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729A - 믹서기 - Google Patents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729A
KR20160011729A KR1020140092420A KR20140092420A KR20160011729A KR 20160011729 A KR20160011729 A KR 20160011729A KR 1020140092420 A KR1020140092420 A KR 1020140092420A KR 20140092420 A KR20140092420 A KR 20140092420A KR 20160011729 A KR20160011729 A KR 20160011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lutch
main
shaft
engag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904B1 (ko
Inventor
맹명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월드텍 filed Critical (주)제이월드텍
Priority to KR102014009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9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믹서기는, 분쇄대상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용기를 차폐하고, 블레이드의 회전축 방향으로 가압돌기가 형성된 리드; 및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믹서기{Mixer}
본 발명은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가 개방된 경우뿐만 아니라 용기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더라도 용기를 덮는 리드와 용기의 체결력이 약해지면 커터의 회전이 정지되는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많은 사람이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됨에 따라 믹서기는 손쉽고도 저렴하게 다양한 건강식품을 만들 수 있는 전자제품의 하나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믹서기는 특히, 야채 또는 과일 등을 갈거나 분쇄시켜 즙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정뿐만 아니라 커피숍, 과자점 등의 일반 음식점에도 널리 사용된다.
믹서기의 형태 및 구조는 제조사 혹은 분쇄 대상재료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분쇄하고자 하는 재료를 수용하는 용기에 커터를 위치시켜 믹서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는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통해 커터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면서 분쇄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용기와 커터를 분리할 수 있는 콤팩트한 분리형 타입의 믹서기가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분리형 타입의 커터는 용기를 덮는 리드가 용기와 분리될 경우 커터가 용기 외부로 날아가거나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기와 리드가 분리되면 커터의 회전이 자동으로 정지되는 믹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리드가 분리되기 전이라도 리드와 용기의 결합이 느슨해지면 미리 커터의 회전이 정지되는 믹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믹서기는, 분쇄대상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용기를 차폐하고, 블레이드의 회전축 방향으로 가압돌기가 형성된 리드; 및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클러치를 채용하여 리드의 분리시 커터의 회전이 자동으로 정지된다.
둘째, 리드는 용기에 고정되지만 커터는 회전하지 않는 가체결 상태가 존재하므로, 커터가 관성에 의해 회전하는 중에도 분쇄대상이 용기에서 비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믹서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A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클러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커터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걸림부의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걸림부와 고정돌기의 결합단계를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믹서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믹서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A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클러치(30)의 사시도이다.
도1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믹서기는, 분쇄대상이 수용되는 용기(10); 용기(10) 내부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41);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1); 용기(10)를 차폐하고, 블레이드(41)의 회전축(O-O) 방향으로 가압돌기(21)가 형성된 리드(20); 및 가압돌기(21)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부(1)의 회전력을 블레이드(41)에 전달하는 클러치(30)를 포함한다.
용기(10)는 분쇄대상을 수용한다. 용기(10)는 컵 형상으로 손잡이를 포함한다. 용기(10)는 구동부(1) 및 클러치(30)가 배치된 베이스(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블레이드(41)는 분쇄대상을 파쇄한다. 블레이드(41)는 복수로 배치된다. 블레이드(41)는 용기(10) 내부에서 회전한다.
구동부(1)는 액추에이터이다. 구동부(1)는 모터일 수 있다. 구동부(1)는 전기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한다. 구동부(1)는 클러치(30)와 결합한다. 리드(20)는 용기(10)를 차폐한다. 리드(20)는 가압돌기(21)가 배치된다. 가압돌기(21)는 용기(10)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된다. 클러치(30)는 구동부(1)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클러치(30)는 가압돌기(21)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클러치(30)는, 용기(10)와 리드(20)가 분리되면 복원되어 동력전달을 해제한다. 클러치(30)는 가압돌기(21)와 연결이 해제되면 복원되고, 동력전달을 끊는다. 클러치(30)는 공회전할 수 있다. 리드(20)가 용기(10)에 결합하면 가압돌기(21)가 클러치(30)를 눌러 클러치(30)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리드(20)가 용기(10)에서 탈거되면 클러치(30)는 복원되어 상측으로 이동한다. 클러치(30)는 상측으로 이동하면 동력전달을 해제한다. 따라서, 믹서기의 구동중 사용자가 리드(20)를 용기(10)로부터 탈거하거나, 진동으로 인해 스스로 리드(20)가 탈거되어도 블레이드(41)는 동력을 공급받지 못해 회전을 멈춘다.
클러치(30)는, 구동부(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동디스크(32); 주동디스크(32)와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디스크(33); 및 종동디스크(33)와 연결되고, 회전축(O-O)을 형성하며, 가압돌기(21)와 동축을 형성하는 샤프트(34)를 포함한다. 주동디스크(32)는 구동디스크와 연결된다. 주동디스크(32)는 구동부(1)의 회전축(O-O)과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종동디스크(33)는 주동디스크(32)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종동디스크(33)와 주동디스크(32)는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샤프트(34)는 종동디스크(33)와 연결된다. 샤프트(34)와 종동디스크(33)와 주동디스크(32)는 동축을 형성한다. 샤프트(34)는 가압돌기(21)의 단부와 만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주동디스크(32)와 종동디스크(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동력전달을 위해 돌출된 치합돌기(36)가 형성될 수 있다. 주동디스크(32)와 종동디스크(33)는 서로 치합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치합돌기(36)의 돌출방향은 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믹서기는, 클러치(30)는, 샤프트(34)와 종동디스크(33)에 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5)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5)는 클러치(30)에 복원력을 부여한다. 클러치(3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31)을 형성한다. 탄성부재(35)는 하우징(31) 내부에 배치된다. 탄성부재(35)는 종동디스크(33)와 주동디스크(32)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는, 샤프트(34)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샤프트(34)가 리드(2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탄성부재(35)는 주동디스크(32)와 종동디스크(33) 사이에 배치되어 종동디스크(33)와 주동디스크(32)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주동디스크(32)와 종동디스크(33) 중 어느 하나는, 상호 간에 동축을 형성하며 결합하도록 종동디스크(3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37)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가이드홈(37)과 대응하는 가이드돌기(38)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37)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가이드돌기(38)는 가이드홈(37)과 동일한 경사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돌기(38)는 원추형일 수 있고, 가이드홈(37)은 원추형으로 패인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홈(37)과 가이드돌기(38)의 중심축은 주동디스크(32)와 종동디스크(33)의 회전축(O-O)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믹서기는, 용기(10)는, 샤프트(34)와 동축을 형성하고, 클러치(30)가 삽입되는 중공(11)이 형성된 가이드봉(13)을 포함한다. 가이드봉(13)은 용기(10) 내부에 형성된다. 가이드봉(13)은 중공(11)을 형성한다. 샤프트(34)는 중공(11)에 삽입 배치된다. 샤프트(34)와 가이드봉(13)은 소정간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믹서기는 가이드봉(13)을 감싸고 블레이드(41)가 배치된 외부원통(43); 및 외부원통(43)의 내측에 형성되고 샤프트(34)가 삽입되는 내부원통(42)을 포함하는 커터(40)를 포함한다. 커터(40)는 구동부(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커터(40)는 샤프트(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커터(40)는 외주면에 블레이드(41)가 장착된다. 커터(40)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원통(43)은 내부원통(42)을 수용한다. 내부원통(42)은 용기(10) 내부에서 샤프트(34)와 결합한다. 샤프트(34)는 원기둥이 아닌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부원통(42)은 샤프트(34)와 밀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샤프트(34)는 사각기둥일 수 있고, 내부원통(42)은 사각기둥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샤프트(34)와 형합하는 내주 면을 갖는다.
내부원통(42)은 샤프트(34)가 끼워져 함께 회전한다. 가이드봉(13)의 내측에는 내부원통(42)이 삽입되고, 가이드봉(13)은 외부원통(43)에 삽입된다. 가이드봉(13)은 내부원통(42)과 외부원통(43) 사이에 배치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커터(40)의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가압돌기(21)는, 내부원통(42)에 삽입되어 샤프트(34)에 압력을 가한다. 커터(40)는 가압돌기(21)가 관통하는 개구부(45)가 형성되고, 개구부(45)는 내부원통(42)과 연통한다. 가압돌기(21)는 개구부(45)를 통해 내부원통(42)에 배치된 샤프트(34)와 만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걸림부(23)의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걸림부(23)와 고정돌기(15)의 결합단계를 표현한 것이다.
도5내지 도6을 참조하면, 용기(10)는 외주면에 돌출된 고정돌기(15)가 형성되고, 리드(20)는, 고정돌기(15)와 걸림되어 용기(10)와 고정되는 계단형상의 걸림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5)는 용기(10)에 형성된다. 리드(20)는 고정돌기(15)에 의해 용기(10)와 결합한다.
걸림부(23)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돌기(15)는 리드(20)의 회전시 걸림부(23)와 만난다. 고정돌기(15)가 걸림부(23)와 만나면 고정돌기(15)에 의해 리드(20)는 회전이 불가능하다. 다만, 리드(20)를 용기(10)방향으로 누르면 다음 계단으로 이동할 수 있어 리드(20)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클러치(30)는, 샤프트(34)가 가압돌기(21)를 밀어 걸림부(23)의 상면과 고정돌기(15)의 하면이 서로 맞닿아 고정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5)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5)는 탄성력을 샤프트(34)에 인가한다. 샤프트(34)는 가압돌기(21)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가압돌기(21)와 리드(20)는 일체를 이루므로 리드(20)는 용기(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다만, 고정돌기(15)와 걸림부(23)는 서로 고정되어 있고, 리드(20)가 용기(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수록 고정돌기(15)와 걸림부(23)는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서로 힘을 가하므로 리드(20)는 용기(1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걸림부(23)는, 하측에 형성된 서브걸림턱(25); 및 서브걸림턱(25)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메인걸림턱(24)을 포함하고, 클러치(30)는, 고정돌기(15)가 서브걸림턱(25)과 접할 때는 동력전달을 해제한다. 걸림부(23)는 복수로 형성되어 서브걸림턱(25)과 메인걸림턱(24)을 형성한다. 메인걸림턱(24)은 서브걸림턱(25)보다 상측에 형성된다. 샤프트(34)의 이동 정도에 따라 종동디스크(33)와 주동디스크(32)는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서브걸림턱(25)과 메인걸림턱(24)의 높이 차는 주동디스크(32)와 종동디스크(33)의 결합이 해제되는 최소간격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23)가 메인걸림턱(24)에서 서브걸림턱(25)으로 이동하면 동력전달은 해제되어 커터(40)의 회전은 정지된다. 다만, 서브걸림턱(25)과 고정돌기(15)는 여전히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리드(20)는 용기(10)를 폐쇄한다. 따라서 관성에 의해 커터(40)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분쇄대상은 리드(20)로 인해 용기(10)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다.
걸림부(23)는 리드(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용기(10)의 외 측면을 덮는 지지부(24)를 포함하고, 서브걸림턱(25) 및 메인걸림턱(24)은 지지부(24)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4)는 리드(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지지부(24)는 용기(10)의 측면을 덮는다. 지지부(24)는 용기(10)의 외측면을 덮는다. 걸림부(23)는 지지부(24)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고정돌기(15)는 걸림부(23)와 대응하여 형성된다.
지지부(24)는, 리드(20)를 용기(10)에 결합시 고정돌기(15)를 서브걸림턱(25)으로 유도하는 가이드걸림턱(26)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걸림턱(26)은 지지부(24)에 형성된다. 사용자가 리드(20)를 용기(10)에 씌우면 가이드걸림턱(26)과 고정돌기(15)가 만나 리드(20)는 더 이상 용기(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리드(20)를 회전하면 고정돌기(15)는 서브걸림턱(25)으로 향하고, 곧 메인걸림턱(24)과 부딪히게 된다. 사용자는 다시 리드(20)를 용기(10) 방향으로 누른 후 리드(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높이를 갖는 걸림부(23)에 고정돌기(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메인걸림턱(24)과 고정돌기(15)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접하는 면에 착탈돌기(2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착탈돌기(27)와 대응하는 착탈홈(17)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걸림턱(24)과 고정돌기(15)가 접할 때 종동디스크(33)와 주동디스크(32)는 서로 접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탄성부재(35)로 인해 메인걸림턱(24)과 고정돌기(15)는 서로 결합할 수 있으나, 결합력을 높이고, 절도감을 부여하기 위해 메인걸림턱(24)과 고정돌기(15)에는 착탈돌기(27) 또는 착탈홈(17)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a)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용기(10)에 분쇄대상을 수용하고 리드(20)를 덮는다. 리드(20)의 측면에는 걸림부(2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23)가 용기(10)에 형성된 고정돌기(15)를 향하도록 용기(10)와 결합한다. 리드(20)로 용기(10)를 덮고 회전할 경우 고정돌기(15)는 가이드걸림턱(26)에 걸려 더 이상 리드(20)의 하측 이동은 불가능해 진다. 이때 사용자가 리드(20)를 누르고 있지 않는 한 리드(20)는 용기(10)과 탈거 가능한 상태이므로 이를 탈거상태라 할 수 있다. 탈거상태에서는 커터(40)는 클러치(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지 못하므로 커터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6(b)를 참조하면, 고정돌기(15)는 서브걸림턱(25)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리드(20)를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서브걸림턱(2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진 않는다. 다만, 고정돌기(15)는 메인걸림턱(24)보단 낮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메인걸림턱(24)에 의해 더 이상의 회전은 불가능하다. 이때 고정돌기(15)는 서브걸림턱(25)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서브걸림턱(25)과 고정돌기(15)는 클러치(30)의 탄성력으로 가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가체결상태에서 주동디스크(32)와 종동디스크(33)는 동력전달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는 아니다. 따라서 커터(40)는 회전하지 못한다.
도6(c) 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다시 한번 리드(20)를 용기(10) 방향으로 눌러 고정돌기(15)가 메인걸림턱(24)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고 리드(20)를 회전시킨다. 고정돌기(15)는 메인걸림턱(24)의 상면과 마주하게 되고 클러치(30)의 탄성력으로 인해 메인걸림턱(24)은 고정돌기(15)와 서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더욱이 착탈홈(17)과 착탈돌기(27)로 인해 체결력이 증가하고, 사용자도 체결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를 본체결상태라고 한다.
본체결상태는 주동디스크(32)와 종동디스크(33)는 서로 맞물려 동력전달이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동부(1)에 전압을 인가하면 커터(40)는 회전하여 분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부주의나 리드(20)에 전해진 진동으로 인해 리드(2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할 수도 있다. 리드(20)가 회전되어 가체결상태로 전환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커터(40)는 동력을 상실하고 회전을 멈춘다. 또한, 가체결상태에서 리드(20)는 용기(10)를 덮고 있으므로 관성에 의해 커터(40)가 회전중일 때도 분쇄대상은 외부로 비산되지 못한다.
커터(40)의 회전이 멈춘 것을 사용자가 인지한 후 사용자는 다시 본체결상태로 전환하여 다시 분쇄를 수행할 수도 있고 리드(20)를 더욱 회전시켜 리드(20)가 용기(10)로부터 완전 분리된 탈거상태로 전환하여 분쇄를 종료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믹서기는 커터(40)가 회전하지 않고 용기(10)가 개방된 탈거상태, 커터(40)가 회전하지 않지만 용기(10)는 리드(20)에 의해 덮인 가체결상태 및 커터(40)가 회전하고 용기(10)도 밀폐된 본체결상태를 갖게 되어 안전성과 청결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구동부 3: 베이스
10: 용기 11: 중공
13: 가이드봉 15: 고정돌기
17: 착탈홈 20: 리드
21: 가압돌기 23: 걸림부
24: 메인걸림턱 25: 서브걸림턱
26: 가이드걸림턱 27: 착탈돌기
28: 지지부 30: 클러치
31: 하우징 32: 주동디스크
33: 종동디스크 34: 샤프트
35: 탄성부재 36: 치합돌기
37: 가이드홈 38: 가이드돌기
40: 커터 41: 블레이드
42: 내부원통 43: 외부원통
45: 개구부

Claims (15)

  1. 분쇄대상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용기를 차폐하고, 블레이드의 회전축 방향으로 가압돌기가 형성된 리드; 및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믹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용기와 상기 리드가 분리되면 동력전달을 해제하는 믹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동디스크;
    상기 주동디스크와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디스크; 및
    상기 종동디스크와 연결되고, 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가압돌기와 동축을 형성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믹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디스크와 상기 종동디스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동력전달을 위해 돌출된 치합돌기가 형성된 믹서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종동디스크에 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믹서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디스크와 상기 종동디스크 중 어느 하나는,
    상호 간에 동축을 형성하며 결합하도록 상기 종동디스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믹서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샤프트와 동축을 형성하고, 상기 클러치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믹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을 감싸고 상기 블레이드가 배치된 외부원통; 및
    상기 외부원통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내부원통을 포함하는 커터를 더 포함하는 믹서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내부원통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에 압력을 가하는 믹서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외주면에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리드는,
    상기 고정돌기와 걸림되어 상기 용기와 고정되는 계단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된 믹서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가압돌기를 밀어 상기 걸림부의 상면과 상기 고정돌기의 하면 사이를 고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믹서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하측에 형성된 서브걸림턱; 및
    상기 서브걸림턱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메인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서브걸림턱과 접할 때 동력전달을 해제하는 믹서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리드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외측면을 덮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걸림턱 및 상기 메인걸림턱은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믹서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리드를 상기 용기에 결합시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서브걸림턱으로 유도하는 가이드걸림턱이 형성된 믹서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걸림턱과 상기 고정돌기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접하는 면에 착탈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착탈돌기와 대응하는 착탈홈이 형성된 믹서기.
KR1020140092420A 2014-07-22 2014-07-22 믹서기 KR10162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20A KR101623904B1 (ko) 2014-07-22 2014-07-22 믹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20A KR101623904B1 (ko) 2014-07-22 2014-07-22 믹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729A true KR20160011729A (ko) 2016-02-02
KR101623904B1 KR101623904B1 (ko) 2016-06-08

Family

ID=5535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420A KR101623904B1 (ko) 2014-07-22 2014-07-22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9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442U (ja) * 1991-08-28 1993-10-12 ブラウン アクツ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電気調理器用フード・カッター
KR200292184Y1 (ko) 2002-07-08 2002-10-18 홍재희 믹서기
KR100375860B1 (ko) * 1999-02-05 2003-03-10 아르노 에스에이 컵 뚜껑의 오정렬시 가정용 믹서 또는 식품 가공기의 작동을 방지하는 안전 시스템
KR200380639Y1 (ko) * 2005-01-19 2005-03-31 정형교 전기 믹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442U (ja) * 1991-08-28 1993-10-12 ブラウン アクツ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電気調理器用フード・カッター
KR100375860B1 (ko) * 1999-02-05 2003-03-10 아르노 에스에이 컵 뚜껑의 오정렬시 가정용 믹서 또는 식품 가공기의 작동을 방지하는 안전 시스템
KR200292184Y1 (ko) 2002-07-08 2002-10-18 홍재희 믹서기
KR200380639Y1 (ko) * 2005-01-19 2005-03-31 정형교 전기 믹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904B1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8541B2 (ja) フードプロセッサ用の蓋及びフードプロセッサ
CA2343976C (en) Removable food processing tool support system for blenders, food processors, grinders and similar apparatus
US6609455B2 (en) Device for driving a rotary tool for a food-processing apparatus, and food-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such a device
KR200465636Y1 (ko) 일회용 용기용 믹서기 유니트 및 믹서기 유니트의 안전커버
KR20150094102A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FR2488120A1 (fr) Bloc-moteur pour combine menager a accessoires multiples et combine menager
EP3419486B1 (en) Kitchen appliance, food processor and safety interlock arrangement
JP6386209B2 (ja) 食品処理装置
WO1996022720A1 (fr) Appareil menager a couteau rotatif, tel qu'un hachoir
US4378730A (en) Citrus press device
US4117980A (en) Implement, in particular a household implement, for chopping cuttable material, in particular meat, onions or the like
KR101623904B1 (ko) 믹서기
US8365656B2 (en) Food processor of the citrus press or juicer type
US5104050A (en) Food processor having axially translatable blade spindle coupled for rotation to motor driven shaft
WO2011036824A1 (ja) 回転調理装置
KR20170035759A (ko)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식품 가공 장치
EP0012976B1 (fr) Appareil ménager à couteaux rotatifs, tel qu'un hachoir ou broyeur
CN111938468A (zh) 搅拌杯组件及包括该搅拌杯组件的料理机
KR200485526Y1 (ko) 자성체를 이용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요리 기기
KR20160023426A (ko) 전기믹서기의 구동축 및 분쇄커터의 체결 구조
CN212066541U (zh) 食物处理器
CN210697317U (zh) 搅拌杯组件及包括该搅拌杯组件的料理机
KR20180119855A (ko)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식품 가공 장치
EP3427619A1 (en) Tool detaching means for kitchen appliances
CN213046604U (zh) 杯盖组件和食物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