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961A -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961A
KR20160005961A KR1020140085143A KR20140085143A KR20160005961A KR 20160005961 A KR20160005961 A KR 20160005961A KR 1020140085143 A KR1020140085143 A KR 1020140085143A KR 20140085143 A KR20140085143 A KR 20140085143A KR 20160005961 A KR20160005961 A KR 20160005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 hole
wiring pattern
outer layer
inner layer
lay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5961A/ko
Priority to US14/705,586 priority patent/US9603265B2/en
Publication of KR2016000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2Plated through-holes or plated via connections
    • H05K3/429Plated through-holes specially for multilayer circuits, e.g. having connections to inner circuit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46Leads on or in insulating or insulated substrates, e.g. metallisation
    • H01L21/4853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other leads to or from a metallisation, e.g. pins, wires, b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46Leads on or in insulating or insulated substrates, e.g. metallisation
    • H01L21/4857Multilayer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46Leads on or in insulating or insulated substrates, e.g. metallisation
    • H01L21/486Via connections through the substrate with or without 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22Multilayer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27Via connections through the substrates, e.g. pins going through the substrate,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66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49894Materials of the insulating layer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8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electrical inspection or tes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1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ircuit boards being made during lamination
    • H05K3/4617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ircuit boards being made during lamination characterized by laminating only or mainly similar single-sid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73Application methods or materials of intermediate insulating layers not specially adapted to any one of the previous methods of adding a circuit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33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the chip support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은 내층 배선패턴이 형성되는 내층부, 외층 배선패턴이 형성되고 내층부의 양면에 적층되는 외층부, 외층부를 관통하여 내층 배선패턴의 제1 지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도금되는 제1 비아홀 및 외층부를 관통하여 내층 배선패턴의 제2 지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도금되는 제2 비아홀을 포함하고, 제2 비아홀은 내층부 및 외층부 중 외형가공을 통해 제거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MULTI 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공정은 기판 상에 복수의 배선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배선패턴 각각의 양부를 판별하는 검사 공정, 양품 인쇄회로기판을 패키징하는 공정 및 패키징된 인쇄회로기판을 최종적으로 테스트하는 공정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사 공정은 배선패턴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공정으로, 배선패턴에 대한 오픈/쇼트 테스트(OS test)를 수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현재, 배선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브 핀들을 구비한 프로브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선패턴들에 대한 오픈/쇼트 테스트를 수행하는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배선패턴에 대한 단선 검사 시, 검사 포인트가 2개 이상이어야 비로소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나, 배선패턴의 종류에 따라 외부와 연결되는 검사 포인트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포인트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선 여부에 대한 사전 검출이 곤란하여 최종 제품에서 불량이 발견되어 피드백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러한 경우에도 배선패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2326호 (2014. 04. 0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시 한 지점만이 외층과 연결되는 내층 배선패턴에 임시적인 비아홀을 추가 형성하여 단선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임시적인 비아홀은 외형가공을 통해 제거되는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단선 여부의 검사 후 최종 제품의 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에서 배선패턴을 중첩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에서 주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에서 배선패턴을 중첩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1000)은 내층부(100), 외층부(200, 300), 제1 비아홀(400) 및 제2 비아홀(500)을 포함하고, 프리플레그층(700, 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층부(100)는 내층 배선패턴(11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동박적층판 등과 같이 박판코어(thin co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내층 배선패턴(110)은 전원회로, 접지회로, 신호회로 등과 같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되는 회로패턴으로서, 화상형성공정 등을 통해 박판코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판코어에 드라이필름을 적층하고 노광을 수행한 후, 현상을 통해 소정의 배선패턴(110)을 내층부(100)에 전사할 수 있다. 그리고, 부식 등을 통해 드라이필름에 의해 보호되고 있지 않은 동박을 제거한 후 드라이필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내층 배선패턴(110)이 내층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층부(200, 300)는 외층 배선패턴(210, 310)이 형성되고 내층부(100)의 양면에 적층되는 부분으로, 동박적층판 등을 내층부(100)의 양면에 깔고 압착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층 배선패턴(210, 310) 역시 소정의 기능에 따라 형성되는 회로패턴으로서, 상술한 내층 배선패턴(110)의 형성과 유사한 과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층 배선패턴(210, 310)은 전기적 접속이 일어나는 부위에 형성되는 단자부(210) 및 제품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마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솔더레지스트(PSR) 등으로 보호될 수 있다.
제1 비아홀(400)은 외층부(200)를 관통하여 내층 배선패턴(110)의 제1 지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도금되는 부분으로, 내층 배선패턴(110)의 제1 지점이 외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비아홀(400)은 드릴링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무전해동도금 및 전해동도금을 통해 제1 비아홀(400)의 내벽을 도금할 수 있다. 또한, 제1 비아홀(400)은 각각의 외층부(200, 300)에 형성된 외층 배선패턴(210, 310)간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지점이란 내층 배선패턴(110)의 임의의 한 지점을 일컫는 것으로서, 제1 비아홀(400)을 통해 외층 배선패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내층 배선패턴(110)은 외층부(200)에 의하여 커버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비아홀(400)을 통해 내층 배선패턴(110)을 외층 배선패턴(210)과 연결시키거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다만, 내층 배선패턴(110)의 종류에 따라 한 지점만이 외층 배선패턴(210)과 연결시키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내층 배선패턴(110)에 대한 단선 검사 시, 검사 포인트가 2개 이상이어야 비로소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층 배선패턴(110)의 종류에 따라 한 지점만이 외층 배선패턴(210)과 연결시키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검사 포인트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선 여부에 대한 사전 검출이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1000)은 제2 비아홀(500)을 포함하여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단선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비아홀(500)은 외층부(200)를 관통하여 내층 배선패턴(110)의 제2 지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도금되는 부분으로, 내층 배선패턴(110)의 제2 지점이 외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비아홀(500) 또한 드릴링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무전해동도금 및 전해동도금을 통해 제2 비아홀(500)의 내벽을 도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점이란 내층 배선패턴(110)에서 제1 지점과 별개인 임의의 다른 지점을 일컫는 것으로서, 제2 비아홀(50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비아홀(500)은 내층부(100) 및 외층부(200, 300) 중 외형가공을 통해 제거되는 영역(60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층 배선패턴(110)의 단선검사를 위한 임시적인 비아홀이다.
이 경우, 외형가공이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1000)을 최종제품의 규격과 모양으로 만들기 위해 가공하는 공정으로서, 라우팅(routing) 등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비아홀(500)이 외형가공을 통해 제거되는 영역(600)에 형성됨으로써, 단선 여부의 검사 후 최종 제품의 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 비아홀(400) 및 제2 비아홀(500)이 도면상의 상측에 위치하는 외층부(200)에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비아홀(400) 및 제2 비아홀(500)이 도면상의 하측에 위치하는 외층부(3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프리플레그층(700, 800)은 내층부(100)와 외층부(200, 300)를 절연하도록 내층부(100)와 외층부(200, 300)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으로, 경화 과정을 통해 내층부(100)와 외층부(200, 30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리플레그층(700, 800)은 유리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침투시켜 반경화상태로 제조된 층으로서, 기재의 두께, 수지의 양 및 수지의 유동성 등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1000)은 내층부(100)와 외층부(200, 300) 사이에 프리플레그층(700, 800)이 개재됨에 따라, 내층부(100)와 외층부(200, 300)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내층 배선패턴(110)과 외층 배선패턴(210, 310)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1000)에서, 내층 배선패턴(110)은 제1 비아홀(400) 및 제2 비아홀(500) 사이를 전기검사하여 단선 여부가 측정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전기검사장치(도 9의 10)를 통해 제1 비아홀(400) 및 제2 비아홀(500)에 검사핀(도 9의 11)을 연결하여 단선 여부에 대한 전기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비아홀(400)에 연결된 단자부(210)와 제2 비아홀(500)에 검사핀(도 9의 11)을 연결하여 단선 여부에 대한 전기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종 제품으로 완성되기 이전 단계에서 단선 여부에 대한 사전 검출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에서 주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은 내층부(100)에 내층 배선패턴(110)을 형성하는 단계(S100, 도 4)로부터 시작된다.
이 경우, 내층 배선패턴(110)은 전원회로, 접지회로, 신호회로 등과 같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되는 회로패턴으로서, 화상형성공정 등을 통해 박판코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층부(100)의 양면에 외층부(200, 300)를 적층한다(S300, 도 6). 이 경우, 외층부(200, 300)는 동박적층판 등을 내층부(100)의 양면에 깔고 압착하여 적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외층부(200)를 관통하여 내층 배선패턴(110)의 제1 지점과 연결되도록 제1 비아홀(400)을 형성한다(S400, 도 7). 이 경우, 제1 지점이란 내층 배선패턴(110)의 임의의 한 지점을 일컫는 것으로서, 제1 비아홀(400)을 통해 외층 배선패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외층부(200)를 관통하여 내층 배선패턴(110)의 제2 지점과 연결되도록 제2 비아홀(500)을 형성한다(S500, 도 7). 이 경우, 제2 지점이란 내층 배선패턴(110)에서 제1 지점과 별개인 임의의 다른 지점을 일컫는 것으로서, 제2 비아홀(50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비아홀(500)은 내층부(100) 및 외층부(200, 300) 중 외형가공을 통해 제거되는 영역(60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층 배선패턴(110)의 단선검사를 위한 임시적인 비아홀이다.
다음으로, 제1 비아홀(400) 및 제2 비아홀(500)의 내부를 도금한다(S600, 도 7). 이 경우, 무전해동도금 및 전해동도금을 통해 제1 비아홀(400) 및 제2 비아홀(500)의 내벽을 도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층부(200, 300)에 외층 배선패턴(210, 310)을 형성한다(S700, 도 8). 이 경우, 외층 배선패턴(210, 310) 역시 소정의 기능에 따라 형성되는 회로패턴으로서, 상술한 내층 배선패턴(110)의 형성과 유사한 과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층 배선패턴(210, 310)은 전기적 접속이 일어나는 부위에 형성되는 단자부(210) 및 제품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마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솔더레지스트(PSR) 등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은 제2 비아홀(500)을 형성하여, 한 지점만이 외층 배선패턴(210)과 연결시키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검사 포인트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단선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 비아홀(500)이 외형가공을 통해 제거되는 영역(600)에 형성됨으로써, 단선 여부의 검사 후 최종 제품의 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은, S300 단계 이전에, 내층부(100)의 양면에 프리플레그층(700, 800)을 형성하는 단계(S200, 도 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층부(100)와 외층부(200, 300) 사이에 프리플레그층(700, 800)이 개재됨에 따라, 내층부(100)와 외층부(200, 300)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내층 배선패턴(110)과 외층 배선패턴(210, 310)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은, S700 단계 이후에, 제1 비아홀(400) 및 제2 비아홀(500) 사이를 전기검사하는 단계(S800, 도 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전기검사장치(10)를 통해 제1 비아홀(400) 및 제2 비아홀(500)에 검사핀(11)을 연결하여 단선 여부에 대한 전기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종 제품으로 완성되기 이전 단계에서 단선 여부에 대한 사전 검출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은, S800 단계 이후에, 내층부(100) 및 외층부(200, 300)을 외형가공하는 단계(S900, 도 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형가공이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1000)을 최종제품의 규격과 모양으로 만들기 위해 가공하는 공정으로서, 라우팅(routing) 등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전기검사장치
11: 검사핀
100: 내층부
110: 내층 배선패턴
200, 300: 외층부
210, 310: 외층 배선패턴
400: 제1 비아홀
500: 제2 비아홀
600: 제거 영역
700, 800: 프리플레그층
1000: 다층 인쇄회로기판

Claims (7)

  1. 내층 배선패턴이 형성되는 내층부;
    외층 배선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내층부의 양면에 적층되는 외층부;
    상기 외층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층 배선패턴의 제1 지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도금되는 제1 비아홀; 및
    상기 외층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층 배선패턴의 제2 지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도금되는 제2 비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아홀은 상기 내층부 및 상기 외층부 중 외형가공을 통해 제거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부와 상기 외층부를 절연하도록 상기 내층부와 상기 외층부 사이에 개재되는 프리플레그층;
    을 더 포함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배선패턴은,
    상기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2 비아홀 사이를 전기검사하여 단선 여부가 측정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4. 내층부에 내층 배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층부의 양면에 외층부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외층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층 배선패턴의 제1 지점과 연결되도록 제1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층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층 배선패턴의 제2 지점과 연결되도록 제2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2 비아홀의 내부를 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외층부에 외층 배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비아홀은 상기 내층부 및 상기 외층부 중 외형가공을 통해 제거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부를 적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내층부의 양면에 프리플레그층을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배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비아홀 및 상기 제2 비아홀 사이를 전기검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검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내층부 및 상기 외층부를 외형가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140085143A 2014-07-08 2014-07-08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5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143A KR20160005961A (ko) 2014-07-08 2014-07-08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14/705,586 US9603265B2 (en) 2014-07-08 2015-05-06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inner-layer portion and outer-layer por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143A KR20160005961A (ko) 2014-07-08 2014-07-08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961A true KR20160005961A (ko) 2016-01-18

Family

ID=5506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143A KR20160005961A (ko) 2014-07-08 2014-07-08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03265B2 (ko)
KR (1) KR201600059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326A (ko) 2012-09-28 2014-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Pcb 전기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7085B2 (en) * 2006-05-24 2014-05-27 Dai Nippon Printing Co., Ltd. Wiring board with a built-in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326A (ko) 2012-09-28 2014-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Pcb 전기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03265B2 (en) 2017-03-21
US20160013108A1 (en)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4368B2 (ja) 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9999134B2 (en) Self-decap cavity fabrication process and structure
KR100674319B1 (ko) 얇은 코어층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US9763327B2 (en) Selective segment via plating process and structure
US10321560B2 (en) Dummy core plus plating resist restrict resin process and structure
US10064292B2 (en) Recessed cavity in printed circuit board protected by LPI
US20080149382A1 (en) Method of inspecting printed wiring board and printed wiring board
KR100499008B1 (ko) 비아홀이 필요없는 양면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10292279B2 (en) Disconnect cavity by plating resist process and structure
US9992880B2 (en) Rigid-bend printed circuit board fabrication
US10772220B2 (en) Dummy core restrict resin process and structure
US9883599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ulti-layer circuit board having cavity
WO2010052783A1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検査方法、およ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検査システム、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160005961A (ko)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6344847A (ja) 部品内蔵基板、この部品内蔵基板を用いた部品内蔵モジュール、および部品内蔵基板の製造方法
US20170271734A1 (en) Embedded cavity in printed circuit board by solder mask dam
KR101395904B1 (ko) 다층연성회로기판 제조방법
KR20140148111A (ko) 경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20170339788A1 (en) Split via second drill process and structure
KR100570870B1 (ko) 층간 편심 확인이 가능한 인쇄회로기판
JP5200575B2 (ja) 回路基板、回路基板の検査方法およ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H08307065A (ja) 多層印刷配線板およびその検査方法
KR20140145769A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47398A (ko)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JP2013051414A (ja) 多層印刷回路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