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635A -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635A
KR20160012635A KR1020140094467A KR20140094467A KR20160012635A KR 20160012635 A KR20160012635 A KR 20160012635A KR 1020140094467 A KR1020140094467 A KR 1020140094467A KR 20140094467 A KR20140094467 A KR 20140094467A KR 20160012635 A KR20160012635 A KR 2016001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se
wheelchair
vehicle
link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우
이우준
강병무
소수현
Original Assignee
(주)화담알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담알앤알 filed Critical (주)화담알앤알
Priority to KR102014009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635A/ko
Publication of KR2016001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2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the sides, e.g. on running-bo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가 차량 후단부에 인출된 후, 차량의 전단부로 이동시켜 장애인이 손쉽게 휠체어를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내면에 탑재되는 휠체어를 차량 후단부 측면으로 이동하는 회전 베이스에 장착되어 휠체어를 차량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안내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를 포함하여 4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링크 셋; 상기 베이스 링크 셋의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여 4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간 링크 셋; 상기 중간 링크 셋의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여 4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말단 링크 셋; 상기 말단 링크 셋의 하나의 링크를 담당하며,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베이스 링크 셋과 중간 링크 셋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Guiding device of wheelchai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에서 인출된 휠체어를 차량의 측면으로 안내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이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는 휠체어 등을 포함하는 장애인용 보조 장치들을 동시에 수납해야 하므로, 일반적인 차량에 장애인들을 위한 별도의 장치들을 부가하여 탑승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도모하며, 상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 구성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898390호에는 차량 후측으로 휠체어 탑재용 리프트나 슬로프가 장착되는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일정공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리어 플로워와, 상기 리어 플로워의 하부면과 상기 리어 플로워가 서로 접하는 어퍼패드와, 상기 어퍼패드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워를 지지하는 리어 서스펜션부가 장착된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에 있어서, 상기 어퍼패드와 코일스프링 사이에 일측으로 상기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안착부와, 타측으로 어퍼패드에 삽입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높이보정대로 구성된 높이보정어퍼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를 들 수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794551호에는 리어 도어 안쪽에 접이식 슬로프가 장착되어 승차 및 하차 시에 슬로프를 펼쳐 휠체어를 탄 상태로 안전하게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 장애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된 휠체어가 주행 도중에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시켜 주는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제공하는 목적을 위하여,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열린 리어 도어를 통해 지면까지 경사지게 펼쳐지거나 또는 차량 내부로 접히는 슬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내부에는 휠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안전고정기가 장착되며, 상기 안전고정기에서 벨트를 풀어 상기 휠체어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615692호에는 신체장애자의 휠체어를 차량의 지붕에 배치된 수납공간에 접은 상태로 수납하는 것으로, 접혀진 휠체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를 차량의 지붕에 부착하는 부착수단과, 본체와 차량의 승강구 위쪽의 위치 사이를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승강구로부터 휠체어를 승강시키는 리프트 상에 설치된 리프트 수단과, 상기 리프트 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휠체어를 접기 위한 상기 리프트 수단과 연결되는 휠체어 접는 수단과, 상기 접혀진 휠체어를 지지하는 휠체어 홀더와, 상기 휠체어를 갖는 휠체어 홀더를 회전하므로써 수납부에 맞추어지도록 휠체어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변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휠체어 수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466446호에는 휠체어의 승강을 위한 승강판이 차량 플로어 하부의 보관부에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는 차량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설치시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어지는 메인승강판 및 상기 메인승강판의 후단측에 절첩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 보조승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승강판의 후단부에는 보관부에서 이탈이 방지되어지도록 수평 이동되어지는 지지 브라켓이 힌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들은 다소 복잡한 전용 장치들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휠체어 인출 자체는 목적한 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추가적인 구성들이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많은 차량의 개조가 수행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RV차량 등에서 차량의 뒷문을 열고, 장치를 작동 시키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에 휠체어를 안착하는 구성들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차량의 후면에 회전축을 일정 경사로 고정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차량 배면에서 차량 측면에 휠체어를 인출하는 구성들이 다수 제안되었다.
상기 구성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동작 또한 단순한 등의 높은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후단부에 휠체어가 인출되므로, 실제 장애인이 휠체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휠체어를 차량 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 이동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휠체어가 차량 후단부에 인출된 후, 차량의 전단부로 이동시켜 장애인이 손쉽게 휠체어를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내면에 탑재되는 휠체어를 차량 후단부 측면으로 이동하는 회전 베이스에 장착되어 휠체어를 차량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안내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를 포함하여 4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링크 셋; 상기 베이스 링크 셋의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여 4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간 링크 셋; 상기 중간 링크 셋의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여 4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말단 링크 셋; 상기 말단 링크 셋의 하나의 링크를 담당하며,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베이스 링크 셋과 중간 링크 셋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장치의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을 위한 구동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링크 셋은 베이스, 중간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중간 베이스에 회전 결합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베이스 링크 및 제2베이스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링크 셋은 중간 베이스, 말단 베이스, 상기 중간 베이스와 말단 베이스에 회전 결합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중간 링크 및 제2중간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말단 링크 셋은 말단 베이스, 고정장치, 상기 말단 베이스와 상기 고정장치에 회전결합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말단 링크 및 제2말단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1베이스 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중간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2중간 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종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단 베이스에는 제2말단 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는 차량 후면부에서 인출된 휠체어를 운전석 또는 조수석 측면으로 이동시켜, 장애인이 바로 휠체어를 이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장애인의 휠체어 이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또한 휠체어 사용 후, 역시 편리하게 휠체어를 수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및 휄체어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링크 장치의 구동부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링크 셋의 작동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링크 셋과 중간 링크 셋의 연동 작동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말단 베이스에 장착된 스토퍼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접혀진 휠체어(1)가 차량(2) 후단부 측면에 위치한 후, 작동하여 차량의 운전석(조수석) 측면으로 이동시켜 장애인이 별도의 보조원 없이 휠체어(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2)은 RV차량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량(2) 내부에서 휠체어(1)가 차량(2) 후단부 측면으로 인출되는 방식은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차량(1) 내부에 수직에서 일정 경사지게 형성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횔체어(1) 안착부가 회전하여 차량(2)의 측면에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구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구성은 구조적으로 단순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가 차량 측면에 일정 높이 위치한 구성에 작동하며, 차량(2) 후면에서 회전하여 휠체어(1)를 차량 측면으로 위치시키 회전 베이스(5)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링크 셋(10), 중간 링크 셋(20) 및 말단 링크 셋(30)이 연속하여 연결되면, 끝단에는 휠체어(1)를 고정하는 고정장치(80)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먼저 베이스 링크 셋(10)은 상기 회전 베이스(5)에 부착 고정되는 베이스(11)와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베이스(21) 사이에 서로 평행하며, 각각 끝단이 회전 결합되는 제1베이스 링크(12) 및 제2베이스 링크(13)를 포함하며, 베이스(11), 제1베이스 링크(12), 중간 베이스(21) 및 제2베이스 링크(13) 순의 폐루프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간 링크 셋(10)은 말단 베이스(31)와 상기 중간 베이스(21)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회전 고정되는 제1중간 링크(22) 및 제2중간 링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중간 베이스(21), 제1중간 링크(22), 말단 베이스(31) 및 제2중간 링크(23) 순의 폐루프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말단 링크 셋(30)은 상기 말단 베이스(31)와 상기 고정장치(80)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회전 고정되는 제1말단 링크(32)와 제2말단 링크(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말단 베이스(31), 제1말단 링크(32), 고정장치(80) 및 제2말단 링크(33) 순의 폐루프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장치(100)의 구동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 링크(12)에 구동 모터(51)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 모터(51)의 회전축은 상기 중간 베이스(21)에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51)를 구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링크 셋(10)이 회전 각도에 따라 요동 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구동 모터(51)는 필요한 경우 내부에 변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변속장치에 의하여 회전수가 감속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51)에는 회전축에는 구동기어(52)가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52)는 상기 중간 베이스(21)와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52)와 치합하는 종동기어(53)가 제2중간 링크(23)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52)의 잇수와 구동기어(52)의 잇수를 조절하는 경우, 베이스 링크 셋(10)의 요동 각도와 상기 중간 링크 셋(20)의 요동 각도 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두개의 링크 셋(10, 20)의 요동 운동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말단 베이스(31)는 별다른 구동원 없이 작동하므로, 상기 말단 링크 셋(30)은 자유 운동을 하나, 휄체어(1)가 장착된 고정장치(80)가 부착되므로, 자체 무게에 위하여 지면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장치(80)가 지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지면과 접촉하여 이동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80)는 지면과 원활한 접촉을 위하여 구동바퀴(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말단 베이스(3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말단 링크(33)의 회전 각도 한정을 위한 스토퍼(34)가 장착되며, 상기 스토퍼(34)는 상기 고정장치(80)가 지면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80)는 휠체어(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프레임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중량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100)는 하나의 구동모터(51)의 동작만으로 전체 가이드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며, 손쉽게 휠체어(1)를 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 안내하고, 또한 휠체어(1)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 역시 하단의 구동모터(51)의 동작만으로 휠체어(1)를 차량 후단 측면에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일부 지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훨체어 2: 차량
5: 회전 베이스 10: 베이스 링크 셋
11: 베이스 12: 제1베이스 링크
13: 제2베이스 링크 20: 중간 링크 섹
21: 중간 베이스 22: 제1중간 링크
23: 제2중간 링크 30: 말단 링크 셋
31: 말단 베이스 32: 제1말단 링크
33: 제2말단 링크 34: 스토퍼
80: 고정장치 81: 이동용 바퀴
100: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Claims (5)

  1. 차량 내면에 탑재되는 휠체어를 차량 후단부 측면으로 이동하는 회전 베이스에 장착되어 휠체어를 차량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안내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를 포함하여 4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링크 셋;
    상기 베이스 링크 셋의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여 4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간 링크 셋;
    상기 중간 링크 셋의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여 4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말단 링크 셋;
    상기 말단 링크 셋의 하나의 링크를 담당하며,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베이스 링크 셋과 중간 링크 셋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의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을 위한 구동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크 셋은 베이스, 중간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중간 베이스에 회전 결합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베이스 링크 및 제2베이스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링크 셋은 중간 베이스, 말단 베이스, 상기 중간 베이스와 말단 베이스에 회전 결합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중간 링크 및 제2중간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말단 링크 셋은 말단 베이스, 고정장치, 상기 말단 베이스와 상기 고정장치에 회전결합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말단 링크 및 제2말단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1베이스 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중간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2중간 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종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말단 베이스에는 제2말단 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KR1020140094467A 2014-07-25 2014-07-25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KR20160012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467A KR20160012635A (ko) 2014-07-25 2014-07-25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467A KR20160012635A (ko) 2014-07-25 2014-07-25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35A true KR20160012635A (ko) 2016-02-03

Family

ID=5535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467A KR20160012635A (ko) 2014-07-25 2014-07-25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6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332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9463121B1 (en) Wheelchair assembly and system for ingress/egress to a vehicle using a door of a vehicle as support
US81095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wheelchair in a vehicle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101423323B1 (ko) 차량용 휠체어 이동 장치
US11279266B2 (en) Motor home chair lift
WO2013038876A1 (ja) 車両シート装置
JP4632120B2 (ja) 身体障害者車両用リフト装置
KR20160012635A (ko)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JPH11291808A (ja) 旅客運送のための車両
JP3577993B2 (ja) 車両用回転座席
JP4577570B2 (ja) 車両用昇降装置
KR101212451B1 (ko)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JP2010241254A (ja) 車両用シート
KR101759173B1 (ko)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KR20160012634A (ko)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KR101423324B1 (ko) 차량용 휠체어 이동 장치의 제어 장치
WO2014021040A1 (ja) 昇降ステップ装置
JP2005145281A (ja) 車両の乗降補助装置
JP3698430B2 (ja) 被介護者用の車両乗降装置
CN220309308U (zh) 一种可移动座椅
JP7392554B2 (ja) 車両用乗降補助装置
WO2023054138A1 (ja) 車両
JP3065838U (ja) 雨よけ付福祉車両
KR20060015827A (ko) 자동차의 휠체어 겸용 운전석 시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