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336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336A
KR20160008336A KR1020140088361A KR20140088361A KR20160008336A KR 20160008336 A KR20160008336 A KR 20160008336A KR 1020140088361 A KR1020140088361 A KR 1020140088361A KR 20140088361 A KR20140088361 A KR 20140088361A KR 20160008336 A KR20160008336 A KR 20160008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mobile device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익한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심익한
주식회사 유진코어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익한, 주식회사 유진코어, 김동욱 filed Critical 심익한
Priority to KR1020140088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336A/ko
Publication of KR2016000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체모임의 현장 또는 재난이나 사고현장 주변의 정보제공자들이 자신이 갖고 있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스위칭 서버에 올리면 운영자는 이들 영상 중에서 특정의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자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시청자들이 원하는 영상을 다양한 방향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용 앱 및 위치기반서비스가 탑재되고, 상기 방송용 앱을 실행시켜 상기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및 위치정보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송출되는 정보제공자들의 모바일 기기; 상기 정보제공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정보제공자별 독립 URI로 무선 연결되어 상기 정보제공자들의 방송용 앱으로 촬영한 영상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운영자가 선택한 특정 정보제공자의 영상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스위칭 서버; 상기 스위칭 서버와 스트리밍 소스 URI를 통하여 연결되고, 시청자가 접근 가능한 스트리밍 URI로 스트리밍 영상 및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체모임의 현장 또는 재난이나 사고현장 주변의 사람들(이하 정보제공자라 함)이 자신이 갖고 있는 모바일 기기의 방송용 앱(APP : Application)을 통하여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를 활성화시키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송출하면 운영자는 이들 영상 중에서 특정의 영상을 스위칭하여 시청자들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고, 이때 운영자의 스위칭 서버는 특정의 영상을 선택하는 동안 다른 영상의 유동IP를 계속 추적하여 스위칭 될 때마다 정보제공자들의 영상 및 위치정보가 연속성 있게 스트리밍되도록 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통하여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정보 제공 기술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 제공기술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서비스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추세이다. 스트리밍 기술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이유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즉시 다운로드할 만큼 빠른 접속회선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면, 파일이 모두 전송되기 전에라도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또는 플러그인이 데이터의 표현을 시작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측은 데이터를 수취하고, 수취된 데이터 집단을 처리하여 사운드나 그림으로 변환해주는 응용프로그램에 단절 없이 데이터를 보내줄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스트리밍 클라이언트가 필요 이상으로 빠르게 데이터를 수신하면, 여분의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보제공자가 데이터를 신속하게 스트리밍하지 못하면, 데이터의 표현은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리밍 기술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측의 데이터 처리속도, 클라이언트측의 데이터의 복원율, 데이터의 저장공간의 제한 정도 및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종류 등에 따른 매우 유동적인 환경에 적응하여야 한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및 무선 네트워크와 연계한 데이터 스트리밍의 경우에 는 더욱 불리한 전송환경이 제공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유선네트워크에 접속한 단말기보다 실시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경향이 큰 반면, 데이터 처리속도 및 저장공간 등의 하드웨어적인 능력은 현저하게 부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서버측의 부담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종래 특허공개 제2002-0006983호는 방송 현장상황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압축 및 스트리밍 처리함과 동시에 무선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방송국으로 송출하고 인터넷 방송국은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자막삽입, 로고삽입, 디지털효과처리 및 자료 파일을 영상 데이터에 합성함과 더불어 인터넷 환경에 맞도록 재 압축함으로써, 인터넷 방송국에 접속한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도록 된 인터넷 방송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종래 특허공개 제2008-0080249호는 인터넷방송 시청 도중 1개의 브라우저 창에서 여러 개의 멀티화면을 동시에 제공하고 이중 1개 화면을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 조작권을 획득하여 카메라를 상화좌우, 줌인/아웃을 할 수 있고, 또한 저렴한 야외촬영 장비를 통해 기존 방송보다 다양하고 재미있는 인터넷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종래 등록특허 제924125호는 화재 발생시에 신고자가 3G 영상 단말 또는 IP 인터넷 영상 단말을 이용하여 화재 현장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신고 접수 단계에서 화재 현장의 상황을 바로 모니터링 하면서 해당 지역의 소방 관청에 화재 상황에 적합한 통제 및 지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신고 접수 단계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해당 지역의 소방 관청 및 현장으로 출동하는 방재 팀에게 직접 중계하여 현장 상황을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한 영상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특허들은 다수의 정보제공자들이 모바일 기기로 현장의 상황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을 운영자에게 전송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나, 운영자가 어느 특정의 정보제공자의 영상을 지정하여 선택된 영상이 운영자를 통하여 시청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동안 다른 정보제공자들의 영상은 IP가 변경되어 추적이 않되므로 이를 스위칭할 수 없는 등의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근처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대중화되고 있다.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모바일 기기 속에 기지국이나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정보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즉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위치기반 서비스이다.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종래의 특허 제1076054호는 서버에 내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종래의 위치기반서비스 및 시스템의 단점 및 제약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보제공자가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수신 대상자의 연령, 기호 및 선호도 등 서비스의 적정성 확보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콘텐츠를 직접 생성하는데 있어서, 관심 장소에 대한 상세 정보를 담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식의 데이터와 위치 및 하나 이상의 경로 정보를 담은 경로 데이터를 결합하여 정보제공자 생성 중심의 새로운 복합형 위치기반서비스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특허 역시 특정의 정보제공자의 영상을 지정하여 선택된 영상이 운영자를 통하여 시청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방송 시스템은 구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학교의 단체 수학여행이나 지방자치단체의 행사 또는 재난지역의 현장상황을 각각의 정보제공자들이 자신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를 운영자에게 전송하면 운영자는 필요한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수학여행지의 주변 경관을 여러명의 학생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이를 학교의 운영자의 서버로 전송하면 운영자는 필요한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자인 학부모들에게 보여줌으로써,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활동을 모니터링 하여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또한 재난지역의 상황을 주변의 목격자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로 촬영하여 재난안전본부의 운영자 서버로 전송하면, 운영자는 여러개의 영상 중에서 위급한 부분의 영상을 선택하여 현장의 안전요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운영자는 다른 정보제공자들의 영상도 계속 추적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마다 스위칭 방식으로 다른 정보제공자들의 영상을 시청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하나 종래의 기술로는 이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체모임의 현장 또는 재난이나 사고현장 주변의 정보제공자들이 자신이 갖고 있는 모바일 기기의 방송용 앱을 실행시켜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스위칭 서버에 올리면 운영자는 이들 영상 중에서 특정의 영상을 스위칭하여 시청자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시청자들이 원하는 영상을 다양한 방향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제공자들의 유동IP별로 전송되는 영상을 상기 스위칭 서버에 분류 적재하되, 유동IP의 지속적인 감시 및 갱신 등록으로 인하여 운영자가 제1정보제공자로부터 제2정보제공자의 영상을 스위칭하면 제1정보제공자의 변경된 IP가 갱신되어 추후 제1정보제공자와의 계속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수 정보제공자들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무선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GPS모듈에서 수신된 자신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방송국의 송신소로 송출하여 운영자의 스위칭 서버에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인터넷이 두절된 산악지역이나 재난지역에서도 위치 및 시간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도록 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용 앱 및 위치기반서비스가 탑재되고, 상기 방송용 앱을 실행시켜 상기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및 위치정보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송출되는 정보제공자들의 모바일 기기; 상기 정보제공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정보제공자별 독립 URI로 무선 연결되어 상기 정보제공자들의 방송용 앱으로 촬영한 영상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운영자가 선택한 특정 정보제공자의 영상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스위칭 서버; 상기 스위칭 서버와 스트리밍 소스 URI를 통하여 연결되고, 시청자가 접근 가능한 스트리밍 URI로 스트리밍 영상 및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학여행을 간 학생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의 방송용 앱을 실행시켜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수학여행지의 주변 경관이나 현재 상황을 촬영하여 학교 운영자의 스위칭 서버로 전송하면 운영자는 이들 영상 중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상을 스위칭 방식으로 선택하여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고 이때 학부모들은 자신의 모바일 기기나 컴퓨터 등으로 학생들이 보내오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으므로 자녀의 안전이 확인되어 안심하고 수학여행을 보낼 수 있다.
또한 재난현장이나 사고현장에서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의 방송용 앱을 실행시키고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성화시켜 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재난안전본부의 스위칭 서버로 전송하면 운영자는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다양한 영상들 중에서 위급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의 영상이나 필요한 부분의 영상을 스위칭 방식으로 선택하여 스트리밍 서버로 보내고, 이후 재난안전과 관련된 구급대원이나 안전요원들이 이를 실시간으로 시청함으로써, 재난이나 사고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위칭 서버는 정보제공자의 IP주소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IP가 변경되면 이를 갱신하여 계속 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다수의 정보제공자들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취합하여 시청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송출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무선 인터넷이 두절된 산악지역이나 재난지역에서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GPS모듈로 수신되는 위치 및 시간정보를 운영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즉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무선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방송국의 송신소로 송출하면 운영자의 스위칭 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정보제공자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재난 상황에서 인명의 파악이나 생존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모듈은 기본적으로 단문 문자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정보제공자들이 자신의 현재 상황을 간단하게 문자로도 알릴 수 있으므로 재난상황에서 정보제공자들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영상제공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
본 발명 한 실시예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영상을 전송하는 다수 정보제공자들의 모바일 기기와; 상기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에 정보제공자별 독립 URI(유동 IP)로 무선 연결되어 상기 정보제공자들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여 정리하고, 운영자가 선택한 특정 정보제공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스위칭 서버(10)와; 상기 스위칭 서버(10)와 스트리밍 소스 URI를 통하여 연결되고, 시청자가 접근 가능한 스트리밍 URI로 스트리밍 영상을 송출하는 스트리밍 서버(20)로 구성된다.
정보제공자들은 특정되지 않으나, 일 예로써 수학여행을 간 학생들, 단체 모임의 회원들, 어느 특정 지역의 행사장, 화재현장 주변의 사람들 또는 재난현장의 사람들이 될 수 있다.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는 영상정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또한 GPS와 연동되는 칩이 내장되어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데, 무선통신망을 통해 영상 및 위치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단이다. 상기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는 각종 휴대폰, 테블릿PC 및 스마트폰과 같이 무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이며, 전송방식은 모바일 기기별 독립된 인터넷 식별자(URI)를 갖는다.
정보제공자들은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방송용 앱(APP)을 설치한다. 앱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써, 방송용 앱은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 즉 앱 스토어에 올려놓은 것을 다운받아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면 된다. 방송용 앱은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칩의 위치기반서비스와 연동된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인터넷 서비스를 전제로 한 인터넷상의 통일된 정보 자원의 식별 체계이다. 인터넷에서 서비스되는 텍스트, 비디오, 음향, 스틸 또는 애니메이션 이미지 등의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URI의 가장 공통적인 형식은 웹 페이지 주소로서 모든 자원 접근 메커니즘, 자원 소속 컴퓨터, 자원 명칭 등을 이 형식으로 표현한다. URI의 하위 집합으로는 네트워크상의 위치 식별인 URL과 고유 이름의 식별인 URN(Uniform Resource Name), 특정 콘텐츠의 저자, 위치, 제목 등의 정보를 표현하는 메타데이터 URC(Uniform Resource Characteristics)가 있다. URL은 콘텐츠와는 상관없이 단지 대상물의 위치를 알려 주는 데 반해 URN은 유일, 영속, 확장, 규모성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정 콘텐츠 전용의 인터넷 ID라고 할 수 있다.
스위칭 서버(10)는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에 독립된 URI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의 방송용 앱 으로부터 수신한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운영자가 원하는 영상을 추출한다. 스위칭 서버(10)는 운영자가 지정한 특정 정보제공자의 영상을 스트리밍 URI로 매핑(mapping)하여 스트리밍 서버(20)로 송출한다. 즉 상기 스위칭 서버(10)는 한쪽에 정보제공자들의 모바일 기기가 정보제공자별 독립 URI를 통하여 연결되고, 타측에는 스트리밍 서버(20)가 스트리밍 소스 URI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서버(10)는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달받고 싶은 영상을 정보제공자들로부터 미리 입력받아 정리하고, 정리된 내용에 따라서 영상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는 관리용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운영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의 영상을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의 정보처리폼에 맞도록 전환시키는 동작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서버(10)는 정보제공자와 유동IP로 연결되는데, 인터넷 운영업체(ISP)의 사정상 IP는 수시로 변경된다. 상기 스위칭 서버(10)는 정보제공자별 유동IP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이를 IP관리부(11)에 등록하고, 운영자가 다른 정보제공자의 영상을 선택하기 위하여 기존 정보제공자로부터 다른 정보제공자로 스위칭하면 기존 정보제공자와의 통신이 끊기면서 IP가 변경되는데, 이때 IP비교판단부(12)에서 기존 IP를 변경된 IP로 갱신 등록한다.
상기 IP비교판단부(12)에서 기존IP와 변경된 IP의 영상 데이터에 연속성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연속성이 있으면 IP관리부(11)에서 기존 IP를 갱신된 IP로 변경 저장하며, 이후 변경된 IP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IP별 영상 분류부(13)에 지속적으로 적재되어 정보제공자별 현장의 영상에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20)에서는 시청자가 접근 가능한 스트리밍 URI로 스트리밍 영상을 송출한다. 상기 시청자의 통신단말기는 각종 휴대폰, 테블릿PC, 스마트폰 및 가정용 컴퓨터로써, 유무선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20)는 영상을 미디어의 저장 위치(또는 미디어가 생성되고 있는 위치)로부터 미디어가 소비되고 있는 위치, 즉 시청자에게 제공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자적 소비자에 의해 소모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상적으로 스트리밍 서버(20)는 방해받지 않는 재생을 제공할 수 있고, 시청자가 스트리밍 또는 스트리밍들을 요청한 직후에 스트리밍 또는 스트리밍들의 집합체의 플레이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나의 스트리밍으로부터 다른 스트리밍으로 스위칭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더 이상 영상을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하면, 효율성 때문에 각각의 스트림은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학여행지의 학생들 또는 재난이나 화재현장의 정보제공자들은 자신의 모바일 기기의 방송용 앱을 실행시켜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카메라로 주변의 경관이나 재난 및 화재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미리 정해진 운영자의 스위칭 서버(10)로 자신들의 영상 및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운영자의 스위칭 서버(10)는 학교의 경우 학교에 구비된 서버이고, 재난 및 화재의 경우 재난안전본부나 소방방재청 등의 서버이다.
상기 스위칭 서버(10)로 다수의 영상 및 위치정보들이 전송되면 운영자는 여러대의 모니터를 통하여 영상들을 감시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어느 한 정보제공자의 영상 및 위치정보를 스위칭하여 스트리밍 서버(20)로 전송하고, 이때 이 정보제공자의 IP주소를 IP관리부(11)에 등록한다. 이후 운영자가 다른 정보제공자의 영상을 선택하기 위하여 기존 정보제공자로부터 다른 정보제공자로 스위칭하면 기존 정보제공자와의 통신이 끊기면서 IP가 변경되는데, 이때 IP비교판단부(12)에서 기존 IP를 변경된 IP로 갱신 등록한다.
상기 IP비교판단부(12)에서 기존IP와 변경된 IP의 영상 및 위치정보 데이터에 연속성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연속성이 있으면 IP관리부(11)에서 기존 IP를 갱신된 IP로 변경 저장하며, 이후 변경된 IP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IP별 영상 분류부(13)에 지속적으로 적재함으로써, 정보제공자별 현장의 영상 및 위치정보에 연속성이 보장된다.
시청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 또는 가정용 컴퓨터에서 스트리밍 URI를 통하여 연결된 스트리밍 서버의 영상을 빠르게 시청할 수 있으므로 학부모의 경우 수학여행을 간 학생들의 활동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재난안전 담당자나 화재진압 담당자들 역시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재난현장이나 화재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써,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에는 기본적으로 GPS모듈이 내장되어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및 시간정보를 스위칭 서버(10)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무선 통신망의 인터넷이 두절될 경우 방송국의 송신소(30)에 자신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송출하는 기술이다.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에는 무선 통신모듈이 탑재된다. 탑재된 무선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GPS모듈에서 수신된 자신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근처의 방송국 송신소로 보내면 송신소를 거쳐 스위칭 서버(10)로 정보제공자의 위치 및 시간 정보가 도달된다. 이때 정보제공자는 문자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방송국(예를 들면, KBS FM, KBS AM, MBC FM, SBS 파워 FM 등) 마다 각각 채널을 할당받아 각각 할당된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FM 또는 AM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고, 청취자는 소정의 수신기기를 통해 각각의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청취하게 된다. 각각의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신호는 일정 거리마다 세워져 있는 송신소(30)를 통해 일정 범위의 지역으로 전파한다.
따라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기술은 지역마다 세워진 송신소(30)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선 인터넷이 두절되더라도 자신의 위치, 시간 및 문자정보를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10 : 스위칭 서버 11 : IP관리부
12 : IP비교 판단부 13 : IP별 영상 분류부
20 : 스트리밍 서버 30 : 송신소

Claims (3)

  1. 방송용 앱 및 위치기반서비스가 탑재되고, 상기 방송용 앱을 실행시켜 상기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및 위치정보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송출되는 정보제공자들의 모바일 기기;
    상기 정보제공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정보제공자별 독립 URI로 무선 연결되어 상기 정보제공자들의 방송용 앱으로 촬영한 영상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운영자가 선택한 특정 정보제공자의 영상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스위칭 서버;
    상기 스위칭 서버와 스트리밍 소스 URI를 통하여 연결되고, 시청자가 접근 가능한 스트리밍 URI로 스트리밍 영상 및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서버는 정보제공자별 유동IP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이를 IP관리부에 등록하고,
    운영자가 다른 정보제공자의 영상 및 위치정보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존 정보제공자로부터 다른 정보제공자로 스위칭하면서 기존 정보제공자의 IP가 변경될 때 IP비교판단부에서 기존 IP를 변경된 IP로 갱신하여, 변경된 IP로 전송되는 기존 정보제공자의 영상 및 위치정보를 IP별 영상 분류부에 지속적으로 적재하여 정보제공자별 현장의 영상 및 위치정보에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기기에는 방송국의 AM 및 FM주파수와 통신되는 무선 통신모듈이 탑재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GPS모듈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모듈을 통하여 방송국의 송신소를 거쳐 상기 스위칭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KR1020140088361A 2014-07-14 2014-07-14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KR20160008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361A KR20160008336A (ko) 2014-07-14 2014-07-14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361A KR20160008336A (ko) 2014-07-14 2014-07-14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336A true KR20160008336A (ko) 2016-01-22

Family

ID=5530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361A KR20160008336A (ko) 2014-07-14 2014-07-14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3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8607B1 (ko) 2017-11-03 2019-04-1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재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35671A1 (ko) * 2016-02-01 2017-08-10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8607B1 (ko) 2017-11-03 2019-04-1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재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097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instantly sharing video content on social media
US9635252B2 (en) Live panoramic image capture and distribution
US91547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video streaming from a mobile device or other sources through a server to a designated group and to enable responses from those recipients
US9762861B2 (en) Telepresence via wireless streaming multicast
KR100785647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80124446A1 (en) Video Broadcasting Through Selected Video Hosts
US8869203B2 (en) Multimedia content fusion
EP2884751A1 (en) A multimedia platform for generating and streaming content based on data provided by capturing devices corresponding to multiple viewpoints including subjective viewpoints
TW200620902A (en) Viewing system
EP4114022A1 (en) Reverse screen-projec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mart screen, and smart screen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70112971A1 (en) Real time video streaming and data collaboration over wireless networks
US11681748B2 (en) Video streaming with feedback using mobile device
KR20160008336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KR101214470B1 (ko)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CN108347348A (zh) 一种无线车载视频监控管理系统
US20180063253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roviding live data streams to content-rendering devices
JP2006004190A (ja) 携帯電話向けチャットサービスシステム
JP6653919B2 (ja) 情報提供表示システム
US11856252B2 (en) Video broadcasting through at least one video host
KR101358671B1 (ko) Cctv 감시카메라 감시장치 촬영 동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230179835A1 (en) Personalized emergency alert
KR2012003667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818414B2 (en) Telepresence through OTA VR broadcast streams
Elkana et al. Low cost embedded surveillance for public transportation
Koyama et al. Multi-camera Live Video Streaming over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