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171B1 - 벽걸이형 옷걸이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171B1
KR101468171B1 KR20130062553A KR20130062553A KR101468171B1 KR 101468171 B1 KR101468171 B1 KR 101468171B1 KR 20130062553 A KR20130062553 A KR 20130062553A KR 20130062553 A KR20130062553 A KR 20130062553A KR 101468171 B1 KR101468171 B1 KR 10146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hook
support
wall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환
이정걸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6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85Collapsible clothes racks, e.g. swingable, foldable, extend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8Portable pocket clothes-holders attachable to trees, walls, 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벽걸이형 옷걸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벽걸이형 옷걸이는, 벽에 매달리도록 걸림수단이 형성되는 지지대; 및 지지대에 결합되는 결합부, 결합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곡선형의 걸이부 및 걸이부의 끝단부로 구성되는 후크(hook)를 포함하며, 옷의 종류에 따라 끝단부 또는 걸이부에 옷을 걸 수 있도록, 결합부는 지지대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후크가 지지대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곡선형의 걸이부에 면이나 양모 또는 스웨터와 같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옷을 걸어놓을 수 있으므로 장시간 걸어놓더라도 옷의 늘어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벽걸이형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벽걸이형 옷걸이{WALL HANGER}
본 발명은 벽걸이형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옷을 걸 수 있는 후크가 다수 개 마련되어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옷걸이는 옷을 걸어 두도록 만든 물건을 통칭하며, 옷의 종류에 따른 분류로서 상의용 옷걸이와 하의용 옷걸이가 있으며, 설치 형태에 의한 분류로서 입식형 옷걸이와 벽걸이형 옷걸이 등이 있다.
이 중 벽걸이형 옷걸이는 사용되지 않은 벽면에 설치하여 옷을 걸 수 있으므로 입식형 옷걸이를 배치하기 힘든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입식형 옷걸이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가정집, 사무실, 공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0707호에는 '조립식 다용도 선반지지대'(이하 '종래기술 1')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1은 좁은 공간에서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선반지지대를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식 의복걸이대 또는 조립식 붙박이장의 포스트(11) 양측에 설치되는 선반지지대(2) 몸체가 지지홈(2') 일측으로만 돌출되도록 성형하고, 이의 상면에는 다수의 요홈(3)이 형성되고 신축조절이 가능한 횡봉(4)이 설치되어 선반(1)을 이루며, 지지대(2) 양측면에는 다수의 삽입홈(5)이 성형되어 걸고리(6)의 결착편(6')이 끼워지도록 하고 삽입홈(5) 사이 사이에는 통공(7)이 천공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걸이봉(8) 양측단에 끼워져 걸쳐지도록 하며, 지지대(2) 하부몸체에는 다수의 장공(9)이 구비되어 통상적인 옷걸이(10) 등을 걸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0741호에는 '벽부착용 옷걸이'(이하 '종래기술 2')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2는 프레임의 형상이 반원형 통체로 형성하여 옷걸이대에 걸리는 옷의 무게를 감당하는 힘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의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전방으로 개구부(13)가 형성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공간부(11)에 삽입되는 안내부(21) 및 안내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하 옷걸이부(22)로 구성된 옷걸이대(20)와, 프레임(10)의 양단에 결합되어 프레임(10)을 벽에 고정시키는 마감부(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벽걸이형 옷걸이는 종래기술 1의 걸고리(6)와 종래기술 2의 옷걸이부(22)와 같은 돌출부의 끝단에 옷의 일측을 걸어놓도록 되어있으므로 상의 또는 하의를 장시간 걸어놓으면 돌출부와 접촉한 부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울(wool)이나 털스웨터와 같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의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변형에 대한 우려 때문에 벽걸이형 옷걸이에 걸어놓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60707호(공개일 : 1998.11.05) (0002)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0741호(등록일 : 2002.09.17)
본 발명의 목적은, 면이나 양모 또는 스웨터와 같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옷을 장시간 걸어놓더라도 옷의 늘어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벽걸이형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벽에 매달리도록 걸림수단이 형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곡선형의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끝단부로 구성되는 후크(hook)를 포함하며, 옷의 종류에 따라 상기 끝단부 또는 상기 걸이부에 옷을 걸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대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옷걸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걸이부에서 옷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걸이부에 슬립방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수단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수단은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지지대에 높이조정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벽걸이형 옷걸이는,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구비되는 선반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2 이상의 선반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후크가 지지대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곡선형의 걸이부에 면이나 양모 또는 스웨터와 같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옷을 걸어놓을 수 있으므로 장시간 걸어놓더라도 옷의 늘어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벽걸이형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벽걸이형 옷걸이의 후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벽걸이형 옷걸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벽걸이형 옷걸이의 후크에 마련되는 슬립방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벽걸이형 옷걸이의 멈춤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벽걸이형 옷걸이는, 면이나 양모 또는 스웨터와 같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옷을 장시간 걸어놓더라도 옷의 늘어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옷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벽걸이형 옷걸이의 후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벽걸이형 옷걸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벽걸이형 옷걸이의 후크에 마련되는 슬립방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벽걸이형 옷걸이의 멈춤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옷걸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옷걸이(1)는 지지대(10) 및 후크(30)(hook)로 구성된다.
지지대(10)는 후크(30)를 지지하며 벽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벽에 매달리도록 걸림수단(11)이 형성된다. 걸림수단(11)은 일반적인 벽걸이형 옷걸이(1)와 동일하게 나사못 및 결합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결합방법을 사용하여 벽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대(1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옷이 걸리는 전면은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기 위해 높낮이가 있게 입체감을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옷걸이(1)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사용욕구를 고취시키기 위해 지지대(10)와 후크(30)를 문어의 몸통 및 다리가 연상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였으며, 지지대(10)의 상측에 문어의 머리에 해당하는 머리부(13)를 마련하였다. 물론, 오징어나 외계생물 등 다수의 다리를 가진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머리부(13)는 디자인적인 요소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구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거울(미도시)을 설치하거나, 전구(B)를 설치하여 야간에 무드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그 밖에 시계(W), 온도계(T), 습도계(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0)는 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옷(C)이 걸리는 구성으로서, 지지대(10)에 결합되는 결합부(31), 결합부(31)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곡선형의 걸이부(33) 및 걸이부(33)의 끝단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크(30)는 단어 뜻 그대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즉, 걸이부(33)가 지지대(10)에 결합되는 결합부(31)의 단부에서 포물선 형태로 연장되는 것이다. 걸이부(33)가 형성하는 포물선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결합부(3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만곡된 형태로서 일측으로 휘어졌다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휘어짐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에 상사점(P1)과 하사점(P2)을 갖게 된다.
결합부(31)는 지지대(10)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결합부(31)가 지지대(10)에서 축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사점(P1)과 하사점(P2)이 바뀔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벽걸이형 옷걸이는 돌출부의 끝단에 옷의 일측을 걸어놓도록 되어있으므로 상의 또는 하의를 장시간 걸어놓으면 돌출부와 접촉한 부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울(wool)이나 털스웨터와 같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의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변형에 대한 우려 때문에 벽걸이형 옷걸이에 걸어놓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옷걸이(1)는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이다.
즉, 양복 및 코트 등 변형에 강한 재질의 옷감으로 제작된 옷(C)은 일반적인 옷걸이와 마찬가지로 걸이부(33)의 끝단부(35)에 걸도록 하고, 울이나 털스웨터 등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옷감으로 제작된 옷(C)은 옷(C)을 지지하는 면적이 넓은 곡선형의 걸이부(33)에 걸어놓음으로써 옷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결합부(31)가 지지대(10)에서 축회전되어 상사점(P1)과 하사점(P2)이 서로 뒤바뀐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는 하사점(P2)이 곡선형의 걸이부(33)에 형성되고, 상사점(P1)은 걸이부(33)의 끝단부(35)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옷(C)은 일반적인 벽걸이형 옷걸이(1)와 마찬가지로 상사점(P1)으로 배치된 걸이부(33)의 끝단부(35)에 걸리게 된다.(도 3a 참조)
도 2b는 도 2a의 후크(30)가 18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하사점(P2)이 걸이부(33)의 끝단부(35)에 형성되고, 상사점(P1)은 곡선형의 걸이부(33)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울이나 털스웨터는 상사점(P1)으로 배치된 곡선형의 걸이부(33)에 걸리게 된다. 도 2c는 걸이부(33)의 포물선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울이나 털스웨터는 2 이상의 곡선형 걸이부(33)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 이상의 곡선형 걸이부(33)에 걸어놓으면 외력에 약한 울이나 털스웨터를 지지하는 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옷감의 변형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옷(C)을 3 이상의 곡선형 걸이부(33)에 걸어놓을 때에는 옷(C)이 걸리는 3 이상의 후크(30) 중 양쪽의 최외곽 후크(30)는 걸이부(33)의 끝단부(35)가 상측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양쪽의 최외곽 후크(30)를 걸이부(33)의 끝단부(35)가 상측을 향하도록 조정하면 옷(C)의 대부분의 하중은 최외곽 후크(30)를 제외한 중간의 후크(30)가 지탱하는 한편, 한 쌍의 최외곽 후크(30)는 돌출된 끝단부(35)를 통해 옷(C)의 흘러내림을 좀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3c를 참조하면, 결합부(3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사점(P1) 또는 하사점(P2)이 되는 끝단부(35)까지의 거리(A) 및 걸이부(33)까지의 거리(B)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걸이부(33)까지의 거리(B)를 끝단부(35)까지의 거리(A)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이부(33)까지의 거리(B)를 끝단부(35)까지의 거리(A)와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하면, 옷(C)을 3 이상의 곡선형 걸이부(33)에 걸어놓을 때 최외곽 후크(30)를 끝단부(35)가 상측을 향하도록 조정하더라도, 양쪽 최외곽 후크(30)의 끝단부(35)가 중간에 있는 후크(30)의 곡선부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중간에 있는 후크(30)가 양쪽 최외곽 후크(30)보다 많은 하중을 지지하여 옷(C)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33)에 슬립방지수단(P)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슬립방지수단(P)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슬립방지수단(P)은 문어 빨판의 외관을 가지는 다수의 흡착편으로 마련하여 걸이부(33)에 결합하거나,(도 4a) 걸이부(33)에 씌워지는 캡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도 4b)
도 4c를 참조하면. 슬립방지수단(P)은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걸림돌기도 사용자의 흥미를 고취시키기 위해 문어 빨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사점(P1) 및 하사점(P2)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후크(30)의 회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대(10)와 결합부(31)의 접촉면에 멈춤수단(S)이 마련된다. 멈춤수단(S)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결합부(31)에는 홈(H)을 형성하여 스프링(Sp) 및 멈춤볼(B)을 각각 삽입하고, 지지대(10)에는 상사점(P1) 및 하사점(P2)이 상하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멈춤볼(B)이 부분삽입되는 상부멈춤홀(H1) 및 하부멈춤홀(H2)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선반(L)을 지지하도록, 지지대(10)에 2 이상의 선반다리(3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반다리(30')는 후크(30)의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부가 각각 지지대(1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지지대(1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선반(L)을 지지하는 선반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후크(30)가 지지대(10)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곡선형의 걸이부(33)에 면이나 양모 또는 스웨터와 같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옷을 걸어놓을 수 있으므로 장시간 걸어놓더라도 옷의 늘어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벽걸이형 옷걸이(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벽걸이형 옷걸이 10 : 지지대
11 : 걸림수단 13 : 머리부
30 : 후크 31 : 결합부
33 : 걸이부 35 : 끝단부
P1 : 상사점 P2 : 하사점

Claims (6)

  1. 벽에 매달리도록 걸림수단이 형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곡선형의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끝단부로 구성되는 후크(hook)를 포함하며,
    옷의 종류에 따라 상기 끝단부 또는 상기 걸이부에 옷을 걸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대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구비되는 선반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2 이상의 선반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서 옷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걸이부에 슬립방지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옷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수단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옷걸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수단은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옷걸이.
  5. 삭제
  6. 삭제
KR20130062553A 2013-05-31 2013-05-31 벽걸이형 옷걸이 KR10146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553A KR101468171B1 (ko) 2013-05-31 2013-05-31 벽걸이형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553A KR101468171B1 (ko) 2013-05-31 2013-05-31 벽걸이형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171B1 true KR101468171B1 (ko) 2014-12-05

Family

ID=5267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2553A KR101468171B1 (ko) 2013-05-31 2013-05-31 벽걸이형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191A (ko) 2014-12-11 2016-06-21 김홍신 벽걸이형 알람 옷걸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875A (ko) * 2001-06-04 2004-02-25 존 더블유. 바필드 매달린 방식의 사진 겔러리 또는 앨범
JP2004286167A (ja) * 2003-03-24 2004-10-14 Hinaka Seisakusho:Kk 吊下げ装置
KR20100004750U (ko) * 2008-10-29 2010-05-10 곽경동 미끄럼방지 행거옷걸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875A (ko) * 2001-06-04 2004-02-25 존 더블유. 바필드 매달린 방식의 사진 겔러리 또는 앨범
JP2004286167A (ja) * 2003-03-24 2004-10-14 Hinaka Seisakusho:Kk 吊下げ装置
KR20100004750U (ko) * 2008-10-29 2010-05-10 곽경동 미끄럼방지 행거옷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191A (ko) 2014-12-11 2016-06-21 김홍신 벽걸이형 알람 옷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0827A1 (en) Display hanger for curtain rod
KR20080005164U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스텐드타입 옷걸이
KR101468171B1 (ko) 벽걸이형 옷걸이
KR20100003169U (ko) 슬라이딩 고리를 가진 행거
KR20080030772A (ko) 옷걸이대 및 건조대에 장착된 옷걸이 내장형 걸이봉
KR101551605B1 (ko) 도어용 옷걸이
CN203168782U (zh) 一种衣架
JP3146937U (ja) スーパーマルチハンガー
TWI840297B (zh) 具防糾結機制之衣架
KR200228922Y1 (ko) 조립식 장농
KR200142268Y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지지대
CN210204352U (zh) 一种提高晾衣通风性的衣架
KR200406799Y1 (ko) 캐릭터 형상의 고정용 옷걸이
US3184066A (en) Valet stand and garment hangers
KR100970605B1 (ko) 속옷걸이, 속옷걸이대 및 속옷전용 가구
JP3143992U (ja) 組み立て式の袋状着用具干しハンガー
KR20120079873A (ko) 다용도 옷걸이
KR20160005909A (ko) 옷걸이
CN203676787U (zh) 一种多功能衣架装置
KR101659668B1 (ko) 다용도 서랍장
TWM618035U (zh) 吊掛架結構
CN104207705A (zh) 一种专用于浴室中挂物装置
TWM524150U (zh) 衣架
CN203252411U (zh) 一种新型挂架
KR200157516Y1 (ko) 다목적 보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