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470B1 -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470B1
KR101214470B1 KR1020110021650A KR20110021650A KR101214470B1 KR 101214470 B1 KR101214470 B1 KR 101214470B1 KR 1020110021650 A KR1020110021650 A KR 1020110021650A KR 20110021650 A KR20110021650 A KR 20110021650A KR 101214470 B1 KR101214470 B1 KR 10121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camera
image
black box
unique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806A (ko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김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한 filed Critical 김정한
Priority to KR102011002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47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 의복에 부착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소형 카메라(10); 고유의 ID를 가지며 상기 소형 카메라(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형 카메라(10)가 촬영하는 영상을 상기 고유의 ID와 함께 외부로 송신하는 전송부(20); 및 상기 전송부(20)가 송신하는 영상 및 상기 고유의 ID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의 ID를 기본키로 하여 수신하는 영상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DB)를 구축하는 관리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n individual black box}
본 발명은 일상 생활에서부터 소방 구조 활동, 군의 작전 수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양에서 적용이 가능한 개인 블랙 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소형 카메라,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는 전송부 및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소형 카메라가 의복에 장착되어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전송부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전송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ID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랙박스는 본래 비행기에 장착되어 사고시 원인을 밝혀내는 장비를 의미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차량 블랙박스 등의 용어도 널리 쓰이고 있는데 차량 블랙박스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운행 상황을 녹화 기록 해두는 장치로 사고 발생 시 사고의 원인과 차량 운전자의 과실여부 등을 판단하는데 결정적인 자료가 된다. 이와 같이 차량에 장착되어 그 운행 상황을 기록해두는 차량 블랙박스는 소형 카메라와 저장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분양에 활용이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디지털 캠코더 기술과 광통신, 무선 인터넷 등 각종 유무선 인터넷의 발달의 결과 IP카메라가 등장하게 되었다. IP 카메라는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카메라 모듈, 디코더, 영상 압축 칩, CPU, 네트워크 전송 칩 등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는 디코더를 통해 디지털로 바뀌고, 압축 칩에서 압축을 거쳐 전송되는 흐름이다. IP 카메라는 외부에서도 집 안 상황을 휴대폰으로 점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와 홈 네트워크를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이와 더불어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 NVR)도 기존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를 대체하며 널리 보급되고 있다.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는 네트워크상에 설치된 카메라나 비디오 서버의 영상 녹화, 모니터링, 이벤트 관리, 재생 등을 위한 전용 PC 서버를 말한다. IP 카메라를 통해 디지털 영상을 전송받아 압축 저장하는 기능으로, IP 전용 저장 장치이기 때문에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없는 장치이다.
위에서 언급한 IP카메라와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컴퓨터 등 클라이언트측 단말기의 연결은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 중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로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이 활용된다. 세션 개시 프로토콜은 IETF에서 정의한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음성과 화상 통화 같은 멀티미디어 세션을 제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 인터넷 상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지능형 단말(전화, 인터넷 콘퍼런스, 인스턴트 메신저 등)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또는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응용 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수정은 포트의 주소 변경, 더 많은 참여자의 초대,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추가 또는 삭제를 의미하며, 화상 회의, 스트리밍 동영상 유통, 메신저, 가입자 상태 정보, 파일 전송과 온라인 게임들에 응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넷 기반 회의, 전화, 음성 메일,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세션의 생성, 수정, 종료를 제어하는 요구/응답 구조로서 TCP와 UDP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SIP URL을 사용함으로써 IP주소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HTTP와 SMTP의 많은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개발된 텍스트 기반이므로 구현이 용이하며,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다른 많은 프로토콜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을 만들 수 있는 유연성과 확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의복에 장착이 용이한 소형 카메라를 통해 개인의 활동을 담은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재생과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여 군작전, 소방구조 활동 등 특수한 상황에 있어서의 현장 파악, 기타 각종 사건 사고 발생시 현장의 객관적인 증거의 확보 및 명확한 진상 파악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개인의 의복에 부착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소형 카메라; 고유의 ID를 가지며 상기 소형 카메라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형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상기 고유의 ID와 함께 외부로 송신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전송부가 송신하는 영상 및 상기 고유의 ID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의 ID를 기본키로 하여 수신하는 영상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DB)를 구축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서버의 중계를 받아 상기 전송부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전송부가 송신하는 영상을 수신하거나 또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고 수신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소형 카메라 견착식으로 전방과 후방에 촬영부를 구비하여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 카메라는 경광등(警光燈)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군작전, 소방?구조 활동 등에 활용될 경우 명확한 현장 상황 영상의 기록을 통하여 정확한 현장 상황 파악에 따른 지휘?진행 및 객관적 진상 규명에 근거한 사후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2. 일상 생활 속에서 활용될 경우에 범죄 예방 효과, 불의의 사고 또는 범죄 발생 시에 객관적 현장 증거자료 확보의 용이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소형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관리서버가 수신하여 저장할 때의 각 구성 간 정보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소형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중계될 때의 각 구성 간 정보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관리서버에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하고 수신하여 재생할 때의 각 구성 간 정보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소형 카메라,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는 전송부,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및 상기 구성 외에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Ⅰ. 소형 카메라, 전송부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시스템은 소형 카메라(10), 전송부(20) 및 관리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구성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소형 카메라(10)는 개인의 의복에 부착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전송부(20)는 고유의 ID를 가지고 상기 소형 카메라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있는 장치로서 상기 소형 카메라(10)가 촬영하는 영상을 상기 고유의 ID와 함께 외부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전송부(20)가 송신하는 영상 및 상기 고유의 ID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의 ID를 기본키로 하여 수신하는 영상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DB)를 구축한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 별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1. 소형 카메라(10)
상기 소형 카메라(10)는 의복에 부착되어 개인의 활동 주변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방?구조활동, 군 작전에 사용시에는 헬맷에 장착이 가능하고, 일상 생활에서 개인에 의해 사용될 경우 의복이나 모자 등에 장착이 가능하다. 일상생활에서 범죄의 예방 목적에 사용될 경우에는 2개의 소형카메라가 의복의 어깨 부분에 장착되어 전방과 후방을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전방과 후방을 모두 촬영할 경우 상기 전송부(20)에 의해 송신된 영상은 상기 관리서버(30)에 의하여 화면이 전방과 후방 화면이 분할된 화면으로 저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소형 카메라(10)는 범죄 예방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경광등(警光燈)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경광등이 상기 소형 카메라(10)에 부착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의 이용자임을 주위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특히 야간에 어두운 곳을 보행하는 경우에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촬영 화질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목적과 비용을 고려할 때 고화질일 필요는 없으며 통상의 CCTV급의 화질(화소)가 지원되면 충분하다. 한편 야간이나 조명이 없는 곳에서는 적외선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여야 본 발명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할 수 있다.
2. 전송부(20)
상기 접속 설정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모듈이 탑재된 장치로서 상기 소형 카메라(10)가 촬영하는 영상의 신호를 압축하여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20)로 송신한다. 상기 전송부(20)는 고유의 ID를 가지고 상기 소형 카메라(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고유의 ID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개인을 식별하는 정보가 된다.
상기 전송부(20)는 상기 소형 카메라(10)와 함께 개인이 소지하고 활동해야 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상기 전송부(20)는 상기 소형 카메라(10)에 내장되어 일체(一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무선 인터넷의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이루어져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상기 소형 카메라(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전송부(2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3. 관리서버(30)
상기 관리서버는 SIP 서버(31), 미디어 서버(32) 및 저장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IP 서버(31)는 사용자 인증과 연결 설정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상기 SIP 서버(31)는 SIP에 따라 상기 전송부(20)와 상기 관리서버(30)와의 연결 설정을 담당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SIP이란 접속 설정 프로토콜의 약자로서 인터넷상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지능형 단말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응용 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인터넷 기반 회의, 전화, 음성 메일, 이벤트 통지, 인스탄트 메시징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세션의 생성, 수정, 종료를 제어하는 request/response 구조로서 TCP와 UDP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SIP URL을 사용함으로써 IP주소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HTTP와 SMTP의 많은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개발된 텍스트 기반이므로 구현이 용이하며,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다른 많은 프로토콜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을 만들 수 있는 유연성과 확장성이 있다. ITU-T의 H.323에 대응되는 보다 간편한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서버(32)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전송부(20)로부터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를 이용하여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33)에 저장한다. 일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NVR: Network Video Recorder)로서의 역할이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레코더, 레코딩 서버, 비디오 재생기, 스트림 서버의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저장부(33)는 상기 전송부(2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고유의 ID를 기본키로 하여 수신하는 영상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DB)를 구축한다. 상기 저장부(33)가 수신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시에는 압축을 실시하는데 그 형태로는 MPEG, MOV, RealVideo, Avi 등 일반적인 동영상 압축파일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간 신호의 흐름을 살펴본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소형 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을 관리서버(30)가 수신하여 저장할 때의 정보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개인의 의복에 부착되어 있는 소형 카메라(10)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전송부(20)는 주소 등록 메세지를 SIP 서버(31)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SIP서버(31)는 상기 전송부(20)의 고유 ID를 등록하고, 상기 전송부(20)로 응답 메세지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미디어 서버(32)가 상기 SIP 서버(31)에 연결 설정 요청 메세지를 전달하면 상기 SIP 서버(31)는 응답 메세지를 상기 미디어 서버(32)로 전달하는 한편 상기 전송부(20)로 상기 연결 설정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다.
삭제
삭제
이후 상기 전송부(20)는 상기 SIP 서버(31)로 응답 메세지와 호출 메세지를 전송하고, 상기 SIP 서버(31)는 상기 호출 메세지를 상기 미디어 서버(32)로 전달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미디어 서버(32)가 확인 메세지를 상기 전송부(2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서버(32)와 상기 전송부(2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미디어 서버(32)와 상기 전송부(2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32)는 상기 소형 카메라(10)가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부(20)를 통해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저장부(33)에 저장한다.
Ⅱ.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예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삭제
이하에서는 상기 소형 카메라(10)와 상기 전송부(20)의 구성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40)가 더 포함됨으로 인하여 상기 관리서버(30)가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기능과 이를 위한 구성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1. 관리서버(30)
상기 관리서버(30)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SIP 서버(31), 미디어 서버(32) 및 저장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상기 SIP서버(31)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의 인증과 요청 처리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와 상기 소형 카메라(10)에 구비된 전송부(20) 간의 연결 설정을 추가적으로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SIP 서버(31)는 바람직하게는 SIP 위치등록서버, SIP 프록시 서버 및 SIP 리다이렉트 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SIP 위치등록서버는 사용자 단말기(40)의 주소를 파악하고, 상기 소형 카메라(10)에 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관리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40) 및 상기 전송부(20)를 연결 시키기 위해 IP 주소와 SIP 주소를 맵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IP 프록시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메세지의 요청 및 응답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SIP 리다이렉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와 상기 전송부(20)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시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2. 사용자 단말기(40)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서버(30)의 중계를 받아 상기 전송부(2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전송부(20)가 송신하는 영상을 수신하거나 또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고 수신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PC와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상기 소형 카메라(10)를 의복에 부착하고 활동하고 있는 군인 또는 소방관의 지휘관일 수도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 활용 시 자신의 행적을 돌아보기 위해 자신의 녹화 영상을 검색하는 본인일수도 있고 또는 상기 소형 카메라(10)를 의복에 부착한 아이의 부모나 가족 등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간 신호의 흐름을 살펴본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소형 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40)에 실시간으로 중계될 때의 각 구성 간 정보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상기 사용자 단말기(40)가 상기 SIP 서버(31)에 연결 설정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면 상기 SIP 서버(31)는 이를 상기 미디어 서버(32)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상기 미디어 서버(32)는 이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상기 SIP서버(31)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는 응답 메세지를 상기 미디어 서버(32)로 전송하고 이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와 상기 전송부(20)간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는 상기 소형 카메라(10)가 촬영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부(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받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관리서버(30)에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40)가 검색하고 수신하여 재생할 때의 각 구성 간 정보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기(40)가 상기 SIP 서버(31)에 연결 설정 요청 메세지를 전송하면 상기 SIP 서버(31)은 이를 상기 미디어 서버(32)로 전달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32)는 응답 메세지를 상기 SIP 서버(31)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는 확인 응답 메세지를 상기 미디어 서버(32)로 전송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와 상기 미디어 서버(32)간에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는 상기 미디어 서버(32)에 인스턴스 메세지 형태의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32)는 동영상의 검색과 전송(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실행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의 구성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 외에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소형 카메라 20 : 전송부
30 : 관리서버 31 : SIP 서버
32 : 미디어 서버 33 : 저장부
40: 사용자 단말기

Claims (4)

  1. 개인의 의복에 부착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소형 카메라(10);
    고유의 ID를 가지며 상기 소형 카메라(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형 카메라(10)가 촬영하는 영상을 상기 고유의 ID와 함께 외부로 송신하는 전송부(20); 및
    상기 전송부(20)가 송신하는 영상 및 상기 고유의 ID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의 ID를 기본키로 하여 수신하는 영상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DB)를 구축하는 관리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서버(30)의 중계를 받아 상기 전송부(2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전송부(20)가 송신하는 영상을 수신하거나 또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고 수신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사용자 단말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소형 카메라(10)는 견착식으로 전방과 후방에 촬영부를 구비하여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촬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소형 카메라(10)에는 경광등(警光燈)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KR1020110021650A 2011-03-11 2011-03-11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KR10121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650A KR101214470B1 (ko) 2011-03-11 2011-03-11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650A KR101214470B1 (ko) 2011-03-11 2011-03-11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806A KR20120103806A (ko) 2012-09-20
KR101214470B1 true KR101214470B1 (ko) 2012-12-21

Family

ID=4711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650A KR101214470B1 (ko) 2011-03-11 2011-03-11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68B1 (ko) 2012-05-07 2013-12-06 서관오 보안용 멀티채널 블랙박스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51B1 (ko) * 2013-09-12 2015-01-16 (주)유즈브레인넷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562297B1 (ko) 2014-01-22 2015-10-30 주식회사 아이디스 Nvr 장치의 자원 사용을 최소화한 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KR101556018B1 (ko) * 2014-10-14 2015-09-30 신주연 촬영조명 보조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68B1 (ko) 2012-05-07 2013-12-06 서관오 보안용 멀티채널 블랙박스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806A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0203B2 (en) Proces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udio/video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to desired recipient(s)
US8417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surveillance devices and surveillance footage
KR101273654B1 (ko)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100785647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70185989A1 (en) Integrated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TW200620902A (en) Viewing system
US20100027766A1 (en) Automatic Transmission of Audio and/or Video Content To Desired Recipient(s)
US20060152594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call-triggered image taking and sending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30003886A (ko) 보안 서비스 서버 및 스마트 보안 방법
CN105898620A (zh) 多媒体实时直播的方法和装置
KR101214470B1 (ko)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CN107197320A (zh) 视频直播方法、装置和系统
US20060026649A1 (en) Remotely triggering multi-media data delivery i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CN104270617A (zh) 3g单兵集中管理监控系统
CN115665111B (zh) 基于执法记录仪的实时通信系统
KR100892072B1 (ko) 모바일폰을 이용한 보안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044141B1 (ko) 실시간 전송을 이용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감시 서비스 시스템
CN1972430A (zh) 按需申请的视频监控方法和装置
KR100631624B1 (ko) 휴대폰의 프라이버시 정보 처리방법
US10348951B2 (en) Camera capture for connected devices
WO2004032085A1 (ja) 監視システム及び中継装置
KR20160008336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JP6230875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422999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TWI427569B (zh) 一種行動監控遠距保全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