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404A -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404A
KR20160012404A KR1020140093770A KR20140093770A KR20160012404A KR 20160012404 A KR20160012404 A KR 20160012404A KR 1020140093770 A KR1020140093770 A KR 1020140093770A KR 20140093770 A KR20140093770 A KR 20140093770A KR 20160012404 A KR20160012404 A KR 20160012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denser
air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1158B1 (en
Inventor
이상민
안용남
이해준
최준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158B1/en
Priority to DE112015000465.3T priority patent/DE112015000465B4/en
Priority to PCT/KR2015/007622 priority patent/WO2016013869A1/en
Priority to US15/039,600 priority patent/US10449832B2/en
Priority to CN201580017958.4A priority patent/CN106132739B/en
Publication of KR2016001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4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1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4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mpressor; an integrated condenser where a water cooled area and an air cooled area are formed to be integrated;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wherein the integrated condenser is formed on a plate in a width direction to form the water cooled area and the air cooled area, thereby reducing the package of the condenser and simplifying assembling and manufacturing processes as a conventional air cooled condenser and a conventional water cooled condenser can be integrated through a brazing work.

Description

차량용 에어컨시스템{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0001]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압축기와,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응축기와,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일체형 응축기가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너비방향으로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공냉 응축기와 수냉 응축기가 한 번의 브레이징 결합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패키지가 축소되고, 조립 및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air condition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ular air conditioner system including a compressor, an integral condenser in which a water-cooled region and an air-cooled region are integrally formed,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Cooled condenser and a water-cooled condenser can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a single brazing connection,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package and simplifying the assembling and manufacturing processes.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에서는, 액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In a refrigeration cycle of a gener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an actual cooling function is generated by an evaporator in which a liquid heat exchange medium absorbs heat of vaporization heat in the vicinity and is vaporized. Wherein the gaseous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into the compressor from the evaporator is compressed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and the liquefied heat is discharged to the periphery in the process of liquefaction while the compressed gaseous heat exchange medium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The medium again passes through the expansion valve to become a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humidified vapor state, and then flows into the evaporator again to be vaporized to form a cycle.

즉, 응축기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며, 상기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매체로서 공기를 이용하는 공냉, 액체를 이용하는 수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condenser is formed by cooling air using air as a heat exchange medium for cooling the refrigerant, and water-cooling using liquid as the heat exchanging medium for cooling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fter the refrigerant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ows into the condenser, .

상기 공냉 응축기(Condenser)는 차량 전면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 되는 구성으로서, 공기와 원활한 열교환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범퍼빔이 형성되는 차량 전측에 고정된다. The air-cooled condenser is configured to be heat-exchanged with air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in the front face of the vehicle, and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bumper beam is formed for smooth heat exchange with the ai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냉 응축기(10)는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적층된 판형 열교환기가 이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water-cooled condenser 10 may be a plate-type heat exchanger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20 are laminated.

상기 수냉 응축기는 복수개의 플레이트(20)가 적층되어 제1열교환매체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유동되는 제1유동부(21) 및 제2유동부(22)가 형성되고,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배출되는 제1입구파이프(31) 및 제1출구파이프(32), 제2열교환매체가 유입/배출되는 제2입구파이프(41) 및 제2출구파이프(42), 상기 제1열교환매체를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로 분리하는 기액분리기(50), 상기 제1유동부(21)의 응축영역과 상기 기액분리기(50)를 연결하는 제1연결파이프(51) 및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제1유동부(21)의 과냉 영역을 연결하는 제2연결파이프(5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water-cooled condenser includes a first fluid passage (21) and a second fluid passage (22)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20) are laminated and through which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medium respectively flow, A second inlet pipe 41 and a second outlet pipe 42 through which the second heat exchange medium is introduced / discharged, a first outlet pipe 31 and a first outlet pipe 32, A first connection pipe 51 connecting the condensation region of the first fluid portion 21 and the gas-liquid separator 50, and a gas-liquid separator 50 separating the gas-liquid separator 50 and the gas-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52) connecting the subcooling region of the first fluid section (21).

상기 수냉 응축기(10)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31)를 통해 유입된 제1열교환매체가 상기 제1유동부(21)의 응축영역을 유동하고, 상기 제1연결파이프(51)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50)로 이동하며, 다시 상기 제2연결파이프(52) 통해 상기 제1유동부의(21) 과냉 영역을 유동한 후, 상기 제1출구파이프(32)를 통해 배출된다.The water-cooled condenser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through the first inlet pipe 31 flows in the condensing reg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21 and flow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ipe 51 Liquid separator 50 and again flows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pipe 52 in the subcooled reg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21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pipe 32. [

이 때, 상기 제2열교환매체는 상기 제2입구파이프(4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유동부(21)와 교번되어 형성되는 제2유동부(22)에 유동되며, 상기 제1열교환매체를 냉각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heat exchange medium flows through the second inlet pipe (41) and flows into the second flow section (22) formed alternately with the first flow section (2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medium .

한편,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응축기는, 열교환효율을 높이기 위해 공냉 응축기와 수냉 응축기가 모두 사용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a condenser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both a air-cooled condenser and a water-cooled condenser are used in order to increase heat exchange efficienc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냉 응축기(11)와 공냉 응축기(12)가 모두 사용되는 경우, 차량용 냉동사이클은 서로 다른 타입의 열교환기들을 연결하기 위해 배관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배관을 추가 구성하고 조립해야 하므로 생산 원가 상승을 초래하기도 한다.2, when both the water-cooled condenser 11 and the air-cooled condenser 12 are used, the vehicle refrigeration cycle is complicated in piping construction for connecting different types of heat exchanger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d assemble it, which may lead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또한, 배관 레이아웃이 길어지고 복잡하게 되면, 냉매가 이동하면서 압력강하에 불리한 측으로 작용하여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성능 및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Also, if the piping layout becomes long and complicated, the refrigerant moves and acts on the side which is detrimental to the pressure drop, thereby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로, 일본공개특허 제2008-180485호(공개일 2008.08.07, 명칭 : 열교환기)에는 서브라디에이터로부터 냉각된 냉각수가 수냉 응축기로 보내어져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와 열교환한 후, 이는 냉매는 다시 공냉 응축기로 보내어지는 시스템에서, 서브라디에이터와 수냉 응축기와 공냉 응축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서브 라디에이터의 탱크와 수냉 및 공냉 응축기의 헤더가 다르고 조립성이나 접합부의 용접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개선하기엔 한계가 있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8-180485 (published on Aug. 8, 2008, entitled: Heat Exchanger) discloses that cooling water cooled from a sub-radiator is sent to a water-cooled condenser and heat exchanged with high- This is because the sub-radiator, the water-cooled condenser and the air-cooled condenser are integrally formed in a system in which the refrigerant is sent back to the air-cooled condenser. However, the header of the sub-radiator and the header of the wa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all of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일본공개특허 제2008-180485호(공개일 2008.08.07, 명칭 : 열교환기)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80485 (published on August, 2008, entitled: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응축기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일체형 응축기가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공냉 응축기와 수냉 응축기가 한 번의 브레이징 결합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패키지가 축소되고, 조립 및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condenser in which a water-cooled region and an air-cooled region are integrally formed, wherein the integrated condenser has a water- Cooled condenser and a water-cooled condenser can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a single brazing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package and simplifying the assembl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C); 상기 압축기(C)에서 압축되어 배출된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 시켜 응축시키는 수냉 영역과, 공기와 열교환 시켜 응축시키는 공냉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너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체형 응축기(100);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에서 응축되어 배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T); 및 상기 팽창밸브(T)에서 팽창되어 배출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E); 를 각각 냉매파이프(P)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pressor (C)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 water-cooling area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C)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and an air-cooling area for condensing the heat by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water-cooling area and the air- An integral condenser 100; An expansion valve (T)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and discharged in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an evaporator (E)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expanded and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valve (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P).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되,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integrated condenser 100 may be formed in a plate type, and a water-cooling region and an air-cooling region may be formed on one plate.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기액분리부(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gas-liquid separator 140 on one plate.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제1상부 플레이트(201) 및 제1하부 플레이트(202)가 한 쌍을 이루어 적층되어 형성되며, 너비방향으로 영역이 분리되어 수냉 영역을 이루는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와 공냉 영역을 이루는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냉매 플레이트(200);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이루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와 교대로 적층되어 수냉 영역을 이루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플레이트(300);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이루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공기와 열교환 하는 방열핀(400);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모두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is formed by stacking a first upper plate 201 and a first lower plate 202 in a pair and is divided into regions in a width direction to form a refrigerant flow channel for a water- A refrigerant plate (200) in which a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a air - cooling condenser constituting an air - cooling region is formed; A cooling water plate (300) which is alternately stacked with the refrigerant plate (200)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and forms a water-cooling region, and cooling water flows therein; A radiating fin 400 inter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lates 200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air; And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공기의 송풍방향으로 전면에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in the air blowing direction and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가 형성되는 영역에 냉매가 유입되는 제1냉매유입구(211) 및 냉매가 배출되는 제1냉매배출구(212);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2냉매유입구(221) 및 배출되는 제2냉매배출구(222);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유입구(311) 및 배출되는 냉각수배출구(312);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frigerant inlet 21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formed, and a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and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are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and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 A cooling water inlet 311 formed in the cooling water plate 300 to receive cooling water and a cooling water outlet 312 discharg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기액분리부(14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일측 단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타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is formed, and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disposed in the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 Is formed at one end located at the side where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port (212) is formed, or is formed at the other end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port (22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기액 분리된 다음,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disposed at one side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140,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 Liquid separator 140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40 flows into the refrigerant passage for the air-cooled condenser,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응축 영역(A1)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부(140)로 유입된 다음,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과냉 영역(A2)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integrated condenser 100,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140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port 22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flows into the gas-liquid separator 140 through the condensation region A1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4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bcooled region A2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거쳐 상기 기액분리부(140)로 유입된 다음,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integrated condenser 100,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 Liquid separator 140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and then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4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송풍되는 공기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안내되어 유동되도록 공기의 송풍방향으로 전면에 위치한 면이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전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공기안내부(3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plate 300 includes an air guide part 32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guided to flow from the center to the edge, .

또한,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제2상부 플레이트(301) 및 제2하부 플레이트(302)가 한 쌍을 이루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plate 300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air of the second upper plate 301 and the second lower plate 302.

또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및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1냉매유입구(211) 및 제1냉매배출구(212)와 연통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접합부(251)가 형성되는 제1연통홀(231) 및 제2연통홀(232); 적층 방향으로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로 냉매가 유동되는 냉각수유입구(311) 및 냉각수배출구(312)가 서로 연통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접합부(252)가 형성되는 제3연통홀(233) 및 제4연통홀(234);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plate 200 and the cooling water plate 300 ar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refrigerant inlet 211 and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in the stacking direction so that the refrigerant in the refrigerant passage 110 for the water- A first communication hole 231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232 in which a first joint portion 251 is formed to be hollow and flows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A cooling water inlet 311 and a cooling water outlet 31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cooling water plate 300 in the stacking direction are hollow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joint portion A third communication hole 233 and a fourth communication hole 234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52 is form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2냉매유입구(221) 및 제2냉매배출구(222)와 연통되어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접합부(253)가 형성되는 제5 및 제6연통홀(235, 236);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plate 200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port 221 and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port 222 in the stacking direction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frigerant channel portion 120 for the air-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holes (235, 236) in which a third joint portion (253) with a periphery protruding outward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is form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된 측의 일측 또는 타측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접합부(254)가 형성되는 제7연통홀(237)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nt plate 200 is hollow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ide where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and the periphery thereof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A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in which the bonding portion 254 is formed may be further formed.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제4접합부(254)에 의해 다수개 적층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제7연통홀(237)이 연통되어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which is stacked by the fourth joint portion 254 is communicated with the one end of the integral condenser 100 to form the gas- have.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영역 중 상기 제3접합부(253)에 의해 다수개 적층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상기 제5연통부 및 제6연통부가 각각 서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제5연통유로부(245) 및 제6연통유로부(246)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제5연통유로부(245) 및 제6연통유로부(246)의 일정 영역에 형성된 칸막이부에 의해 제1유동부(260) 및 제2유동부(270)가 높이방향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ifth connecting portion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stacked by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53 among the regions where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 The sixth communication passage portion 245 and the sixth communication passage portion 246 are formed to include the fifth communication passage portion 245 and the sixth communication passage portion 246 formed b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first fluid flow portion 260 and the second fluid flow portion 270 may be formed separately in the height direction by a partition portion form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first fluid flow passage.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상측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유동부(260)로 유입되며, 상기 제1유동부(26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기액분리부(140)를 통과한 다음,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하측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2유동부(270)로 유입되어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integrated condenser 100,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and flows into the upper region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 The refrigerant that has flowed into the first fluid flow unit 260 and flows through the first fluid flow unit 260 passes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ion unit 140 and then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nt flow path unit 120 for the air- The refrigerant can be discharged to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through the second fluid passage 270 formed in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 및 제2냉매유입구(221)가 서로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부(510);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1유동부(26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9)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2연결부(520);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2유동부(27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9)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3연결부(530);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연결부(510, 520, 530)가 외부 배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510 forming a flow path to connect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an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to each other;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located at the uppermost stag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235 or the sixth communication hole 236 and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9 of the first fluid flow portion 260 A second connection portion 520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235 or the sixth communication hole 236 and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9 of the second flow portion 270 A third connecting portion 530; And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portions 510, 520, and 5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xternal pipe.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 및 제2냉매유입구(221)가 서로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부(510);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1유동부(26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7)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2연결부(520);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2유동부(27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7)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3연결부(530);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연결부(510, 520, 530)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510 forming a flow path to connect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an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to each other; A second communicating hole 235 or a sixth communicating hole 236 of the first fluid flow portion 260 and a second communicating hole 236 forming a flow path to be connected to the seventh communicating hole 237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A connection part 520; A third communicating hole 236 or a sixth communicating hole 236 of the second fluid passage 270 and a third communicating hole 236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to be connected to the seventh communicating hole 237, A connection portion 530;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ortions 510, 520, 530 may be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Referring to FIG.

상기 차량용 에어컨시스템(1)은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와 팽창밸브(T)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증발기(E)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호 열교환 시키는 보조열교환기(I)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 is connected between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the expansion valve T and is configured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E And an auxiliary heat exchanger (I).

상기 보조열교환기(I)는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가 형성되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추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heat exchanger I may be further laminated on the uppermost or lowermost end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formed.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측의 전면에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In the integrated condenser 100, a blowing fan may be install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ide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is formed.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은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응축기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기존에 공냉 응축기와 수냉 응축기가 별도로 형성되어 연결되었던 것과 비교하여, 배관 구성이 간단하고, 배관을 추가 구성하여 조립할 필요가 없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tegral condenser in which the water-cooling area and the air-cooling area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piping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piping is simplifi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ir-cooling condenser and the water-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and assemble it,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은 일체형 응축기가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한 번의 브레이징 결합으로 기존의 공냉 응축기 및 수냉 응축기의 일체형 모듈제작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패키지 크기가 축소되고, 조립 및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grated condenser forms a water-cooled region and an air-cooled region on one plat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integrated module of a conventional air- And the assembly and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더욱 상세하게, 상기 일체형 응축기는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와,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가 형성되는 하나의 냉매 플레이트와,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를 이루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냉각수 플레이트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를 이루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방열핀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를 모두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공냉 응축기와 수냉 응축기가 한 번의 브레이징 결합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tegrated condenser includes a refrigerant channel portion for a water-cooled condenser, a single refrigerant plate for forming a refrigerant channel portion for the air-cooled condenser, a cooling water plat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lates forming the refrigerant channel portion for the water- And a radiator fins inter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lates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for the air-cooled condenser, wherein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flows into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for the air-cooled condenser, The condenser can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a single brazing joint.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냉매용 내부 열교환기(IHX)로 사용될 수 있는 보조열교환기가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를 형성하는 냉매플레이트의 하단 또는 상단에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공냉 응축기의 냉매유로부에서 냉매플레이트를 높이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연통유로부 내에 이중관 형태로 관이 삽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세 가지 열교환기를 한 번의 브레이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각각 따로 형성되던 기존 기술에 비해 배관 연결이 간소화되고, 패키지 크기가 크게 축소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which can be used as the internal heat exchanger (IHX) for the refrigerant of the vehicle is formed by being laminated on the lower end or the upper end of the refrigerant plate forming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Since the tubes are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passage portion for flowing the plat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three heat exchangers can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single brazing, so that the piping connection is simplified compared with the existing technology which is formed separately , The package size can be greatly reduced.

아울러, 본 발명은 공냉 응축기, 수냉 응축기 및 보조열교환기 역할을 하는 영역 사이에 유동되는 냉매 유로를 별도의 배관 연결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지만, 플레이트 내부 유로를 통해 형성할 수도 있어 냉매 유동간 압력강하가 감소하게 되고, 불필요한 압력강하를 감소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refrigerant flow path that flows between the regions serving as the air-cooled condenser, the water-cooled condenser, and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through a separate pipe connection, but can also be formed through the plate internal flow path,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unnecessary pressure drop.

또한, 본 발명은 공냉 응축기가 형성되는 영역의 냉매 플레이트 상에 중공된 연통홀을 복수개 적층시켜 서로 연결함으로써,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를 1차적으로 통과한 냉매가 유동되어 기액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기존에 별도로 형성되던 기액분리기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low communication holes are stacked on a refrigerant plate in a region where a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frigerant, which has primarily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for the air- So that the gas-liquid separator, which has been formed separately, can be integrally formed.

또, 본 발명은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가 공기 송풍방향으로 전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를 통과한 공기가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의 냉각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각 성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rigerant flow path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air blowing direc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can be used for cooling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for the water- .

도 1은 종래의 수냉식 응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공냉식 응축기, 수냉식 응축기 및 IHX를 모두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응축기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응축기의 냉매 및 냉각수 유동경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응축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응축기의 제1상부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응축기의 제1하부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응축기의 제2상부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응축기의 제2하부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서 기액분리기가 구성되는 다양한 실시예와 이에 따른 냉매 및 냉각수 유동경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응축기에서 보조열교환기가 구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cooled condenser;
2 is a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both an air-cooled condenser, a water-cooled condenser, and an IHX.
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gral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frigerant flow path and a cooling water flow path of an integrated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an integral conde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first top plate of an integral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first lower plate of an integral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 second top plate of an integral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a second lower plate of an integral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2 and 1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gas-liquid separator is constru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rigerant and cooling water flow paths accordingly. Fig.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auxiliary heat exchanger is constituted in an integral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1)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C)에서 압축되어 배출된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 시켜 응축시키는 수냉 영역, 및 공기와 열교환 시켜 응축시키는 공냉 영역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응축기(100)와,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배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T), 상기 팽창밸브(140)에서 팽창되어 배출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E)를 각각 냉매파이프(P)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refrigerant, a water-cooling area for heat-exchang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C by cooling water, (T)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and discharged in the water-cooled condenser, an evaporator (120)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expanded and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valve (140), and an evaporator 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P).

먼저, 상기 압축기(Compressor)(C)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증발기(150)로부터 토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토출하게 된다.First, the compressor (C) receives power from a power source (engine or motor), sucks and compresses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150, and discharges the gaseous refrigerant in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ate do.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의 수냉 영역에서는 상기 압축기(100)에서 배출되어 유동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 시켜 액상냉매로 응축하여 토출하게 된다.In the water-cooled region of the integral condenser 100, the gaseous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is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to condense and discharge the liquid refrigerant.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의 수냉 영역에서는, 상기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와, 차량 엔진룸 내에 설치된 저온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는 냉각수가 서로 열교환가능하게 구성되어, 냉매와 냉각수가 서로 열교환 되도록 형성된다.In the water-cooling region of the integral condenser 100,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0 and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low-temperature radiator installed in the vehicle engine room are configured to be heat-exchangable with each other, and the refrigerant and the cooling water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의 공냉 영역에서는 수냉 영역을 통과한 냉매와 외부 공기가 상호 열교환 되어 추가적으로 냉매의 응축이 이루어진다.In the air-cooling region of the integral condenser 100,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water-cooling region and the outside air are heat-exchanged with each other to further condense the refrigerant.

상기 팽창밸브(Expansion Valve)는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에서 토출된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로 보내게 된다.The expansion valve rapidly expands the liquid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integral condenser 100 by the throttling action and sends it to the evaporator in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wet state.

상기 증발기(Evaporator)(E)는 상기 팽창밸브(T)에서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공조케이스 내에서 차량 실내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 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The evaporator E evaporates th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throttled in the expansion valve T by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blown into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case to thereby discharge the refrigerant into the room by the heat absorbing action due to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Thereby cooling the air.

계속해서, 상기 증발기(E)에서 증발하여 토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다시 압축기(C)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E) is sucked back into the compressor (C) and recirculates the refrigeration cycle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상기와 같은 냉매순환과정에서, 차량 실내의 냉방은 블로어(미도시)가 송풍하는 공기가 공조케이스 내로 유입되어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증발기(E)의 내부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rocess described above, the air in the vehicle interior flows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through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E and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E, Is cooled by latent heat and is discharged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a cold state.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에서는 아이들(idle)시 또는 외기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저온 라디에이터(LTR)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가 수냉식 응축기로 공급되어 결국 수냉식 응축기를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데,In the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when idle or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rise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in the low temperature radiator (LTR) rises and the cooling water whose temperature rises is supplied to the water-cooled condense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s increased,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컨시스템(1)은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가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냉 영역에 유동되는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공냉 영역에서 냉매를 추가 냉각시켜줌으로써, 냉매의 온도를 더욱 낮춰서 내부열교환기(IHX)인 보조열교환기(I)로 유입시킬 수 있어 냉방성능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압축기(C)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도 낮아지게 되면서 압축기(C)의 토출 냉매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에어컨 시스템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In the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l condenser 100 is formed to include the water-cooled region and the air-cooled region, so that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can be further lowered and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I as the internal heat exchanger IHX to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mpressor C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refrigerant from rising,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20을 참고로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에 포함되는 일체형 응축기(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gral condenser 100 included in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되,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l condenser 100 is formed in a plate type, and a water-cooled region and an air-cooled region are formed on one plate.

더욱 상세하게,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형성하는 플레이트가 하나로 형성되어 다수개 적층됨으로써, 한 번의 브레이징 결합으로 공냉 응축기 및 수냉 응축기의 일체형 모듈제작이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integral condenser 10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forming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and the plates forming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Brazed joints make it possible to manufacture monolithic modules of air-cooled condensers and water-cooled condensers.

또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냉매를 기상냉매 및 액상냉매로 분리하는 기액분리기가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더 형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gas-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refrigerant into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on one plate.

더욱 상세히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크게 냉매 플레이트(200), 냉각수 플레이트(300) 및 방열핀(4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integral condenser 100 includes a refrigerant plate 200, a cooling water plate 300, and a radiating fin 400.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제1상부 플레이트(201) 및 제1하부 플레이트(202)가 한 쌍을 이루어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201) 및 제1하부 플레이트(202)가 적층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이 너비방향으로 영역이 분리되어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와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된다.The refrigerant plate 200 is formed by stacking a pair of a first upper plate 201 and a first lower plate 202. The first upper plate 201 and the first lower plate 202 are stacked,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inner space is separated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ing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이때,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와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는 서로 분리되는 영역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구획부(255)가 형성되어 분리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ing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forming a dividing portion 255 protruding inward in a region where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송풍되는 공기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안내되어 유동되도록 공기의 송풍방향으로 전면에 위치한 면이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전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공기안내부(3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안내부(320)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plate 300 includes an air guide part 32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guided to flow from the center to the edge, And the air guide part 320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이루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와 교번되어 다수 회 적층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형성된다.The cooling water plate 300 is stacked a plurality of times alternately with the refrigerant plate 200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and the cooling water is formed to flow therein.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제2상부 플레이트(301) 및 제2하부 플레이트(302)가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으로 냉각수가 유동될 수도 있다.The cooling water plate 300 has a pair of the second upper plate 301 and the second lower plate 302, and the cooling water may flow into the inner space.

상기 방열핀(400)은 상기 공냉 응축기용냉매유로부(120)를 이루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공기와 열교환 하여 전열면적을 높인다.The radiating fins 400 are inter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lates 200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and exchange heat with air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area.

즉,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가 다수개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냉 응축기용냉매유로부(110)가 형성되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사이에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가 개재되어 적층되고, 상기 공냉 응축기용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사이에 상기 방열핀(400)이 개재되어 형성된다.That is, the integral condenser 10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he refrigerant plates 200, and the coolant plate 300 is disposed between the refrigerant plates 200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10 for the water- And the radiating fins 400 are interposed between the refrigerant plates 200 in which the refrigerant channel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특히,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압축기(C)로부터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상 상태의 냉매가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모두 통과하여 냉각수와 1차적으로 열교환을 마친 다음,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로 유입되어 외부 공기와 2차적으로 열교환을 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integral condenser 100 completes the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primarily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the refrigerant in the gaseous state compressed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from the compressor (C) And then flows into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condenser to perform secondary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가 형성되는 영역에 냉매가 유입되는 제1냉매유입구(211) 및 냉매가 배출되는 제1냉매배출구(212);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2냉매유입구(221) 및 배출되는 제2냉매배출구(222);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유입구(311) 및 배출되는 냉각수배출구(312);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tegral condenser 100 includes a first refrigerant inlet 211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into a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formed, and a second refrigerant inlet 21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 refrigerant outlet 212;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and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are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and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 A cooling water inlet 311 formed in the cooling water plate 300 to receive cooling water and a cooling water outlet 312 discharged;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및 냉각수 플레이트(300)에는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1냉매유입구(211) 및 제1냉매배출구(212)와 연통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접합부(251)가 형성되는 제1연통홀(231) 및 제2연통홀(23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plate 200 and the cooling water plate 300 ar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refrigerant inlet 211 and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in the stacking direction to supply refrigerant to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 A first communication hole 231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232 are formed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51 is formed to be hollow and has a periphery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또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및 냉각수 플레이트(300)에는 적층 방향으로 상기 냉각수유입구(311) 및 냉각수배출구(312)와 연통되어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로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접합부(252)가 형성되는 제3연통홀(233) 및 제4연통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olant plate 200 and the coolant plate 300 are communicated with the coolant inlet 311 and the coolant outlet 312 in the stacking direction so that the coolant flows into the coolant plate 300, A third communication hole 233 and a fourth communication hole 234 may be formed in which the second bonding portion 252 protruding outward of the cooling water plate 300 is formed.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201) 및 제1하부 플레이트(202)가 한 쌍을 이루어 적층되어 형성되고, 이때 한 쌍의 제1상부 플레이트(201) 및 제1하부 플레이트(202)가 조립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냉매가 유동되고, 냉매가 유동되는 공간을 내측, 외부 공간을 외측이라고 한다.Referring to FIGS. 8 to 11, the refrigerant plate 200 is formed by stacking the first upper plate 201 and the first lower plate 202 in a pair, 1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assembling the upper plate 201 and the first lower plate 202. The space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referred to as an inner side and the outer space is referred to as an outer side.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형성하는 영역에 제1연통홀(231), 제2연통홀(232), 제3연통홀(233) 및 제4연통홀(234)이 중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에도 이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1연통홀(231), 제2연통홀(232), 제3연통홀(233) 및 제4연통홀(234)이 중공되어 형성된다.The refrigerant plate 2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hole 231, a second communication hole 232, a third communication hole 233, and a fourth communication hole (not shown) in a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a water- A second communication hole 232, a third communication hole 233 and a fourth communication hole 234 ar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oling water plate 300, Are formed in a hollow shape.

또,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2냉매유입구(221) 및 제2냉매배출구(222)와 연통되어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접합부(253)가 형성되는 제5 및 제6연통홀(235, 23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refrigerant plate 200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port 221 and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port 222 in the stacking direction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frigerant channel portion 120 for the air- And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holes 235 and 236 in which a third joint portion 253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도 8 내지 도 11은 상기 제1연통홀(231)이 상기 제1냉매유입구(211)와 연결되고, 상기 제2연통홀(232)이 제1냉매배출구(212)와 연결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반대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연통홀(231) 및 제2연통홀(232)의 위치 역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8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1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inlet 21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32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1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32 may be reversed.

또한, 도 8 내지 도 11은 상기 제3연통홀(233)이 냉각수유입구(311)와 연결되고, 상기 제4연통홀(234)이 냉각수배출구(312)와 연결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도시되었으나, 이 역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8 to 11 show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33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inlet 311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 234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outlet 312, This can also be changed.

후술되는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1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201) 및 제1하부 플레이트(202)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상기 제1연통홀(231) 및 제2연통홀(232)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접합부(251)와, 상기 제3연통홀(233) 및 제4연통홀(234)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접합부(252)에 의해, 내부로 냉매만 유동되고, 냉각수는 유동되지 않는다.8 and 9, the refrigerant plate 200, which is formed by stacking a pair of the first upper plate 201 and the first lower plate 202, is form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1, A first connection part 25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2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32 and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5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33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 234 And only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inside by the second joint part 252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and the cooling water does not flow.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301) 및 제2하부 플레이트(302)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1연통홀(231) 및 제2연통홀(232)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접합부(251)와, 상기 제3연통홀(233) 및 제4연통홀(234)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접합부(252)에 의해, 내부로 냉각수만 유동되고, 냉매는 유동되지 않는다.10 and 11, the cooling water plate 300, which is formed by stacking a pair of the second upper plate 301 and the second lower plate 302, is form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32. The first connection part 251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water plate 300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33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 234 And only the cooling water flows into the inside by the second joint portion 252 protruding outward of the cooling water plate 300, and the refrigerant does not flow.

또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된 측에 상기 제5연통홀(235) 및 제6연통홀(236)이 형성되되, 상기 제5 및 제6연통홀(235, 236)의 둘레면을 따라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3접합부(253)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이웃하여 적층되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상기 제5 및 제6연통홀(235, 236)과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제5연통유로부(245), 제6연통유로부(246)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holes 235 and 236 are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is formed, and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holes The third and fourth joint portions 253 protruding outward from the refrigerant plate 200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holes 235 and 236, Six communication holes 235 and 236 and a fifth communication passage portion 245 and a sixth communication passage portion 246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an flow are formed.

이때, 상기 제3접합부(253)는 상기 방열핀(400) 높이의 1/2만큼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301)의 제3접합부(253)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302)의 제3접합부(253)가 서로 접하여 결합될 때, 길이방향으로 그 사이 공간에 상기 방열핀(400)이 개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hird joint part 253 is protruded by 1/2 of the height of the heat radiating fin 400, so that the third joint part 253 of the second upper plate 301 and the second lower plate 302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ating fins 400 are interposed between the third joint portions 25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third joint portions 253 of the heat dissipating fin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기존의 응축기에 구비되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상에 형성되는 제7연통홀(237)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 구성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includes a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and a gas-liquid separator 140 disposed in the conventional condenser to separate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structure and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member.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기액분리부(14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일측 단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타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Liquid separator 140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port 2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port 212 where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port 212 is formed or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port 22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th for the air- And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도 9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된 측의 일측 단부, 도 9를 기준으로 보면 좌측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접합부(254)가 형성되는 상기 제7연통홀(237)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refrigerant plate 200 is hollowed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to one side end of the side on which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And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in which a fourth joint portion 254 is formed, the periphery of which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즉, 상기 제4접합부(254)는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201)에 형성된 상기 제7연통홀(237)의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202)에 형성된 상기 제7연통홀(237)의 둘레면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That is, the fourth joint 254 protrudes upward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formed in the first upper plate 201, and the fourth joint 254 protrudes up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formed in the first upper plate 201, 7 communicating hole 237. In this embodiment,

상기 제4접합부(254)의 높이는 상기 제3접합부(253)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조립을 통해 다수개 적층 형성되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제7연통홀(237)이 연통되도록 하여 냉매가 높이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관형태의 상기 기액분리부(140)를 형성하게 된다.The height of the fourth joint part 254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joint part 253 so that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having a plurality of stacked layers is communicated, Liquid separator 140, which can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formed.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도 6,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액분리부(140)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6, 11, and 12, the position of the gas-liquid separator 140 can be variously changed.

도 6에 도시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응축 영역(A1)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부(140)로 유입된 다음,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과냉 영역(A2)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갖는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shown in FIG. 6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disposed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from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 And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portion 12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flows into the gas-liquid separation portion 140 through the condensation region A1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Thereafter,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percooled region A2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이때, 냉매는 수냉 영역인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 유로부(110)와 공냉 영역인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 유로부(120) 내에서 1 pass로 유동될 수도 있지만, 2 pass 이상의 유동 경로를 통해 유동될 수도 있으며, 이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may flow in one pass in the water-cooling region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n the air-cooling region, Which may be variously modified.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기액 분리된 다음,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 경로를 갖는다.11, the gas-liquid separator 140 separates the refrigerant from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see FIG. 1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 Liquid separator 140.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40 by the gas-liquid separator 140, And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2에 도시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거쳐 상기 기액분리부(140)로 유입된 다음,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경로를 갖는다.12, in the integrated condenser 100,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for the water- Liquid separator 140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and then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이때, 도 6,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에서 수냉 영역, 공냉 영역 및 기액분리부를 모두 거쳐 외부로 배출된 냉매는 후술되는 보조열교환기(I)인 내부열교환기(IHX)로 유입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cooled region, the air-cooled region, and the gas-liquid separator in the integrated condenser 100 shown in FIGS. 6, 11 and 12 is supplied to the internal heat exchanger IHX ). ≪ / RTI >

한편,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도 6과 같이 상기 수냉 응축기용냉매유로부(110)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냉매가 이동 가능한 제1연결부(510)와, 상기 제1유동부(260)와 상기 기액분리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520)와, 상기 기액분리부(140)와 상기 제2유동부(270)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5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6, the integral condenser 1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510 formed between the refrigerant flow path part 110 for the water-cooling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flow path part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and capable of moving the refrigerant, A second connection part 520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fluid flow part 260 and the gas-liquid separation part 14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520 connecting the gas fluid separation part 140 and the second fluid flow part 270, 530 < / RTI >

상기 제1 내지 제3연결부(510, 520, 530)는 외부 배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연결부(510)는 외부 배관을 통해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 및 제2냉매유입구(221)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520)는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1유동부(26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7)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3연결부(530)는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2유동부(27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7)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third connection portions 510, 520, and 5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xternal pipe,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1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an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The second connection part 52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235 or the sixth communication hole 221 of the first fluid flow part 260 at the uppermost refrigerant plate 20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53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frigerant pipe 20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and the fifth communication part 270 of the second fluid part 270, A channel may be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ole 235 or the sixth communication hole 236 and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제1 내지 제3연결부(510, 520, 530)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연결부(510)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 및 제2냉매유입구(221)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520)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1유동부(26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7)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3연결부(530)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2유동부(27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7)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ntegral condenser 100 may include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portions 510, 520, and 530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The second connection part 520 is formed in the refrigerant circuit 20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260 of the first fluid flow part 26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530 forms a flow path from the refrigerant plate 200 to the second flow portion 235 or the sixth communication hole 236 and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235 or the sixth communication hole 236 of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70 and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respectively.

이 외에도,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제1연결부(510)는 외부 배관형태로 형성되고, 제2연결부(520) 및 제3연결부(530)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내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3연결부(510, 520, 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외부 배관형태이고, 나머지는 냉매 플레이트(200) 내에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integrated condenser 100, the first connection part 51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xternal pipe, the second connection part 52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530 are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nnection units 510, 520, and 530 may be an external piping system and the rest may be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한편,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내부에 유동되는 냉각수 또는 냉매의 유로를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는데, 도 6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integral condenser 100 can vary various channels of cooling water or refrigerant flowing therei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의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실시예에서의 유로가 도시되어 있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shown in FIG. 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140,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6의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상ㆍ하로 분리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제1유동부(260)가 응축 영역(A1)으로 사용되고, 상부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기액분리부(140)로 이동 후, 액상냉매가 하단에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에 형성되는 제2유동부(270)가 과냉 영역(A2)으로 사용되도록 한다.The integrated condenser 100 shown in FIG. 6 has a first fluid portion 260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which is used as a condensing region A1, Liquid separator 140 and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from the low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140, the second fluid portion 27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is used as the sub-cooled region A2.

이때,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영역 중 상기 제3접합부(253)에 의해 다수개 적층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상기 제5 및 제6연통홀(235, 236)이 각각 서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제5 및 제6연통유로부(245, 246)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5 및 제6연통유로부(245, 246)의 일정 영역에 칸막이부가 형성되어 제1유동부(260) 및 제2유동부(270)가 높이방향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유동부(260)가 상기 제2유동부(27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integral condenser 100 is installed in the fifth and sixth portions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which are stacked by the third joint portion 253 among the regions where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 And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flow path portions 245 and 246 formed by the communication holes 235 and 236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flow path portions 245 and 246, The first fluid unit 260 and the second fluid unit 27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first fluid unit 26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luid unit 270 .

도 6을 참고로 냉매 흐름을 설명하면,Referring to FIG. 6,

먼저, 상기 제1연통홀(231)과 연결된 상기 제1냉매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유동한 다음,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와 연결된 제1연결부(510)를 통해 상기 제5연통홀(235)로 이동되어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제1유동부(260)를 통과하게 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inlet 211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1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 cooling condenser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Is moved to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235) through a first connection part (510)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port (212)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nt passage part (200) (260).

다음, 상기 제1유동부(26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연결부(520)를 통해 기액분리부(140)를 거쳐 상기 제2유동부(270)를 순환한 후, 상기 제5연통홀(235)과 연결된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로 배출된다.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fluid flow portion 260 is circulated through the second fluid flow portion 270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14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20, (222) connected to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35).

이때, 냉각수는 상기 제3연통홀(233)과 연결된 상기 냉각수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다음,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를 통과한 후 상기 제4연통홀(234)과 연결된 상기 냉각수배출구(312)를 통해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cooling water inlet 311 connected to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33, then flows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300 connected to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 234 af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plate 300 312, respectively.

상기 냉각수유입구(311)는 상기 제1냉매유입구(211)와 반대되는 측, 즉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형성하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 영역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상기 냉각수유입구(311)가 형성되면, 길이방향으로 타측에 상기 제1냉매유입구가 형성되어, 냉매와 반대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oling water inlet 311 is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inlet 311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plate region forming the side of the first refrigerant inlet 211,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frigerant inlet po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flow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rigerant.

또한, 냉매 및 냉각수는 유입방향과 배출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며, u-flow 형태로 흐르되, 냉매와 냉각수가 서로 반대방향의 u-flow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igerant and the cooling water are formed so as to flow in a reverse flow direction and reverse flow direction, so that the refrigerant and the cooling water form mutually opposite u-flow.

냉매와 냉각수의 유동 경로는 상기 제1냉매유입구(211), 제1냉매배출구(212), 제2냉매유입구(221), 제2냉매배출구(222), 냉각수유입구(311) 및 냉각수배출구(312)가 형성되는 위치와, 상기 칸막이부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and the cooling water flows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inlet 211,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the cooling water inlet 311 and the cooling water outlet 312 And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partitioning portion can be ch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되는 동안,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공기 송풍방향으로 전면, 즉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된 측 전면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 내에 유동되는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방열핀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수냉 응축기용냉매유로부(110) 사이에 개재된 냉각수 플레이트(300)의 공기안내부(320)를 따라 양측 가장자리로 안내되어 빠져나간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refrigerant is flowing, the integral condenser 100 is cooled by the air blown from the front surface in the air blowing direction, that is, from the side surface on which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adiating fins is guided along the air guide portion 320 of the cooling water plate 300 interposed between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s 110 for the water- Guided to the edge and escapes.

이때,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를 통과한 공기가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의 냉각에 사용될 수 있어, 냉각 성능이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tegral condenser 100 can be used for cooling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so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은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와 팽창밸브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호 열교환 시키는 보조열교환기(I)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13, the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the expansion valve, and includes a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integral condenser 100, a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And an auxiliary heat exchanger (I) for mutual heat exchange.

도 13에는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가 형성되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최하단에 추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보조열교환기(I)가 도시되었으나, 상기 보조열교환기(I)는 최상단에 추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13,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I is further lamin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in which the refrigerant channel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formed, As shown in FIG.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중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00)가 형성되는 영역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추가로 플레이트가 적층되도록 하고,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도록 유로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보조 열교환부(13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기존에 별도 구성으로 형성될 때보다 조립 및 연결구조가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is further stacked on the uppermost or lowermost end of the region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0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formed,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The auxiliary heat exchanging part 130 can be integrally formed simply by connecting the flow path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 Therefore, the assembling and connecting structure is simpler than that when the auxiliary heat exchanging part 130 is formed as a separate structur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의 일체형 응축기(100)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열교환기를 한 번의 브레이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각각 따로 형성되던 기존 기술에 비해 배관 연결이 간소화되고, 패키지 크기가 크게 축소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tegrated condenser 100 of the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t least two or more heat exchangers integrally through a single brazing, thereby simplifying the piping connec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The size can be greatly reduced.

아울러, 본 발명은 공냉 응축기, 수냉 응축기 및 보조열교환기 역할을 하는 영역 사이에 유동되는 냉매 유로를 별도의 배관 연결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지만, 플레이트 내부 유로를 통해 형성할 수도 있어 냉매 유동간 압력강하가 감소하게 되고, 불필요한 압력강하를 감소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refrigerant flow path that flows between the regions serving as the air-cooled condenser, the water-cooled condenser, and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through a separate pipe connection, but can also be formed through the plate internal flow path,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unnecessary pressure drop.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 : 압축기
T : 팽창밸브
E : 증발기
I : 보조열교환기
P : 냉매파이프
A1 : 응축 영역 A2 : 과냉 영역
100 : 일체형 응축기(100)
110 : 수냉 응축기용냉매유로부
120 : 공냉 응축기용냉매유로부
140 : 기액분리부
200 : 냉매 플레이트
201 : 제1상부 플레이트 202 : 제1하부 플레이트
211 : 제1냉매유입구 212 : 제1냉매배출구
221 : 제2냉매유입구 222 : 제2냉매배출구
231~237 : 제1 내지 7연통홀
245~246 : 제5 내지 6연통유로부
251~254 : 제1~4접합부
255 : 구획부
260 : 제1유동부 270 : 제2유동부
300 : 냉각수 플레이트
301 : 제2상부 플레이트 302 : 제2하부 플레이트
311 : 냉각수유입구 312 : 냉각수배출구
320 : 공기안내부
400 : 방열핀
510~530 : 제1~제3연결부
C: Compressor
T: Expansion valve
E: Evaporator
I: auxiliary heat exchanger
P: Refrigerant pipe
A1: condensation region A2: supercooled region
100: Integrated condenser (100)
110: refrigerant flow path for water-cooling condenser
120: Refrigerant passage portion for the air-cooled condenser
140:
200: Refrigerant plate
201: first upper plate 202: first lower plate
211: first refrigerant inlet port 212: first refrigerant outlet port
221: second refrigerant inlet port 222: second refrigerant outlet port
231 to 237: first to seventh communication holes
245 to 246: fifth to sixth flow path portions
251 to 254: first to fourth joints
255:
260: first flow section 270: second flow section
300: cooling water plate
301: second upper plate 302: second lower plate
311: Cooling water inlet 312: Cooling water outlet
320: air guide
400: heat sink fin
510 to 530: first to third connection portions

Claims (23)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C);
상기 압축기(C)에서 압축되어 배출된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 시켜 응축시키는 수냉 영역과, 공기와 열교환 시켜 응축시키는 공냉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너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체형 응축기(100);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에서 응축되어 배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T); 및
상기 팽창밸브(T)에서 팽창되어 배출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E); 를 각각 냉매파이프(P)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A compressor (C)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water-cooling area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C)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and an air-cooling area for condensing the heat by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water-cooling area and the air- An integral condenser 100;
An expansion valve (T)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and discharged in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An evaporator E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expanded and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valve 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되,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수냉 영역 및 공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l condenser (100)
Plate type,
And a water-cooling region and an air-cooling region are formed on one pla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기액분리부(1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a gas-liquid separator (140) is further formed on one pla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제1상부 플레이트(201) 및 제1하부 플레이트(202)가 한 쌍을 이루어 적층되어 형성되며, 너비방향으로 영역이 분리되어 수냉 영역을 이루는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와 공냉 영역을 이루는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냉매 플레이트(200);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이루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와 교대로 적층되어 수냉 영역을 이루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플레이트(300);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이루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사이 공간에 개재되며, 공기와 열교환 하는 방열핀(400);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모두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냉매유로부(12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integral condenser (100)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ing condenser, which is divided into regions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water-cooling region, is formed by stacking a first upper plate 201 and a first lower plate 202 in a pair, A refrigerant plate (200) in which a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 - cooled condenser is formed;
A cooling water plate (300) which is alternately stacked with the refrigerant plate (200)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and forms a water-cooling region, and cooling water flows therein;
A radiating fin 400 inter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lates 200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air; , ≪ / RTI >
And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all of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flows into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공기의 송풍방향으로 전면에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egral condenser (100)
Wherein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in the air blowing direction and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가 형성되는 영역에 냉매가 유입되는 제1냉매유입구(211) 및 냉매가 배출되는 제1냉매배출구(212);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2냉매유입구(221) 및 배출되는 제2냉매배출구(222);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유입구(311) 및 배출되는 냉각수배출구(312);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gral condenser (100)
A first refrigerant inlet 21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a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formed, and a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and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are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and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
A cooling water inlet 311 formed in the cooling water plate 300 to receive cooling water and a cooling water outlet 312 discharged;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부(14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일측 단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as-liquid separator 140 separates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is forme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may be formed at one end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is formed,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at the other end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is discharg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기액 분리된 다음,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gral condenser (100)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formed at one side end of the liquid-cooled condenser-use refrigerant passage 110,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discharged,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subjected to gas-liquid separation in the gas-liquid separator 140,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40) passes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응축 영역(A1)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부(140)로 유입된 다음,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과냉 영역(A2)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gral condenser (100)
Liquid separator 1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from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discharged,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flows into the gas-liquid separator 140 through the condensation region A1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percooled region (A2)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를 거쳐 상기 기액분리부(140)로 유입된 다음,
상기 기액분리부(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gral condenser (100)
Liquid separator 1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flows into the gas-liquid separator 140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송풍되는 공기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안내되어 유동되도록
공기의 송풍방향으로 전면에 위치한 면이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전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공기안내부(3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oling water plate (300)
Allow air to flow from center to edge
And an air guide part (32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part in a plane positioned at the front i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제2상부 플레이트(301) 및 제2하부 플레이트(302)가 한 쌍을 이루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oling water plate (300)
And the second upper plate (301) and the second lower plate (302) are laminated in a pai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및 냉각수 플레이트(300)는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1냉매유입구(211) 및 제1냉매배출구(212)와 연통되어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접합부(251)가 형성되는 제1연통홀(231) 및 제2연통홀(232);
적층 방향으로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로 냉매가 유동되는 냉각수유입구(311) 및 냉각수배출구(312)가 서로 연통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각수 플레이트(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접합부(252)가 형성되는 제3연통홀(233) 및 제4연통홀(234);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frigerant plate (200) and the cooling water plate (300)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refrigerant inlet port 211 and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port 212 in the stacking direction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 A first communication hole 231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232 in which a first bonding portion 251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 cooling water inlet 311 and a cooling water outlet 31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cooling water plate 300 in the stacking direction are hollow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joint portion A third communication hole 233 and a fourth communication hole 234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52 is formed;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2냉매유입구(221) 및 제2냉매배출구(222)와 연통되어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접합부(253)가 형성되는 제5 및 제6연통홀(235, 236);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frigerant plate (200)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1 and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are communica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frigerant passage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holes 235 and 236 in which a third bonding portion 253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nd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air conditioning unit for air conditioning the air conditione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된 측의 일측 또는 타측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며, 그 둘레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접합부(254)가 형성되는 제7연통홀(237)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refrigerant plate (200)
A fourth joint portion 25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where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and the fourth joint portion 254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And a communication hole (237) is further formed in the communication hole (23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제4접합부(254)에 의해 다수개 적층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제7연통홀(237)이 연통되어 상기 기액분리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7)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stacked by the fourth joint part (254) is communicated to form the gas-liquid separation part (14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영역 중 상기 제3접합부(253)에 의해 다수개 적층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상기 제5연통부 및 제6연통부가 각각 서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제5연통유로부(245) 및 제6연통유로부(246)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제5연통유로부(245) 및 제6연통유로부(246)의 일정 영역에 형성된 칸막이부에 의해 제1유동부(260) 및 제2유동부(270)가 높이방향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tegral condenser (100)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ng portions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which are stacked by the third joint portion 253, are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cooling condenser is formed, The fifth communication passage portion 245 and the sixth communication passage portion 246,
The first fluid flow portion 260 and the second fluid flow portion 270 are formed separately in the height direction by a partition portion form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fifth communication flow passage portion 245 and the sixth communication flow passage portion 246 A car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by.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상측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유동부(260)로 유입되며,
상기 제1유동부(26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기액분리부(140)를 통과한 다음,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의 하측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2유동부(270)로 유입되어 상기 제2냉매배출구(222)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integral condenser (100)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and flows into the first flow portion 260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refrigerant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 Lt; / RTI >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low portion 260 passes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140 and then flows into the second flow portion 270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portion 120 for the air- And is discharged to the second refrigerant outlet (2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 및 제2냉매유입구(221)가 서로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부(510);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1유동부(26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9)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2연결부(520);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2유동부(27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9)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3연결부(530);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연결부(510, 520, 530)가 외부 배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integral condenser (100)
A first connection part 510 forming a flow path so that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an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located at the uppermost stag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235 or the sixth communication hole 236 and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9 of the first fluid flow portion 260 A second connection portion 520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235 or the sixth communication hole 236 and the seventh communication hole 239 of the second flow portion 270 A third connecting portion 530;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parts (510, 520, 530) are formed in the form of external piping.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제1냉매배출구(212) 및 제2냉매유입구(221)가 서로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부(510);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1유동부(26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7)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2연결부(520);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에서 상기 제2유동부(270)의 제5연통홀(235) 또는 제6연통홀(236)과, 상기 제7연통홀(237)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3연결부(530);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연결부(510, 520, 530)가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integral condenser (100)
A first connection part 510 forming a flow path so that the first refrigerant outlet 212 and the second refrigerant inlet 2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econd communicating hole 235 or a sixth communicating hole 236 of the first fluid flow portion 260 and a second communicating hole 236 forming a flow path to be connected to the seventh communicating hole 237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A connection part 520;
A third communicating hole 236 or a sixth communicating hole 236 of the second fluid passage 270 and a third communicating hole 236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to be connected to the seventh communicating hole 237, A connection portion 530;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parts (510, 520, 530) are formed in the refrigerant plate (20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은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와 팽창밸브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호 열교환 시키는 보조열교환기(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vehicle air-
A condenser connected between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the expansion valve,
And an auxiliary heat exchanger (I)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교환기(I)는
상기 수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10)가 형성되는 상기 냉매 플레이트(200)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추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I)
Wherein the refrigerant flow path (110) for the water-cooled condenser is further laminated on the uppermost or lowermost end of the refrigerant plate (20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기 공냉 응축기용 냉매유로부(120)가 형성되는 측의 전면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gral condenser (100)
And a blowing fan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ide on which the refrigerant flow path portion (120) for the air-cooled condenser is formed.
KR1020140093770A 2014-07-24 2014-07-24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2131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770A KR102131158B1 (en) 2014-07-24 2014-07-24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DE112015000465.3T DE112015000465B4 (en) 2014-07-24 2015-07-22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PCT/KR2015/007622 WO2016013869A1 (en) 2014-07-24 2015-07-22 Vehicle air conditioner system
US15/039,600 US10449832B2 (en) 2014-07-24 2015-07-22 Vehicle air conditioner system
CN201580017958.4A CN106132739B (en) 2014-07-24 2015-07-22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770A KR102131158B1 (en) 2014-07-24 2014-07-24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404A true KR20160012404A (en) 2016-02-03
KR102131158B1 KR102131158B1 (en) 2020-07-08

Family

ID=5535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770A KR102131158B1 (en) 2014-07-24 2014-07-24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1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659A (en) * 2016-04-01 2017-10-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 module for hybrid vehicle
EP3978156A1 (en) * 2020-10-02 2022-04-06 Michael Rehberg Plate heat exchanger and heating or cool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1197A (en) * 2006-03-31 2007-10-18 Daikin Ind Ltd Absorption type refrigerating device
JP2008180485A (en) 2006-12-27 2008-08-07 Calsonic Kansei Corp Heat exchanger
KR20130064603A (en) * 2011-12-08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dense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1197A (en) * 2006-03-31 2007-10-18 Daikin Ind Ltd Absorption type refrigerating device
JP2008180485A (en) 2006-12-27 2008-08-07 Calsonic Kansei Corp Heat exchanger
KR20130064603A (en) * 2011-12-08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denser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659A (en) * 2016-04-01 2017-10-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 module for hybrid vehicle
EP3978156A1 (en) * 2020-10-02 2022-04-06 Michael Rehberg Plate heat exchanger and heating or coo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158B1 (en)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832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system
US20180073812A1 (en) Condenser for vehicle
JP6010356B2 (en) Vehicle capacitors
JP6041424B2 (en) Vehicle capacitors
KR102477289B1 (en) Water cooled condenser of integrated type
JP6271226B2 (en) Cooling module for vehicle
KR102255799B1 (en) Refrigerant cycl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755456B1 (en) Heat exchanger
KR102518597B1 (en) Cooling module for vehicle
KR20140143650A (en) Cooling module for vehicle
KR102170459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20120062149A (en) Refrigerant cycl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318644B1 (en) Refrigerant cycl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439432B1 (en) Cooling module for hybrid vehicle
KR101353394B1 (en) Integrated heat exchanger, front end module, and heat exchange system
KR20160012404A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1490906B1 (en) Cooling module for vehicle
KR101619187B1 (en) Condenser for vehicle
KR102123858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2173383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2161475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2092568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20160017156A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JP2019190799A (en) Heat exchanger
KR20170031515A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