 위에는 도전 물질을 도포하여, 캐소드 전극(CAT)을 형성한다. 이로써, 애노드 전극(ANO), 유기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AT)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가 형성된다.
비 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IC) 및 격벽(BH)이 형성된다.
구동부(IC)에는 데이터 배선(미도시)들에 화상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Data Driving Integrated Circuit)와, 게이트 배선(미도시)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Gate Driving Integrated Circuit)가 배치될 수 있다.
격벽(BH)은 비 표시 영역(NA) 중 양 측변부에 수직 방향(y축)으로 형성된다. 격벽(BH)은 플렉서블 기판(SUB)의 양 측변 최 외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분 및 산소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ST, DT) 등의 구동 소자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 등의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층(PASSI)이 형성된다.
보호층(PASSI)은 제1 무기막(PAS1), 유기막(PCL), 제2 무기막(PAS2)을 포함한다. 제1 무기막(PAS1)과 제2 무기막(PAS2)은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 등으로 형성되어 수분 및 산소의 유입을 차단한다. 유기막(PCL)은 폴리머(polymer)와 같은 유기 물질로 형성되며, 제1 무기막(PAS1)과 제2 무기막(PAS2) 사이에 개재된다. 제2 무기막(PAS2)은 유기막(PCL)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된다. 도 4에서의 보호층(PASSI)은 제1 무기막(PAS1), 유기막(PCL), 제2 무기막(PAS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소자를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즉, 보호층(PASSI)은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무기막 적층 구조이거나, 하나 이상의 무기막과 유기막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일 수 있다. 보호층(PASSI)이 유기막을 포함하는 경우, 유기막 상에 형성되는 무기막은 유기막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막을 유기막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기막을 따라 결함이나 수분이 내부 소자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다.
보호층(PASSI) 중 제1 무기막(PAS1)과 제2 무기막(PAS2)은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덮도록 형성된다. 즉, 무기막(PAS1, PAS2)은 공정의 편의상 원장 기판(MS, 도 1) 전면에 형성되어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모두 덮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무기막(PAS2)만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무기막(PAS1), 유기막(PCL) 및 제2 무기막(PAS2)이 모두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기막(PAS1), 유기막(PCL) 및 제2 무기막(PAS2)이 모두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덮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격벽(BH)을 무기막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유기막(PCL)을 통한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비 표시 영역(NA) 상의 보호층(PASSI)은 격벽(BH)에 의해 끊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즉, 격벽(BH)은 비 표시 영역(NA) 상의 보호층(PASSI) 두께보다 높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격벽(BH)을 기준으로 외측부(OA)와 내측부(IA)에 형성된 보호층(PASSI)은 서로 분리된다.
하나의 원장 기판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동시에 제조하는 경우, 원장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표시 패널을 개별적인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로 분리하기 위하여 스크라이빙 공정이 실시된다. 인접하는 표시 패널 사이에 컷팅 라인(SCL)이 형성되며, 각 표시 패널은 컷팅 라인(SCL)을 따라 절단되어 개별적인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로 분리된다.
컷팅 라인(SCL)에 따라 절단시 컷팅 라인(SCL)과 접하는 무기막(PAS1, PAS2)의 끝단에는 미세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발생한 미세 크랙은 외부 충격이나 곡면 부 변형에 의해 무기막(PAS1, PAS2)을 따라 내부로 전파된다. 다만, 무기막(PAS1, PAS2)은 격벽에 의해 끊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발생된 크랙이 무기막(PAS1, PAS2)을 따라 격벽(BH)의 내측부(IA)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격벽(BH)을 형성함으로써 무기막(PAS1, PAS2)의 끝단에 미세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이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고, 크랙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수분 및 산소로부터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격벽(BH)은 비 표시 영역(NA) 중 양 측변부에 수직 방향(y축)으로 형성된다. 격벽(BH)은 플렉서블 기판(SUB)의 양 측변 최 외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격벽(BH)은 평탄화막(PL) 및 뱅크(B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격벽(BH)은 평탄화막(PL) 및/또는 뱅크(BN)를 패터닝하는 경우 비 표시 영역(NA) 상에 함께 패터닝하여 마스크 공정의 추가 없이 형성할 수 있다. 격벽(BH)은 비 표시 영역(NA) 상의 보호층(PASSI) 두께보다 높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평탄화막(PL) 혹은 뱅크(BN)의 두께가 비 표시 영역(NA) 상의 보호층(PASSI) 두께보다 충분히 두껍다면 격벽(BH)은 평탄화막(PL) 혹은 뱅크(BN)만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격벽(BH)은 평탄화막(PL)과 뱅크(BN)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격벽(BH)은 비 표시 영역(NA) 중 양 측변부에 수직 방향(y축)으로 형성된다. 격벽(BH)은 플렉서블 기판(SUB)의 양 측변 최 외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격벽(BH)은 게이트 전극(SG, DG), 소스-드레인 전극(SS, SD, DS, DD), 애노드 전극(ANO) 및 캐소드 전극(CAT)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격벽(BH)은 상기 금속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패터닝 하는 경우 비 표시 영역(NA) 상에 함께 패터닝하여 마스크 공정의 추가 없이 형성할 수 있다. 격벽(BH)은 비 표시 영역(NA) 상의 보호층(PASSI) 두께보다 높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격벽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예들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격벽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격벽(BH)의 단면은 장방형일 수 있고, 하변이 상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다리꼴 형상이되 외측 벽면(OW)은 수직이고 내측 벽면(IW)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BH)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경우, 격벽(BH)의 단면은 계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BH)은 격벽(BH)을 기준으로 내측부(IA, 도 4)에 형성된 보호층(PASSI, 도 4)과 외측부(OA, 도 4)에 형성된 보호층(PASSI, 도 4)을 분리시키는 분리자이다. 따라서, 격벽(BH)의 단면은 격벽(BH)이 형성된 기판 위에 보호층(PASSI, 도 4)을 도포하는 공정에서 내측부(IA, 도 4)와 외측부(OA, 도 4)에 형성된 보호층(PASSI, 도 4)을 완전히 분리시키는 기능적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기본적인 격벽(BH)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며, 도 5b는 실제 격벽(BH)을 형성하는 패터닝 공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등방형 사다리꼴 형상이다. 도 5c는 도 5b에서 도시한 단면을 갖는 격벽(BH)이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지 않은 경우 보호층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형상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격벽(BH)의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격벽(BH)의 내측 벽면(IW)과 무기막(PAS1, PAS2) 간에 갭(gap)이 생길 수 있으며, 갭 안으로 이물질들이 침투할 수 있다. 반면에 도 6b를 참조하면, 도 5b 및 도 5c와 같이 내측 벽면(IW)이 경사를 갖는 격벽(BH)을 형성하는 경우, 무기막(PAS1, PAS2)이 격벽(BH)의 경사에 따라 적층 되어 격벽(BH)의 내측 벽면(IW)과 무기막(PAS1, PAS2) 간에 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격벽(BH)은 내측 벽면(IW)이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보호층의 구조를 제1 무기막(PAS1)과 제2 무기막(PAS2) 적층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층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내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즉,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 탑 게이트(Top Gate) 구조 또는 이중 게이트 (Double Gate) 구조 등에 제한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발광 구조(Bottom Emission)나 상부 발광 구조(Top Emission) 어디에나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AA : 표시 영역 NA : 비 표시 영역
PASSI : 보호층 PAS1 : 제1 무기막
PAS2 : 제2 무기막 PCL : 유기막
BH: 격벽

Claims (8)

  1. 복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정의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비 표시 영역 중 양 측변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격벽;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덮도록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비 표시 영역 상의 상기 보호층 두께보다 높은 단차를 갖는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양 측변 최 외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 영역들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도록 형성된 평탄화막;
    상기 평탄화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의 가장자리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뱅크를 덮도록 형성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뱅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 영역들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되어 게이트 전극, 채널층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도록 형성된 평탄화막;
    상기 평탄화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의 가장자리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뱅크를 덮도록 형성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캐소드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막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기막이 적층된 구조 그리고, 하나 이상의 무기막과 유기막이 교차 적층된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단면은 하변이 상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인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외측 벽면은 수직이고, 내측 벽면은 경사를 갖는 형태인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40094930A 2014-07-25 2014-07-25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60013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30A KR20160013460A (ko) 2014-07-25 2014-07-25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30A KR20160013460A (ko) 2014-07-25 2014-07-25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460A true KR20160013460A (ko) 2016-02-04

Family

ID=5535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30A KR20160013460A (ko) 2014-07-25 2014-07-25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346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9976A (zh) * 2016-10-31 2017-02-2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WO2019000841A1 (en) 2017-06-30 2019-01-0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HAVING A CRACK BARRIER LAYER AND DISPLAY APPARATUS THEREFOR
KR20200041824A (ko) * 2018-10-10 2020-04-22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US11950476B2 (en) 2019-07-16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opening between pixel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9976A (zh) * 2016-10-31 2017-02-2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WO2019000841A1 (en) 2017-06-30 2019-01-0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HAVING A CRACK BARRIER LAYER AND DISPLAY APPARATUS THEREFOR
EP3646395A4 (en) * 2017-06-30 2021-03-3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BOARD WITH CRACK BARRIER LAYER AND DISPLAY DEVICE FOR IT
KR20200041824A (ko) * 2018-10-10 2020-04-22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US11251399B2 (en) 2018-10-10 2022-02-1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substrate
US11950476B2 (en) 2019-07-16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opening between pix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7429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211416B2 (en) Flexible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326069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363464B1 (ko)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9669B1 (ko) 복수 타입들의 마이크로 코팅층들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6253541B2 (ja) 表示装置
KR102414003B1 (ko) 브리지된 배선 트레이스들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2695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76098B1 (ko) 표시장치
US9905626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102366701B1 (ko) 플렉서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04393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JP2018022322A (ja) 表示装置
US8942000B2 (en) Lead line structure and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KR102257119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625855B (zh) Display device
KR20160013460A (ko)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8231828B (zh) 显示装置
KR102172386B1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91978B1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2018004729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92140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513199B1 (ko) 표시장치
KR102668243B1 (ko)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96109A (ko) 크랙의 전파가 방지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