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318A -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318A
KR20160012318A KR1020140093401A KR20140093401A KR20160012318A KR 20160012318 A KR20160012318 A KR 20160012318A KR 1020140093401 A KR1020140093401 A KR 1020140093401A KR 20140093401 A KR20140093401 A KR 20140093401A KR 20160012318 A KR20160012318 A KR 2016001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n visor
infotainment device
speed
virtual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현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스
Priority to KR102014009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318A/ko
Publication of KR2016001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여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속도 검출 모듈; 및 차량 내에서 운전석의 상부에 설치된 차량용 썬 바이저에 장착되고, 속도 정보와 썬 바이저의 개폐 여부에 따라 구동되며, 차량에 장착된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출력하도록 차량의 운전대에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를 투사하는 가상 키보드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운전대에 투사된 키보드 이미지를 터치하는 방식을 통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인포테인먼트 기기의 화면 구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INPUT DEVICE OF VEHICHLE AND METHOD OF OPERATING INFOTAINMEN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자동차는 단순히 사람이나 짐을 효율적으로 빨리 운반하는 운송 수단에 불과했다. 그러나, 자동차 기술이 점점 발전함에 따라 자동차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그 이용이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는 단순히 운송 수단의 차원을 넘어 하나의 문화 생활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으며, 그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인간 친화적인 첨단 기능을 갖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Infotainment Device)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정보 기술의 발달로 해를 거듭 할수록 그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인포테인먼트 기기는 운전과 길 안내 등 주로 필요한 정보를 일컫는 인포메이션(Information)과 다양한 오락거리와 인간 친화적인 기능을 일컫는 엔터에인먼트(entertainment)를 통합한 기기라 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되는 내비게이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방식은 주로 터치 스크린 방식이 주로 쓰인다. 터치 스크린 방식은 인포테인먼트 기기의 화면에 입력을 위한 자판 이미지가 화면의 1/3 이상을 차지하므로, 검색 결과 등에 대한 화면 구성에 그 한계가 있다. 최근, 이러한 입력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음성 입력 방식 등이 도입되고 있으나, 입력 속도 및 사용자 편의성에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6693호 (2012.02.08) "차량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입력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는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속도 검출 모듈; 및 상기 차량 내에서 운전석의 상부에 설치된 차량용 썬 바이저에 장착되고, 상기 속도 정보와 상기 썬 바이저의 개폐 여부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차량의 운전대에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를 투사하는 가상 키보드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상 키보드 모듈은, 상기 썬 바이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썬 바이저 감지부; 상기 썬 바이저 감지부에서 출력된 상기 개폐 신호와 상기 속도 정보에 의해 온/오프되며, 빔을 발생시켜 상기 차량의 운전대에 상기 키보드 이미지를 투사하는 가상 키보드 투사부; 및 상기 키보드 이미지상에서 운전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키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키 값을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 키보드 투사부는 쿼티(Qwerty) 키보드를 이미지화하여 상기 키보드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키보드 모듈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속도 검출 모듈은 상기 썬 바이져에 장착되고, GPS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도 검출 모듈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주행 속도계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은,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의 상부에 설치된 차량용 썬 바이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썬 바이저가 오픈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가 'O'이면, 상기 차량 내에서 설치된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썬 바이저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전대에 빔을 조사하여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이미지상에서 운전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키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키 값을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가 수신된 키 값에 따라 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다가, 차량용 입력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은,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가 수신된 키값에 따라 구동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가 '0'보다 크면, 상기 키보드 이미지를 강제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대로 조사되는 상기 키보드 이미지는 상기 썬 바이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 이미지는 쿼티(Qwerty) 키보드를 이미지화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에 따르면,
첫째, 운전자가 운전대에 투사된 키보드 이미지를 터치하는 방식을 통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인포테인먼트 기기의 화면 구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둘째, 키보드 이미지를 운전석과 가장 가까운 운전대에 투사하므로,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쿼티 키보드를 이미지화하여 키보드 이미지로 제공하므로,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에 익숙한 운전자가 별도의 조작 방법을 익히지 않고 본 발명의 키보드 이미지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넷째, 차량용 입력장치와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차량 내부의 외관을 깔끔히 하고, 차량용 입력장치와 인포테인먼트 기기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차량이 주정차 상태일 때만 차량용 입력장치를 이용한 인포테인먼트 기기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운전자가 주행 중에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입력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상 키보드 투사부로부터 가상의 키포드 이미지가 운전대에 투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입력장치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입력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상 키보드 투사부로부터 가상의 키포드 이미지가 운전대에 투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차량(10)에 설치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를 조작하도록 차량(10)의 운전석(11) 상부에 설치된 썬 바이저(12)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썬 바이저(12) 미사용시 썬 바이저(12)와 차량(10)의 천장과 맞닿는 내면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썬 바이저(12)를 사용하기 위해 썬 바이저(12)를 젖혔을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된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속도 검출 모듈(110) 및 가상 키보드 모듈(1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속도 검출 모듈(110)은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여 속도 정보를 출력한다. 속도 검출 모듈(110)은 차량(10)의 운전석(11) 상부에 설치된 썬 바이저(12)에 장착되고, GPS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10)의 현재 속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차량(10) 내부에 설치된 주행 속도계와는 별개로 차량(10)의 현재 속도를 계산하는 별도의 속도 검출 모듈(110)을 구비하나, 주행 속도계(Tachometer)가 차량 입력장치(100)의 속도 검출 모듈(1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속도 검출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차량(10)의 속도 정보는 가상 키보드 모듈(120)에 제공된다. 가상 키보드 모듈(120)은 차량(10)의 운전석(11) 상부에 설치된 썬 바이저(12)에 장착되며, 차량(10)에 장착된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를 조작하기 위한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122a)를 차량(10)의 운전대에 투사한다. 가상 키보드 모듈(120)은 썬 바이저 감지부(121),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 및 제어부(1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썬 바이저 감지부(121)는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장착된 썬 바이저(1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개폐 신호를 출력한다.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는 빔을 발생시켜 차량(10)의 운전대(13)에 키보드 이미지(122a)를 투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로부터 투사된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122a)는 운전대(13)의 중앙부(13a)에 투사되며, 운전자는 운전대(13a)에 투사된 키보드 이미지(122a) 상의 키를 터치하여 차량(10)에 장착된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운전석(11)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운전대(13)에 키보드 이미지(122a)를 투사함으로써, 운전자의 인포테인먼트 기기(200)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에서 제공하는 키보드 이미지(122a)로는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쿼티(Qwerty) 키보드를 이미지화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에 익숙한 운전자가 별도의 조작 방법을 익히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입력장치(100)에서 제공된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122a)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는 썬 바이저 감지부(121)로부터 출력된 개폐 신호와 속도 검출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속도 정보에 따라 온/오프된다. 즉,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는 썬 바이저(12)가 열려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속도 검출 모듈(110)에서 감지된 차량(10)의 현재 속도가 '0', 즉, 차량(10)이 주정차 상태일 때만 구동된다. 이에 따라,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3)는 썬 바이저 감지부(121)로부터 출력된 개폐 신호와 속도 검출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속도 정보에 따라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3)는 키보드 이미지(122a) 상에서 운전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키를 감지하고,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키 값을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에 제공한다.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는 가상 키보드 모듈(120)로부터 키 값을 입력받으며, 입력된 키 값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예컨대, 입력된 키 값이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의 화면에 표시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면 해당 메뉴를 실행시키고, 입력된 키 값이 특정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면, 해당 문자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를 조작하기 위한 키보드 이미지(122a)를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의 화면 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별도의 영역인 운전대(13)에 표시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방식보다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의 화면 구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의 활용성을 높이며, 차량용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 GUI)를 개선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 모듈(120)은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4)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부(123)에 의해 생성된 키 값을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차량(10) 내부의 외관을 깔끔히하고,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와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키보드 모듈(120)이 이러한 무선 통신부(124)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가상 키보드 모듈(120)은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를 조작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입력장치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차량(10)의 시동이 켜지면, 부팅 후 대기한다(단계 S110).
이어, 썬 바이저 감지부(121)는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장착된 썬 바이저(12)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개폐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제어부(123)는 썬 바이저 감지부(121)로부터 출력된 개폐 신호가 썬 바이저(12)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면 현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단계 S120에서, 제어부(123)는 썬 바이저 감지부(121)로부터 출력된 개폐 신호가 썬 바이저(12)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면, 속도 검출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차량(10)의 현재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이 현재 주정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30). 즉, 현재 차량(10)이 주정차 상태이면 차량(10)의 현재 속도는 '0'이며, 현재 차량(10)이 주행 상태이면 차량(10)의 현재 속도는 '0' 보다 크다.
단계 S130에서, 제어부(123)는 현재 차량의 속도가 '0'보다 크면, 주행중에는 차량용 입력장치(100)를 이용한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나타내는 안전 운전 메시지를 출력하고(단계 S140), 대기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주행중 운전자의 인포테인먼트 기기(200) 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제어부(123)는 현재 차량의 속도가 '0', 즉, 주정차 상태이면,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를 구동시키고,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는 빔을 발생시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운전대(13)의 중앙부(13a)에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122a)를 투사한다(단계 S150). 여기서, 운전자는 썬 바이저(12)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로부터 투사된 키보드 이미지(122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운전대(13)에 투사된 키보드 이미지(122a) 상에서 사용자, 즉, 운전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키를 감지하고,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키 값을 무선 통신부(124)를 통해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160).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는 수신된 키 값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70). 이와 같이,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차량(10)에 장착된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을 운전자가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에 직접 하지않고 키보드 이미지(122a)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의 화면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입력 모드로 인해 인포테인먼트 기기(200) 화면 구성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썬 바이저 감지부(121)는 썬 바이저(1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단계 S180).
단계 S180에서, 제어부(123)는 썬 바이저 감지부(121)에서 출력된 개폐 신호가 썬 바이저(12)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면,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의 구동을 정지시켜 운전대(13)에 표시된 키보드 이미지(122a)를 종료하고, 대기 모드 상태로 들어간다(단계 S190). 즉, 썬 바이저(12)가 운전자에 의해 닫히면,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운전자가 인포테인먼트 기기(200)의 조작을 완료한 것으로 간주하여 더이상 키보드 이미지(122a)를 운전대(13)에 조사하지 않는다.
단계 S180에서, 제어부(123)는 썬 바이저 감지부(121)에서 출력된 개폐 신호가 썬 바이저(12)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면, 속도 검출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속도 정보를 통해 차량(10)의 현재 속도를 감지한다(단계 S185).
단계 S185에서, 현재 차량(10)의 속도가 '0', 즉, 현재 차량(10)이 주정차 상태이면, 인포테인먼트 기기(200)를 조작하기 위해 키보드 이미지(122a)를 운전대(13)에 투사하고 있는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단계 S150).
단계 S185에서, 현재 차량(10)의 속도가 '0'보다 크면, 현재 차량(10)이 주행 상태이므로, 제어부(123)는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위해 가상 키보드 투사부(122)의 구동을 중지하여 운전대(13)에 투사된 키보드 이미지(122a)를 강제 종료시키고 대기 모드 상태로 들어간다(단계 S190).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차량용 입력장치 110 : 속도 검출 모듈
120 : 가상 키보드 모듈 121 : 썬 바이저 감지부
122 : 가상 키보드 투사부 123 : 제어부
124 : 무선 통신부 200 : 인포테인먼트 기기

Claims (10)

  1.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속도 검출 모듈; 및
    상기 차량 내에서 운전석의 상부에 설치된 차량용 썬 바이저에 장착되고, 상기 속도 정보와 상기 썬 바이저의 개폐 여부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차량의 운전대에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를 투사하는 가상 키보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 모듈은,
    상기 썬 바이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썬 바이저 감지부;
    상기 썬 바이저 감지부에서 출력된 상기 개폐 신호와 상기 속도 정보에 의해 온/오프되며, 빔을 발생시켜 상기 차량의 운전대에 상기 키보드 이미지를 투사하는 가상 키보드 투사부; 및
    상기 키보드 이미지상에서 운전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키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키 값을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 투사부는 쿼티(Qwerty) 키보드를 이미지화하여 상기 키보드 이미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 모듈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검출 모듈은,
    상기 썬 바이져에 장착되고, GPS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검출 모듈은,
    상기 차량에 장착된 주행 속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7.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의 상부에 설치된 차량용 썬 바이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썬 바이저가 오픈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가 'O'이면, 상기 차량 내에서 설치된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썬 바이저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전대에 빔을 조사하여 가상의 키보드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이미지상에서 운전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키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키 값을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가 수신된 키 값에 따라 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포테인먼트 기기가 수신된 키값에 따라 구동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가 '0'보다 크면, 상기 키보드 이미지를 강제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대로 조사되는 상기 키보드 이미지는 상기 썬 바이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이미지는 쿼티(Qwerty) 키보드를 이미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입력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KR1020140093401A 2014-07-23 2014-07-23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KR20160012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401A KR20160012318A (ko) 2014-07-23 2014-07-23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401A KR20160012318A (ko) 2014-07-23 2014-07-23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318A true KR20160012318A (ko) 2016-02-03

Family

ID=5535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401A KR20160012318A (ko) 2014-07-23 2014-07-23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3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6430A (zh) * 2023-05-04 2023-05-3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虚拟按键的显示方法、装置、车辆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93B1 (ko) 2010-01-08 2012-02-22 윤석정 차량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93B1 (ko) 2010-01-08 2012-02-22 윤석정 차량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6430A (zh) * 2023-05-04 2023-05-3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虚拟按键的显示方法、装置、车辆和存储介质
CN116176430B (zh) * 2023-05-04 2023-08-2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虚拟按键的显示方法、装置、车辆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917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37256B1 (en) Controlling a vehicle
CN107107841B (zh) 信息处理装置
KR101910383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97034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console with touch screen
WO2015001875A1 (ja) 情報処理装置
WO2018230527A1 (ja) 運転支援方法、運転支援プログラム及び車両制御装置
KR20160039649A (ko) 자동 조정장치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차량 내의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JPWO2015125243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表示制御方法、視線方向検出システムおよび視線方向検出システム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制御方法
US10209832B2 (en) Detecting user interactions with a computing system of a vehicle
US10019069B2 (en) Vehicular display input apparatus
JP2007302116A (ja) 車両搭載機器の操作装置
WO201912415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及び移動体
JP2014129037A (ja) 車載情報装置、通信端末、警告音出力制御装置、および警告音出力制御方法
US10755674B2 (en) Arrangement, means of locomotion and method for assisting a user in the operation of a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US201402819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guidance of gesture input on a touch pad
CN111231860B (zh) 用于车辆的操作模块、操作方法、操作系统及存储介质
WO2016084360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WO2022142331A1 (zh) 车载显示屏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09051253A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KR20160091767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12318A (ko)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조작 방법
KR20140079025A (ko) 차량 내 다리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WO2018230526A1 (ja) 入力システム、および入力方法
JP6390380B2 (ja) 表示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