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909A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5909A KR20160005909A KR1020140084980A KR20140084980A KR20160005909A KR 20160005909 A KR20160005909 A KR 20160005909A KR 1020140084980 A KR1020140084980 A KR 1020140084980A KR 20140084980 A KR20140084980 A KR 20140084980A KR 20160005909 A KR20160005909 A KR 201600059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ulder
- clothes
- shoulder support
- neck
- 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2—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involving details of the hook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에 지지되는 좌우 대칭의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어깨받침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어깨받침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어깨받침부재의 일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하향 절곡됨으로써, 제1어깨받침부재와 제2어깨받침부재 사이에 윗옷의 목부분이 출입될 수 있는 네크출입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옷의 목부분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옷을 손쉽게 걸 수 있음과 함께 원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옷을 걸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옷의 목부분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옷을 손쉽게 걸 수 있음과 함께 원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옷을 걸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옷의 목부분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옷을 손쉽게 걸 수 있음과 함께 원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옷을 걸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은 보관시 형태의 변형이나 손상 등을 방지하고, 세탁 후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옷걸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옷걸이는 통상 행거나 빨래줄 등에 옷걸이를 걸기 위한 후크부와, 후크부의 하단에서 대칭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어깨받침부와, 상기 어깨받침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하부걸이부로 이루어진 삼각형태의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옷걸이에 라운드 티셔츠 등의 의류를 걸때, 어깨받침부의 전체 길이보다 목부분이 좁기 때문에 목부분에 일측의 어깨받침부를 삽입한 후 타측의 어깨받침부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목부분을 억지로 늘려준 후 삽입시켜야만 했다.
따라서, 옷걸이에 라운드 티셔츠 등의 의류를 걸 때 의류의 목부분을 잡아 당겨 늘려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의류의 목부분이 늘어나서 옷 맵시를 해치고 의류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사이즈가 작은 어린아이나 여성들의 옷을 걸 때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옷걸이는 어깨받침부가 후크부에 고정되거나 또한 자유롭게 회전되는 2가지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환경에 따라 옷을 다양한 방향으로 걸 수가 없거나 또는 걸린 옷이 임의로 회전되면서 서로 엉키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목부분의 변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05094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7480호 등에는 어깨받침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옷걸이에 대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선행문헌들에 따른 옷걸이의 경우 어깨받침부의 길이조절을 위해 옷걸이와 관련없는 많은 부품과 구성들이 추가되면서 구조가 너무 복잡해짐과 함께 제조비용 또한 불필요하게 상승되므로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조 및 사용되어야 하는 옷걸이로서의 효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깨받침부의 길이를 최소화시켜 목부분을 늘리지 않고도 옷걸이를 진입시킬 수 있다 하더라도, 진입후에는 다시 길이를 연장시켜주어야 하는데, 이 때는 이미 옷이 걸린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옷의 하단을 통해 옷의 내부로 손을 넣어서 길이의 연장작업을 진행할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목부분의 변형은 방지하는 대신 옷걸이의 사용은 오히려 더 번거롭고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네크출입부를 통해 목부분을 변형시킴없이 간편하게 옷을 걸 수 있고,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옷걸이를 회전시킬 수 있어 옷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걸 수 있으며, 옷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상물을 걸 수 있는 활용성이 우수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에 지지되는 좌우 대칭의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어깨받침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어깨받침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어깨받침부재의 일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하향 절곡됨으로써, 제1어깨받침부재와 제2어깨받침부재 사이에 윗옷의 목부분이 출입될 수 있는 네크출입부가 형성되는 옷걸이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어깨받침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리부재의 수직봉에 외삽되어 고리부재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재의 수직봉 하단에는 상기 결합몸체를 받쳐주는 지지판이 형성되되, 상호 대면하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결합몸체의 하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 형상의 회전각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 각각의 타단부 사이에 수평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걸이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평걸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걸이부재의 양단부에는 일부분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쪽단이 대칭으로 상향 절곡되는 한 쌍의 걸고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에 의하면,
제1어깨받침부재와 제2어깨받침부재 사이에 목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네크출입부가 형성됨으로써 목부분을 늘리지 않고도 보다 용이하게 옷에 옷걸이를 진입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옷의 늘어남이나 변형 등의 염려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리부재에 대하여 걸린 옷을 간편하면서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옷걸이의 사용환경에 맞게끔 옷의 방향을 다양하게 조정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옷 뿐만 아니라 모자 등과 같은 다양한 물건도 걸 수 있는 편리성이 있음과 함께 필요에 따라 다수 옷걸이의 거치수단으로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장점을 가지면서도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성품들이 설치되거나 하지 않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므로 제조비용의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어 옷걸이로서의 효용성이 감소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고리부재와 제1어깨받침부재의 결합부분의 구성 및 작용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네트출입부에 윗옷의 목부분을 삽입시키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옷걸이에 윗옷이 걸린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옷걸이의 다양한 활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고리부재와 제1어깨받침부재의 결합부분의 구성 및 작용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네트출입부에 윗옷의 목부분을 삽입시키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옷걸이에 윗옷이 걸린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옷걸이의 다양한 활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100)는 기본적으로 고리부재(10)와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부재(10)는 본 발명의 옷걸이(100)를 옷장의 행거, 빨래건조대, 빨래줄 등 다양한 대상물에 걸어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고리부재(10)는 상기 대상물에 걸리는 후크부(11)와, 후크부(11)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봉(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는 걸리는 윗옷(C)의 좌우 어깨부분을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리부재(10)에 결합 지지되면서 고리부재(10)의 좌우측에서 상호 대칭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에는 걸리는 윗옷(C)의 목부분(N)이 출입될 수 있는 네크출입부(40)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제1어깨받침부재(20)는 일단부가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어깨받침부재(30)는 일단부가 고리부재(10)에 결합된 제1어깨받침부재(20)의 일단부에 바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1어깨받침부재(20)의 일단부와 일정간격(d) 이격된 위치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장된 후 제1어깨받침부재(20)의 중간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어깨받침부재(20)와 제2어깨받침부재(30)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인 네크출입부(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옷걸이(100)에 티셔츠와 같은 윗옷(C)을 걸 때 이러한 네크출입부(40)로 윗옷의 목부분(N)을 출입시킴으로써 목부분(N)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윗옷(C)을 걸 수 있게 되는 바, 이는 하기 사용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는 상기 고리부재(10)에 대하여 일정각도씩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고리부재(10)와 결합되는 제1어깨받침부재(20)의 일단부에는 결합몸체(21)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고리부재(10)의 수직봉(12) 하단에는 지지판(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몸체(21)와 지지판(13)에는 회전각조절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몸체(21)는 상기 고리부재(10)의 수직봉(12)에 외삽되며, 그에 따라 결합몸체(21)는 수직봉(12)을 따라 승강될 수 있음과 함께 수직봉(12)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렇게 결합몸체(21)가 승강 또는 회전 가능한 것은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가 고리부재(10)에 대하여 승강 또는 회전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판(13)은 수직봉(12)의 하단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직봉(12)에 외삽된 결합몸체(21)가 하강 안착될 때 결합몸체(21)을 받쳐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각조절부(15)는 상호 대면하는 상기 지지판(13)의 상면과 결합몸체(21)의 하면에 각각 상호 대응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2의 (a)에 예시된 것처럼, 결합몸체(21)를 상승시켜 지지판(13)으로부터 상향 이격시키면 회전각조절부(15)의 대응하는 요철 형상이 서로 분리되면서 구속력이 해제되므로 결합몸체(21)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의 (b)에 예시된 것처럼, 결합몸체(21)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결합몸체(21)가 하강되어 지지판(13)에 안착되면 회전각조절부(15)의 대응하는 요철 형상이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그 각도에서 회전이 억제되어 회전상태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에는 수평걸이부재(5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걸이부재(50)는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제1어깨받침부재(20)의 타단부와 제2어깨받침부재(30)의 타단부 사이에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수평걸이부재(50)의 상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이홈(5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걸이부재(50)의 양단부에는 대칭으로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5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걸고리(52)는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수평걸이부재(50)의 일부분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쪽단이 대칭으로 상향 절곡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100)의 사용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옷걸이(100)에 티셔츠 등과 같은 윗옷(C)을 걸고자 할 때, 윗옷(C)의 목부분(N)을 통해 고리부재(10)를 제외한 옷걸이(100)의 나머지부분을 윗옷(C)의 내부로 진입시키야만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경우 제1어깨받침부재(20)와 제2어깨받침부재(30) 사이에 네크출입부(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목부분(N)으로 옷걸이(100)를 삽입시킬 때,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먼저 제2어깨받침부재(30)를 목부분(N)의 일측으로 진입시킨 후, 이어서 윗옷(C)의 목부분(N) 일측이 상기 네크출입부(40)로 삽입될 때까지 제2어깨받침부재(30)를 더욱 진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네크출입부(40)로 목부분(N)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최대한 제2어깨받침부재(30)를 진입시킨 후에는 옷걸이(100)를 돌려서 제1어깨받침부재(20)를 목부분(N)의 타측으로 진입시켜주면 되며, 도 4에는 이렇게 제1어깨받침부재(20)까지 모두 진입되어 제1어깨받침부재(20)와 제2어깨받침부재(30)에 윗옷(C)이 받쳐진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어깨받침부재(30)가 진입된 상태에서 네크출입부(40)에 윗옷(C)의 목부분(N)이 삽입되므로 그만큼 제1어깨받침부재(20)의 진입구간이 감소되면서 목부분(N)을 늘리지 않고도 제1어깨받침부재(20)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어린아이들의 윗옷과 같이 목부분의 사이즈가 작은 윗옷의 경우에도 목부분(N)을 억지로 늘리거나 하는 등 변형을 시키지 않고도 편리하게 옷을 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윗옷(C)을 다양한 방향으로 걸어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는 바, 이 때에는 고리부재(10)에 대하여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윗옷이 걸린 상태에서 도 2의 (a)에 예시된 것처럼, 고리부재(10)를 잡고 제1어깨받침부재(20)를 살짝 들어올려준다.
그러면, 회전각조절부(15)의 대응하는 요철 형상이 서로 분리되면서 구속력이 없어져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따라서, 이 상태에서 고리부재(10)에 대하여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주면 된다.
그리고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들어올렸던 제1어깨받침부재(20)를 놓아주면 된다.
그러면, 도 2의 (b)에 예시된 것처럼, 자중 및 걸린 윗옷(C)의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1어깨받침부재(20)가 원위치로 하강되면서 다시 회전각조절부(15)의 대응하는 요철 형상이 서로 끼워지면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회전이 억제되므로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불필요한 회전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것처럼 윗옷(C)이 아닌, 바지나 치마 같은 하의, 그 외의 수건 등을 본 발명의 옷걸이(100)에 걸고자 할 때에는 수평걸이부재(50)에 걸어주면 된다.
또한, 상기 수평걸이부재(50)에는 다수의 걸이홈(51)과 한 쌍의 걸고리(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다수의 걸이홈(51)에 다른 옷걸이들을 유동되지 않도록 끼워 걸어줌으로써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옷걸이를 다수 옷걸이의 거치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나 수평걸이부재(50)에 걸기가 용이하지 않는 것들은 한 쌍의 걸고리(52)에 끼워서 걸어 주면 되는데, 도 5에는 일 예로서 모자(H), 넥타이(T)가 한 쌍의 걸고리(52)에 끼워져 걸린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옷걸이는 불필요한 구성을 전혀 추가하거나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목부분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편리하게 옷을 걸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옷의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옷 외에도 다양한 것들을 걸 수 있어 사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고리부재 11: 후크부
12: 수직봉 13: 지지판
15: 회전각조절부 20: 제1어깨받침부재
21: 결합몸체 30: 제2어깨받침부재
40: 네크출입부 50: 수평걸이부재
51: 걸이홈 52: 걸고리
10: 고리부재 11: 후크부
12: 수직봉 13: 지지판
15: 회전각조절부 20: 제1어깨받침부재
21: 결합몸체 30: 제2어깨받침부재
40: 네크출입부 50: 수평걸이부재
51: 걸이홈 52: 걸고리
Claims (4)
- 고리부재(10)와, 상기 고리부재(10)에 지지되는 좌우 대칭의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어깨받침부재(20)는 일단부가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어깨받침부재(30)는 일단부가 상기 제1어깨받침부재(20)의 일단부와 일정간격(d) 이격된 위치에서 하향 절곡됨으로써, 제1어깨받침부재(20)와 제2어깨받침부재(30) 사이에 윗옷(C)의 목부분(N)이 출입될 수 있는 네크출입부(40)가 형성되는 옷걸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깨받침부재(20)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리부재(10)의 수직봉(12)에 외삽되어 고리부재(10)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봉(12)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몸체(21)를 받쳐주는 지지판(13)이 형성되되,
상호 대면하는 상기 지지판(13)의 상면과 결합몸체(21)의 하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 형상의 회전각조절부(15)가 형성되는 옷걸이.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재(20, 30) 각각의 타단부 사이에 수평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걸이홈(5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평걸이부재(50);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걸이부재(50)의 양단부에는 일부분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쪽단이 대칭으로 상향 절곡되는 한 쌍의 걸고리(52)가 각각 형성되는 옷걸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4980A KR20160005909A (ko) | 2014-07-08 | 2014-07-08 | 옷걸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4980A KR20160005909A (ko) | 2014-07-08 | 2014-07-08 | 옷걸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5909A true KR20160005909A (ko) | 2016-01-18 |
Family
ID=5530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4980A KR20160005909A (ko) | 2014-07-08 | 2014-07-08 | 옷걸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590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7783A (ko) * | 2021-09-10 | 2023-03-17 | (주)아이지베스트 | 의류변형방지용 옷걸이 |
-
2014
- 2014-07-08 KR KR1020140084980A patent/KR20160005909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7783A (ko) * | 2021-09-10 | 2023-03-17 | (주)아이지베스트 | 의류변형방지용 옷걸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8518B1 (ko) | 기능성 옷걸이 | |
KR101560152B1 (ko) | 접이식 옷걸이 | |
KR20160005909A (ko) | 옷걸이 | |
KR101450509B1 (ko) | 양말 건조장치 | |
KR200354714Y1 (ko) | 세탁물 건조걸이 | |
JP6792362B2 (ja) | 物干し器 | |
KR200455652Y1 (ko) | 곶감 건조기 | |
KR102199669B1 (ko) | 옷걸이 | |
CN209807946U (zh) | 一种晾衣架 | |
JP5783350B2 (ja) | 物干し器 | |
KR20110004673U (ko) | 옷걸이 | |
KR20170049818A (ko) | 빨래걸이장치 | |
KR101468171B1 (ko) | 벽걸이형 옷걸이 | |
CN203960605U (zh) | 晾晒架 | |
KR20150065369A (ko) | 옷걸이 | |
KR20120009286A (ko) | 바지 걸이용 옷걸이 | |
KR101646073B1 (ko) | 후드 의류 전용 크기 조절 가능 옷걸이 | |
CN211380711U (zh) | 一种开口多卡点便捷晾衣架 | |
KR200467009Y1 (ko) | 다용도 옷걸이 | |
JP3096968U (ja) | フック収納ハンガー | |
KR101151903B1 (ko) | 옷걸이 | |
JP6046791B1 (ja) | ハンガー | |
JP6749368B2 (ja) | 掛け止め具、及び吊下げ具 | |
CN103815759A (zh) | 一种伸缩式晾衣架 | |
CN207152399U (zh) | 衣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SUBM |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