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594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594A
KR20160012594A KR1020140094221A KR20140094221A KR20160012594A KR 20160012594 A KR20160012594 A KR 20160012594A KR 1020140094221 A KR1020140094221 A KR 1020140094221A KR 20140094221 A KR20140094221 A KR 20140094221A KR 20160012594 A KR20160012594 A KR 20160012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sensor
amount
receive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국
송영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594A/ko
Priority to US14/788,979 priority patent/US9594339B2/en
Priority to EP15176215.0A priority patent/EP2977819A1/en
Publication of KR2016001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54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 G03G15/5058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컬러 정렬 시 사용되는 광센서의 오염여부 및 오염정도를 결정하여 자동으로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컬러의 화상이 중첩되어 전사되는 중간전사체; 광을 조사하여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센서;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 및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이하이면, 광센서를 클리닝하도록 클리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인쇄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 잠상에 현상제(developing agent)인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可視)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화상을 중첩할 때 각 색상의 화상이 올바른 위치에 중첩되지 않으면 화상의 테두리 부분이 번져 보이는 등 화상의 품질이 나빠지게 된다. 이는 현상기의 교체나 인쇄매수의 증가 등 여러 가지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각 색상의 화상이 올바른 위치에 중첩되도록 정렬하는 컬러 정렬(Color Registration)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컬러 정렬을 위해, 미리 정해진 중첩 컬러 패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컬러에 따라 광을 반사하는 정도가 상이하므로, 광센서를 통해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면 컬러 패턴의 중첩 위치의 오차를 확인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컬러 정렬 시 사용되는 광센서의 오염여부 및 오염정도를 결정하여 자동으로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컬러의 화상이 중첩되어 전사되는 중간전사체; 광을 조사하여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센서;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 및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이하이면, 광센서를 클리닝하도록 클리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광센서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미만이면, 상기 광량을 증가시켜 중간전사체로 조사하도록 상기 광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상기 광센서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이상이면, 광센서를 클리닝하도록 상기 클리닝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과 기준수신광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과 기준수신광량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클리닝유닛이 광센서를 클리닝 한 후, 광을 다시 조사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도록 광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 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횟수 이상이면 외부에 화상형성장치의 고장을 알리는 출력유닛;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을 초과하면,  중간전사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광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광센서가 감지한 광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중간전사체의 서로 다른 컬러 화상의 전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클리닝유닛은, 상기 광센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진행 또는 차단시키는 셔터; 및 광센서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셔터의 일면에 마련되는 클리너; 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너는, 상기 셔터가 광을 진행시킬 때, 광센서와 이격되고, 상기 셔터가 광을 차단시킬 때, 광센서와 접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클리닝유닛에 의해 제거되는 오염물질이 수용되는 오염통;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통은, 클리닝유닛을 향하는 개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센서를 이용하여 중간전사체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센서를 이용하여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고;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이하이면,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 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은,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광센서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미만이면, 상기 광량을 증가시켜 중간전사체로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은,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광센서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이상이면,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은,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과 기준수신광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과 기준수신광량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를 클리닝 한 후, 광을 다시 조사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것;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 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횟수 이상이면 외부에 화상형성장치의 고장을 알리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을 초과하면, 상기 중간전사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가 감지한 광량의 변화를 기초로 중간전사체의 서로 다른 컬러 화상의 전사위치를 확인하는 것;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센서의 오염여부 및 오염정도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클리닝함으로써, 광센서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광센서의 광 수신율을 높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광센서의 오염여부 및 오염정도를 판단하는데 중간전사체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패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유닛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의 클리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통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8은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0은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싱글패스 방식으로 컬러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적용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의 내부에 급지유닛(20), 노광유닛(110), 현상유닛(120), 감광유닛(130), 중간전사체(140), 전사롤러(90), 정착유닛(60) 및 배지유닛(70)을 구비한다. 도 1에서 급지유닛(20)부터 배지유닛(70)까지 연결된 화살표는 용지(S)의 이송 경로를 나타낸다.
급지유닛(20)은 본체(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카세트(21)와, 이 급지카세트(21)의 내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위에 용지(S)가 적재되는 용지가압판(22)과, 이 용지가압판(22)의 하부에 마련되어 용지가압판(2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3) 및 용지가압판(22)에 적재된 용지(S)의 선단측에 마련되어 용지(S)를 픽업하는 픽업롤러(24)을 포함한다. 용지(S)는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되어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며, 용지 이송 경로에는 필요에 따라 용지(S)의 이송을 보조하는 롤러나 지지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노광유닛(110)은 서로 다른 복수의 컬러, 예를 들면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감광유닛(130)에 주사하는 것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레이저 스캔 유닛(LSU; Laser Scanning Unit)을 사용할 수 있다.
노광유닛(110)은 각 컬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노광기를 포함할 수 있는바, 일 실시예로서, 4개의 컬러에 대응되는 제 1 노광기(111), 제 2 노광기(112), 제 3 노광기(113) 및 제 4 노광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노광기는 그에 대응되는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바, 감광유닛(130) 역시 각 컬러에 대응되는 제 1 감광체(131), 제 2 감광체(132), 제 3 감광체(133) 및 제 4 감광체(!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광체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층이 형성된 감광드럼일 수 있고, 제1감광체(131) 내지 제4감광체(134)의 순서는 중간전사체(14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현상유닛(120)은 서로 다른 컬러의 토너, 예를 들면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제 1 현상기(121), 제 2 현상기(122), 제 3 현상기(123) 및 제 4 현상기(124)로 구성된다.
제 1 현상기(121)는 토너가 저장되는 제 1 토너 저장부(121a)와 제 1 감광체(131)를 대전시키기 위한 제 1 대전롤러(121d), 제 1 감광체(13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제 1 현상롤러(121b) 및 제 1 현상롤러(121b)에 제 1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공급롤러(121c)를 구비한다. 나머지 현상기(122,123,124)도 마찬가지로 토너 저장부, 대전롤러, 현상롤러 및 공급롤러를 구비한다.
중간전사체(140)는 각 감광체(131,132,133,134)의 외주면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S)로 전사시키기 위한 중간 매체의 역할을 한다. 중간전사체(140)는 각 감광매체(131,132,133,134)에 접촉되어 순환 주행하는 중간전사벨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동롤러(52a,52b)가 중간전사벨트(51)를 구동시키고, 지지롤러(53)가 중간전사체(14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화상형성장치(100)에는 각 감광체(131,132,133,134)의 외주면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전사체(140)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중간전사롤러(54a,54b,54c,54d)가 구비될 수 있다.
전사롤러(90)는 중간전사체(140)의 구동롤러(52b)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구동롤러(52b)와 함께 회전하면서 중간전사체(140)의 일 면과의 사이에 용지(S)를 통과시킴으로써 중간전사체(140)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S)에 전사시킨다.
정착유닛(60)은 용지(S)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용지에 고정시킨다. 정착유닛(60)은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가열롤러(6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롤러(61)를 포함한다.
배지유닛(70)은 인쇄를 마친 용지(S)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지롤러(71)와 이 배지롤러(71)와 함께 회전하는 백업롤러(72)를 포함한다.
 
상술한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인쇄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노광기(111)는 제 1 감광체(131)에 제 1 컬러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제 1 현상기(121)는 정전잠상에 제 1 컬러의 토너를 공급한다. 그 결과, 제 1 감광체(131)의 외주면에는 제 1 토너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노광기(112)는 제 2 감광체(132)에 제 2 컬러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제 2 현상기(122)는 정전잠상에 제 2 컬러의 토너를 공급한다. 그 결과, 제 2 감광체(132)의 외주면에는 제2토너화상이 형성될 수있다.
제 3 노광기(113)는 제 3 감광체(133)에 제 3 컬러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제 3 현상기(123)는 정전잠상에 제 3 컬러의 토너를 공급한다. 그 결과, 제 3 감광체(133)의 외주면에는 제 3 토너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 4 노광기(114)는 제 4 감광체(134)에 제 4 컬러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제 4 현상기(124)는 정전잠상에 제4컬러의 토너를 공급한다. 그 결과, 제 4 감광체(134)의 외주면에는 제4토너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감광체(131,132,133,134)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토너화상은 중간전사체(140)에 전사될 수 있다. 이 때, 원하는 하나의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1 내지 제 4 토너화상은 중간전사체(140)에 중첩되어 전사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토너화상은 중간전사체(140)에서 중첩되어 하나의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컬러 화상은 용지에 다시 전사됨으로써, 인쇄과정이 종료된다.
이처럼, 인쇄과정에서 제 1 내지 제 4 토너화상이 중간전사체(140)에 중첩되어 전사되는 과정은 하나의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정확성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중간전사체(140) 상에 전사되기 시작하는 위치와 완료되는 위치가 제 1 내지 제 4 토너화상 모두 일치해야 한다.
만약, 제 1 내지 제 4 토너화상의 전사위치가 상이하면, 제 1 내지 제 4 토너화상이 서로 어긋나 중첩될 수 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컬러 화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차를 미리 감지하고 보정하기 위해, 상술한 도 1의 화상형성장치는 자동 컬러 정렬(Auto Color Registration; ACR)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컬러 정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노광기 및 제 1 현상기를 이용하여, 제 1 감광체(131)의 외주면에 제 1 ACR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노광기 및 제 2 현상기를 이용하여, 제 2 감광체(132)의 외주면에 제 2 ACR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3 노광기 및 제 3 현상기를 이용하여, 제 3 감광체(133)의 외주면에 제 3 ACR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제 4 노광기 및 제 4 현상기를 이용하여, 제 4 감광체(134)의 외주면에 제 4 ACR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ACR 패턴은 전반사 또는 난반사 패턴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중간전사체(140)에 제 1 내지 제 4 ACR패턴을 중첩하여 전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전사체(14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4 감광체(131,132,133,13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ACR패턴이 중첩되어 전사될 수 있다. 그 결과 중간전사체(140) 상에는 하나의 컬러 ACR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전사체(140)에 컬러 ACR패턴이 형성되면, 광센서를 이용하여 중간전사체(140)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조사된 광은 컬러 ACR패턴에 의해 반사되고, 광센서에서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중간전사체(14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광센서는 형성된 컬러 ACR패턴 전체를 스캔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컬러 ACR패턴의 형성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광센서가 감지한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면, 중간전사체(140)에 전사된 제 1 내지 제 4 ACR패턴 각각의 전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ACR패턴의 형성 상태를 감지한 결과 전사위치에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내지 제 4 노광기의 노광 개시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자동 컬러 정렬은 광센서가 감지하는 광량의 변화를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광센서의 광 수신률이 높을수록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인쇄과정을 반복하면, 광센서의 수광부가 토너, 먼지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질(M)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오염물질(M)은 광센서가 광을 수신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광센서의 광 수신률을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광센서는 컬러 ACR패턴 형성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광센서의 오염여부를 결정하고, 결정에 대응하여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광유닛(110); 현상유닛(120); 감광유닛(130); 중간전사체(140); 구동유닛(150); 제어부(160); 표시유닛(170); 입력부; 광센서; 및 클리닝유닛(300); 을 포함할 수 있다.
노광유닛(110), 현상유닛(120), 중간전사체(140), 및 구동유닛(150)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입력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80)는 전원 온/오프, 용지 꺼냄, 또는 시험 인쇄 등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80)는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후술할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광센서(200)는 광을 조사하여 중간전사체(140)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센서(200)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중간전사체(140)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는 감광유닛(130)으로부터 화상이 전사되기 이전의 중간전사체(140) 또는 감광유닛(130)으로부터 화상이 전사되지 않은 중간전사체(140)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는 공급받는 전류에 따라 조사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류는 PWM Duty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광부는 조사한 광이 중간전사체(140)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광은 전류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수신된 광량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광량을 기초로 광센서(200)의 클리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이하이면, 광센서(200)를 클리닝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수신광량이란 클리닝이 요구되는 오염된 수광부를 통해 광을 수신했을 때의 최대 광량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수신광량은 사용자의 입력, 화상형성장치 내부 연산,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적 설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광센서(200)가 클리닝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광센서(200)를 클리닝하도록 클리닝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클리닝유닛(30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유닛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클리닝유닛(300)은 광센서(200)를 클리닝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리닝유닛(300)은 광센서(2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진행 또는 차단시키는 셔터(310); 및 광센서(200)와 접촉 가능하도록 셔터의 일면에 마련되는 클리너(320); 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너(320)는 광센서(200)의 수광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리너(320)는 수광부의 오염물질(M)을 마찰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클리너(320)는 직물로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리너(320)는 융으로 구현될 수 있다. 클리너(320)가 직물로 마련되면, 광센서(200)의 손상없이 오염물질(M)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클리너(320)가 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는, 솔 형태의 클리너(320)를 예시하고 있다. 클리너(320)가 솔 형태로 구현되면, 광센서(200)에 강하게 부착된 오염물질(M)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클리너(320)가 스폰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c는, 클리너(320)가 스폰지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스폰지로 마련되는 클리너(320)는 액상의 오염물질(M)의 제거가 가능할 수 있으며, 광센서(200)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는 클리너(320)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클리너(320)는 광센서(200)의 오염물질(M)을 제거하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클리너(320)는 셔터(310)의 일면에 마련므로, 셔터(310)의 움직임에 따라 광센서(200)의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셔터(310)가 이동하여 광을 차단시킬 때만 클리너(320)를 광센서(20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 셔터(310)는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움직일 수 있다.
도 4a 및 4b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의 클리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염된 광센서(200)를 클리닝 하기 위해, 클리너(320)를 광센서(200)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셔터(310)를 움직여 광센서(200)의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셔터(310)를 일방향으로 진행시켜 클리너(320)를 광센서(20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이란, 광센서(2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차단시키는 광센서(200)의 이동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a에서는 화살표 방향이 셔터(310)의 진행방향이 된다.
클리너(320)가 광센서(200)에 접촉하여 셔터(3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마찰력에 의해 오염물질(M)역시 셔터(31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셔터(310)가 광센서(2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전부 차단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셔터(310)의 이동에 따라, 클리너(320) 역시 광센서(200)의 일단까지 진행하며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염물질(M)은 광센서(200)로부터 제거되도록 모두 분리될 수 있다. 광센서(200)의 클리닝이 완료되면, 광의 수신률이 높아져 컬러 ACR 패턴의 정확한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4a 및 4b와는 달리, 셔터(310)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셔터(310)는 개구부를 통해 광을 진행시킬 수 있고,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광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클리너(320)는 셔터(310)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셔터(310)의 움직임에 따라 광센서(200)를 클리닝할 수 있다.
클리너(320)가 광센서(200)에 접촉할 때부터 일방향으로 진행하여 정지할 때까지를 1회 클리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광센서(200)의 오염정도에 따라 클리닝의 횟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5a 및 5b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통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에서, 광이 조사되는 광센서(200)의 일면을 상면, 상면에 대향하는 면을 하면으로 전제한다.
광센서(200)는 클리닝유닛(300)에 의해 제거되는 오염물질(M)이 수용되는 오염통(40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염통(400)은 클리너(320)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오염통(400)은 클리닝유닛(300)을 향하는 개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클리너(32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오염물질(M)이 개구부를 통해 오염통(400)으로 수용될 수 있다.
오염통(400)은 광센서(20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a 및 5b에서 광센서(200)는 2 개의 오염통(40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오염통(40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5a와 같이, 클리너(320)가 광센서(200)의 일 단에 도달하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했던 오염물질(M)들이 인접한 오염통(400)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b와 같이, 클리너(320)가 광센서(200)의 타 단에 도달하면, 클리너(320)와 함께 타 단으로 이동한 오염물질(M)이 인접한 오염통(400)으로 수용될 수 있다.
광센서(200)가 오염물질(M)을 수용하는 오염통(400)을 구비하면, 광센서(200)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질(M)이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적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염통(400)은 광센서(2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오염통(400)이 광센서(200)로부터 분리가능하면, 오염물질(M)을 화상형성장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광센서(200)가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광센서(200)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미만이면, 광량을 증가시켜 중간전사체(140)로 조사하도록 광센서(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조사광량이란, 광센서(200)에서 조사할 수 있는 최대 광량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조사광량은 사용자의 입력, 화상형성장치 내부 연산,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적 설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200)에서 1Lv의 광을 중간전사체(140)에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신할 때, 제어부(160)는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인지 결정한다.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라면, 제어부(160)는 조사한 광 1Lv이 기준조사광량 미만인지 결정한다. 광센서(200)가 최대로 조사할 수 있는 광이 5Lv인 경우, 제어부(160)는 조사한 광 1Lv이 기준조사광량 5Lv 미만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광센서(200)가 1Lv에서 2Lv의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광센서(200)가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광센서(200)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이상이면, 광센서(200)를 클리닝하도록 클리닝유닛(3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200)에서 5Lv의 광을 중간전사체(140)에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신할 때, 제어부(160)는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인지 결정한다.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라면, 제어부(160)는 조사한 광 5Lv이 기준조사광량 이상인지 결정한다. 광센서(200)가 최대로 조사할 수 있는 광이 5Lv인 경우, 제어부(160)는 조사한 광 5Lv이 기준조사광량 5Lv 이상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광센서(200)를 클리닝하도록 클리닝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센서(200)가 수신한 광량 뿐만 아니라 광센서(200)가 조사한 광량을 고려하여 광센서(200)의 클리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수신한 광량이 적더라도, 조사한 광량을 증가시켜 수신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별도의 클리닝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어부(160)는 광센서(200)가 수신한 광량과 기준수신광량의 차이에 따라 광센서(200)의 클리닝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광센서(200)가 수신한 광량과 기준수신광량의 차이가 클수록 광센서(200)의 클리닝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기준수신광량이란 클리닝이 요구되는 오염된 수광부를 통해 광을 수신했을 때의 최대 광량을 의미하므로,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과 차이가 클 수록 광센서(200)의 오염정도가 크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준수신광량이 100인 경우, 수신한 광량이 90인 경우보다 20인 경우의 오염정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한 광량이 90인 경우에 비해 수신한 광량이 20인 경우 클리닝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준수신광량과 수신한 광량의 차이 값에 비례하여 클리닝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160)는 기준수신광량과 수신한 광량의 차이를 구간별로 나누어 각 구간에 대응되는 횟수만큼 광센서(200)를 클리닝 할 수도 있다.
광센서(200)의 오염정도에 따라 클리닝을 수행하면, 광센서(200)로부터 오염물질(M)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클리닝유닛(300)이 광센서(200)를 클리닝 한 후, 다시 광을 조사하여 중간전사체(140)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도록 광센서(200)를 제어할 수 있다.
클리닝이 수행된 후에도 광센서(200)에 잔여 오염물질(M)이 존재할 경우가 있으므로, 광센서(200)가 다시 광을 조사하고 중간전사체(140)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함으로써, 제어부(160)는 광센서(200)의 오염여부를 재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60)는 광센서(200)가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광센서(200)의 광 조사 횟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횟수 이상이면 외부에 화상형성장치의 고장을 표시하도록 표시유닛(17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임계횟수란, 광센서(200)의 동작 이상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광 조사 횟수의 최소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임계횟수는 사용자의 입력, 화상형성장치 내부 연산,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적 설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횟수가 3인 경우, 광을 조사하여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 이하인 경우가 3회 발생하였다면, 표시유닛(170)은 외부에 화상형성장치의 고장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유닛(170)은 고장을 알리는 미리 정해진 색, 음영, 문자, 도형, 기호, 또는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표시유닛(170)은 고장을 알리는 미리 정해진 소리를 부수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광센서(200)가 수신한 광량이 기준수신광량을 초과하면, 제어부(160)는 광센서(200)가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자동 컬러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간전사체(140)에 컬러 ACR패턴을 전사시킬 수 있다. 중간전사체(140)에 컬러 ACR패턴을 전사시키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컬러 ACR패턴이 전사된 회전하는 중간전사체(140)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광센서(200)를 제어할 수 있다.
광센서(200)가 광량의 변화를 감지한 후, 제어부(160)는 감지된 광량의 변화를 기초로 중간전사체(140)에 전사된 컬러 ACR패턴의 형성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60)는 중간전사체(140)에 전사된 제 1 내지 제 4 ACR패턴 각각의 전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사위치에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제 1 내지 제 4 노광기의 노광 개시 시점을 제어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중간전사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500)
이는 광센서(200)의 발광부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광센서(200)의 발광부는 입력 전류에 대응하는 양의 광을 발생시켜 중간전사체(140)에 조사할 수 있다.
조사된 광에 대응하여,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 Q를 수신할 수 있다.(510) 여기서, Q는 광량을 의미할 수 있다.
중간전사체(140)로부터 반사되는 광 Q는 광센서(200)의 수광부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수광부는 광량 Q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광부가 수신한 광 Q가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 이하인지 판단한다.(520) 여기서 기준수신광량이란 클리닝이 요구되는 오염된 수광부를 통해 광을 수신했을 때의 최대 광량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수신광량은 사용자의 입력, 화상형성장치 내부 연산,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적 설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광 Q가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 을 초과하면, 광센서(200)는 오염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별도의 클리닝 없이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광 Q가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 이하이면, 광센서(200)가 오염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센서를 클리닝할 수 있다.(530) 광센서(200)는 클리닝유닛(300)에 의해 클리닝 될 수 있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광센서의 발광부를 이용하여 중간전사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600)
조사된 광에 대응하여, 광센서(200)의 수광부에서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 Q를 수신할 수 있다.(610) 여기서, Q는 광량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광부가 수신한 광 Q가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 이하인지 판단한다.(620) 만약, 광 Q가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을 초과하면, 광센서(200)는 오염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별도의 클리닝 없이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광 Q가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 이하이면, 광센서(200)가 오염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리닝유닛을 이용하여 광센서를 클리닝 할 수 있다.(630)
광센서(200)를 클리닝 한 후, 다시 광센서(200)를 이용하여 광센서(200)의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다시 광을 조사(600)하고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된 광 Q를 수신(610)한 후, 이를 기준수신광량 Qr 과 비교(620)할 수 있다.
그 결과, 광 Q가 기준수신광량 Qr 을 초과하면, 광센서(200)는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광 Q 가 기준수신광량 Qr 이하라면, 다시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630)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광센서(200)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면 반복하여 클리닝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광센서(200)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횟수 이상이라면, 클리닝을 중단하고 외부에 화상형성장치의 고장을 알릴 수도 있다.
 
도 8은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n의 초기값은 1로 설정한다.(700)
다음으로, 광센서(200)의 발광부를 이용하여 n Lv의 광을 중간전사체에 조사할 수 있다.(710) 여기서, Lv 이란 조사되는 광량의 정도(Level)를 의미하며, 광센서(200)의 발광부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조사된 광에 대응하여, 광센서의 수광부에서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 Qn을 수신할 수 있다.(720) 여기서, Qn는 광량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광부가 수신한 광 Qn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n 이하인지 판단한다.(730) 만약, 광 Qn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n을 초과하면, 광센서(200)는 오염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별도의 클리닝 없이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광 Qn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n 이하이면, 조사한 광 n Lv 이 기준조사광량 k Lv 이상인지 판단한다. (740)
만약, 발광부에서 조사한 광 n Lv 이 기준조사광량 k Lv 미만이면, n의 값을 1 증가시킨다.(750) 그 후, 1 증가된 n Lv의 광을 다시 조사하여 광센서(200)의 오염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발광부에서 조사한 광 n Lv 이 기준조사광량 k Lv 이상이면, 발광부에서 조사할 수 있는 최대의 광을 조사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광량의 증가 없이, 클리닝유닛(300)을 이용하여 광센서를 클리닝 할 수 있다.(760)
도 8에서 기준수신광량 Qrn 은 n 값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n 값이 증가하여도 기준수신광량이 Qr 로서 항상 일정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광센서의 발광부를 이용하여 중간전사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800)
조사된 광에 대응하여, 광센서의 수신부에서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 Q를 수신할 수 있다.(810)
수광부에서 광 Q를 수신한 후, 수신한 광 Q가 기준수신광량 Qr 이하인지 결정할 수 있다.(820) 만약, 광 Q가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을 초과하면, 광센서(200)는 오염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별도의 클리닝 없이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광 Q가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 이하이면, 광센서(200)가 오염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리닝유닛(300)을 이용하여 광센서(200)를 클리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수신광량 Qr 과 수신한 광 Q의 차이 d 에 대응되는 횟수만큼 반복하여 광센서를 클리닝 할 수 있다.(830)
d가 클수록 광센서(200)의 오염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클리닝 횟수는 증가할 수 있다.
 
도 10은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n의 초기값은 1로 설정한다.(900)
다음으로, 광센서(200)의 발광부를 이용하여 n Lv의 광을 중간전사체에 조사할 수 있다.(910)
조사된 광에 대응하여, 광센서의 수광부에서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 Qn을 수신할 수 있다. (920)
다음으로, 수광부가 수신한 광 Qn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n 이하인지 판단한다.(930) 만약, 광 Qn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n을 초과하면, 광센서(200)는 오염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별도의 클리닝 없이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광 Qn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Qrn 이하이면, 조사한 광 n Lv 이 기준조사광량 k Lv 이상인지 판단한다. (940)
만약, 발광부에서 조사한 광 n Lv 이 기준조사광량 k Lv 미만이면, n의 값을 1 증가시킨다.(950) 그 후, 1 증가된 n Lv의 광을 다시 조사하여 광센서(200)의 오염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발광부에서 조사한 광 n Lv 이 기준조사광량 k Lv 이상이면, 발광부에서 조사할 수 있는 최대의 광을 조사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광량의 증가 없이, 클리닝유닛(300)을 이용하여 광센서(200)를 클리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수신광량 Qrn 과 수신한 광 Q의 차이 d 에 대응되는 횟수만큼 반복하여 광센서를 클리닝 할 수 있다.(960)
d가 클수록 광센서(200)의 오염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클리닝 횟수는 증가할 수 있다.
도 10에서 기준수신광량 Qrn 은 n 값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n 값이 증가하여도 기준수신광량이 Qr 로서 항상 일정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110: 노광유닛
120: 현상유닛
130: 감광유닛
140: 중간전사체
150: 구동부
160: 제어부
170: 표시유닛
180: 입력부
200: 광센서
300: 클리닝유닛

Claims (22)

  1. 서로 다른 컬러의 화상이 중첩되어 전사되는 중간전사체;
    광을 조사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 및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이하이면,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도록 상기 클리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상기 광센서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미만이면, 상기 광량을 증가시켜 상기 중간전사체로 조사하도록 상기 광센서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상기 광센서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이상이면,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도록 상기 클리닝유닛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과 상기 기준수신광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과 상기 기준수신광량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증가시키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리닝유닛이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 한 후, 다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도록 상기 광센서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상기 광센서의 광 조사 횟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횟수 이상이면 외부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장을 표시하는 표시유닛; 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을 초과하면,
    상기 중간전사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광센서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광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중간전사체의 서로 다른 컬러 화상의 전사위치를 확인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광센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진행 또는 차단시키는 셔터; 및
    상기 광센서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셔터의 일면에 마련되는 클리너;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셔터가 광을 진행시킬 때, 상기 광센서와 이격되고,
    상기 셔터가 광을 차단시킬 때, 상기 광센서와 접촉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클리닝유닛에 의해 제거되는 오염물질이 수용되는 오염통; 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통은,
    상기 클리닝유닛을 향하는 개구부;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광센서를 이용하여 중간전사체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고;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수신광량 이하이면,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 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은,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상기 광센서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미만이면, 상기 광량을 증가시켜 상기 중간전사체로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은,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상기 광센서에서 조사한 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조사광량 이상이면,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것은,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과 상기 기준수신광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과 상기 기준수신광량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광센서의 클리닝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 한 후, 광을 다시 조사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 이하일 때, 상기 광센서의 광 조사 횟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횟수 이상이면 외부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장을 알리는 것;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가 수신한 광량이 상기 기준수신광량을 초과하면, 상기 중간전사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중간전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광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중간전사체의 서로 다른 컬러 화상의 전사위치를 확인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094221A 2014-07-24 2014-07-2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2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221A KR20160012594A (ko) 2014-07-24 2014-07-2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788,979 US9594339B2 (en) 2014-07-24 2015-07-01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hotosensor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hotosensor cleaner
EP15176215.0A EP2977819A1 (en) 2014-07-24 2015-07-10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221A KR20160012594A (ko) 2014-07-24 2014-07-2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594A true KR20160012594A (ko) 2016-02-03

Family

ID=5380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221A KR20160012594A (ko) 2014-07-24 2014-07-2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94339B2 (ko)
EP (1) EP2977819A1 (ko)
KR (1) KR201600125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7882A1 (en) * 2022-05-11 2023-11-16 Vmi Holland B.V. Sensor system, assembl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events in an automatic dispensing process of discrete medica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5001B2 (ja) * 2015-06-02 2019-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7481892B2 (ja) 2020-04-30 2024-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7293A (en) * 1988-08-03 1992-03-17 Fujitsu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oner density of an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employing toner
JPH02230173A (ja) 1989-03-02 1990-09-12 Ricoh Co Ltd トナー濃度制御装置
JP4116475B2 (ja) 2003-03-06 2008-07-09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装置と感光体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2005091912A (ja) 2003-09-18 2005-04-07 Ricoh Co Ltd 光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95071B1 (ko) 2005-06-29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 방법 및 보정 장치
JP4775117B2 (ja) 2006-05-31 2011-09-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41158B2 (ja) * 2007-07-10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7882A1 (en) * 2022-05-11 2023-11-16 Vmi Holland B.V. Sensor system, assembl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events in an automatic dispensing process of discrete medicaments
NL2031831B1 (en) * 2022-05-11 2023-11-17 Vmi Holland Bv Sensor system, assembl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events in an automatic dispensing process of discrete medica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7819A1 (en) 2016-01-27
US20160026145A1 (en) 2016-01-28
US9594339B2 (en)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77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termination of amount of waste toner
US20060115303A1 (en) Color registration sens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2018017898A (ja) 画像形成装置
US81078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developer from development device
KR10170364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2938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jam treatment method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60012594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24060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723285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3510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6604837B2 (ja) 画像形成装置
JP4558048B2 (ja) 転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32419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20150212465A1 (en) Fixing apparatus and image-forming apparatus
JP20200606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490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271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01192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044307A (ja) 画像形成装置
CN111522211B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KR101642723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200930086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0833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472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9316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