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220A -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220A
KR20160008220A KR1020157034229A KR20157034229A KR20160008220A KR 20160008220 A KR20160008220 A KR 20160008220A KR 1020157034229 A KR1020157034229 A KR 1020157034229A KR 20157034229 A KR20157034229 A KR 20157034229A KR 20160008220 A KR20160008220 A KR 20160008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evaluation
skin
component
transpa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086B1 (ko
Inventor
나오코 요시다
이쿠코 오가루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2003/467Colour compu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1Colorimeters; Construc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7Measuring glo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mage An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투명감 평가 장치는, 피험자의 피부를 촬영한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함과 함께,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 중 적어도 한쪽을 구하고, 구해진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피부 지표 산출부와,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투명감 평가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TRANSPARENCY EVALUATION DEVICE, TRANSPARENCY EVALUATION METHOD AND TRANSPARENCY EVALUATION PROGRAM}
이 발명은,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 또는 화장 피부를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 화상에 근거하여 피부 또는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 분야에 있어서, 피부의 투명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투명감의 평가 방법은, 관능 평가에 의존하는 부분이 커, 피부를 물리적으로 측정한 물리량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투명감에 관한 피부의 물리적인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분량, 유분량 및 피부결 형상 등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또는 거울면 반사 및 내부 산란 등의 피부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들의 물리량에 근거하여 피부의 투명감이 평가된다.
그러나, 이들 측정 방법은, 피부의 국소적인 물리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측정으로 얻어지는 물리량은, 피부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인 투명감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이 물리량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고정밀도로 평가하는 것은 어려웠다.
따라서, 피부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을 따라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촉촉함, 매끈함, 탱탱함, 윤택감, 백색도, 피부색 및 색 불균일 등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추정식을 이용하여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의 평가 항목은, 관능 평가에서 이용되는 항목을 포함하기 때문에, 겉보기의 감각을 따라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2547호
그러나, 일본 특허문헌 1의 평가 항목에 근거하여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해도, 실제의 관능 평가에 의한 평가와 충분히 일치하지 않고, 이들 평가 항목으로는 실제로 피부를 보았을 때의 감각에 따른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 일본 특허문헌 1은, 물리적인 측정 방법으로 얻어진 측정값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며,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라고는 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일본 특허문헌 1 등의 상기의 평가 방법은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이며, 화장이 실시된 피부(화장 피부)에 대하여 동일하게 투명감을 평가한 경우에는 관능 평가와의 사이에서 평가 결과에 차이가 발생했다. 예를 들면, 피험자의 얼굴에 파운데이션을 도포하면, 파운데이션에 의하여 피부의 색이 전체적으로 정돈되는 한편, 얼굴의 뺨부 등의 일부분에서 혈색이 저하되는 등, 화장하지 않은 피부에 바하여 부자연스러운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화장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부자연스러운 변화는, 화장의 두께감 등의 인상을 주어,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화장 피부에 특유하게 발생하는 부자연스러운 변화는, 일본 특허문헌 1 등의 화장하지 않은 피부에 특화된 투명감의 평가 방법에서는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고정밀도로 평가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부를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감각을 따라 피부의 투명감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발명은,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고정밀도로 평가할 수 있는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는, 피험자의 피부를 촬영한 촬영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와,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함과 함께,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 중 적어도 한쪽을 구하고, 구해진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피부 지표 산출부와, 피부 지표 산출부에서 산출된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피부의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종합 지표 산출부와, 종합 지표 산출부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투명감 평가부를 갖는 것이다.
여기에서, 피부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를 구하기 위하여, 일정한 강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등고선에 의하여, 촬영 화상을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에 따라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부 지표 산출부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등고선의 간격을 각각 구하고, 구해진 복수의 등고선의 간격의 균일도에 근거하여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피부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의 수에 근거하여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산출해도 된다.
또, 피부 지표 산출부는,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 영역을 피험자의 얼굴의 뺨 부분으로부터 얼굴의 윤곽 부분을 직선적으로 잇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부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평균값을 밝기 성분의 대푯값으로서 산출함과 함께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평균값을 색 성분의 대푯값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또, 피부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또는 면적률을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또, 피부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함과 함께 마이너스 인자보다 큰 부분을 색 불균일로서 검출하고, 검출된 색 불균일의 발생량을 제3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제3 피부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피부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색 불균일의 총면적, 면적률 또는 개수를 색 불균일의 발생량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투명감 평가 방법은, 피험자의 피부를 촬영한 촬영 화상을 입력하고,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함과 함께,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 중 적어도 한쪽을 구하고, 구해진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산출된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피부의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은, 피험자의 피부를 촬영한 촬영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함과 함께,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 중 적어도 한쪽을 구하고, 구해진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된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피부의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는,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와,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을 국소적으로 변화시키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피부 지표 산출부와, 촬영 화상에 있어서 혈색에 기인하는 적색 성분의 양을 제1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화장 지표 산출부와, 피부 지표 산출부 및 화장 지표 산출부에서 각각 산출된 제1 피부 평가 지표 및 제1 화장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종합 지표 산출부와, 종합 지표 산출부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투명감 평가부를 갖는 것이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적색 성분의 평균값, 촬영 화상에 있어서 적색 성분이 검출되는 부분의 면적, 또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 적색 성분이 검출되는 부분의 면적률을 적색 성분의 양으로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피험자의 얼굴의 미간 부분, 뺨 부분 및 턱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평가 영역을 설정하여, 소정의 평가 영역에 있어서의 적색 성분의 양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기미 부분을 검출하고, 기미 부분과 그 주위와의 색상차를 제2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제2 화장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얼굴에 발생한 음영을 나타내는 저휘도 부분을 요철 부분으로서 검출하고, 요철 부분의 양을 제3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제3 화장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요철 부분의 면적 또는 면적률을 요철 부분의 양으로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피험자의 얼굴의 눈가 부분 및 코에서 입가로 뻗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여,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 부분의 양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피부 유래와 화장 유래의 서로 다른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으로부터 화장 유래의 밝기 성분 또는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을 취출하고, 화장 유래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의 값이 불균일하게 변화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화장의 불균일도를 제4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제4 화장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피험자의 뺨 부분에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여,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화장의 불균일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얼굴의 번들거림을 나타내는 중광택 부분을 검출하여, 중광택 부분의 양을 제5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고, 종합 지표 산출부는, 제5 화장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화장 지표 산출부는, 피험자의 얼굴의 광대뼈 부분 및 콧날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여,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광택 부분의 양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부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 중 적어도 한쪽을 구하고, 구해진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피부 지표 산출부는,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함과 함께 마이너스 인자보다 큰 부분을 색 불균일로서 검출하고, 검출된 색 불균일의 발생량을 제3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제3 피부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투명감 평가 방법은,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화상을 입력하고,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을 국소적으로 변화시키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촬영 화상에 있어서 혈색에 기인하는 적색 성분의 양을 제1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고, 산출된 제1 피부 평가 지표 및 제1 화장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며,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은,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을 국소적으로 변화시키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스텝과, 촬영 화상에 있어서 혈색에 기인하는 적색 성분의 양을 제1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된 제1 피부 평가 지표 및 제1 화장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인 밝기 성분의 값, 전체적인 색 성분의 값 및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한 제1 평가 지표와,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한 제2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하므로, 피부를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감각을 따라 피부의 투명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제1 피부 평가 지표를 산출함과 함께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적색 성분의 양을 제1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의 투명감을 평가하므로,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고정밀도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피험자의 얼굴에 설정된 평가 영역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을 나타내고, (a)는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화상, (b)는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를 나타내고, (a)는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에 있어서의 변화, (b)는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에 있어서의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L* 성분의 평균값과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6은 C* 성분의 평균값과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7은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와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된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지표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의 변형예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지표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지표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기미의 총면적과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13은 모공의 총면적과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14는 색 불균일의 총면적과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3에서 이용된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4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지표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4에서 이용된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4의 비교예에서 이용된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5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5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피부 지표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5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화장 지표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을 나타내고, (a)는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화상, (b)는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를 나타내고, (a)는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에 있어서의 변화, (b)는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에 있어서의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5에 있어서 피험자의 얼굴에 설정된 평가 영역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화장 피부의 a* 성분 화상을 나타내고, (a)는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화상, (b)는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실시형태 5에 있어서 L* 성분 화상으로부터 저휘도 부분을 추출한 화상을 나타내고, (a)는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화상, (b)는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6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화장 지표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실시형태 6의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에 있어서 피험자의 얼굴에 설정된 평가 영역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실시형태 6에 있어서 화장의 불균일 부분이 검출된 2치화 화상을 나타내고, (a)는 화장의 불균일 부분이 적은 피험자의 화상, (b)는 화장의 불균일 부분이 많은 피험자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은 실시형태 6의 변형예에 관한 화장 지표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리퀴드성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화장 피부의 투명감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32는 파우더성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화장 피부의 투명감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33은 눈가 주름 부분이 명료한 피험자의 화장 피부의 투명감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도 34는 눈가 주름 부분이 불명료한 피험자의 화장 피부의 투명감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을 구한 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투명감의 평가 방법을 행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투명감 평가 장치는, 피험자의 얼굴(F)을 카메라(C)로 촬영한 촬영 화상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으로, 카메라(C)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화상 입력부를 구비하고, 이 화상 입력부에 전처리부(1), 색 공간 변환부(2), 지표 산출부(3), 종합 지표 산출부(4), 투명감 평가부(5) 및 표시부(6)가 순차 접속되어 있다. 또, 색 공간 변환부(2), 지표 산출부(3), 종합 지표 산출부(4) 및 투명감 평가부(5)에는 제어부(7)가 접속되고, 이 제어부(7)에 조작부(8)가 접속되어 있다.
전처리부(1)는, 화상 입력부를 통하여 카메라(C)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화상에 대하여, 광량 보정 및 노이즈 제거 등의 전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에서, 카메라(C)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화상은, RGB 색 공간을 갖는 것으로 한다. 카메라(C)는, 피험자의 얼굴(F)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디지털 카메라나 CCD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마트 폰 등의 휴대전화로 촬영한 촬영 화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색 공간 변환부(2)는, 전처리부(1)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화상의 색 공간을 변환하여 색 공간 변환 화상을 생성한다. 색 공간 변환 화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L*a*b* 색 공간, LCH 색 공간, 또는 YCC 색 공간 등으로 변환한 화상을 이용할 수 있다. L*a*b* 색 공간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계산 광원으로서 D65 광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색 공간 변환부(2)는, 생성한 색 공간 변환 화상을 밝기 성분(휘도 성분)과 색 성분으로 나누어 밝기 성분 화상과 색 성분 화상을 각각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L*a*b* 색 공간을 갖는 색 공간 변환 화상이면, 밝기 성분은 L* 성분을 나타내고, 색 성분은 a* 성분(적색과 녹색에 대응한 보색 성분), b* 성분(황색과 청색에 대응한 보색 성분), C* 성분(채도 성분) 및 Hue 성분(색상 성분)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지표 산출부(3)는, 색 공간 변환부(2)에 각각 접속된 밝기·색 산출부(9)와 계조 특성 산출부(10)를 갖는다.
밝기·색 산출부(9)는,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밝기 성분 화상 및 색 성분 화상에 대하여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1)을 설정한다. 평가 영역(R1)은, 예를 들면, 얼굴(F) 전체 또는 뺨 부분에 설정할 수 있다. 밝기·색 산출부(9)는, 밝기 성분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R1)에 있어서 전체적인 밝기 성분의 값, 즉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을 산출한다. 또, 밝기·색 산출부(9)는, 색 성분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R1)에 있어서 전체적인 색 성분의 값, 즉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을 산출한다.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밝기 성분의 값 및 색 성분의 값은, 예를 들면,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평균값 및 색 성분의 평균값으로부터 각각 산출할 수 있다.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밝기 생성 화상에 대하여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2)을 설정한다. 평가 영역(R2)은, 예를 들면,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부터 얼굴(F)의 윤곽 부분에 걸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밝기 성분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R2)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를 구하고, 구해진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평가 영역(R2)에 걸친 밝기 성분의 변화(계조)의 평활도를 나타내는 계조 특성을 산출한다.
밝기·색 산출부(9)는,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밝기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색 성분의 값을 각각 제1 피부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하고,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평가 영역(R2)에 걸친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종합 지표 산출부(4)는, 밝기·색 산출부(9)로부터 입력되는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계조 특성 산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한다.
투명감 평가부(5)는,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평가한다.
표시부(6)는, 예를 들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투명감 평가부(5)에서 평가된 투명감의 평가 결과를 표시한다.
조작부(8)는, 조작자가 정보의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널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7)는,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부(8)로부터 입력된 각종 지령 신호 등에 근거하여, 투명감 평가 장치 내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색 공간 변환부(2), 지표 산출부(3), 종합 지표 산출부(4), 투명감 평가부(5) 및 제어부(7)는, CPU와, CPU에 각종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동작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지만, 그들을 디지털 회로로 구성해도 된다. 또, CPU에 버스 등의 신호선을 통하여 메모리를 접속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색 공간 변환 화상, 지표 산출부(3)에서 생성된 화상 및 투명감 평가부(5)에서 산출된 투명감의 평가 결과 등을 메모리에 각각 격납하고, 이 메모리에 격납된 화상 및 투명감의 평가 결과를 제어부(7)의 제어하에서 표시부(6)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 미리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산출된 관능 평가값과 종합 지표와의 관계를 격납한 데이터베이스를 투명감 평가부(5)에 접속할 수도 있다. 투명감 평가부(5)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된 관능 평가값과 종합 지표와의 관계와, 종합 지표 산출부(4)로부터 입력된 종합 지표를 비교함으로써,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 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험자의 얼굴(F)을 카메라(C)로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 화상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C)로부터 투명감 평가 장치의 전처리부(1)에 도시하지 않은 화상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다. 촬영 화상은, 광원 보정 및 노이즈 제거 등의 전처리가 실시된 후, 전처리부(1)로부터 색 공간 변환부(2)에 출력되고, 그 촬영 화상의 색 공간이 색 공간 색 공간 변환부(2)에 의하여, 예를 들면, L*a*b* 색 공간으로 변환되어 색 공간 변환 화상이 생성된다. 그리고, 색 공간 변환부(2)는, 색 공간 변환 화상으로부터 밝기 성분과 색 성분을 추출하여, 밝기 성분 화상과 색 성분 화상을 각각 생성한다. 예를 들면, 밝기 성분 화상으로서 L* 성분 화상을 생성함과 함께 색 성분 화상으로서 C* 성분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L* 성분 화상과 C* 성분 화상이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밝기·색 산출부(9)에 출력됨과 함께, L* 성분 화상이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계조 특성 산출부(10)에 출력된다.
밝기·색 산출부(9)는,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입력된 L* 성분 화상과 C* 성분 화상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에 평가 영역(R1)을 설정한다. 또한, 평가 영역(R1)은, 조작자가 조작부(8)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7)를 통하여 L* 성분 화상과 C* 성분 화상에 각각 설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밝기·색 산출부(9)는, L* 성분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R1)에 대하여 L* 성분의 강도의 평균값을 구함과 함께 C* 성분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R1)에 대하여 C* 성분의 강도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로써, 피험자의 얼굴(F)에 설정된 평가 영역(R1)에 대하여,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을 각각 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젊은 사람의 피부는 색이 희고 밝으며 또한 채도가 낮은 것에 반하여, 가령(加齡)에 따라 피부가 전체적으로 황색을 띠고 어두워지며, 피부의 투명감이 전체적으로 감소되어 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하여, 밝기·색 산출부(9)에서 구해지는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은, 가령에 따른 투명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체적인 L* 성분의 값이 높을(밝을)수록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은 높게 느껴지고,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이 낮을수록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은 높게 느껴지는 것이다. 따라서,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L* 성분의 평균값과 C* 성분의 평균값을, 각각 투명감을 평가하기 위한 제1 피부 평가 지표로 하여, 밝기·색 산출부(9)로부터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이 제1 피부 평가 지표에서 이용되는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L* 성분의 평균값과 C* 성분의 평균값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에 가까운 물리량이며, 제1 피부 평가 지표는 투명감의 평가에 대하여 관능 평가에 가까운 객관적인 지표를 부여하는 것이다.
한편,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입력된 L* 성분 화상의 소정의 평가 영역(R2)에 대하여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를 구하고, 구해진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평가 영역(R2)에 걸친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나타내는 계조 특성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도 3(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 성분 화상의 피험자의 얼굴(F)에 대하여, 일정한 강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복수의 등고선(M)을 설정하고, 이 복수의 등고선(M)에 의하여 피험자의 얼굴(F)을 L* 성분의 값에 따라 구획한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도 3(a)는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이며, 도 3(b)는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이다. 또한,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동일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피험자의 얼굴(F)을 복수의 등고선으로 구획함으로써, 피험자의 얼굴(F)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분포를 복수의 등고선의 위치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피험자의 얼굴(F)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M)은, L* 성분 화상의 강도 레인지에 대하여 1/10 정도의 강도 간격이 되도록, 또는 3~5digit 간격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에 대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부터 얼굴(F)의 윤곽 부분을 직선적으로 잇도록 평가 영역(R2)을 설정한다. 이 때, 평가 영역(R2)은,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 중 L* 성분의 값이 가장 높은 부분을 통과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평가 영역(R2)은, 뺨 부분 중에서 L* 성분의 값이 가장 높은 위치부터 수평 방향으로 얼굴(F)의 윤곽 부분까지를 직선적으로 잇는 영역에 설정할 수 있다. 또, 평가 영역(R2)은, 뺨 부분 중에서 L* 성분의 값이 가장 높은 위치부터 얼굴(F)의 윤곽 부분까지를, 복수의 등고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여 교차하도록 직선적으로 잇는 영역에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평가 영역(R2)은, 조작자가 조작부(8)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7)를 통하여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의 소정의 영역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도 3(a))에 설정된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를 도 4(a)에 나타냄과 함께,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도 3(b))에 설정된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를 도 4(b)에 나타낸다. 도 4(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는,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L* 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얼굴(F)의 만곡에 따른 일정한 곡선을 그리듯이, 매끄럽게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나타내는 계조 특성을, 투명감을 평가하기 위한 제2 피부 평가 지표로 할 수 있다.
L* 성분의 계조 특성은, 예를 들면, 평가 영역(R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을 각각 구하고, 구해진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의 균일도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도 4(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S1)은,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S2)에 대하여 격차가 작고, 이것이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향상시키는 1개의 요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간격 S1 및 S2에 대하여 각각 표준 편차 등을 산출하여 격차를 구함으로써, L* 성분의 계조 특성을 수치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S1 및 S2)은, 예를 들면,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의 화소수로부터 구할 수 있고, 구해진 화소수에 대하여 격차를 구함으로써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의 균일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 L* 성분의 계조 특성은, 평가 영역(R2)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M)의 수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도 3(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는,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에 대하여 평가 영역(R2)을 구분하는 등고선(M)의 수가 많아, 이것이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평가 영역(R2)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M)의 수를 구함으로써, L* 성분의 계조 특성을 수치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진 L* 성분의 계조 특성을 제2 피부 평가 지표로 하여, 계조 특성 산출부(10)로부터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이 제2 피부 평가 지표는, 피험자의 얼굴(F)의 전체적인 밝기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하는 제1 피부 평가 지표에 대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밝기의 변화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이며, 제1 피부 평가 지표와는 다른 관점에서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또, 제2 피부 평가 지표에서 이용되는 L* 성분의 계조 특성은,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마찬가지로, 피험자의 얼굴(F)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에 가까운 물리량이며, 제2 피부 평가 지표는 투명감의 평가에 대하여 관능 평가에 가까운 객관적인 지표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밝기·색 산출부(9)에서 구해진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이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각각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입력됨과 함께, 계조 특성 산출부(10)에서 구해진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L* 성분의 계조 특성이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입력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는, 입력된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제2 피부 평가 지표, 즉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C* 성분의 값과, 평가 영역(R2)의 L* 성분의 계조 특성을, 예를 들면, 미리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얻어진 중회귀식 등을 이용하여 선형화(線形和)하는 것으로 서로 조합함으로써,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에 대한 평가를 결정하기 위한 종합 지표를 산출한다. 산출된 종합 지표의 값은, 종합 지표 산출부(4)로부터 투명감 평가부(5)에 출력된다.
투명감 평가부(5)는,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가 표시부(6)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한 종합 지표에 의하여, 피험자의 얼굴(F)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감각을 따라 투명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관능 평가에 의한 투명감의 평가와 충분히 일치한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밝기 성분의 변화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하는 제2 피부 평가 지표는 종래에 없는 새로운 평가 지표이며, 이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더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함으로써, 평가 결과를 관능 평가에 의한 투명감의 평가에 보다 접근시킬 수 있다.
실제로, 상기의 투명감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투명감을 평가한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40대의 8명의 피험자에 대하여, 실시형태 1의 투명감의 평가 방법에 의하여 투명감을 평가함과 함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행한 것이다. 여기에서, 실시형태 1의 투명감의 평가 방법에서는, 각 피험자에 대하여,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L* 성분의 평균값,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C* 성분의 평균값 및 평가 영역(R2)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의 간격의 균일도를 각각 산출하고, 이들 값을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구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의 균일도는, 화상의 화소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을 구하고, 그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을 각각 나타내는 화소수의 격차를 산출한 것이며, 등고선의 간격이 균일할수록 수치가 작아지는 것이다.
도 5에,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L* 성분의 평균값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나타냄과 함께, 도 6에,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C* 성분의 평균값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나타내고, 도 7에, 평가 영역(R2)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의 간격의 균일도를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관능 평가값은, 관능 평가에 의하여 투명감을 30단계로 평가한 것이며, 값이 30에 가까워질수록 투명감이 없다고 평가된 것이다.
도 5에 근거하여 L* 성분의 평균값과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42였다. 또, 도 6에 근거하여 C* 성분의 평균값과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0032였다. 또한, 도 7에 근거하여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32였다. 이어서, 도 5~도 7에 대하여, L* 성분의 평균값 L과, C* 성분의 평균값 C와,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 K를 중회귀 분석한 결과, 관능 평가값 S(종합 지표값)=177.1-410.9×L+83.5×C-33.7×K의 중회귀식이 얻어졌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평가 방법에서는, 이 중회귀식에 L* 성분의 평균값 L과, C* 성분의 평균값 C와,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 K를 각각 대입함으로써, 이들 값을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구했다. 이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근거하여 종합 지표값과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62였다.
이와 같이, 종합 지표는,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충분히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투명감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L* 성분의 평균값과 C* 성분의 평균값뿐만 아니라 새롭게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를 더함으로써 투명감을 고정밀도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밝기·색 산출부(9)는, 피험자의 얼굴(F)에 설정된 평가 영역(R1)에 대하여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을 각각 구하여 제1 피부 평가 지표로 했지만, 전체적인 밝기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색 성분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구하여 제1 피부 평가 지표로 하면 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체적인 L* 성분의 값만, 또는 전체적인 C* 성분의 값만을 제1 피부 평가 지표로 할 수 있다. 또, 평가 영역(R1)에 있어서, a* 성분의 평균값, b* 성분의 평균값 및 Hue 성분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들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전체적인 색 성분의 값, 즉 제1 피부 평가 지표로 할 수도 있다.
또, 실시형태 1에서는,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평가 영역(R2)에 걸친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구하여 제2 피부 평가 지표로 했지만, 평가 영역(R2)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를 구하고, 구해진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평가 영역(R2)에 걸친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한쪽을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면 되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평가 영역(R2)에 걸친 C*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만을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거나, 혹은 평가 영역(R2)에 걸친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과 C*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각각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할 수 있다. 또, 평가 영역(R2)에 걸친 a*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b*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Hue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할 수도 있다.
또, 밝기·색 산출부(9)에서 구해지는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계조 특성 산출부(10)에서 구해지는 제2 피부 평가 지표의 모든 지표를 이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제어부(7)가 피험자의 연령 등에 따라, 밝기·색 산출부(9)와 계조 특성 산출부(10)에서 산출하는 지표를 원하는 평가 정밀도가 유지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에서는, 피험자의 얼굴(F)을 촬영한 카메라(C)를 투명감 평가 장치에 접속하여 촬영 화상을 전처리부(1)에 입력했지만, 투명감 평가 장치는 카메라를 내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스마트 폰 등) 및 태블릿 등의 카메라를 탑재한 디바이스 내에 투명감 평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 투명감 평가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촬영 화상을 전처리부(1)에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투명감 평가 장치는, 촬영 화상을 보존한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촬영 화상에 근거하여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서버 등에 격납한다. 이로써, 유저는, 서버에 액세스함으로써 투명감의 평가 결과를 열람, 또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투명감의 평가 결과를 입수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9에, 실시형태 2에 관한 투명감의 평가 방법을 행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투명감 평가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투명감 평가 장치에 있어서, 밝기·색 산출부(9) 대신에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를 지표 산출부(3)에 배치하여, 색 공간 변환부(2)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각각 접속한 것이다.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는,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밝기 성분 화상 또는 색 성분 화상의 피험자의 얼굴(F)에 대하여 평가 영역(R3)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 영역(R3)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기미 및 모공 등의 마이너스 인자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평가 영역(R3)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 또는 뺨 부분 등에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는,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을 구한다.
마이너스 인자는, Dog 화상을 생성하여 기미 및 모공을 추출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에 L* 성분 화상이 입력되면, L* 성분 화상으로부터 가우시안의 크기가 다른 Dog 화상(Difference of Gaussian 화상)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기미는 2mm~10mm의 크기이고 또한 0.05cycle/mm~0.25cycle/mm의 주파수를 가지며, 모공은 0.5mm~2mm의 크기이고 또한 0.25cycle/mm~1.0cycle/mm의 주파수를 갖는다. 따라서,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는, 기미 및 모공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성분이 추출되도록 Dog 화상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Dog 화상 처리 시에, 임계값 처리한 2치화 화상으로부터 각 성분의 형상을 산출하며, 둥근 형상이고 또한 그 원형도(4π×면적)/주위 길이2가 0.4~1.0, 바람직하게는 0.6~1.0이고, 주위 길이가 0.5mm~10mm인 성분을 마이너스 인자로서 검출한다. 즉, 마이너스 인자는, 주파수 대역과 크기에 근거하여 Dog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검출된다.
또한, L* 성분 화상뿐만 아니라, a* 성분 화상 및 b* 성분 화상 등의 색 성분 화상을 이용하여 Dog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마이너스 인자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 RGB 색 공간의 B채널을 이용하여 Dog 화상을 생성하여, 마이너스 인자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 마이너스 인자는, Dog 화상을 생성하지 않고, 예를 들면, L* 성분 화상으로부터 소정의 임계값 이하의 강도를 갖는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성분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 및 독립 성분 분석 등을 실시함으로써 검출할 수도 있다.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는,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예를 들면,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및 면적률 등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마이너스 인자의 총면적은, 화상에 있어서 마이너스 인자를 구성하는 화소수 등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 마이너스 인자는, 가령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며, 그 발생량이 작을수록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이 높게 느껴진다. 또한, 마이너스 인자 중 기미에 대해서는, 색의 농도가 투명감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위의 피부에 대한 기미의 농도를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으로서 산출할 수도 있다. 기미의 농도는, 예를 들면, 평가 영역(R3) 전체의 색 성분의 평균값을 구함과 함께 평가 영역(R3)에서 검출된 기미 부분의 색 성분의 평균값을 구하고, 평가 영역(R3) 전체의 색 성분의 평균값에 대한 기미 부분의 색 성분의 평균값의 차분(색차)을 산출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은,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로부터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된다.
이 제1 피부 평가 지표에서 이용되는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에 가까운 물리량이며, 제1 피부 평가 지표는 투명감의 평가에 대하여 관능 평가에 가까운 객관적인 지표를 부여하는 것이 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에는,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로부터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및 면적률이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입력됨과 함께, 계조 특성 산출부(10)로부터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가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입력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는, 입력된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와, 마이너스 인자의 총면적과, 마이너스 인자의 면적률과,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중회귀식 등을 이용하여 서로 조합함으로써,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에 대한 평가를 결정하기 위한 종합 지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투명감 평가부(5)가,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가 표시부(6)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한 종합 지표에 의하여, 피험자의 얼굴(F)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감각을 따라 투명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관능 평가에 의한 투명감의 평가와 충분히 일치한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투명감 평가 장치에 있어서, 지표 산출부(3)에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2)를 새롭게 마련하고, 이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2)를 색 공간 변환부(2)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각각 접속하여 투명감 평가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2)에 있어서,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및 면적률이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되고, 이 제1 피부 평가 지표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는, 밝기·색 산출부(9)로부터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이 각각 입력됨과 함께, 계조 특성 산출부(10)로부터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가 입력되고, 또한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2)로부터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및 면적률이 각각 입력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는, 입력된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C* 성분의 값과, 평가 영역(R2)의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과,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와, 마이너스 인자의 총면적과, 마이너스 인자의 면적률을 중회귀식 등을 이용하여 서로 조합함으로써,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에 대한 평가를 결정하는 종합 지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투명감 평가부(5)가,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가 표시부(6)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보다 많은 지표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함으로써, 고정밀도로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및 2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에 있어서, 피험자의 얼굴(F)의 색 불균일을 검출하여 그 발생량을 산출하는 색 불균일 산출부를 지표 산출부(3)에 새롭게 마련하여 투명감 평가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9에 나타낸 실시형태 2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에 있어서, 지표 산출부(3)에 색 불균일 산출부(31)를 새롭게 마련하고, 이 색 불균일 산출부(31)를 색 공간 변환부(2)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색 불균일 산출부(31)는,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밝기 성분 화상 또는 색 성분 화상의 피험자의 얼굴(F)에 대하여 평가 영역(R4)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 영역(R4)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함과 함께 마이너스 인자보다 큰 부분을 색 불균일로서 검출한다. 여기에서, 평가 영역(R4)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 또는 뺨 부분 등에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색 불균일 산출부(31)는,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발생량을 구한다.
색 불균일은, 마이너스 인자와 마찬가지로, Dog 화상을 생성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색 불균일은, 약 10mm 이상의 크기이고 또한 0.05cycle/mm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다. 따라서,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입력된 L* 성분 화상으로부터 0.05cycle/mm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부분이 추출되도록 Dog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이 Dog 화상 처리 시에, 임계값 처리한 2치화 화상으로부터 각 성분의 형상을 산출하며, 둥근 형상이고 또한 그 원형도(4π×면적)/주위 길이2가 0.4~1.0, 바람직하게는 0.6~1.0이고, 주위 길이가 약 10mm 이상인 부분을 색 불균일로서 검출한다. 즉, 색 불균일은, 주파수 대역과 크기에 근거하여 Dog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검출된다.
또한, L* 성분 화상뿐만 아니라, a* 성분 화상 및 b* 성분 화상 등의 색 성분 화상을 이용하여 Dog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색 불균일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 RGB 색 공간의 B채널을 이용하여 Dog 화상을 생성하여, 색 불균일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색 불균일 산출부(31)는,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색 불균일의 발생량, 예를 들면, 색 불균일의 총면적, 면적률 및 개수 등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색 불균일의 총면적은, 화상에 있어서 색 불균일을 구성하는 화소수 등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 색 불균일은, 가령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며, 그 발생량이 작을수록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이 높게 느껴진다. 따라서, 색 불균일 산출부(31)는,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발생량을 제3 피부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이 제3 피부 평가 지표에서 이용되는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발생량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에 가까운 물리량이며, 제3 피부 평가 지표는 투명감의 평가에 대하여 관능 평가에 가까운 객관적인 지표를 부여하는 것이 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에는,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로부터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및 면적률이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입력됨과 함께, 계조 특성 산출부(10)로부터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가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입력되고, 또한 색 불균일 산출부(31)로부터 색 불균일의 총면적 및 면적률이 제3 피부 평가 지표로서 입력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는, 입력된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와, 마이너스 인자의 총면적과, 마이너스 인자의 면적률과,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과, 색 불균일의 총면적과, 색 불균일의 면적률을 중회귀식 등을 이용하여 서로 조합함으로써,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에 대한 평가를 결정하기 위한 종합 지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투명감 평가부(5)가,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가 표시부(6)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제2 피부 평가 지표와, 제3 피부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한 종합 지표에 의하여, 피험자의 얼굴(F)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감각을 따라 투명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관능 평가에 의한 투명감의 평가와 충분히 일치한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상기의 실시형태 3의 투명감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투명감을 평가한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40대의 8명의 피험자에 대하여, 실시형태 3의 투명감의 평가 방법에 의하여 투명감을 평가함과 함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행한 것이다. 여기에서, 실시형태 3의 투명감의 평가 방법에서는, 각 피험자에 대하여,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기미의 총면적,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모공의 총면적, 평가 영역(R2)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의 간격의 균일도, 및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총면적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 값을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구하고 있다. 또한, 기미의 총면적, 모공의 총면적 및 색 불균일의 총면적은, 기미, 모공 및 색 불균일을 각각 구성하는 화소수로부터 산출하고 있다.
도 12에,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기미의 총면적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나타냄과 함께, 도 13에,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모공의 총면적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나타내고, 도 14에,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총면적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2에 근거하여 기미의 총면적과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57이었다. 또, 도 13에 근거하여 모공의 총면적과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58이었다. 또한, 도 14에 근거하여 색 불균일의 총면적과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49였다. 또,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에 근거하여 구해진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 계수 R2는 0.32이다.
이어서, 도 12~도 14 및 도 7에 대하여, 기미의 총면적 F와, 모공의 총면적 P와, 색 불균일의 총면적 I와,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 K를 중회귀 분석한 결과, 관능 평가값 S(종합 지표값)=-79.67-112.26×F+153.72×P+134.45×I+41.98×K의 중회귀식이 얻어졌다.
따라서, 실시형태 3의 평가 방법에서는, 이 중회귀식에 기미의 총면적 F와, 모공의 총면적 P와, 색 불균일의 총면적 I와,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 K를 각각 대입함으로써, 이들 값을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구했다. 이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에 근거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79였다.
이와 같이, 종합 지표는,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충분히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기미의 총면적 F, 모공의 총면적 P, 색 불균일의 총면적 I 및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 K를 서로 조합함으로써 투명감을 고정밀도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0에 나타낸 실시형태 3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에 있어서, 지표 산출부(3)에 색 불균일 산출부(41)를 새롭게 마련하고, 이 색 불균일 산출부(41)를 색 공간 변환부(2)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각각 접속하여 투명감 평가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지정 산출부(3)는, 실시형태 1~3에서 나타난 밝기·색 산출부, 계조 특성 산출부,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 및 색 불균일 산출부를 모두 갖는 것이다.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색 불균일 산출부(41)에서는,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발생량이 제3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되고, 이 제3 피부 평가 지표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는, 밝기·색 산출부(9)로부터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이 각각 입력됨과 함께, 계조 특성 산출부(10)로부터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가 입력되고,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2)로부터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및 면적률이 각각 입력되며, 또한 색 불균일 산출부(41)로부터 색 불균일의 총면적 및 면적률이 각각 입력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는, 입력된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C* 성분의 값과, 평가 영역(R2)의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과,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와,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총면적과,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면적률과,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총면적과,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색 불균일의 총면적을, 중회귀식 등을 이용하여 서로 조합함으로써,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에 대한 평가를 결정하기 위한 종합 지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투명감 평가부(5)가,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가 표시부(6)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보다 많은 지표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함으로써, 고정밀도로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의 실시형태 4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투명감을 평가한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40대의 8명의 피험자에 대하여, 실시형태 4의 투명감의 평가 방법에 의하여 투명감을 평가함과 함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행한 것이다. 여기에서, 실시형태 4의 투명감의 평가 방법에서는, 각 피험자에 대하여,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L* 성분의 평균값,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C* 성분의 평균값, 평가 영역(R2)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의 간격의 균일도,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기미의 총면적,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모공의 총면적 및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총면적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 값을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구하고 있다.
또, 비교예로서, 각 피험자에 대하여,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L* 성분의 평균값,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C* 성분의 평균값,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기미의 총면적,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모공의 총면적 및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총면적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 값을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구했다. 즉, 실시형태 4의 종합 지표에 대하여, 평가 영역(R2)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의 간격의 균일도를 제외한 지표에 의하여 종합 지표를 구하고 있다.
여기에서, 실시형태 4의 종합 지표를 산출할 때에 이용되는 중회귀식은, 종합 지표=188.9-536.0×L-17.3×C-19.6×F+64.3×P+186.5×I+62.0×K였다. 또, 비교예의 종합 지표를 산출할 때에 이용되는 중회귀식은, 종합 지표=189.7-532.1×L+72.0×C+185.4×F-109.7×P+99.6×I였다. 또한, L은 L* 성분의 평균값을, C는 C* 성분의 평균값을, F는 기미의 총면적을, P는 모공의 총면적을, I는 색 불균일의 총면적을, K는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형태 4의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도 17에 나타냄과 함께, 비교예의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7에 근거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98이었다. 한편, 도 18에 근거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89였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4의 종합 지표는, 비교예의 종합 지표에 비하여, 관능 평가값과의 상관이 충분히 향상되어 있으며, 투명감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등고선 간격의 균일도를 더함으로써 투명감을 고정밀도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 1~4에서는, 피험자의 얼굴에 대하여 투명감을 평가했지만, 피험자의 피부이면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팔 등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 1~4와 같은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의 평가는, 입력 수단, CPU 및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컴퓨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된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에 의하여 기능시킴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에 기록된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이 컴퓨터를 기능시킴으로써, 화상 입력부가, 피험자의 화장하지 않은 피부를 촬영한 촬영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된 촬영 화상에 근거하여, CPU가, 전처리부(1), 색 공간 변환부(2), 지표 산출부(3), 종합 지표 산출부(4) 및 투명감 평가부(5)를 실행시켜 피험자의 화장하지 않은 피부에 대하여 투명감의 평가를 행한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1~4에서는, 피험자의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했지만,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할 수도 있다.
도 19에, 실시형태 5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투명감 평가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 1의 투명감 평가 장치에 있어서, 지표 산출부(3) 대신에 지표 산출부(51)를 배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감 평가 장치는, 화장을 실시한 피험자의 얼굴(F)을 카메라(C)로 촬영한 촬영 화상을 이용하여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으로, 카메라(C)에 접속되는 화상 입력부(1a)를 구비하고, 이 화상 입력부(1a)에 전처리부(1), 색 공간 변환부(2), 지표 산출부(51), 종합 지표 산출부(4), 투명감 평가부(5) 및 표시부(6)가 순차 접속되어 있다. 또, 색 공간 변환부(2), 지표 산출부(51), 종합 지표 산출부(4) 및 투명감 평가부(5)에는 제어부(7)가 접속되고, 이 제어부(7)에 조작부(8)가 접속되어 있다.
화상 입력부(1a)는,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화장 피부)을 촬영한 카메라(C)로부터 촬영 화상을 입력한다.
전처리부(1)는, 화상 입력부(1a)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화상에 대하여, 광량 보정 및 노이즈 제거 등의 전처리를 실시한다.
색 공간 변환부(2)는, 전처리부(1)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화상의 색 공간을 변환하여 색 공간 변환 화상을 생성한다.
지표 산출부(51)는, 색 공간 변환부(2)에 각각 접속되는 피부 지표 산출부(52)와 화장 지표 산출부(53)를 갖는다. 피부 지표 산출부(51) 및 화장 지표 산출부(52)는,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색 공간 변환 화상이 입력되고, 색 공간 변환 화상에 근거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기 위한 피부 평가 지표 및 화장 평가 지표를 각각 산출한다.
여기에서, 피부 평가 지표는,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실시형태 1~4의 지표와 공통되는 평가 지표이며, 화장 피부를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감각을 따라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이다. 한편, 화장 평가 지표는, 화장 피부의 투명감의 평가에 특유의 평가 지표이며,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새로운 지표이다. 예를 들면, 화장을 두껍게 실시했을 때에 느끼는 화장의 두께감이 투명감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 두께감에 근거하여 화장 평가 지표를 정할 수 있다.
피부 지표 산출부(52) 및 화장 지표 산출부(53)는, 각각 산출한 피부 평가 지표 및 화장 평가 지표를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종합 지표 산출부(4)는, 피부 지표 산출부(52) 및 화장 지표 산출부(53)에서 각각 산출된 피부 평가 지표 및 화장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한다.
투명감 평가부(5)는,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평가한다.
표시부(6)는, 예를 들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투명감 평가부(5)에서 평가된 투명감의 평가 결과를 표시한다.
조작부(8)는, 조작자가 정보의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널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7)는,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부(8)로부터 입력된 각종 지령 신호 등에 근거하여, 투명감 평가 장치 내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표 산출부(51)의 피부 지표 산출부(5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지표 산출부(52)는, 각각 색 공간 변환부(2)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접속된 밝기·색 산출부(9),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 색 불균일 산출부(31) 및 계조 특성 산출부(10)를 갖는다.
밝기·색 산출부(9)는, 실시형태 1의 밝기·색 산출부(9)와 마찬가지로,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1)을 설정하여,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또는 색 성분의 대푯값을 산출한다. 평가 영역(R1)은, 예를 들면, 얼굴(F) 전체 또는 뺨 부분에 설정할 수 있다. 또, 밝기 성분의 대푯값 및 색 성분의 대푯값은, 예를 들면,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평균값 및 색 성분의 평균값으로부터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는, 실시형태 2의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와 마찬가지로,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3)을 설정하고, 평가 영역(R3)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기미 및 모공 등의 마이너스 인자를 검출하여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을 구한다. 평가 영역(R3)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 또는 뺨 부분 등에 설정할 수 있다. 또,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및 면적률 등을 들 수 있다.
색 불균일 산출부(31)는, 실시형태 3의 색 불균일 산출부(31)와 마찬가지로,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4)을 설정하고, 평가 영역(R4)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부분 중, 마이너스 인자보다 큰 부분을 색 불균일로서 검출하여 색 불균일의 발생량을 구한다. 평가 영역(R4)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 또는 뺨 부분 등에 설정할 수 있다. 또, 색 불균일의 발생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색 불균일의 총면적, 면적률 및 개수 등을 들 수 있다.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실시형태 1의 계조 특성 산출부(10)와 마찬가지로,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2)을 설정하고, 평가 영역(R2)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변화(계조)의 평활도를 나타내는 계조 특성을 산출한다. 평가 영역(R2)은, 예를 들면,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부터 얼굴(F)의 윤곽 부분에 걸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표 산출부(51)의 화장 지표 산출부(5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 지표 산출부(53)는, 각각 색 공간 변환부(2)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접속된 적색 성분량 산출부(54), 기미 색상차 산출부(55), 요철량 산출부(56) 및 중광택량 산출부(57)를 갖는다.
적색 성분량 산출부(54)는,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색 성분 화상에 대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5)을 설정한다. 평가 영역(R5)은, 미간 부분, 뺨 부분 및 턱 부분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 성분량 산출부(54)는, 색 성분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R5)에 있어서의 적색 성분의 양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적색 성분으로서는, 미간 부분, 뺨 부분 및 턱 부분 등의 피험자의 얼굴(F)의 일부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혈색에 기인한 붉은기를 나타내는 것이며, 예를 들면, 색 성분 화상의 a*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색 성분은, 혈색에 기인한 붉은기를 보다 확실히 추출하기 위하여, 색 성분 화상의 a* 성분 중 정의 값을 갖는 성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적색 성분은, 붉은기를 갖는 입술 등의 오류 검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a* 성분 중 13 이상 30 이하의 값을 갖는 성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적색 성분의 양으로서는, 평가 영역(R5)에 있어서의 적색 성분(예를 들면, a* 성분)의 평균값, 평가 영역(R5)에 있어서 적색 성분의 값이 소정의 범위를 나타내는 부분(예를 들면, a* 성분의 값이 13 이상 30 이하를 나타내는 부분)의 면적, 또는 평가 영역(R5)에 있어서 적색 성분의 값이 소정의 범위를 나타내는 부분(예를 들면, a* 성분의 값이 13 이상 30 이하를 나타내는 부분)의 면적률 등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적색 성분량 산출부(54)는, 평가 영역(R5)에 있어서의 적색 성분의 양을 화장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기미 색상차 산출부(55)는,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밝기 성분 화상 또는 색 성분 화상에 대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6)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 영역(R6)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기미 부분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평가 영역(R6)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 또는 뺨 부분 등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기미 색상차 산출부(55)는, 색 성분 화상에 있어서, 기미 부분과 그 주위와의 색상차를 산출한다.
기미 색상차 산출부(55)는, 평가 영역(R6)에 있어서의 기미 부분과 그 주위와의 색상차를 화장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요철량 산출부(56)는,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밝기 성분 화상에 대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7)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 영역(R7)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에 근거하여 피험자의 얼굴에 발생한 음영을 나타내는 저휘도 부분을 요철 부분으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요철량 산출부(56)는, 피험자의 얼굴(F)에 있어서의 표준적인 L*의 값, 예를 들면, 얼굴(F) 전체에 걸친 L*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L*의 평균값을,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밝기 성분 화상의 L*의 값으로부터 화소마다 제함으로써 차분 화상을 생성하여 ΔL*을 구하고, 차분 화상에 있어서 ΔL*<3이 되는 저휘도 부분을 요철 부분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분 화상 등에 노이즈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화상을 팽창 처리 등 함으로써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검출된 저휘도 부분 중, 크기 및 형상에 근거하여 주름 또는 모공을 나타내는 부분을 추가로 추출하여 요철 부분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가 영역(R7)은, 예를 들면, 눈가 부분 및 코에서 입가로 뻗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요철량 산출부(56)는, 평가 영역(R7)에 있어서 검출된 요철 부분의 양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요철 부분의 양으로서는, 평가 영역(R7)에 있어서의 요철 부분의 면적(화소수) 또는 면적률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요철량 산출부(56)는, 평가 영역(R7)에 있어서의 요철 부분의 양을 화장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중광택량 산출부(57)는,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된 밝기 성분 화상에 대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8)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 영역(R8)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강도에 근거하여, 중간 정도의 광의 반사율을 갖는 중광택 부분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중광택 부분은, 화장 피부에 있어서, 광의 반사율이 높은 부분을 번들거림 부분, 광의 반사율이 낮은 부분을 매트감 부분으로 했을 때에, 번들거림 부분과 매트감 부분의 사이의 광의 반사율을 갖는 윤기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중광택 부분으로서는, 밝기 성분의 강도가 60 이상 70 이하의 값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평가 영역(R8)은, 예를 들면, 광대뼈 부분 및 콧날 부분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중광택량 산출부(57)는, 평가 영역(R8)에 있어서 검출된 중광택 부분의 양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중광택 부분의 양으로서는, 평가 영역(R8)에 있어서의 중광택 부분의 면적(화소수) 또는 면적률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중광택량 산출부(57)는, 평가 영역(R8)에 있어서의 중광택 부분의 양을 화장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5)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 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을 카메라(C)로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 화상이, 실시형태 1~4와 마찬가지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C)로부터 투명감 평가 장치의 화상 입력부(1a)를 통하여 전처리부(1)에 입력된다. 촬영 화상은, 전처리부(1)에 있어서 전처리가 실시된 후, 색 공간 변환부(2)에 있어서 색 공간 변환 화상이 생성된다. 색 공간 변환부(2)는, 색 공간 변환 화상으로부터 밝기 성분과 색 성분을 추출하여, 밝기 성분 화상과 색 성분 화상을 각각 생성한다. 예를 들면, 밝기 성분 화상으로서 L* 성분 화상을 생성함과 함께 색 성분 화상으로서 C* 성분 화상, a* 성분 화상 및 Hue 성분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색 공간 변환부(2)는, 생성한 L* 성분 화상과 C* 성분 화상을 피부 지표 산출부(52)의 밝기·색 산출부(9),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 색 불균일 산출부(31) 및 계조 특성 산출부(10)에 각각 출력한다.
밝기·색 산출부(9)는, L* 성분 화상과 C* 성분 화상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평가 영역(R1)의 설정과 마찬가지로,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에 평가 영역(R1)을 설정한다. 이어서, 밝기·색 산출부(9)는, L* 성분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R1)에 대하여 L* 성분의 강도의 평균값을 구함과 함께 C* 성분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R1)에 대하여 C* 성분의 강도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로써, 피험자의 얼굴(F)에 설정된 평가 영역(R1)에 대하여,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을 각각 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젊은 사람의 피부는 색이 희고 밝으며 또한 채도가 낮은 것에 반하여, 가령에 따라 피부가 전체적으로 황색을 띠고 어두워지며, 피부의 투명감이 전체적으로 감소되어 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밝기와 채도의 변화는, 화장 피부에 있어서도 동일한 인상을 주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밝기·색 산출부(12)에서 구해지는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은, 화장 피부의 투명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체적인 L* 성분의 값이 높을(밝을)수록,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은 높게 느껴지고, 전체적인 C* 성분의 값이 낮을수록,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은 높게 느껴지는 것이다. 따라서,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L* 성분의 평균값과 C* 성분의 평균값을, 각각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기 위한 피부 평가 지표로 하여, 밝기·색 산출부(9)로부터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이 피부 평가 지표에서 이용되는 평가 영역(R1)에 있어서의 L* 성분의 평균값과 C* 성분의 평균값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에 가까운 물리량이며, 투명감의 평가에 대하여 관능 평가에 가까운 객관적인 지표를 부여하는 것이다.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는, L* 성분 화상에 대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에 평가 영역(R3)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 영역(R3)에 있어서 L*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기미 및 모공 등의 마이너스 인자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마이너스 인자는, 실시형태 2의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와 마찬가지로, Dog 화상을 생성하여 기미 및 모공을 추출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이어서,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는,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예를 들면,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및 면적률 등을 산출한다. 이 마이너스 인자는, 가령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며, 그 발생량이 작을수록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이 높게 느껴지는 것이다. 또한, 마이너스 인자 중 기미에 대해서는, 색의 농도가 투명감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위의 화장 피부에 대한 기미의 농도를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으로서 산출할 수도 있다. 기미의 농도는, 예를 들면, 평가 영역(R3) 전체의 색 성분의 평균값을 구함과 함께 평가 영역(R3)에서 검출된 기미 부분의 색 성분의 평균값을 구하고, 평가 영역(R3) 전체의 색 성분의 평균값에 대한 기미 부분의 색 성분의 평균값의 차분(색차)을 산출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은, 피부 평가 지표로서,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로부터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된다.
이 피부 평가 지표에서 이용되는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에 가까운 물리량이며, 피부 평가 지표는 투명감의 평가에 대하여 관능 평가에 가까운 객관적인 지표를 부여하는 것이 된다.
색 불균일 산출부(31)는, L* 성분 화상에 대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4)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 영역(R4)에 있어서 L*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함과 함께 마이너스 인자보다 큰 부분을 색 불균일로서 검출한다. 여기에서, 색 불균일은, 실시형태 3의 색 불균일 산출부(31)와 마찬가지로, Dog 화상을 생성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 평가 영역(R4)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 또는 뺨 부분 등에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색 불균일 산출부(31)는,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색 불균일의 발생량, 예를 들면, 색 불균일의 총면적 및 면적률 등을 산출한다. 이 색 불균일은, 가령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며, 그 발생량이 작을수록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이 높게 느껴진다. 따라서, 색 불균일 산출부(31)는,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발생량을 피부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이 피부 평가 지표에서 이용되는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발생량은, 피험자의 얼굴(F)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에 가까운 물리량이며, 피부 평가 지표는 투명감의 평가에 대하여 관능 평가에 가까운 객관적인 지표를 부여하는 것이 된다.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실시형태 1의 계조 특성 산출부(10)와 동일하게 하여, L* 성분 화상의 소정의 평가 영역(R2)에 대하여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를 구하고, 구해진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평가 영역(R2)에 걸친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나타내는 계조 특성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도 22(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 성분 화상의 피험자의 얼굴(F)에 대하여, 일정한 강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복수의 등고선(M)을 설정하고, 이 복수의 등고선(M)에 의하여 피험자의 얼굴(F)을 L* 성분의 값에 따라 구획한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도 22(a)는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이며, 도 22(b)는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이다. 이와 같이 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을 복수의 등고선으로 구획함으로써,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분포를 복수의 등고선의 위치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피험자의 얼굴(F)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M)은, L* 성분 화상의 강도 레인지에 대하여 1/10 정도의 강도 간격이 되도록, 또는 3~5digit 간격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계조 특성 산출부(10)는,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에 대하여,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부터 얼굴(F)의 윤곽 부분을 직선적으로 잇도록 평가 영역(R2)을 설정한다. 이 때, 평가 영역(R2)은,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 중 L* 성분의 값이 가장 높은 부분을 통과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평가 영역(R2)은, 뺨 부분 중에서 L* 성분의 값이 가장 높은 위치부터 수평 방향으로 얼굴(F)의 윤곽 부분까지를 직선적으로 잇는 영역에 설정할 수 있다. 또, 평가 영역(R2)은, 뺨 부분 중에서 L* 성분의 값이 가장 높은 위치부터 얼굴(F)의 윤곽 부분까지를, 복수의 등고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여 교차하도록 직선적으로 잇는 영역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도 22(a))에 설정된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를 도 23(a)에 나타냄과 함께,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G)(도 22(b))에 설정된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를 도 23(b)에 나타낸다. 도 23(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높은 피험자의 평가 영역(R2)에 있어서의 L* 성분의 변화는,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낮은 피험자의 L* 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얼굴(F)의 만곡에 따른 일정한 곡선을 그리듯이, 매끄럽게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L*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를 나타내는 계조 특성을, 투명감을 평가하기 위한 피부 평가 지표로 할 수 있다.
L* 성분의 계조 특성은, 실시형태 1의 계조 특성 산출부(10)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 영역(R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을 각각 구하고, 구해진 복수의 등고선(M)의 간격의 균일도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 L* 성분의 계조 특성은, 평가 영역(R2)을 구획하는 복수의 등고선(M)의 수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진 L* 성분의 계조 특성을 피부 평가 지표로 하여, 계조 특성 산출부(10)로부터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이 피부 평가 지표는,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전체적인 밝기 등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하는 상기의 평가 지표에 대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밝기의 변화에 근거하여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이며, 상기의 피부 평가 지표와는 다른 관점에서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또, 피부 평가 지표에서 이용되는 L* 성분의 계조 특성은, 상기의 피부 평가 지표와 마찬가지로, 피험자의 얼굴(F) 전체를 보았을 때의 감각에 가까운 물리량이며, 피부 평가 지표는 투명감의 평가에 대하여 관능 평가에 가까운 객관적인 지표를 부여하는 것이다.
한편, 색 공간 변환부(2)는, 생성한 L* 성분 화상, C* 성분 화상, a* 성분 화상 및 Hue 성분 화상을 화장 지표 산출부(53)의 적색 성분량 산출부(54), 기미 색상차 산출부(55), 요철량 산출부(56) 및 중광택량 산출부(57)에 각각 출력한다.
적색 성분량 산출부(54)는,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입력된 a* 성분 화상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미간 부분, 뺨 부분 및 턱 부분에 평가 영역(R5)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피험자의 얼굴(F)에 파운데이션이 도포된 화장 피부에 대하여, 투명감이 높다고 관능 평가로 평가된 화장 피부의 a* 성분 화상을 도 25(a)에 나타내고, 투명감이 낮다고 관능 평가로 평가된 화장 피부의 a* 성분 화상을 도 25(b)에 나타낸다. 도 25(a)에서는, 평가 영역(R5)이 설정된 미간 부분, 뺨 부분 및 턱 부분에 있어서 적색 성분(D)(검게 표시된 부분)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에 반하여, 도 25(b)에서는, 평가 영역(R5)이 설정된 미간 부분, 뺨 부분 및 턱 부분에 있어서 적색 성분(D)이 거의 분포하고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하지 않은 피부 상태에서는, 미간 부분, 뺨 부분 및 턱 부분에 있어서 혈색에 기인하는 붉은기(적색 성분)이 현저하게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후에 있어서도 혈색에 의한 붉은기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화장에 기인한 부자연스러운 변화는 느끼기 어려워, 파운데이션에 의하여 피부색이 정돈된 효과로 높은 투명감이 얻어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후에 혈색에 의한 붉은기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장에 기인한 부자연스러운 변화가 커진다. 그리고, 이 부자연스러운 변화가 파운데이션을 두껍게 바른 두께감 등을 발생시켜, 투명감을 낮게 느끼게 된다.
따라서, 적색 성분량 산출부(54)는, a* 성분 화상에 설정된 평가 영역(R5)에 있어서의 적색 성분의 양을 산출한다. 이 적색 성분의 양은,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저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이며, 그 값이 저하될수록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낮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적색 성분의 양은, a* 성분의 값의 평균값, a* 성분의 값이 13 이상 30 이하를 나타내는 부분의 면적, 또는 a* 성분의 값이 13 이상 30 이하를 나타내는 부분의 면적률 등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5(a) 및 (b)에 있어서, 입술 부분 M이 적색 성분을 나타내고 있지만, a* 성분의 값을 13 이상 30 이하로 함으로써, 입술 부분(M)을 제외한 적색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적색 성분량 산출부(54)는, 평가 영역(R5)에 있어서의 적색 성분의 양을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기 위한 화장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이 화장 평가 지표에 이용된 적색 성분의 양은, 상술한 피부 평가 지표와 같이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할 때에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닌,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감소를 나타내는 화장 피부 특유의 평가 지표이며, 피부 평가 지표와는 다른 관점에서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기미 색상차 산출부(55)는,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입력된 L* 성분 화상에 대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뺨 부분에 평가 영역(R6)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 영역(R6)에 있어서 L*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기미 부분을 검출한다. 기미 부분은,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와 동일하게 하여, Dog 화상 등에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험자의 얼굴(F)에 화장이 실시됨으로써, 기미 부분과 그 주위의 색상차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피험자의 얼굴(F)에 파운데이션을 도포하면, 파운데이션에 의하여 피부의 색이 균일하게 정돈되는 한편, 기미 부분의 색에 파운데이션의 색이 겹쳐짐으로써, 부분적으로 회색 등이 부자연스러운 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기미 부분의 부자연스러운 색은, 파운데이션으로 균일하게 정돈된 주위의 색과의 차이가 크고, 이 색상차가 화장을 두껍게 바른 두께감 등을 발생시켜, 투명감이 낮다고 느껴진다.
따라서, 기미 색상차 산출부(55)는, 검출된 기미 부분과 주위와의 색상차를, 예를 들면, Hue 성분 화상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이 색상차는,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저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이며, 그 차가 클수록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낮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기미 색상차 산출부(55)는, 평가 영역(R6)에 있어서의 기미 부분과 그 주위와의 색상차를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기 위한 화장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이 화장 평가 지표에 이용된 기미 부분과 그 주위와의 색상차는, 상술한 피부 평가 지표와 같이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할 때에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닌,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감소를 나타내는 화장 피부 특유의 평가 지표이며, 피부 평가 지표와는 다른 관점에서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요철량 산출부(56)는,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입력된 L* 성분 화상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눈가 부분 및 코에서 입가로 뻗는 부분에 평가 영역(R7)을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평가 영역(R7)에 있어서 L* 성분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요철 부분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도 26(a) 및 (b)에, 피험자의 얼굴(F)에 파운데이션이 도포된 화장 피부의 눈가 부분에 대하여, L* 성분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를 나타내는 저휘도 부분(L)을 추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6(a)는 관능 평가로 투명감이 높다고 평가된 화장 피부이며, 도 26(b)는 관능 평가로 투명감이 낮다고 평가된 화장 피부이다. 그 결과, 도 26(a)에서는, 평가 영역(R7)이 설정되는 눈가 부분에 있어서 저휘도 부분(L)이 적은 것에 반하여, 도 26(b)에서는, 평가 영역(R7)이 설정되는 눈가 부분에 있어서 저휘도 부분(L)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의 도포량이 많은 경우 등에, 주름 부분 등의 요철 부분에 파운데이션이 퇴적하여 그림자 등이 발생하고, 이로써 저휘도 부분(L)이 증가하여 요철 부분이 눈에 띄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 피부에 있어서 저휘도 부분(L)이 적어, 요철 부분이 눈에 띄지 않는 경우에는, 화장에 기인한 부자연스러운 변화는 느끼기 어려워, 파운데이션에 의하여 피부색이 정돈된 효과로 높은 투명감이 얻어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 피부에 있어서 저휘도 부분(L)이 많아, 요철 부분이 눈에 띄는 경우에는, 화장에 기인한 부자연스러운 변화가 커진다. 그리고, 이 부자연스러운 변화가 파운데이션을 두껍게 바른 두께감 등을 발생시킴으로써, 투명감이 낮다고 느껴진다.
따라서, 요철량 산출부(56)는, 평가 영역(R7)에 있어서 검출된 요철 부분의 양을 산출한다. 이 요철 부분의 양은,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저하를 나타내는 새로운 평가 지표가 되는 것이며, 그 값이 증가할수록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낮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요철 부분의 양은, 평가 영역(R7)에 있어서의 요철 부분의 면적 또는 면적률 등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요철량 산출부(56)는, 평가 영역(R7)에 있어서의 요철 부분의 양을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기 위한 화장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또한, 화장 후에 요철 부분이 눈에 띄는 현상은, 파우더성의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며, 요철량 산출부(56)에 의하여 산출되는 화장 평가 지표는 파우더성의 화장품을 이용한 경우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화장 평가 지표에 이용된 요철 부분의 양은, 상술한 피부 평가 지표와 같이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할 때에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닌,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감소를 나타내는 화장 피부 특유의 평가 지표이며, 피부 평가 지표와는 다른 관점에서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중광택량 산출부(57)는, 색 공간 변환부(2)로부터 입력된 L* 성분 화상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광대뼈 부분 및 콧날 부분에 평가 영역(R8)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 영역(R8)에 있어서 중간 정도의 광의 반사율을 갖는 중광택 부분을 L* 성분의 강도에 근거하여 검출한다. 중광택 부분은, 예를 들면, L* 성분의 강도가 60 이상 70 이하의 값을 나타내는 부분을 검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하지 않은 피부 상태에서는, 광대뼈 및 콧날 부분에 중광택 부분, 이른바 윤기가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피험자의 얼굴(F)에 화장이 실시됨으로써, 그 중광택 부분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피험자의 얼굴(F)에 파운데이션을 도포하면, 파운데이션에 의하여 피부의 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정돈되는 한편, 광택이 감소 또는 증가한다. 구체적으로는, 광택이 적은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경우에는 광택이 감소하고, 리퀴드성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경우에는 광택이 증가하게 된다. 이 광택의 감소 또는 증가에 의하여, 중광택 부분이 부자연스럽게 감소하여, 화장의 두께감 등을 발생시켜 투명감이 낮다고 느껴지게 된다.
따라서, 중광택량 산출부(57)는, 평가 영역(R8)에 있어서 검출된 중광택 부분의 양을 산출한다. 이 중광택 부분의 양은,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저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이며, 그 값이 저하될수록 화장 피부의 투명감이 낮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중광택 부분의 양은, 평가 영역(R8)에 있어서의 중광택 부분의 면적 또는 면적률 등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중광택량 산출부(57)는, 평가 영역(R8)에 있어서의 중광택 부분의 양을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기 위한 화장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또한, 화장 후에 중광택 부분이 저하되는 현상은, 리퀴드성의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며, 중광택량 산출부(57)에 의하여 산출되는 화장 평가 지표는 리퀴드성의 화장품을 이용한 경우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화장 평가 지표에 이용된 중광택 부분의 양은, 상술한 피부 평가 지표와 같이 화장하지 않은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할 때에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닌,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감소를 나타내는 화장 피부 특유의 평가 지표이며, 피부 평가 지표와는 다른 관점에서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밝기·색 산출부(9),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21), 색 불균일 산출부(31) 및 계조 특성 산출부(10)에서 각각 산출된 5개의 피부 평가 지표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입력되고, 적색 성분량 산출부(54), 기미 색상차 산출부(55), 요철량 산출부(56) 및 중광택량 산출부(57)에서 각각 산출된 4개의 화장 평가 지표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입력된다.
종합 지표 산출부(4)는, 입력된 5개의 피부 평가 지표와 4개의 화장 평가 지표, 즉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L* 성분의 값과, 평가 영역(R1)의 전체적인 C* 성분의 값과, 평가 영역(R3)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과, 평가 영역(R4)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의 발생량과, 평가 영역(R2)의 L* 성분의 계조 특성으로 이루어지는 5개의 피부 평가 지표, 및 평가 영역(R5)의 적색 성분의 양과, 평가 영역(R6)에 있어서의 기미 부분과 그 주위의 색상차와, 평가 영역(R7)의 요철 부분의 양과, 평가 영역(R8)의 중광택 부분의 양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화장 평가 지표를, 예를 들면, 미리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얻어진 중회귀식 등을 이용하여 선형화하는 것으로 서로 조합함으로써,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종합 지표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피부 평가 지표는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투명감을 나타내는 것에 반하여, 화장 평가 지표는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종합 지표는,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로부터 4개의 화장 평가 지표를 감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산출된 종합 지표의 값은, 종합 지표 산출부(4)로부터 투명감 평가부(5)에 출력된다.
투명감 평가부(5)는, 종합 지표 산출부(4)에서 산출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의 투명감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가 표시부(6)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부 평가 지표와 화장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한 종합 지표에 의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감각을 따라 투명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관능 평가에 의한 투명감의 평가와 충분히 일치한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계조 특성 산출부(10)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변화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피부 평가 지표는 종래에 없는 새로운 지표이며, 이 피부 평가 지표를 더한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함으로써, 관능 평가에 의한 투명감의 평가에 보다 접근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 지표 산출부(53)에서 산출되는 화장 평가 지표는,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화장 피부 특유의 평가 지표이며, 피부 평가 지표와 조합함으로써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정밀도 좋게 평가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도 27에, 실시형태 6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화장 지표 산출부(61)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화장 지표 산출부(61)는, 실시형태 5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의 화장 지표 산출부(53)에 있어서, 요철량 산출부(56) 대신에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62)를 색 공간 변환부(2)와 종합 지표 산출부(4)에 각각 접속한 것이다.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62)는,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에 평가 영역(R9)을 설정한다. 평가 영역(R9)은,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의 하측으로부터 팔자주름(콧방울로부터 구각으로 뻗는 주름)의 상측에 걸친 뺨 부분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62)는, 서로 다른 피부 유래의 밝기 성분의 값과 화장 유래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서로 다른 피부 유래의 색 성분의 값과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의 값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의 평가 영역(R9)으로부터 화장 유래의 밝기 성분 또는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을 취출한다.
여기에서, 촬영 화상으로서는, 화장 유래의 밝기 성분 또는 색 성분을 취출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카메라(C)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화상, 색 공간 변환부(2)에서 생성되는 L* 성분 화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C)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화상의 RGB채널 중 G채널을 이용하여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을 취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채널의 파장 영역, 예를 들면, 480nm에서 600nm의 파장 영역에서는, 피부 유래의 색 성분의 강도와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의 강도의 차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 G채널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G채널의 파장 영역은 550nm 부근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피부 유래의 색 성분의 강도와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의 강도의 차가 보다 커져,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을 고정밀도로 취출할 수 있다.
이어서,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62)는, 촬영 화상으로부터 취출된 화장 유래의 밝기 성분 또는 화장 유래의 색 성분에 있어서, 화장 유래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의 값이 불균일하게 변화하는 불균일 부분을 추출하여 평가 영역(R9)에 있어서의 화장의 불균일도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화장의 불균일 부분이란, 예를 들면, 피험자의 얼굴(F)에 파운데이션을 도포함으로써 발생하는 작은 덩어리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포할 때에 파운데이션이 피부의 표면에서 입자상으로 굳어져 발생하는 덩어리, 모공에 낀 파운데이션의 덩어리 및 피부 홈의 테두리에 부착된 파운데이션의 덩어리 등이, 파운데이션으로 정돈된 주위의 색에 대하여 하얗게 들뜬 인상을 준다. 그리고, 이 화장의 불균일 부분이, 화장에 의한 부자연스러운 가루감 및 두께감 등을 발생시켜, 투명감이 낮다고 느껴진다.
따라서,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62)는, G채널 화상을 평활화 처리함으로써 화장의 불균일 부분이 제거된 평활화 화상을 생성하고, G채널 화상과 평활화 화상을 화소마다 제한 차분 화상을 작성함으로써, 화장의 불균일 부분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평활화 처리는, 화장의 불균일 부분이 보다 많이 제거되도록, 0.1cycle/mm 이하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부분이 제거되도록 평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가우시안 필터를 이용하여 평활화 처리할 수 있다. 또, 차분 화상은, 예를 들면, 2치화 처리를 실시하여 2치화 화상을 생성함으로써, 화장의 불균일 부분에 대하여 명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치화 처리는, 예를 들면, 차분 화상의 강도에 대하여 -30을 임계값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9(a) 및 (b)에, 동일한 피험자의 얼굴(F)에 대하여 재질이 다른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화장 피부의 뺨 부분에 대하여, 차분 화상을 생성하여 화장의 불균일 부분(P)을 추출함과 함께 이 차분 화상에 2치화 처리를 실시하여 화장의 불균일 부분(P)을 강조한 2치화 화상을 나타낸다. 도 29(a)는 덩어리가 생기기 어려운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것이며, 도 29(b)는 덩어리가 생기기 쉬운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것이다. 여기에서, 화장의 불균일 부분(P)은, 검은 점상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 결과, 도 29(a)의 2치화 화상에서는 화장의 불균일 부분(P)이 눈의 근방에만 많이 존재하는 것에 반하여, 도 29(b)의 2치화 화상에서는 평가 영역(R9)의 전체에 걸쳐서 화장의 불균일 부분(P)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상기의 처리에 의하여 화장의 불균일 부분(P)이 고정밀도로 추출되고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제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도 29(a) 및 (b)의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각각 평가한 바, 도 29(a)의 화장 피부가 도 29(b)의 화장 피부보다 투명감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이 점에서, 화장의 불균일 부분(P)이, 화장 피부의 가루감 등의 인상을 주어, 투명감이 낮다고 평가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62)는, 화장의 불균일 부분(P)이 추출된 2치화 화상으로부터 화장의 불균일도를 산출한다. 화장의 불균일도로서는, 예를 들면, 평가 영역(R9)에 있어서의 불균일 부분의 총면적, 면적률 및 개수 등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62)는, 평가 영역(R9)에 있어서의 화장의 불균일도를 화장 평가 지표로 하여 종합 지표 산출부(4)에 출력한다. 이 화장 평가 지표에 이용되는 화장의 불균일도는,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감소를 나타내는 화장 피부 특유의 평가 지표이며, 피부 평가 지표와는 다른 관점에서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부 평가 지표와 화장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한 종합 지표에 의하여,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F)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감각을 따라 투명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관능 평가에 의한 투명감의 평가와 충분히 일치한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형태 5의 요철량 산출부(56)에서 검출되는 요철 부분은 눈가 주름 부분 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것이지만, 이 주름 부분은 모든 사람에게 명확하게 존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동일한 화장을 실시해도 요철 부분이 검출되는 사람과 검출되지 않는 사람이 발생하여, 투명감의 평가 결과에 격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화장의 불균일 부분(P)은, 폭넓은 피험자의 피부에 존재하는 모공 및 피부 홈의 상태 및 화장의 재질 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폭넓은 피험자에 대하여, 화장의 불균일도에 근거하여 더 정확하게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 6에서는, 실시형태 5의 요철량 산출부(56) 대신에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62)를 배치했지만,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화장 지표 산출부(53)에 있어서 새롭게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62)를 더하여 화장 지표 산출부(6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 5 및 6과 같은 화장 피부의 투명감의 평가는, 입력 수단, CPU 및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컴퓨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된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에 의하여 기능시킴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에 기록된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이 컴퓨터를 기능시킴으로써, 화상 입력부가,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된 촬영 화상에 근거하여, CPU가, 전처리부(1), 색 공간 변환부(2), 지표 산출부(51), 종합 지표 산출부(4) 및 투명감 평가부(5)를 실행시켜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에 대하여 투명감의 평가를 행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 5에서는, 피부 지표 산출부(52)가,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색 성분의 대푯값,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색 불균일의 발생량 및 계조 특성으로 이루어지는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를 산출함과 함께, 화장 평가 산출부(53)가, 적색 성분의 양, 기미 부분과 그 주위의 색상차, 요철 부분의 양 및 중광택 부분의 양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화장 평가 지표를 산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 6에서는, 피부 지표 산출부(52)가,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색 성분의 대푯값,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색 불균일의 발생량 및 계조 특성으로 이루어지는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를 산출함과 함께, 화장 평가 산출부(61)가, 적색 성분의 양, 기미 부분과 그 주위의 색상차, 화장의 불균일도 및 중광택 부분의 양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화장 평가 지표를 산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지표 산출부(52)가,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색 성분의 대푯값 및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함과 함께, 화장 평가 산출부가, 적색 성분의 양을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고, 얻어진 피부 평가 지표와 화장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함으로써,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정밀도 좋게 평가할 수 있다.
실제로, 실시형태 5의 투명감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1(a)는, 리퀴드성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13명의 피험자의 얼굴(F)에 대하여, 5개의 피부 평가 지표와 3개의 화장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함과 함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행하고,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로부터 얻어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것이다.
여기에서, 종합 평가값은,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밝기 성분의 대푯값 L, 색 성분의 대푯값 C,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F, 색 불균일의 발생량 I 및 계조 특성 K)와, 요철 부분의 양을 제외한 3개의 화장 평가 지표(적색 성분의 양 D, 기미 부분과 그 주위의 색상차 H 및 중광택 부분의 양 B)를 서로 조합하여 산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종합 지표=A+10.5×L-2.6×C-28.1×F-0.9×I-1.0×K-(19.8×D-4.3×H+1.5×B)로 나타났다. 또한, A는 상수이다.
도 31(b)는, 리퀴드성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9명의 피험자의 얼굴(F)에 대하여,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함과 함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행하고,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로부터 얻어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것이다. 여기에서, 종합 평가값은,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색 성분의 대푯값,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색 불균일의 발생량 및 계조 특성으로 이루어지는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산출된 것이다.
또한, 도 31(a) 및 (b)에 있어서, 관능 평가값은, 관능 평가에 의하여 투명감을 30단계로 평가한 것이며, 값이 30에 가까워질수록 투명감이 없다고 평가된 것이다.
도 31(a)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에서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90이었다. 한편, 도 31(b)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에서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46이었다.
이 점에서, 피부 평가 지표만으로부터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해도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으며,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화장 평가 지표를 피부 평가 지표에 조합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함으로써 관능 평가와 충분히 일치한 평가 결과가 얻어져,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32(a)는, 파우더성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15명의 피험자의 얼굴(F)에 대하여, 5개의 피부 평가 지표와 3개의 화장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함과 함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행하고,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로부터 얻어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것이다.
여기에서, 종합 평가값은,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밝기 성분의 대푯값 L, 색 성분의 대푯값 C,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F, 색 불균일의 발생량 I 및 계조 특성 K)와, 중광택 부분의 양을 제외한 3개의 화장 평가 지표(적색 성분의 양 D, 기미 부분과 그 주위의 색상차 H 및 요철 부분의 양 W)를 서로 조합하여 산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종합 지표=A+3.79×L-1.67×C+0.25×F-0.18×I-1.9×K-(4.9×D-4.1×H-0.8×W)로 나타났다. 또한, A는 상수이다.
도 32(b)는, 파우더성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11명의 피험자의 얼굴(F)에 대하여,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함과 함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행하고,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로부터 얻어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것이다. 여기에서, 종합 평가값은,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색 성분의 대푯값,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색 불균일의 발생량 및 계조 특성으로 이루어지는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산출된 것이다.
또한, 도 32(a) 및 (b)에 있어서, 관능 평가값은, 관능 평가에 의하여 투명감을 30단계로 평가한 것이며, 값이 30에 가까워질수록 투명감이 없다고 평가된 것이다.
도 32(a)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에서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70이었다. 한편, 도 32(b)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에서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 계수 R2는 0.33이었다.
이 점에서, 피부 평가 지표만으로부터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해도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으며, 화장에 기인한 투명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화장 평가 지표를 피부 평가 지표에 조합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함으로써 관능 평가와 충분히 일치한 평가 결과가 얻어져,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2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6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실시형태 5에 관한 투명감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한 결과와 비교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3(a) 및 (b)는, 눈가 주름 부분이 명료한 피험자의 얼굴(F)에 파운데이션을 도포하고, 실시형태 5 및 6의 투명감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평가 지표와 화장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함과 함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행하고,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로부터 얻어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것이다.
또, 도 34(a) 및 (b)는, 눈가 주름 부분이 불명료한 피험자의 얼굴(F)에 도 33(a) 및 (b)와 동일한 파운데이션을 도포하고, 실시형태 5 및 6의 투명감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평가 지표와 화장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함과 함께 투명감의 관능 평가를 행하고, 종합 지표를 관능 평가로부터 얻어진 관능 평가값에 대하여 플롯한 것이다.
여기에서, 도 33(a) 및 도 34(a)는, 실시형태 5의 투명감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밝기 성분의 대푯값 L, 색 성분의 대푯값 C,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F, 색 불균일의 발생량 I 및 계조 특성 K)와 3개의 화장 평가 지표(적색 성분의 양 D, 기미 부분과 그 주위의 색상차 H 및 요철 부분의 양 W)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한 것이다. 한편, 도 33(b) 및 도 34(b)는, 실시형태 6의 투명감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5개의 피부 평가 지표(밝기 성분의 대푯값 L, 색 성분의 대푯값 C,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F, 색 불균일의 발생량 I 및 계조 특성 K)와 3개의 화장 평가 지표(적색 성분의 양 D, 기미 부분과 그 주위의 색상차 H 및 화장의 불균일도 P)를 서로 조합하여 종합 지표를 산출한 것이다.
또한, 도 33(a) 및 (b) 그리고 도 34(a) 및 (b)에 있어서, 관능 평가값은, 관능 평가에 의하여 투명감을 5단계로 평가한 것이며, 값이 5에 가까워질수록 투명감이 높다고 평가된 것이다.
도 33(a) 및 (b)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에서 상관을 구한 결과, 도 33(a)의 상관 계수 R2는 0.83이며, 도 33(b)의 상관 계수 R2는 0.85였다. 한편, 도 34(a) 및 (b)에 대하여 종합 지표와 관능 평가값과의 사이에서 상관을 구한 결과, 도 34(a)의 상관 계수 R2는 0.12이며, 도 34(b)의 상관 계수 R2는 0.80이었다.
이 점에서, 요철 부분의 양에 근거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면, 요철 부분이 명료한 피험자에 대해서는, 도 3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능 평가와의 상관이 높은 평가 결과가 얻어지지만, 요철 부분이 불명료한 피험자에 대해서는,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능 평가와의 상관이 낮아져, 그 평가 결과에 피험자에 의한 격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화장의 불균일도에 근거하여 화장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면, 도 33(b) 및 도 3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피험자에 있어서도 관능 평가와의 상관이 높은 평가 결과가 얻어져, 피험자에 의한 격차가 적고 정확한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시사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화장 피부에 대하여 투명감의 평가를 행했지만, 화장이 실시된 화장 피부이면 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은폐제(TiO2 등) 및 안료 등의 피부의 보정제, 구체적으로는, BB크림, CC크림, 화장료 하지(下地), 자외선 차단제 등을 도포한 화장 피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투명감의 평가를 행할 수 있다.
1 전처리부
1a 화상 입력부
2 색 공간 변환부
3, 51 지표 산출부
4 종합 지표 산출부
5 투명감 평가부
6 표시부
7 제어부
8 조작부
9 밝기·색 산출부
10 계조 특성 산출부
21, 22 마이너스 인자 산출부
31, 41 색 불균일 산출부
52 피부 지표 산출부
53, 61 화장 지표 산출부
54 적색 성분량 산출부
55 기미 색상차 산출부
56 요철량 산출부
57 중광택량 산출부
62 화장 불균일도 산출부
F 얼굴
C 카메라
R1, R2, R5~R9 평가 영역
M 등고선
G L* 성분 등고선 분포 화상
S1, S2 등고선의 간격
D 적색 성분
L 저휘도 부분
P 불균일 부분

Claims (26)

  1. 피험자의 피부를 촬영한 촬영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와,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함과 함께,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 중 적어도 한쪽을 구하고, 구해진 상기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피부 지표 산출부와,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상기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피부의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종합 지표 산출부와,
    상기 종합 지표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상기 피험자의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투명감 평가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를 구하기 위하여, 일정한 강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등고선에 의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에 따라 구획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등고선의 간격을 각각 구하고, 구해진 상기 복수의 등고선의 간격의 균일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을 구획하는 상기 복수의 등고선의 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상기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 영역을 피험자의 얼굴의 뺨 부분으로부터 얼굴의 윤곽 부분을 직선적으로 잇도록 설정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평균값을 상기 밝기 성분의 대푯값으로서 산출함과 함께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평균값을 상기 색 성분의 대푯값으로서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마이너스 인자의 개수, 총면적, 또는 면적률을 상기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으로서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함과 함께 상기 마이너스 인자보다 큰 부분을 색 불균일로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색 불균일의 발생량을 제3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상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상기 제3 피부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색 불균일의 총면적, 면적률 또는 개수를 상기 색 불균일의 발생량으로서 산출하는 투명감의 평가 방법.
  10. 피험자의 피부를 촬영한 촬영 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함과 함께,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 중 적어도 한쪽을 구하고, 구해진 상기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상기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피부의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상기 피험자의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감 평가 방법.
  11. 피험자의 피부를 촬영한 촬영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함과 함께,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 중 적어도 한쪽을 구하고, 구해진 상기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된 상기 제1 피부 평가 지표와 상기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피부의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된 상기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상기 피험자의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
  12.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와,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을 국소적으로 변화시키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피부 지표 산출부와,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혈색에 기인하는 적색 성분의 양을 제1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화장 지표 산출부와,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 및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에서 각각 산출된 상기 제1 피부 평가 지표 및 상기 제1 화장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종합 지표 산출부와,
    상기 종합 지표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화장이 실시된 상기 피험자의 얼굴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투명감 평가부
    를 갖는 투명감 평가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적색 성분의 평균값,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적색 성분이 검출되는 부분의 면적, 또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적색 성분이 검출되는 부분의 면적률을 상기 적색 성분의 양으로서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상기 피험자의 얼굴의 미간 부분, 뺨 부분 및 턱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평가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소정의 평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적색 성분의 양을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기미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기미 부분과 그 주위와의 색상차를 제2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상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상기 제2 화장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16.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에 근거하여 상기 피험자의 얼굴에 발생한 음영을 나타내는 저휘도 부분을 요철 부분으로서 검출하고, 상기 요철 부분의 양을 제3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상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상기 제3 화장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요철 부분의 면적 또는 면적률을 상기 요철 부분의 양으로서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상기 피험자의 얼굴의 눈가 부분 및 코에서 입가로 뻗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요철 부분의 양을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19.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피부 유래와 화장 유래의 서로 다른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화상으로부터 화장 유래의 밝기 성분 또는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을 취출하고, 상기 화장 유래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상기 화장 유래의 색 성분의 값이 불균일하게 변화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화장의 불균일도를 제4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상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상기 제4 화장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상기 피험자의 뺨 부분에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화장의 불균일도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21.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밝기 성분의 강도에 근거하여 상기 피험자의 얼굴의 번들거림을 나타내는 중광택 부분을 검출하여, 상기 중광택 부분의 양을 제5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고,
    상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상기 제5 화장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화장 지표 산출부는, 상기 피험자의 얼굴의 광대뼈 부분 및 콧날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광택 부분의 양을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23.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강도 분포 및 색 성분의 강도 분포 중 적어도 한쪽을 구하고, 구해진 상기 강도 분포에 근거하여 밝기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및 색 성분의 변화의 평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상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상기 제2 피부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24.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지표 산출부는,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이 국소적으로 변화함과 함께 상기 마이너스 인자보다 큰 부분을 색 불균일로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색 불균일의 발생량을 제3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상기 종합 지표 산출부는, 상기 제3 피부 평가 지표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투명감 평가 장치.
  25.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을 국소적으로 변화시키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며,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혈색에 기인하는 적색 성분의 양을 제1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제1 피부 평가 지표 및 상기 제1 화장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화장이 실시된 상기 피험자의 얼굴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투명감 평가 방법.
  26. 화장이 실시된 피험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대푯값,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의 대푯값, 및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밝기 성분의 값 또는 색 성분의 값을 국소적으로 변화시키는 마이너스 인자의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피부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촬영 화상에 있어서 혈색에 기인하는 적색 성분의 양을 제1 화장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된 상기 제1 피부 평가 지표 및 상기 제1 화장 평가 지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지표를 서로 조합하여 투명감에 대한 종합 지표를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된 상기 종합 지표에 근거하여 화장이 실시된 상기 피험자의 얼굴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
KR1020157034229A 2013-06-07 2014-06-03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 KR101713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0650 2013-06-07
JP2013120650 2013-06-07
JPJP-P-2013-199882 2013-09-26
JP2013199882 2013-09-26
JP2014035658 2014-02-26
JPJP-P-2014-035658 2014-02-26
PCT/JP2014/064746 WO2014196532A1 (ja) 2013-06-07 2014-06-03 透明感評価装置、透明感評価方法および透明感評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220A true KR20160008220A (ko) 2016-01-21
KR101713086B1 KR101713086B1 (ko) 2017-03-07

Family

ID=5200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229A KR101713086B1 (ko) 2013-06-07 2014-06-03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50326B2 (ko)
JP (1) JP6026655B2 (ko)
KR (1) KR101713086B1 (ko)
CN (1) CN105263399B (ko)
WO (1) WO2014196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3399B (zh) * 2013-06-07 2017-06-23 富士胶片株式会社 透明感评价装置、透明感评价方法
KR102322442B1 (ko) * 2015-03-31 2021-11-09 (주)아모레퍼시픽 개인맞춤형 화장료 제안방법
JP6473401B2 (ja) 2015-09-10 2019-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肌の光沢評価装置、光沢評価方法および光沢評価プログラム
JP6650819B2 (ja) * 2016-04-15 2020-02-19 株式会社 資生堂 色ムラ部位の評価方法、色ムラ部位評価装置及び色ムラ部位評価プログラム
JP6872742B2 (ja) * 2016-06-30 2021-05-19 学校法人明治大学 顔画像処理システム、顔画像処理方法及び顔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607372B2 (en) * 2016-07-08 2020-03-31 Optim Corporation Cosmet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smetic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smet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JP6876941B2 (ja) * 2016-10-14 2021-05-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ーチャルメイクアップ装置、バーチャルメイクアップ方法及びバーチャルメイクアッププログラム
WO2018073266A1 (en) 2016-10-18 2018-04-26 Koninklijke Philips N.V. Accessory device,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ubject's skin parameter
JP7020626B2 (ja) * 2017-02-01 2022-02-16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メイクアップ評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US10565741B2 (en) * 2017-02-06 2020-02-18 L'oreal System and method for light field correction of colored surfaces in an image
CN109671046B (zh) * 2017-10-12 2021-08-17 精诚工坊电子集成技术(北京)有限公司 利用皮肤图像分析皮肤水分的方法及装置
JP7307544B2 (ja) * 2018-06-14 2023-07-12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透明感を評価する方法
US10732100B2 (en) 2018-06-29 2020-08-04 L'oreal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sun protection factor of sunscreen formulations in vitro
EP3847577A4 (en) * 2018-07-16 2022-07-27 Skin Rejuvenation Technologies (Pty) Ltd. PROCEDURE AND SYSTEM FOR COSMETIC RECOMMENDATIONS
EP3628187A1 (en) * 2018-09-26 2020-04-01 Chanel Parfums Beauté Method for simulating the rendering of a make-up product on a body area
EP3664035B1 (en) * 2018-12-03 2021-03-03 Chanel Parfums Beauté Method for simulating the realistic rendering of a makeup product
WO2023120525A1 (ja) * 2021-12-21 2023-06-29 花王株式会社 印象変更支援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5991A (ja) * 2003-01-16 2004-08-05 Shiseido Co Ltd 皮膚の透明感評価方法
JP2009213729A (ja) * 2008-03-12 2009-09-24 Nippon Kagaku Yakin Co Ltd 透明感評価装置及び透明感評価方法
JP2010022547A (ja) 2008-07-18 2010-02-04 Pola Chem Ind Inc 皮膚透明感の鑑別法
JP2010273737A (ja) * 2009-05-26 2010-12-09 Mandom Corp 皮膚の表面状態の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1177A1 (fr) * 2003-10-16 2005-04-22 Oreal Ensemble comportant un systeme d'analyse du niveau de clarte de la peau et des gammes de produits cosmetiques
FR2897768B1 (fr) * 2006-02-24 2008-05-09 Oreal Procede d'evaluation de l'eclat du teint.
TWI471117B (zh) * 2011-04-29 2015-02-01 Nat Applied Res Laboratoires 可用於行動裝置之人臉膚質評估演算介面裝置
FR2975804B1 (fr) * 2011-05-27 2022-06-17 Lvmh Rech Procede de caracterisation du teint de la peau ou des phaneres
CN105263399B (zh) * 2013-06-07 2017-06-23 富士胶片株式会社 透明感评价装置、透明感评价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5991A (ja) * 2003-01-16 2004-08-05 Shiseido Co Ltd 皮膚の透明感評価方法
JP2009213729A (ja) * 2008-03-12 2009-09-24 Nippon Kagaku Yakin Co Ltd 透明感評価装置及び透明感評価方法
JP2010022547A (ja) 2008-07-18 2010-02-04 Pola Chem Ind Inc 皮膚透明感の鑑別法
JP2010273737A (ja) * 2009-05-26 2010-12-09 Mandom Corp 皮膚の表面状態の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06198A1 (en) 2016-04-21
KR101713086B1 (ko) 2017-03-07
JPWO2014196532A1 (ja) 2017-02-23
US9750326B2 (en) 2017-09-05
CN105263399A (zh) 2016-01-20
JP6026655B2 (ja) 2016-11-16
WO2014196532A1 (ja) 2014-12-11
CN105263399B (zh)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086B1 (ko) 투명감 평가 장치, 투명감 평가 방법 및 투명감 평가 프로그램
CN110443747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140533B1 (ko) 이미지로부터 추정된 피부색에 기초해서 제품을 추천하는 컴퓨터 구현된 방법
JP6473401B2 (ja) 肌の光沢評価装置、光沢評価方法および光沢評価プログラム
US20170079599A1 (en) Moisture feeling evaluation device, moisture feeling evaluation method, and moisture feeling evaluation program
JP2588297B2 (ja) 塗装表面の鮮映性評価方法
JP3236731B2 (ja) 皮膚表面解析システム及び皮膚表面解析方法
JP6756524B2 (ja) 美容施術効果の解析方法
JP5426475B2 (ja) 肌の色ムラ解析装置、肌の色ムラ解析方法、及び肌の色ムラ解析プログラム
JP5753055B2 (ja) 肌画像分析装置及び肌画像分析方法
CN113128376B (zh) 基于图像处理的皱纹识别方法、皱纹识别装置及终端设备
JP2019139247A (ja) 反射を低減したコントラスト画像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れに関連する装置
CN113436734A (zh) 基于人脸结构定位的牙齿健康评估方法、设备和存储介质
JP6008698B2 (ja) 顔画像分析装置及び顔画像分析方法
JP6323097B2 (ja) 色測定装置、色測定システム、色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25552A1 (ja) うるおい感評価装置、うるおい感評価方法およびうるおい感評価プログラム
JP6527765B2 (ja) シワ状態分析装置及びシワ状態分析方法
JP2007252892A (ja) 皮膚表面の立体形状の目視評価値の推定方法
JP6351550B2 (ja) ハリ感評価装置、ハリ感評価方法およびハリ感評価プログラム
KR20110022898A (ko) 피부탄력도 측정을 위한 모아레 영상 처리 및 평가방법
JP6730051B2 (ja) 肌状態評価方法
JPH06189942A (ja) 皮膚表面解析システム及び皮膚表面解析方法
JP5099434B2 (ja) オブジェクト領域の抽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359389B2 (ja) 唇の美的印象の評価方法及びその評価を支援する支援装置
CN114627003A (zh) 人脸图像的眼部脂肪去除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