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857A -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 Google Patents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857A
KR20160011857A KR1020140093046A KR20140093046A KR20160011857A KR 20160011857 A KR20160011857 A KR 20160011857A KR 1020140093046 A KR1020140093046 A KR 1020140093046A KR 20140093046 A KR20140093046 A KR 20140093046A KR 20160011857 A KR20160011857 A KR 20160011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oor
authentication
uni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243B1 (ko
Inventor
심재철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2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록은,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일측에 배치된 모티스부, 접근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인증수단과 비접촉 통신하여 상기 인증수단으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도어의 실내측을 향하여 초음파를 발신한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서 제1거리 이내에 소정의 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초음파부, 및 상기 사용자정보를 미리저장된 등록자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초음파부에서 상기 제1거리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티스로의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DOORLOCK PREVENTING INDOOR USER FROM UNWANTED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측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도어에 접근하여 도어록이 의도하지 않게 해정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도어록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인증수단과 도어록이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상호 인증을 수행하고 해정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도어록은, 등록실용신안공보 20-236033호(명칭: 도어록 해정장치)를 참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한 도어록에의 사용자 인증방식은, 인증 수단(블루투스 디바이스)을 도어록에 등록하는 단계와, 도어록에서 인증수단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등록하는 단계에서는, 인증 수단과 도어록을 등록 모드로 변경하고, 블루투스 통신에서 지원하는 페어링(pairing)을 통해서 인증수단과 도어록을 상호 등록한다.
인증하는 단계에서는, 도어록에 등록을 마친 인증수단이, 이후 도어록에 접근하여 블루투스 통신 영역에 들어가면, 도어록과 인증수단이 특정의 정보를 송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비접촉 방식의 도어록에서는, 도어의 실내측으로부터의 인증시도인지 도어의 실외측으로부터의 인증시도인지 구분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인증 수단을 구비한 사용자가 실내측에서 도어의 근방으로 접근하게 되면, 사용자가 도어를 해정할 의사가 없더라도 도어록은 인증수단과 상호통신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어떤 침입자가 도어의 외부에서 초인종을 눌러서 실내측의 사용자가 그 사람을 확인하고자 도어로 접근하는 경우에, 실내측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인증수단에 의해 도어가 의도치않게 해정되어버릴 수 있다는 위험한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접촉 인증 방식의 도어록은, 비접촉 방식의 사용자 인증이 실내측의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또는 실외측 사용자에 의해 시도된 것인지를 판단해야할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23603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접촉 방식의 사용자 인증이 실내측의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또는 실외측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도어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에 의한 해정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은,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일측에 배치된 모티스부; 해정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인증수단과 비접촉 통신하여 상기 인증수단으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도어의 실내측을 향하여 초음파를 발신한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서 제1거리 이내에 소정의 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초음파부; 및 상기 사용자정보를 미리 저장된 등록자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초음파부에서 상기 제1거리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티스로의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어 도어의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도어록에 있어서, 해정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도어록의 실내기 일측에 배치된 모티스부; 실외에서 접근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인증수단과 비접촉 통신하여 상기 인증수단으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도어의 실외기에 구성된 통신부; 상기 도어록의 실내기에 구성되어 실내측을 향하여 초음파를 발신한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도어의 실내부에서 제1거리 이내에 소정의 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초음파부; 및 상기 사용자정보를 미리 저장된 등록자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초음파부에서 상기 제1거리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티스로의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초음파부는, 시간차를 두고 적어도 2회 발신 및 수신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된 물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물체가 상기 도어를 향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부는, 제1속성으로 1번째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제1속성과는 다른 제2속성으로 2번째 초음파를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속성 및 상기 제2속성은, 출력 강도, 주파수, 출력 듀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부는, 반복적인 분석에 의해 상기 제1거리에 소정의 물체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까운 제2거리이내에 또다른 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거리 이내에 소정의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부 및 상기 제어부는, 가청 대역 음파, 가시광선 및 비가시광선을 포함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파동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파동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에 의하면, 비접촉 방식의 사용자 인증이 실내측의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또는 실외측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어서, 실내측 사용자가 도어로 접근하여 의도치않게 도어가 해정되어버릴 수 있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에 의해서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실내측 사용자를 확인하는 상세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및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은, 모티스부와, 통신부와, 초음파부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티스부는, 도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도어를 문틀에 대하여 잠금 상태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모티스부는, 도어를 잠금 상태로 하기 위하여 데드볼트 및 액추에이터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모티스부는 액추에이터로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부는, 소정의 인증수단과 비접촉 방식으로 상호 통신을 개통하고 특정의 명령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접촉 통신 방식은 NFC,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RFID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의 통신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복수의 통신 방식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인증수단은, 소정의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도어록의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폰 또는 스마트 카드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는, 소정의 주기마다 특정의 정보를 발신한 후 인증수단으로부터 반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호를 발신한 인증수단과의 상호 통신을 개통한다. 통신이 개통되면, 통신부는, 인증수단에 대해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인증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통신부에서 사용자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방식).
또는, 통신부는, 신호의 수신을 항시 대기하는 상태에서, 인증수단으로부터 발신된 특정의 신호가 감지되면 이어지는 정보의 입력에 대기하고, 인증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인증수단에서 사용자정보를 푸시하는 방식).
초음파부는, 도어의 실내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초음파 발신 수단과 초음파 수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초음파 발신 수단은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실내측을 향하여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신하고, 초음파 수신 수단은 소정의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초음파부는,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물체의 존재여부 및 물체의 이동 상황 등을 판단하고, 관련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때, 초음파부는, 초음파의 발신으로부터 수신까지의 소요시간, 발신한 초음파와 반사되는 초음파의 파장 또는 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도어의 실내측 전방에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부는, 발신하는 초음파의 다양한 속성을 변경함으로써 물체의 존재여부뿐만 아니라, 물체의 크기, 물체까지의 거리,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실내측의 특정 위치에 체류하고 있는지, 도어를 향하여 다가오는 것인지, 도어로부터 멀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주변에 어떤 물체가 고정된 상태로 놓여져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부는, 시간차를 두고 적어도 2회 발신하고 및 수신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즉, 1번째 초음파를 발신한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분석하여 물체의 거리를 판단하고, 이어서 2번째 초음파를 발신한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분석하여 물체의 거리를 판단함으로써, 그 물체가 도어로부터(더욱 정확하게는 초음파부로부터) 멀어지고 있는지 또는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부는, 제1출력으로 1번째 초음파를 발신하여 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이어서 제2출력으로 2번째 초음파를 발신하여 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번째 초음파의 제1출력은 2m까지의 범위 내에서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출력으로 설정될 수 있고, 2번째 초음파의 제2 출력은 1m까지의 범위 내에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출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을 달리하여 초음파를 발신하여 물체를 감지함으로써, 물체의 존재 위치 및 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부는, 복수회의 초음파 발신 및 수신을 통해 특정의 물체가 지속적으로 같은 위치에서 감지되는 것을 식별하면, 그 물체는 해당 위치에 고정된 것으로 판단하고(예를 들면, 벽체 또는 장식물), 그 물체가 고정된 위치이내의 범위에 대해서만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통보할 수 있다.
또는, 고정된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초음파부는 발신 수단 또는 수신수단의 지향하는 방향을 조정하거나, 그 물체가 감지되는 범위를 제외한 범위로 초음파를 발신하여 그 물체가 감지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도어록의 각부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거나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으면, 미리 저장된 등록자정보와 비교하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양 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모티스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사용자인증에 의해 양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티스부를 제어하기에 앞서, 초음파부에 사용자가 실내측에서 감지되는지를 문의한다. 그리고, 초음파부에서 사용자의 감지가 통보되면, 모티스부의 해정 제어를 보류한다. 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도록 한다.
즉, 초음파부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었다는 것은, 사용자가 도어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거나(제1거리 또는 제2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도어를 향하여 접근하고 있는 것(도어의 실외측에 접근한 방문자를 확인하기 위해 도어를 향해 다가오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록을 즉시 해정하지 않고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실내측 사용자에게 해정의 의도가 맞는지 문의하거나 도어록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수단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사용자인증이 성공으로 판정된 경우에, 실내측에 사용자의 존재여부 및/또는 이동 상황을 판단하여 해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에 접근한 사용자에 의해 의도치않게 도어록이 해정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초음파부가 초음파를 발신하고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초음파부가 발신하고 수신하는 것은, 초음파뿐만 아니라, 가청 대역 음파, 가시광선 및 비가시광선(예를 들면, 자외선, 적외선, 레이저 등)을 포함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파동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초음파는 단지 일례일 뿐이며, 물체의 존재 및 거리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어록은, 도어의 실내측에 배치된 실내기와, 도어의 실외측에 배치된 실외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의 실외측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구성인 통신부는 실외기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인에 의해 조작되어가 손상되어서는 안되는 모티스부 및 제어부는 실내기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초음파부는 실내측의 물체를 감지해야하므로 실내기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에 의한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방법의 개요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어록은 대부분의 시간을 모티스부를 잠금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S100). 대기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구성요소에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데, 그 구성요소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정보의 수신에 대기하는 통신부일 수 있다.
대기중인 통신부에 인증수단이 접근하면 양자의 통신이 개통되고, 인증수단으로부터 통신부로 사용자정보가 전송되고, 통신부는 수신한 사용자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통신의 개통과 동시에 웨이크업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송된 사용자정보와 미리 저장된 등록자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인증을 처리한다(S200). 이때, 양 정보(사용자정보 및 등록자정보)가 서로 다르면, 접근한 사용자를 인증실패로 처리하고, 모티스부의 잠금 상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양 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도어록에 접근한 사용가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고(인증성공으로 처리하고), 초음파부에게 실내측에서의 사용자의 존재여부 및 거리에 대한 판단 결과를 문의한다(S300).
이때, 초음파부에서 실내측에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여 제어부에 통보하면, 제어부는 모티스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현재의 잠금 상태를 해정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초음파부에서 실내측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예를 들면, 제1거리 또는 제2거리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확인되었고 이를 제어부에 통보하면, 제어부에서는 금번 사용자인증이 실내측 사용자가 소지한 인증수단에 의한 것으로 간주하고, 모티스부에 대한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한다(S400).
제어부는, 모티스부에 대한 제어를 보류한 후, 실내측 사용자에게, 실외측의 방문자를 확인하거나 도어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3은 초음파부에서 실내측 사용자를 확인하는 상세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초음파부는, 실내측에 사용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S300), 실내측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들어오는 초음파를 수신한 후(S310), 초음파의 발신 시점으로부터 수신 시점까지의 소요시간, 주파수의 변화, 세기의 변화 등을 이용하여 물체의 존재 여부 및 크기, 물체까지의 거리, 물체의 이동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판단한다(S320).
이때, 물체가 소정의 제1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된 물체는 사람(즉, 사용자)이고, 금번의 사용자 인증이 실내측 사용자가 소지한 인증 수단에 의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또한 실내측으로부터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금번의 사용자 인증으로는 도어록을 해정시키지 않도록 한다(S330, S340).
한편, 물체가 제1거리 이내에서 감지되지 않았다면, 금번의 사용자인증은 실외측에 접근한 사용자가 소지한 인증수단에 의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도어록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모티스부에 출력한다(S330, S350, S400).
한편, 단계(S330)는, 물체가 사람인지 고정된 물체인지 판단하는 절차, 물체의 이동 상황 및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절차 등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일측에 배치된 모티스부;
    해정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인증수단과 비접촉 통신하여 상기 인증수단으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도어의 실내측을 향하여 초음파를 발신한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서 제1거리 이내에 소정의 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초음파부; 및
    상기 사용자정보를 미리 저장된 등록자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초음파부에서 상기 제1거리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티스로의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2.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어 도어의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도어록에 있어서,
    해정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도어록의 실내기 일측에 배치된 모티스부;
    실외에서 접근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인증수단과 비접촉 통신하여 상기 인증수단으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도어의 실외기에 구성된 통신부;
    상기 도어록의 실내기에 구성되어 실내측을 향하여 초음파를 발신한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도어의 실내부에서 제1거리 이내에 소정의 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초음파부; 및
    상기 사용자정보를 미리 저장된 등록자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초음파부에서 상기 제1거리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티스로의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는, 시간차를 두고 적어도 2회 발신 및 수신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된 물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물체가 상기 도어를 향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는, 제1속성으로 1번째 초음파를 발신하고, 상기 제1속성과는 다른 제2속성으로 2번째 초음파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속성 및 상기 제2속성은, 출력 강도, 주파수, 출력 듀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는, 반복적인 분석에 의해 상기 제1거리에 소정의 물체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까운 제2거리이내에 또다른 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거리 이내에 소정의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 및 상기 제어부는, 가청 대역 음파, 가시광선 및 비가시광선을 포함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파동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파동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KR1020140093046A 2014-07-23 2014-07-23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KR102127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46A KR102127243B1 (ko) 2014-07-23 2014-07-23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46A KR102127243B1 (ko) 2014-07-23 2014-07-23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857A true KR20160011857A (ko) 2016-02-02
KR102127243B1 KR102127243B1 (ko) 2020-06-26

Family

ID=5535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046A KR102127243B1 (ko) 2014-07-23 2014-07-23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2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033Y1 (ko) 2001-03-23 200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록 해정장치
JP2004192097A (ja) * 2002-12-09 2004-07-08 Sekisui Jushi Co Ltd 移動体検知・報知システム
JP2008138440A (ja) * 2006-12-01 2008-06-19 Toto Ltd 自動ドア開閉装置
KR101080820B1 (ko) * 2009-11-24 2011-11-07 전국일 저장장치를 이용한 보안 디지털 도어록
JP5178584B2 (ja) * 2009-03-02 2013-04-10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建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033Y1 (ko) 2001-03-23 200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록 해정장치
JP2004192097A (ja) * 2002-12-09 2004-07-08 Sekisui Jushi Co Ltd 移動体検知・報知システム
JP2008138440A (ja) * 2006-12-01 2008-06-19 Toto Ltd 自動ドア開閉装置
JP5178584B2 (ja) * 2009-03-02 2013-04-10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建物
KR101080820B1 (ko) * 2009-11-24 2011-11-07 전국일 저장장치를 이용한 보안 디지털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243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4115A1 (en) Access control in location tracking system
US101812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at access point
US20160343185A1 (en)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a door including first and second sensor based lock switching and related methods
JP5436748B2 (ja) 人が出入りできる区域、特に扉によって閉ざされた空間への出入りを規制する方法
EP35030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hotel room
KR102005954B1 (ko)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15003A (ko)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는 영역, 특히, 도어에 의해폐쇄되는 영역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
US20190066413A1 (en) Do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A2956070C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US201901978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hen a mobile device is left in a room
JP2014218792A (ja) 入退室システム
KR101047906B1 (ko)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한 rf 카드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6294117B2 (ja) 電気錠システム
KR20150142956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CN112888118A (zh) 一种照明灯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94291A (ko) Iot 스마트 도어락의 컨트롤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iot 스마트도어락 제어 시스템
JP2008158966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JP2016003539A (ja) 電気錠システム
KR20160011857A (ko) 실내측 사용자에 의한 비접촉 인증을 방지하는 도어록
CN114326431B (zh) 一种智能门的控制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9094727A (ja) 扉制御システム
JP4510474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US20180041870A1 (en) Detection Using NFC Open Circuit
JP2014173324A (ja) 電気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