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674A -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674A
KR20120036674A KR1020100098475A KR20100098475A KR20120036674A KR 20120036674 A KR20120036674 A KR 20120036674A KR 1020100098475 A KR1020100098475 A KR 1020100098475A KR 20100098475 A KR20100098475 A KR 20100098475A KR 20120036674 A KR20120036674 A KR 20120036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ffic
unit
imag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동
박상돈
손형훈
이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니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니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니셜티
Priority to KR102010009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6674A/ko
Publication of KR2012003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 운행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보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사 정보를 상기 교통 상황 정보에 매칭시킨다. 상기 서버가 상기 매칭된 교통 상황 정보를 외부에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보유한 사용자(기자)는 전방의 홍수, 폭설 낙석, 도로유실 붕괴 등과 같은 자연재해 및 긴급상황 발생시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사건, 사고의 현장을 실시간으로 제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이를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smart phon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교통 현황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유저들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폰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핸드폰,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현재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며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전화, 이메일,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교통 정보 제공업체들은 교통정보 수집용 프로브 차량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정체나 원할 등에 관한 도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통 정보 생성을 위해 많은 비용이 투입되고 있다.
한편, 도로상을 운행하다고 교통사고 등을 목격하여도 이에 대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찍어 방송사에 제보를 하는 일은 쉽지 않으며, 번거로운 절차로 인해 제보를 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달리는 도중에 갑자기 이러한 내용을 촬영하는 것도 쉬운일은 아니다.
종래에는 도로에 설치된 CCTV를 활용하여 교통 현장 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을 제공받는 기관 및 업체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영상 제보 서비스가 있었다.
이러한 영상 제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해당 웹 서비스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방의 홍수, 폭설 낙석, 도로유실 붕괴 등과 같은 자연재해 및 긴급상황 발생시 관련 정보를 기관 및 업체에 제보 하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기존의 도로교통 정보 서비스에서는 영상을 제공받는 기관 및 업체의 서버에서 사용자가 사건/사고의 현장영상을 실시간 제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카메라나 기타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 등의 컨텐츠들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즉각적인 활용이 불가능하여 PC나 노트북에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거쳐야만 활용할 수 있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실시간 현장영상 제보 환경을 제공할 수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운전자들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교통 상황이나 사고 내용 등을 업로드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통 사고나 교통 흐름 등에 관한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다양한 단말기에 송신하는 스마트 폰,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무선인터넷(3G/Wi-Fi) 환경 하의 스마트폰에 스트리밍 솔루션을 탑재하여 촬영한 동영상/사진과 스마트폰에 장착된 GPS를 활용하여 획득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교통 현황 실시간 제보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고, 작성된 교통 현황 제보 내용을 파일첨부 및 실시간 업로딩하여 실시간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교통정보 데이터로 활용하거나 교통시설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로부터 해당 도로의 교통 흐름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보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사고에 관한 기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교통 상황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소정 지역의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제보 정보를 저장하는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교통 상황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 운행정보 및 제보 정보를 상기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 운행 정보 및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상황 정보 생성부;
상기 제보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 기사 정보 생성부;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사 정보를 상기 교통 상황 정보에 매칭시키는 매칭부;
상기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교통 상황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폰은,
외부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위치정보 및 제보 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폰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GPS부;
텍스트, 영상, 이미지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외부의 소정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영상 및 텍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필요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고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 운행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보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사 정보를 상기 교통 상황 정보에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매칭된 교통 상황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매칭된 기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보유한 사용자(기자)는 전방의 홍수, 폭설 낙석, 도로유실 붕괴 등과 같은 자연재해 및 긴급상황 발생시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사건, 사고의 현장을 실시간으로 제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인터넷 접속 방법으로 이동통신망이 아닌 무선인터넷(Wi-Fi)을 선택하여 통신 매체로 활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망 사용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전송되고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스마트폰 기반 교통정보는 실시간 교통상황과 돌발 교통상황 정보 등에 활용되어 빠르고 여유로운 운행/통행 정보 제공의 서비스가 가능하고, 실시간 교통예측과 위험성에 대한 사전 경고 등의 실질적인 교통안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통해 수집되는 멀티미디어 교통정보 데이터는 기존의 다양한 교통 시스템 및 서비스에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된 교통정보 데이터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교통정보의 실시간 수집, 활용 분야로 적용, 지능형 교통체계(ITS) 구현 및 추진의 기본 데이터와 기반기술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교통 상황의 정보 수집 등에 소요되는 막대한 재원(CCTV 설치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기존 시스템과 시설의 이용 극대화를 유도하는 기반시스템으로 발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에서 교통 정보 생성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제보 작성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에서 교통 정보 제공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교통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스마트폰(300)은 와이파이망 또는 기타 네트워크망을 통해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과 연결되고, 스마트폰(300)은 차량의 위치정보, 속도정보, 방향정보 또는 해당 지역의 교통 기사용 동영상 정보나 텍스트 정보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위치정보, 속도정보, 방향정보 또는 해당 지역의 교통 기사용 동영상 정보나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와이브로 통신형 네비게이션(510), 스마트폰(300), 포털 사이트의 서버(520), IPTV(530) 등에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이러한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서버(210), 데이터베이스(220)를 포함한다.
상기 교통 상황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20)는, 소정 지역의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221); 차량의 속도정보, 방향정보 등의 운행정보, 위치정보 및 제보 정보를 저장하는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223); 상기 교통 상황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224); 교통 정보 이용자 또는 제보자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회원 데이터베이스(222)를 포함한다.
서버(210)는 상기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로부터 해당 도로의 교통 흐름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보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사고에 관한 기사 정보를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서버(210)는 차량의 속도정보 및 방향정보를 수신하거나 수신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스스로 계산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는, 정보 수신부(211), 교통상황 정보 생성부(212), 기사정보 생성부(213), 매칭부(214), 정보 제공부(215)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211)는 상기 위치 정보, 운행정보 및 제보 정보를 상기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223)에 저장한다.
교통상황 정보 생성부(212)는 상기 위치 정보, 운행 정보 및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교통 상황정보는 지도 상에 교통 흐름을 나타내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기사정보 생성부(213)는 상기 제보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제보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매칭부(214)는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사 정보를 상기 교통 상황 정보에 매칭시킨다. 즉, 해당 위치별로 기사정보를 분리하여 교통 상황정보에 매칭시킨다.
정보 제공부(215)는 상기 매칭부(214)에서 매칭된 상기 교통 상황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데 필요에 따라 인증과정을 거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제보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은, 외부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제보 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폰으로서, 입력부(320), GPS부(340), 저장부(360), 카메라부(370), 통신부(350), 제어부(330), 표시부(310)를 포함한다.
입력부(320)는 터치패널,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GPS부(340)는 적어도 두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필요에 따라 GPS부를 생략하고,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360)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1분 단위로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사내용이 텍스트로 저장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에의해 캡쳐된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부(370)는 외부의 소정 방향의 영상을 촬영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거치대를 두고, 거치대에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전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스마트폰(300)을 손에 쥐고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카메라부(370)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360)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영상 및 텍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GPS부에서 생성되는 2개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고, 차량 방향 정보와 같이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송신한다.
통신부(35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며,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 인터넷이나 다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러한 스마트폰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중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300)의 입력부(320)를 이용하여 교통현황 실시간 제보를 선택하고, 제어부(33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로램을 구동하고 도 5와 같은 제보 화면을 표시부(310)에 표시한다(S410).
그러면,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부(370)는 촬영을 시작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는 1분 단위로 저장부(360)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 방식은 메모리를 절약하기 위해 1분 단위로만 저장되고 이전의 영상은 지워지는 방식이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고, 시간 조정도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로그인을 통해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한다(S460).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입력부(320)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은 화면에서 원하는 제보 내용을 작성하고, 첨부할 이미지를 선택하여 제보를 작성한다(S420, S430).
그리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텍스트 형태의 제보 기사를 입력 후 제보할 현장 영상을 촬영한다.
사용자는 해당 제보내용에 동영상 또는 이미지(사진)를 첨부하고자 할 경우 사진기아이콘을 선택하고, 바로 동영상 또는 이미지(사진)를 찍어 첨부하거나 또는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사진) 파일을 선택하여 첨부한다.
기사제보 및 기사제보에 첨부되어 있는 첨부파일을 저장/수정 후 전송이 선택되면,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350)가 제보 정보를 서버(게이트웨이 서버)로 WiFi/3G환경에서 전송한다(S450).
예를 들면, 구체적인 입력방식은 도 5와 같이 위치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보실행을 선택하면 제어부(330)에 의해 우측 화면이 생성되고,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여 동영상 저장 및 이미지(사진), 제보내용(text)등을 작성, 전송 또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GPS부(340)로부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정보 즉, 차량의 이동속도 및 방향, 운행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는 필요에 따라 공용맵(구글맵,네이버맵 등)과 연동하여 현재 위치의 위도/경도를 파악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공용맵(구글맵,네이버맵 등)을 연동하여 내 위치의 위도,경도를 파악하여 위치를 서버(210)로 전송하고,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반경 10Km의 제보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에 저장된 영상을 전송 버튼을 눌렀을 시를 기준으로 뒤로 20초 앞으로 40초의 영상이 전송된다.
그리고 제보 전송 전에, 제어부(330)는 서버(210)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여 도 5의 좌측 화면을 표시하여 줄 수도 있으며, 내위치 영역은 내 위치(영역)를 기준으로 반경 10Km까지 위도,경도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어부(330)는 운행정보 및 제보 정보 등의 전송 데이터를 저장부(360)에 저장하며, 전송된 데이터를 위치,시간대 순으로 나열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사용자가 입력부(320)로 이러한 서비스를 종료시킬 때까지 카메라부(370)가 영상촬영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어부(330)는 촬영한 영상을 1분 단위로 저장부(360)에 저장하며, 현재 시점으로부터 5분 이전 영상 파일은 삭제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내부의 타이머(도면 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교통 현황 실시간 제보의 타이틀을 작성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의 무선 및 네트워크 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와이파이망을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영상촬영시 현재시간 및 전송시간을 표시부(310)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촬영되는 영상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화면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화면에 현 위치 및 주위 제보지점이 표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제보 정보 및 운행정보가 서버(210)로 전달되면, 서버(210)의 정보 수신부(211)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집한다(S470).
그리고, 정보 수신부(211)는 수집정보 DB(223)에 수집한 제보 정보 및 제보 정보제보에 첨부되어 있는 첨부파일 정보를 각 구간 또는 지점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S480).
그러면, 교통상황 정보 생성부(212)는 수집된 운행정보와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221)를 참조하여 도로교통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기사 정보 생성부(213)는 수신한 제보 정보를 기사 형태에 적합하도록 변환하거나 그대로 전달한다.
그러면, 매칭부(214)가 생성된 교통 현황 정보에 기사 정보를 매칭하여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저장한다.
이후, 정보 제공부(215)는 실시간 도로 교통 정보를 HTTP / RTP / RTSP 통신규격을 이용하여 와이브로 네비게이션, IPTV, 스마트폰 및 포털사이트로 실시간 전송한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가 이러한 교통 정보를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방법에서 스마트폰 이용자가 교통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부(310)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S610), 교통정보 버튼을 선택한다(S620).
그러면, 제어부(330)는 GPS부(340)의 위치를 참조하여 수신된 교통 정보에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구역의 교통 정보를 표시하고, 자기 위치 또한 표시부(310)에 표시한다(S630).
그리고,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현 위치 주변에 표시되는 교통 정보에서 원하는 위치의 기사정보를 보고 싶은 경우 해당 지점을 선택하면(S640), 제어부(330)가 기사정보를 표시하게 되며, 텍스트와 영상 이미지 등이 도 7 중앙과 같이 표시된다.(S650)
한편, 이 상태에서 영상이나 이미지를 상세하게 보고 싶은 경우에 해당 영상을 선택하면, 제어부(330)는 해당 영상을 확대하여 도 7의 우측과 같이 보여주며, 이전화면이나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는 메뉴를 제공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한 지점의 실시간 교통정보 및 기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스마트폰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와이브로 네비게이션, IPTV 및 포털사이트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현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0Km내의 다른 기사 내용을 클릭하면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영상은 시간별(최근영상,30초전,1분전 등)로 선택하여 사고 지점의 영상을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로부터 해당 도로의 교통 흐름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보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사고에 관한 기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교통 상황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소정 지역의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제보 정보를 저장하는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교통 상황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 운행정보 및 제보 정보를 상기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 운행 정보 및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상황 정보 생성부;
    상기 제보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 기사 정보 생성부;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사 정보를 상기 교통 상황 정보에 매칭시키는 매칭부;
    상기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교통 상황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GPS부;
    텍스트, 영상, 이미지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외부의 소정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영상 및 텍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5. 외부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위치정보 및 제보 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폰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GPS부;
    텍스트, 영상, 이미지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외부의 소정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영상 및 텍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필요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고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7.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보정보, 운행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 운행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보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사 정보를 상기 교통 상황 정보에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매칭된 교통 상황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매칭된 기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20100098475A 2010-10-08 2010-10-08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6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75A KR20120036674A (ko) 2010-10-08 2010-10-08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75A KR20120036674A (ko) 2010-10-08 2010-10-08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74A true KR20120036674A (ko) 2012-04-18

Family

ID=4613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475A KR20120036674A (ko) 2010-10-08 2010-10-08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66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336B1 (ko) * 2013-01-15 2013-07-26 주식회사 차후 차량번호인식을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KR20150087320A (ko) * 2012-12-17 2015-07-29 알까뗄 루슨트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320A (ko) * 2012-12-17 2015-07-29 알까뗄 루슨트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KR101290336B1 (ko) * 2013-01-15 2013-07-26 주식회사 차후 차량번호인식을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6744B2 (ja) 地域監視サーバ、提供端末及びそのシステム
WO2017177606A1 (zh) 视频数据的管理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US20180124446A1 (en) Video Broadcasting Through Selected Video Hosts
US20070082700A1 (en) Method of u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for monitoring purposes and a system for implementation thereof
US201103102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ata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US201301576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personalized web interface for monitoring location information on individuals and objects using tracking devices
US20100149335A1 (en) Apparatus for vehicle servillance service in municipal environments
CN102457570A (zh) 基于3g技术及云系统的智能车载通信信息化系统及通信方法
KR101106630B1 (ko) 모바일 영상 감시 방법 및 시스템
JP2015534678A (ja) 交通状況情報を提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501618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Based Reporting and Surveillance and Publishing Event Information
CN111314843B (zh) 实况视图收集和传输系统
CN105120159A (zh) 通过远程控制获取图片的方法及服务器
CN107305561B (zh) 图像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用户界面系统
KR100920364B1 (ko) 위치 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0220189A (ja) 撮影装置及び動画配信システム
CN106097225B (zh) 基于移动终端的气象信息即时传播方法和系统
JP2014064241A (ja) 監視カメラ所在公開システム
KR101424740B1 (ko) 버디차량 간의 녹화영상 공유를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공유 방법
KR101474937B1 (ko) 블랙박스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 및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JP2015018421A (ja) 端末装置、投稿情報送信方法、投稿情報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投稿情報共有システム
KR2012003667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7883977A (zh) 一种信息分享方法、系统及汽车
CN107886713A (zh) 一种信息分享方法、系统及汽车
WO2017048115A1 (en) A real-time intelligent video camer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