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341A -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341A
KR20160011341A KR1020140092273A KR20140092273A KR20160011341A KR 20160011341 A KR20160011341 A KR 20160011341A KR 1020140092273 A KR1020140092273 A KR 1020140092273A KR 20140092273 A KR20140092273 A KR 20140092273A KR 20160011341 A KR20160011341 A KR 20160011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carrier
control medium
emission contro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875B1 (ko
Inventor
김종락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푸르고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르고팜 filed Critical (주)푸르고팜
Priority to KR102014009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8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 및 상기 담체가 완전히 담궈질만큼 상기 용기 내부에 채워져 상기 담체로부터 방출된 상기 이산화염소를 상기 용기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조절매체;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Chlorine Dioxide Relea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축산물은 저장 및 유통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 중에 부패 미생물이나 생리적 작용 또는 온도 조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썩거나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훼손된다. 손실 비율은 전체 농축산물의 20% 내지 30%에 이르러 이를 경제적 손실규모로 환산하면 수 조원에 이른다.
농축산물의 저장 및 유통 중 손실을 줄이기 위해 현재까지 저온 유지(cold chain)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밀폐 저장 공간의 공기 조성 성분을 변경하여 산소는 줄이고 이산화탄소는 높이는 CA(Controlled Atmosphere), MA(Modified Atmosphere) 저장법이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식물의 노화 호르몬으로 작용하는 에틸렌을 조절하는 방법이 부상되고 있다. 축산물의 경우에는 온도조절과 진공 포장 등 여러 방법의 적용으로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농축산물의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의 밀도를 낮추지 않고서는 미생물에 의한 농축산물의 부패 가속화를 제어하기 힘들다. 미생물의 제거를 위해 작물에 따라 농산물을 살균 용액으로 세척하여 미생물을 제거하기도 하지만 딸기, 포도, 복숭아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과수 작물들과 약초는 수용액 접촉이 원천적으로 불가하고 축산물 역시 마땅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용액의 접촉이 허용된다고 하더라도 농축산물의 갈라지거나 상처가 난 틈새 부위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는 가스 살균이 용액에 의한 세척 살균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실험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용액 세척 살균과 비교하여 가스 훈증법을 적용하면 상품 포장이 이뤄진 후 아주 미세한 공기 구멍을 통해서도 가스와 작물의 접촉이 이루어져 살균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 훈증법에 사용되는 물질은 여러 가지가 있다. 유황 훈증 방법의 경우 인체 유해 가능성이 문제시 되고, MB(메틸브로마이드) 훈증의 경우는 오존파괴물질로 사용이 금지되어 가고 있는 반면, 이산화염소는 식약청에 등록된 식품첨가물이며 농수산식품부에서 식품 표면의 세척, 소독 목적으로 등록된 유기적 취급물질로 친환경적이다.
이산화염소는 곰팡이에서 세균,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산화 살균제로서 광범위한 효력을 갖고 있으며, 미생물 살균 메커니즘은 미생물의 보호막을 뚫고 들어가 산화력에 의한 세포의 효소작용을 방해하여 미생물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살균력은 넓은 PH범위에서 유효하며 염소에 비해 2.5배 이상 살균력이 강하고 THM(trihalomethane)과 같은 발암물질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유럽이나 미국에서 환경 친화적 그린(Green) 살균제로 각광 받고 있다. UN 산하 세계보건기구(WHO) 및 식량농업기구(FAO)는 이산화염소를 살균제로 추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산화염소의 장점으로 인하여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는 여러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산화염소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출 장치에 대한 연구 역시 진행되고 있다.
한국출원특허 10-2011-0095118 (공개일 : 2013년 3월 29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이산화염소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 및 상기 담체가 완전히 담궈질만큼 상기 용기 내부에 채워져 상기 담체로부터 방출된 상기 이산화염소를 상기 용기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조절매체;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출조절매체의 부피는 상기 담체의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담체를 보관하는 제1 저장부와 상기 방출조절매체를 보관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가 연통되어 상기 담체 전체가 상기 방출조절매체에 담궈질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담체 및 상기 방출조절매체가 상기 용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이산화염소를 상기 용기 외부로 누출되도록 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출조절매체는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제1 기간, 제2 기간 및상기 제3 기간 동안 이산화염소를 방출하고, 상기 제1 기간동안 상기 방출조절매체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2 기간동안 상기 방출조절매체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3 기간동안 상기 방출조절매체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간은 상기 제1 기간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단위 중량당 상기 이산화염소의 저장량은 상기 방출조절매체의 상기 단위 중량당 상기 이산화염소의 저장량보다 크고, 상기 담체의 단위 중량당 상기 이산화염소의 대기 방출량은 상기 방출조절매체의 상기 단위 중량당 상기 이산화염소의 대기 방출량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 및 상기 담체의 일부가 담궈질만큼 상기 용기 내부에 채워져 상기 담체의 상기 이산화염소 방출 속도를 높이는 방출조절매체;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담체의 부피는 상기 방출조절매체의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방출조절매체가 상기 담체에 흡수되어 상기 담체로부터 상기 이산화염소의 방출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담체를 보관하는 제1 저장부와 상기 방출조절매체를 보관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가 연통되어 상기 담체의 일부가 상기 방출조절매체에 담궈질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담체 및 상기 방출조절매체가 상기 용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이산화염소를 상기 용기 외부로 누출되도록 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와 방출조절매체의 양에 따라 이산화염소의 방출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방출조절매체의 방출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담체의 방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용기(110)의 제1 저장부(S1)와 제2 저장부(S2)가 연통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제1 저장부(S1)와 제2 저장부(S2)가 연통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용기(110), 담체(120), 및 방출조절매체(130)를 포함한다.
담체(120)는 용기(110) 내부에 배치되며, 이 때 이산화염소는 담체(120)에 흡착된 상태이다. 담체(120)는, 이산화염소의 흡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출조절매체(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120)가 완전히 담궈질만큼 용기(110) 내부에 채워져 담체(120)로부터 방출된 이산화염소를 용기(110) 외부로 방출한다.
이와 같이 용기(110)는 담체(120)를 보관하는 제1 저장부(S1)와 방출조절매체(130)를 보관하는 제2 저장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용기(110)에 용기(1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제1 저장부(S1)와 제2 저장부(S2)를 구획하는 격벽부(140)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저장부(S1)와 제2 저장부(S2)가 연통되어 제2 저장부(S2)의 방출조절매체(130)가 제1 저장부(S1)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2 저장부(S2)의 부피는 제1 저장부(S1)의 부피에 비하여 크고 제2 저장부(S2)에 보관된 방출조절매체(130)의 양이 담체(120)의 양보다 크므로 담체(120) 전체가 방출조절매체(130)에 담궈진다.
이와 같이 담체(120) 전체가 방출조절매체(130)에 담궈지면, 방출조절매체(130)로부터 이산화염소가 일정하게 방출되는 구간이 생겨난다.
도 3은 방출조절매체(130)의 방출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조절매체(130)는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제1 기간, 제2 기간 및제3 기간 동안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기간동안 방출조절매체(13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간동안 방출조절매체(13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기간 이후 제3 기간 동안 방출조절매체(13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4는 담체(120)의 방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공성 담체(120)에 이산화염소가 포화된 상태에서 담체(120)가 대기에 노츨되면, 담체(120)로부터 이산화염소가 짧은 시간에 급속하게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담체(120)는 이산화염소를 다량으로 흡착할 수 있지만 이산화염소를 일정하게 방출시키지 못하므로 이산화염소를 정해진 시간 이상 일정하게 방출시키는 특성을 요구하는 제품으로 상용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이산화염소를 일정하게 방출시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제품의 상용화에 적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출조절매체(130)가 제2 기간 동안 이산화염소를 일정하게 방출할 수 있는 것은 담체(120)로부터 공급된 이산화염소에 의하여 방출조절매체(130)가 포화된 이후에는 방출조절매체(130)는 일정하게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이산화염소가 없는 물과 같은 방출조절매체(130)가 제1 저장부(S1)로 이동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담체(120) 전체가 방출조절매체(130)에 담궈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담체(120)는 도 4와 같이 이산화염소를 급속하게 방출하게 되고 방출조절매체(130)의 이산화염소 농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출조절매체(130)의 이산화염소 농도가 증가하므로 방출조절매체(130)는 이산화염소는 제1 기간 동안 방출조절매체(130)로부터 점진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담체(120)가 계속하여 이산화염소를 방출하게 되면 방출조절매체(130)의 이산화염소 농도는 점진적으로 상승하다 방출조절매체(130)가 이산화염소로 포화된 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간 동안 방출조절매체(130)는 일정하게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다.
담체(120)의 이산화염소 방출량이 줄어들게 되면 방출조절매체(130)의 이산화염소 농도 역시 감소하므로 제3 기간 동안 방출조절매체(13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담체(120) 자체는 이산화염소의 방출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지만 담체(120)가 방출조절매체(130)에 완전히 잠길 경우 방출조절매체(130)의 이산화염소 포화로 인하여 제2 기간 동안 이산화염소가 일정하게 방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방출조절매체(130)로부터 이산화염소가 용기(110)의 외부로 방출되어야 하지만 방출조절매체(130) 및 담체(120)는 용기(110) 외부로 누출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용기(110)의 적어도는 일부는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나 LDPE(Low-density polyethylene)와 같이 담체(120) 및 방출조절매체(130)가 용기(1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산화염소를 용기(110) 외부로 누출되도록 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기간은 제2 저장부(S2)의 단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2 기간은 방출조절매체(130)가 이산화염소로 포화되는 기간에 비례하므로 포화 기간이 길어지면 제2 기간 역시 길어지고 포화 기간이 짧아지면 제2 기간 역시 감소할 수 있다.
포화 기간이 길어지려면 방출조절매체(13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이 줄어들면 되는데,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은 방출조절매체(130)의 액면 넓이에 비례하고, 방출조절매체(130)의 액면의 넓이는 제2 저장부(S2)의 단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은 제2 저장부(S2)의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제2 기간은 제2 저장부(S2)의 단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간은 제1 기간보다 길 수 있다. 도 4를 통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담체(120)는 방출 초기에 다량의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담체(120)가 방출조절매체(130)에 잠길 경우 제1 기간 동안 다량의 이산화염소를 방출하므로 방출조절매체(130)의 이산화염소 농도는 비교적 짧은 제1 기간에 포화농도까지 도달할 수 있다.
반면에 제3 기간 동안 담체(120)로부터 이산화염소의 방출이 완료되면 방출조절매체(130)의 이산화염소 농도는 감소하는데, 방출조절매체(130)의 방출 속도는 담체(120)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제3 기간은 제1 기간에 비하여 길 수 있다.
도 3에서 제1 기간 및 제3 기간의 시간에 대한 이산화염소 방출량의 기울기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담체(120)가 방출조절매체(130)에 잠겨야 하므로 방출조절매체(130)의 부피는 담체(120)의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담체(120)와 방출조절매체(130)의 저장량 및 대기 방출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를 일정하게 방출할 수 있다.
즉, 담체(120)의 단위 중량당 이산화염소의 저장량은 방출조절매체(130)의 단위 중량당 이산화염소의 저장량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담체(120)의 단위 중량당 이산화염소의 대기 방출량은 방출조절매체(130)의 단위 중량당 이산화염소의 대기 방출량보다 클 수 있다.
담체(120)와 방출조절매체(130)의 대기 방출량은, 담체(120) 및 방출조절매체(130) 각각에 이산화염소가 포화된 상태에서 담체(120) 및 방출조절매체(130)가 대기에 노츨되어 있을 때 담체(120) 및 방출조절매체(130)에서 대기로 이산화염소가 단위 시간 동안 방출되는 양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담체(120)의 이산화염소 저장량 및 대기 방출량이 방출조절매체(130)의 이산화염소 저장량 및 대기 방출량보다 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장출 장치는 일반적인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비하여 오랫동안 이산화염소를 일정하게 방출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이산화염소 용액은 담체(120)없이 이산화염소가 방출조절매체(130)에 녹아 있는 상태인데, 일반적인 이산화염소 용액의 경우 방출조절매체(130)가 담체(120)로부터 이산화염소를 공급받지 못하고 방출조절매체(130)의 이산화염소 저장량 역시 작으므로 장시간 이산화염소를 방출하기 어렵다.
또한 방출조절매체(130) 없이 담체(120)만이 이산화염소를 방출하는 경우, 앞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120)가 급속하게 이산화염소를 방출하므로 장시간 이산화염소를 일정하게 방출하기 어렵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담체(120)의 장점 및 단점이 방출조절매체(130)의 장점과 단점과 상보적인 관계를 이룰 수 있다.
즉, 담체(120)의 저장량은 방출조절매체(130)의 저장량보다 크므로 담체(120)는 장시간 방출조절매체(130)에 이산화염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방출조절매체(130)의 대기 방출량은 담체(120)의 대기 방출량보다 작은므로 방출조절매체(130)는 장시간 일정하게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용기(110)의 제1 저장부(S1)와 제2 저장부(S2)가 연통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외력에 의하여 격벽부(140)가 파손되어 제1 저장부(S1)와 제2 저장부(S2)가 연통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용기(1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1 저장부(S1)와 제2 저장부(S2)가 연통되어 담체(120)의 일부가 방출조절매체(130)에 담궈질 수 있다.
담체(120)는 용기(110) 내부에 배치되며, 이 때 이산화염소는 담체(120)에 흡착된 상태이다. 담체(120)에 대해서는 앞서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방출조절매체(130)는 담체(120)의 일부가 담궈질만큼 용기(110) 내부에 채워져 담체(120)의 이산화염소 방출 속도를 높인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담체(120)가 방출조절매체(130)에 완전히 잠겨져 있는 상태이고, 제2 실시예의 경우 담체(120)의 일부가 방출조절매체(130)에 잠겨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저장부(S1)의 부피는 제2 저장부(S2)의 부피에 비하여 작으며, 따라서 담체(120)의 부피는 방출조절매체(130)의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담체(120)의 일부가 방출조절매체(130)에 잠길 경우, 방출조절매체(130)가 담체(120)에 흡수되어 담체(120)로부터 이산화염소의 방출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방출조절매체(130)가 담체(120)에 흡수되면 흡수된 방출조절매체(130)가 담체(120)에 흡착된 이산화염소를 밀어내는 역할을 하므로 담체(12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단시간에 다량의 이산화염소가 필요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곰팡이 등을 에 제거해야 할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가 사용되면 단시간에 차량 내부에 이산화염소로 채워질 수 있으므로 차량 내부의 곰팡이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용기(110)의 적어도 일부는, 담체(120) 및 방출조절매체(130)가 용기(1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산화염소를 용기(110) 외부로 누출되도록 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질에 대해서는 앞서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용기(110)
담체(120)
방출조절매체(130)
격벽부(140)
제1 저장부(S1)
제2 저장부(S2)

Claims (12)

  1.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 및
    상기 담체가 완전히 담궈질만큼 상기 용기 내부에 채워져 상기 담체로부터 방출된 상기 이산화염소를 상기 용기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조절매체;
    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조절매체의 부피는 상기 담체의 부피 보다 큰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담체를 보관하는 제1 저장부와 상기 방출조절매체를 보관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가 연통되어 상기 담체 전체가 상기 방출조절매체에 담궈지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담체 및 상기 방출조절매체가 상기 용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이산화염소를 상기 용기 외부로 누출되도록 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조절매체는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제1 기간, 제2 기간 및상기 제3 기간 동안 이산화염소를 방출하고,
    상기 제1 기간동안 상기 방출조절매체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2 기간동안 상기 방출조절매체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3 기간동안 상기 방출조절매체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간은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의 단위 중량당 상기 이산화염소의 저장량은 상기 방출조절매체의 상기 단위 중량당 상기 이산화염소의 저장량보다 크고,
    상기 담체의 단위 중량당 상기 이산화염소의 대기 방출량은 상기 방출조절매체의 상기 단위 중량당 상기 이산화염소의 대기 방출량보다 큰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8.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 및
    상기 담체의 일부가 담궈질만큼 상기 용기 내부에 채워져 상기 담체의 상기 이산화염소 방출 속도를 높이는 방출조절매체;
    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의 부피는 상기 방출조절매체의 부피 보다 큰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조절매체가 상기 담체에 흡수되어 상기 담체로부터 상기 이산화염소의 방출 속도가 증가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담체를 보관하는 제1 저장부와 상기 방출조절매체를 보관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가 연통되어 상기 담체의 일부가 상기 방출조절매체에 담궈지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담체 및 상기 방출조절매체가 상기 용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이산화염소를 상기 용기 외부로 누출되도록 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KR1020140092273A 2014-07-22 2014-07-22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KR101669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273A KR101669875B1 (ko) 2014-07-22 2014-07-22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273A KR101669875B1 (ko) 2014-07-22 2014-07-22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341A true KR20160011341A (ko) 2016-02-01
KR101669875B1 KR101669875B1 (ko) 2016-10-28

Family

ID=5535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273A KR101669875B1 (ko) 2014-07-22 2014-07-22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8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652A (ko) * 2017-10-24 2019-05-03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 유지, 소독, 위생 처리를 위한 아염소산 소스(Chlorous acid source)를 제공하기 위한 키트
KR20190084395A (ko) * 2018-01-08 2019-07-17 곽일환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제형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팩
US10850981B2 (en) 2017-04-25 2020-12-01 Ica Trinova, Llc Methods of producing a gas at a variable rate
US11912568B2 (en) 2018-03-14 2024-02-27 Ica Trinova, Llc Methods of producing a gas at a controlled ra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40A (ko) * 2003-05-09 2004-11-15 (주)에스케이 아쿠아테크 이산화염소 가스의 순간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염소의 제조 방법
KR20110095118A (ko) 2010-02-18 2011-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20098772A (ko) * 2009-11-18 2012-09-05 필트로나 리치몬드 인코포레이티드 캡슐화 복합체를 함유하는 섬유 구조체
KR20140035345A (ko) * 2011-03-23 2014-03-21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20140072506A (ko) * 2012-12-05 2014-06-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40A (ko) * 2003-05-09 2004-11-15 (주)에스케이 아쿠아테크 이산화염소 가스의 순간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염소의 제조 방법
KR20120098772A (ko) * 2009-11-18 2012-09-05 필트로나 리치몬드 인코포레이티드 캡슐화 복합체를 함유하는 섬유 구조체
KR20110095118A (ko) 2010-02-18 2011-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40035345A (ko) * 2011-03-23 2014-03-21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20140072506A (ko) * 2012-12-05 2014-06-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0981B2 (en) 2017-04-25 2020-12-01 Ica Trinova, Llc Methods of producing a gas at a variable rate
US11518676B2 (en) 2017-04-25 2022-12-06 Ica Trinova Llc Methods of producing a gas at a variable rate
KR20190045652A (ko) * 2017-10-24 2019-05-03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 유지, 소독, 위생 처리를 위한 아염소산 소스(Chlorous acid source)를 제공하기 위한 키트
KR20190084395A (ko) * 2018-01-08 2019-07-17 곽일환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제형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팩
US11912568B2 (en) 2018-03-14 2024-02-27 Ica Trinova, Llc Methods of producing a gas at a controlled 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875B1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875B1 (ko)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KR101688058B1 (ko)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Hossain et al. Radiosensitization of Aspergillus niger and Penicillium chrysogenum using basil essential oil and ionizing radiation for food decontamination
US20210276784A1 (en) Storage product and method
US20220073243A1 (e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containers
KR101730818B1 (ko) 혼합가스 및 미세천공필름을 이용한 신선절단과일의 포장방법
CA2893563A1 (en) Growth of cryo-sprouts
KR101469943B1 (ko) 이산화염소 훈증장치, 및 이에 의한 훈증방법
AU2017411157B2 (en) Advanced oxidative process for microbial reduction
KR101557811B1 (ko)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JPH0328947B2 (ko)
KR20150098708A (ko) 이산화염소가스 공급장치
KR101460003B1 (ko)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CN115397743A (zh) 将水和抗微生物蒸气释放到封闭或部分封闭空间的装置
US20190269126A1 (en) System to package and transport fresh cut produce
KR20130031501A (ko) 미량 서방형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팩
JP2012100721A (ja) 物品の殺菌・消毒・保存装置及び方法
JP2016208847A (ja) 除菌剤徐放体及び容器入り食品
WO2017072563A1 (en) Device for stored products protection and uses thereof
KR0153265B1 (ko)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 증기를 발생시키는 재료,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 증기를 사용하는 살균 방법 및 그 장치
KR100287743B1 (ko) 식품용방향성항균포대
JPH0445847A (ja) 吸着材料及びその利用方法
KR0159753B1 (ko) 식품의 신선도 보존방법 및 신선도 보존재
Kumar et al. Active and Passiv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Recent Advances
US10653139B2 (en) Device for stored products protection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